맨위로가기

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기는 재무 거래를 기록하고 요약하는 시스템으로, 기원전 2600년경 바빌로니아에서 점토판에 기록된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베네치아 상인에 의해 복식부기가 발명되었으며, 루카 파치올리의 저서 『산술, 기하, 비례 및 비례 요람』에서 복식부기가 소개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부기는 기장법에 따라 단식부기와 복식부기로 분류되며, 상업 부기, 공업 부기 등 경제 활동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응용된다. 부기의 과정은 분개,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 작성 순으로 이루어지며, 회계 장부와 다양한 약어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회계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시간 경과, 사용, 노후화에 따른 자산 가치 감소를 회계적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취득 원가를 내용연수에 걸쳐 배분하여 수익과 비용을 일치시키고 재무 상태 파악에 기여하며, 유형자산에 적용되지만 토지 등은 제외되고, 정액법, 정률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세법상 한도가 제한되고 국가별로 상이한 제도를 운영한다.
  • 회계 - 배당
    배당은 기업이 이익을 주주에게 분배하는 것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최초로 정기적인 배당을 지급한 사례로 알려져 있으며, 신뢰도 향상 및 자본 조달에 기여하고, 현금, 주식, 현물 등 다양한 형태로 지급되며, 배당 수익률, 배당 성향 등으로 평가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부기
주요 개념
주요 특징장부
복식부기
총계정원장
T 계정
시산표
분개장
차변과 대변
계정 과목
소액 현금
정액 자금 제도
은행 계정 조정
원장
단식부기
부기 담당자
자산
부채
자본
수입
비용
감가상각
발생주의
선지급
VAT/GST
재무제표
주요 구성대차 대조표
손익 계산서
관련 직업
관련 직업회계사
회계 기술자
회계 사무원
회계
관련회계

2. 역사

부기의 역사는 인류 문명이 시작된 아주 오래전, 메소포타미아 등 고대 문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는 기원전 2600년경의 점토판 기록이 발견되기도 했다.[24] 로마, 그리스, 이집트 등 여러 고대 문명에서도 부기가 존재했으며, 주로 거래의 한 측면만을 기록하는 단식부기 형태였다.

이후 14세기에서 15세기 사이,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베네치아 상인들이 거래의 양 측면을 모두 기록하는 복식부기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11] 특히, 1494년 이탈리아의 수학자 루카 파치올리(Luca Pacioli)가 그의 저서 『산술, 기하, 비례 및 비례 요람』(Summa de arithmetica, geometria, proportioni e proportionalitàita, 통칭 『수마』)를 통해 복식부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면서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3]

현대에 와서는 일반적으로 '부기'라고 하면 복식부기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8]

2. 1. 고대

화폐 경제가 탄생하고 발전하면서 화폐의 양을 계산하고 기록할 필요성이 생겨났고, 이것이 부기가 발명된 배경이 되었다.[8] 부기의 역사는 인류가 도시를 이루고 살기 시작한 아주 오래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최대 7,000년 전의 점토판 기록이 발견되기도 했다.

가장 오래된 구체적인 부기 기록은 기원전 2,600년경 바빌로니아의 것으로, 작은 점토 평판에 스타일러스로 새겨져 있다.[24][2] 또한 로마 시대의 고대 조각에서도 상업 장부가 새겨진 것이 확인되어, 부기의 역사가 고대로 거슬러 올라감을 추측할 수 있다. 로마 외에도 그리스, 아시리아, 이집트 등 여러 고대 문명에서 부기가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당시의 부기는 거래의 한 측면만을 기록하는 단식부기 형태였다.

2. 2. 중세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베네치아 상인들이 복식부기를 발명한 것으로 여겨진다.[11] 당시 이탈리아에서는 상업 자본이 성장하고 상품 생산과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제 상황 속에서 기존의 채권·채무 기록 방식(의인법)을 바탕으로, 상품 계정, 자본 계정, 손익 계정(명목 계정) 등을 도입하여 체계적인 부기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이탈리아의 수학자 루카 파치올리(Luca Pacioli)는 1494년에 출판한 저서 『산술, 기하, 비례 및 비례 요람』(Summa de arithmetica, geometria, proportioni e proportionalitàit, 통칭 『수마』)에서 복식부기를 상세히 소개했다.[3] 이 책은 체계적으로 정리된 복식부기를 설명한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 전역에 복식부기가 퍼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복식부기는 거래를 할 때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증감을 양쪽 측면에서 모두 기록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현금으로 물품을 구매했다면, 물품(자산)이 증가한 사실과 현금(자산)이 감소한 사실을 동시에 기록한다.[11] 신성 로마 제국(현재의 독일)의 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복식부기를 "인간 정신이 낳은 가장 아름다운 발명품 중 하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11]

2. 3. 근대

미국에서는 식민지 시대에 "웨이스트 북(waste book)"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일일 거래의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 임시 장부를 의미했다. 기록은 시간 순서대로 작성되었으며, 이 내용은 나중에 계정을 조정하고 영구적인 전표를 만들기 위해 일계표나 계정 원장으로 옮겨졌다. 임시 기록인 웨이스트 북은 이후 폐기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4]

신성 로마 제국(현재의 독일)의 문호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복식부기를 높이 평가하며 "부기야말로, 인간의 정신이 낳은 가장 아름다운 것 중 하나이다."라고 언급했다.[11]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서양식 부기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1873년(메이지 6년) 6월, 후쿠자와 유키치가 일본 최초의 부기 서적인 『'''장합의 법'''』 초편을 출판했다. 이어서 같은 해 10월에는 가토 빈의 『상가 필요』, 12월에는 대장성의 『은행 부기 정법』 등 서양식 부기 서적들이 잇따라 간행되었다.[12] 1879년(메이지 12년)에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설립한 부기강습소에서 부기 교육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일본에서 부기가 확산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현대 일본에서는 후쿠자와 유키치의 부기강습소에서 시작된 부기 교육의 전통이 이어져, 상업고등학교 등에서 문부과학성의 고등학교 학습 지도 요령에 따라 체계적인 부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대학 상학부 수준까지 연계되며, 방송대학 등을 통해서도 학습 기회가 제공된다. 닛쇼 부기 검정 1급과 같은 자격증 취득을 통해 세무사 시험이나 공인회계사 시험에 도전하는 등 부기 교육은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으며, 상업고등학교 졸업생 중 일부는 세무대학교를 거쳐 세무 공무원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2. 4. 한국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3. 부기의 분류

부기는 기록하는 방식(기장법)이나 경제 주체의 활동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기장 방식에 따라 단식부기복식부기로 분류하며, 경제 활동의 성격에 따라서는 상업 부기, 공업 부기 및 다양한 '''응용 부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분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3. 1. 기장법에 따른 분류

장부를 기록하는 방식(기장법)에 따라 단식부기복식부기로 나눌 수 있다.

'''단식부기'''

단식부기는 주로 현금의 수입과 지출을 중심으로 자산의 증감을 기록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식이다. 주요 장부로 현금 출납장을 사용하며, 모든 항목을 수입과 지출 계정으로 분류하여 기록한다. 미지급금, 미수금, 재고 등 현금 외 거래에 대해서는 별도의 보조 장부를 통해 관리한다. 오늘날에는 회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단식부기를 처리함으로써 시간 절약과 계산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주로 개인의 가계부나 소규모 사업장에서 활용된다.

'''복식부기'''

복식부기는 모든 거래나 사건이 최소 두 개 이상의 재무 회계 계정을 변경시키는 재무 회계 시스템에서 재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이다. 즉, 하나의 거래가 발생하면 차변(왼쪽)과 대변(오른쪽)에 동시에 나누어 이중으로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거래 내용을 정확하고 공정하게 기술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기업 회계나 공익 법인 회계, 독립 행정 법인 회계 등에서는 정확하고 공정한 기록을 위해 복식부기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기'라고 하면 복식부기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세무사 시험(국세심의회에서 실시하는 국가 시험)에서도 회계학 관련 주요 과목(부기론, 재무제표론)으로 다루어진다.

3. 2. 경제 활동에 따른 분류

경제 주체(기업·정부 등)의 경제 활동 내용에 따라 다양한 부기 방법론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상업 부기와 공업 부기가 있다.

  • '''상업 부기''': 완제품을 매입하여 판매하는 회사의 재무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기장 방식이다. 가장 기본적인 부기로 여겨진다. 때로는 모든 회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결산 관련 회계 처리나 고정 자산의 감가상각 처리 등도 상업 부기의 범주로 다루기도 한다.
  • '''공업 부기''': 재료를 구입하여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회사의 재무 상태를 기록·계산·보고하기 위한 기장 방식이다. 제품 생산에 필요한 경비를 재료비, 제조 인력의 임금, 제조 설비의 운용 비용 등 다양한 요소로부터 산출해야 하므로 복잡한 계산 절차가 필요하며, 주로 원가 계산 이론을 활용한다. 간편법으로 상업적 공업 부기도 존재한다.


기본적인 부기인 상업 부기 외의 다른 특정 경제 활동에 적용되는 부기를 통틀어 '''응용 부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요 응용 부기는 다음과 같다.

  • '''농업 부기''': 공업 부기와 유사하게 원가 계산이 필요하다. 개인 사업주가 많은 농업의 특성상 가계와의 구별을 명확히 하는 목적도 있다.
  • '''임업 부기''': 농업 부기와 같이 제1차 산업인 임업 활동에 사용되는 부기이다.
  • '''어업 부기''': 어장 사용료나 사료 비용과 같은 특유의 경비 항목을 다루는 어업 활동을 위한 부기이다.
  • '''건설업 부기''': 대규모 자금과 노동력이 투입되고 장기간 소요되는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한 부기이다. (건설업 회계 참고)
  • '''은행 부기''': 화폐 자체를 상품으로 취급하는 금융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부기이다. (은행 부기 참고)
  • '''관용 부기''': 주로 세금을 수입원으로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재정 상태(수입과 지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식 부기가 주로 사용된다.
  • '''조합 부기''': 비영리 단체에서 주로 사용하며, 수입과 지출의 균형에 중점을 둔다.
  • '''농협 부기''': 농업협동조합에서 사용하는 부기로, 농협이 운영하는 다양한 사업 분야를 포괄한다.
  • '''가계 부기''': 흔히 가계부라고 불리는 것으로, 주로 저축 외 현금의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 단식 부기 형태가 많다.
  • '''사회 복지 회계 부기''': 사회 복지 법인에서 사용하는 부기로, "사회 복지 법인 회계 기준"이라는 특수한 회계 처리 기준을 따른다.

4. 부기의 과정 (Process)

부기는 거래의 재무적 영향을 기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1. 원천 문서 확인: 거래 발생 시 생성된 송장이나 영수증원천 문서를 확인한다. 이는 부기 기록의 기초 자료가 된다.

2. 분개장 기록: 원천 문서를 바탕으로 거래 내용을 발생 순서대로 분개장(Journal)에 기록한다. 이는 거래를 공식적으로 기록하는 첫 단계이다.

3. 총계정 원장 전기: 분개장에 기록된 내용을 각 계정별로 총계정 원장(General Ledger)에 옮겨 적는다. 이 과정을 전기(Posting)라고 하며, 이를 통해 계정별 잔액을 집계한다.

4. 시산표 작성: 분개와 전기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산표(Trial Balance)를 작성한다. 이는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필요한 기말 수정 분개를 반영하여 최종 시산표를 완성한다.

5. 재무제표 작성: 수정된 시산표를 바탕으로 손익 계산서, 대차대조표 등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를 작성한다. 이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최종 보고서이다.

과거 수기 회계 시스템에서는 거래 발생 시점과 장부 기록 시점 사이에 시간적 지연이 있었지만, 현대의 전자 회계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거의 즉시 처리된다.

4. 1. 분개 (Journals)

분개(分介, Journal entry)는 재무 거래가 발생했을 때 그 내용을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공식적으로 기록하는 과정이다. 이는 거래 내용을 총계정 원장에 옮겨 적기 전에 이루어지는 최초의 기록 단계 중 하나이며, 모든 거래를 발생 순서대로 기록하는 연대기적 특징을 가진다.

거래가 발생하면 송장이나 영수증 같은 원천 문서가 생성된다. 부기 과정에서는 이러한 원천 문서의 세부 정보를 먼저 분개장(Journal, 또는 최초 기록 장부, 일계표라고도 함)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모든 외상 매출은 매출 분개장에, 모든 현금 지급은 현금 지급 분개장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복식 부기 원칙에 따라, 분개장에는 모든 거래가 차변 요소와 대변 요소로 나뉘어 기록되며, 기록된 모든 차변 금액의 합계와 대변 금액의 합계는 항상 일치해야 한다.[5][6]

분개장은 기록하는 거래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일반 분개장(General Journal): 모든 종류의 거래를 기록할 수 있는 기본적인 분개장이다. 특정 분개장에 해당하지 않는 거래나 조정 분개 등을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 특수 분개장(Special Journal): 특정 유형의 빈번하게 발생하는 거래들을 별도로 모아 기록하는 분개장이다. 거래 기록을 효율화하고 요약하기 위해 사용된다. 회사는 활동 유형(예: 판매, 현금 수입, 매입 등)에 따라 여러 특수 분개장을 유지할 수 있다.[5][6]
  • 매출 분개장: 외상 매출 거래 기록
  • 매입 분개장: 외상 매입 거래 기록
  • 현금 수입 분개장: 현금 수입 거래 기록
  • 현금 지출 분개장: 현금 지출 거래 기록


한편, 데북(Daybook)은 매일 발생하는 금융 거래를 상세하게 기록하는 일기 형식의 장부로, '최초 기록 장부'라고도 불린다. 데북에 기록된 세부 내용은 분개장에 공식적인 분개 항목으로 옮겨 기록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된다. 데북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데북 종류기록 내용
판매 전표판매 송장 기록
판매 신용 전표판매 반품 및 에누리 등 신용 메모 기록
구매 전표구매 송장 기록
구매 차변 전표구매 반품 및 에누리 등 차변 메모 기록
현금 전표 (현금 출납부)모든 현금 수입 및 지출 기록 (수입 데북과 지출 데북으로 나눌 수 있음)
일반 전표 데북기타 분개 항목 기록



분개장에 기록된 내용은 일정 기간(보통 한 달)마다 요약되어, 각 계정 과목별로 총계정 원장에 옮겨 적는 전기(Post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각 계정의 잔액이 계산되고 재무제표 작성의 기초가 마련된다.

4. 2. 원장 (Ledgers)

계정별 기록을 모아놓은 장부를 원장(Ledgereng)이라고 한다. 원장은 분개장(Journal)에 시간 순서대로 기록된 재무 거래 내역을 각 계정으로 옮겨 적는 전기(Posting) 과정을 거쳐, 계정별 잔액을 계산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분개장은 거래 발생 순서대로 기록하지만 잔액을 보여주지는 않는 반면, 원장은 계정별로 거래를 분류하고 현재 잔액을 보여준다는 차이가 있다. 원장의 잔액 정보는 최종적으로 대차대조표나 손익 계산서와 같은 재무제표 작성의 기초가 된다.

원장은 기록하는 범위에 따라 크게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eng)과 보조원장(Subsidiary Ledgereng)으로 나눌 수 있다.

원장의 종류
구분설명주요 관리 계정
총계정원장모든 계정(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기록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핵심 장부이다. 기업의 전반적인 재무 상태와 성과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모든 계정
보조원장총계정원장의 특정 계정에 대한 세부 내역을 별도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보조적인 장부이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4. 3. 시산표 (Trial Balance)

분개전기 과정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부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작성하는 작업 문서를 시산표(試算表, Trial Balanceeng)라고 한다. 시산표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간(보통 한 달) 동안의 거래 기록을 총계정 원장에 전기한 후 작성된다. 시산표는 작성 시점에 따라 수정전 시산표와 수정후 시산표로 나뉜다.

=== 수정전 시산표 ===

기말 수정 분개를 하기 전에 작성하는 시산표를 수정전 시산표 또는 미조정 시산표라고 한다. 이는 전기 과정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시산표는 3개의 열로 구성된다.

# 첫 번째 열에는 잔액이 0이 아닌 총계정 원장 계정의 이름을 나열한다.

# 해당 계정의 잔액이 ''차변''에 있으면 두 번째 열(차변 열)에 금액을 기입한다.

# 해당 계정의 잔액이 ''대변''에 있으면 세 번째 열(대변 열)에 금액을 기입한다.

# 마지막으로 차변 열의 합계와 대변 열의 합계를 각각 계산한다.

복식 부기 원리에 따라 모든 거래는 차변과 대변에 동일한 금액으로 기록되므로, 올바르게 전기가 이루어졌다면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는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만약 두 합계가 일치하지 않으면 분개장이나 전기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는 의미이므로, 오류를 찾아 수정하고 합계가 일치하는지 다시 확인해야 한다.

=== 수정후 시산표 ===

수정전 시산표의 차변 합계와 대변 합계가 일치하면, 회계사는 기말에 필요한 여러 수정 분개(조정)를 수행하고 일부 계정의 잔액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실제 재고 수량에 맞춰 재고 자산 계정을 조정하거나, 감가상각 비용을 인식하고, 선수수익이나 선급비용과 같은 계정을 정리하는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정 분개 역시 복식 부기 규칙을 따라야 한다.

모든 수정 분개를 반영하여 다시 작성한 시산표를 수정후 시산표 또는 조정 시산표라고 한다. 이 수정후 시산표에 나타난 계정과 해당 차변 또는 대변 잔액은 손익 계산서, 대차대조표(재무 상태표), 현금 흐름표, 자본 변동표 등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최종 기초 자료로 사용된다.

4. 4.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s)

시산표 작성이 완료되면, 이를 바탕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성과를 외부에 보고하는 주요 수단이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손익 계산서''(income statement): 일정 기간 동안의 경영 성과(수익과 비용)를 나타내는 보고서이다. '재무 성과 보고서' 또는 'P&L'이라고도 한다.
  •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특정 시점의 재무 상태(자산, 부채, 자본)를 나타내는 보고서이다. '재무 상태표'라고도 한다.
  • 현금 흐름표: 일정 기간 동안 기업 활동으로 인한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 ''자본 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일정 기간 동안 자본의 변동 내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총 인식 손익 보고서'라고도 한다.

5. 회계 장부 (Accounting Books)

회계장부(會計帳簿)는 상인이 거래 및 영업상 재산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기록하는 장부이다. 상법은 상인에게 이러한 회계장부의 작성을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상법 제30조 제1항). 이는 과거 상인들이 사용하던 일기장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5. 1. 주요 회계 장부

상법에서는 상인이 거래와 기타 영업상의 재산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기재하는 회계장부(會計帳簿) 작성을 의무화하고 있다(상법 제30조 제1항). 어떤 종류의 장부가 회계장부에 해당하는지 법으로 명확히 규정된 것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재산의 증가, 감소, 변화를 기록할 목적으로 작성된 장부는 그 명칭에 관계없이 모두 회계장부로 간주된다. 따라서 구체적인 거래 내용을 기록한 전표와 이를 각 계정과목별로 분류하는 분개장, 그리고 이 내용을 최종적으로 종합하여 기재하는 원장, 현금출납부, 어음·수표책, 상품수도장 등은 회계장부로 인정된다.

회계장부는 크게 거래 발생 순서대로 기록하는 '최초 기록 장부'와 이를 계정별로 분류하여 집계하는 '원장'으로 나눌 수 있다.

  • 데북(Daybook): 매일의 금융 거래를 발생 순서대로 기록하는 일기 형식의 장부로, '최초 기록 장부'라고도 불린다. 데북에 기록된 세부 사항은 공식적인 회계 기록인 전표에 옮겨 적어야 한다. 데북에는 거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 판매 전표 (Sales Daybook): 판매 송장(세금계산서 등)과 같은 매출 거래를 기록한다.
  • 판매 반품 및 할인 전표 (Sales Returns Daybook): 판매된 상품의 반품이나 에누리, 할인 내역을 기록한다.
  • 구매 전표 (Purchases Daybook): 구매 송장(매입 세금계산서 등)과 같은 매입 거래를 기록한다.
  • 구매 반품 및 할인 전표 (Purchase Returns Daybook): 구매한 상품의 반품이나 매입 에누리, 할인 내역을 기록한다.
  • 현금 전표 (Cash Daybook): 흔히 현금출납부라고 하며, 모든 현금 수입과 지출을 기록한다. 이는 다시 수입 데북(현금 수입 기록)과 지출 데북(현금 지출 기록)으로 나눌 수 있다.
  • 일반 전표 데북 (General Journal Daybook): 위에서 분류되지 않는 기타 거래(예: 유형자산 처분)나 결산 시 수정 사항 등을 기록한다.

  • 원장(Ledger): 데북이나 전표에 기록된 거래들을 계정별로 옮겨 적어 영구적으로 요약하는 장부이다. 각 계정별 거래 내역과 시작/종료 잔액을 보여준다. 원장은 모든 계정의 잔액을 계산하여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나 손익 계산서 작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주요 원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매출 원장 (Sales Ledger): 주로 외상 매출금 계정을 다루며, 개별 고객과의 거래 내역을 상세히 기록한다.
  • 매입 원장 (Purchase Ledger): 주로 외상 매입금 계정을 다루며, 개별 공급자와의 거래 내역을 상세히 기록한다.
  •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이라는 회계의 5가지 기본 요소를 나타내는 모든 계정을 집약해 놓은 핵심적인 원장이다.

6. 기타

'''소액 현금 장부'''는 소액 구매 내역을 기록하는 장부로, 그 내용은 이후 총계정원장 및 최종 계정으로 옮겨진다. 이 장부는 보통 소액 출납 담당자나 주니어 출납 담당자가 관리하며, 정액 자금 제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액 자금 제도란 선임 출납 담당자가 소액 출납 담당자에게 일정 금액의 현금을 미리 지급하고, 이 돈으로 접대비, 소모품 구매, 임시 우편 요금 등 소액 지출을 처리한 뒤, 지출 내역에 대한 증빙을 갖추면 사용한 만큼의 현금을 다시 보충해주는 방식이다. 소액 현금 장부의 잔액은 자산으로 분류된다.

'''계정 과목표'''는 계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숫자, 문자 또는 영숫자 코드를 부여한 목록으로, 특정 계정이 총계정원장의 어디에 위치하는지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계정 과목표의 자기 자본 섹션은 해당 기업의 법적 형태(개인 사업자, 파트너십, 신탁, 회사 등)에 따라 구성이 달라진다.

'''컴퓨터 회계'''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회계 처리를 자동화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종이 장부를 대체한다. 오늘날에는 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지만, 기본적인 회계 원칙인 단식 부기나 복식 부기 시스템은 여전히 적용된다. 공인 회계사(CPA)는 컴퓨터 회계 시스템의 내부 통제를 감독하며, 이를 통해 회계 기간 동안 발생하는 수많은 거래 기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6. 1. 부기 관련 약어


  • '''A/c''' 또는 '''Acc''' – 계정
  • '''A/R''' – 매출채권
  • '''A/P''' – 매입채무
  • '''B/S''' – 재무상태표
  • '''c/d''' – 이월
  • '''b/d''' – 전월 이월
  • '''c/f''' – 다음 기로 이월
  • '''b/f''' – 이전 기에서 이월
  • '''Dr''' – 장부의 차변. "Dr"은 "'''차'''변 '''기'''록"을 의미
  • '''Cr''' – 장부의 대변. "Cr"은 "'''대'''변 '''기'''록"을 의미
  • '''G/L''' – 총계정원장; (또는 N/L – 명목 원장)
  • '''PL''' – 손익계산서; (또는 I/S – 포괄손익계산서)
  • '''P/L''' – 매입 원장(매입 채무)
  • '''P/R''' – 급여
  • '''PP&E''' – 유형 자산
  • '''S/L''' - 매출 원장(매출 채권)
  • '''TB''' – 합계잔액시산표
  • '''GST''' – 재화 및 용역세
  • '''SGST''' – 주 정부 재화 및 용역세
  • '''CGST''' – 중앙 정부 재화 및 용역세
  • '''IGST''' - 통합 재화 및 용역세
  • '''VAT''' – 부가가치세
  • '''CST''' – 중앙 판매세
  • '''TDS''' – 원천징수세
  • '''AMT''' – 대체 최저세
  • '''EBT''' – 세전이익
  • '''EAT''' – 세후이익
  • '''PAT''' – 세후 이익
  • '''PBT''' – 세전 이익
  • '''Dep''' 또는 '''Depr''' – 감가상각
  • '''CPO''' – 현금 지출
  • '''CP''' - 현금 지급
  • '''w.e.f.''' - ~부터
  • '''@''' - ~의 비율로
  • '''L/F''' – 원장 페이지
  • '''J/F''' – 전표 페이지
  • '''M/s''' - 주식회사 계정
  • '''Co''' - 회사
  • '''V/N''' 또는 '''V.no.''' – 전표 번호
  • '''In no''' - 송장 번호

참조

[1] 서적 Financial Accounting Susan Elbe
[2] 간행물 Book-Keeping
[3] 웹사이트 History of Accounting https://fremot.edu/h[...] Fremont University 2022-07-15
[4] 웹사이트 Pittsburgh Waste Book and Fort Pitt Trading Post Papers http://digital.libra[...] Guides to Archives and Manuscript Collections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Library System 2015-09-04
[5] 서적 Accounting Demystified https://archive.org/[...] AMACOM
[6] 서적 Accountants Information
[7] 서적 Australian Master Bookkeepers Guide CCH
[8] 문서 浜田(2005)pp.20-21
[9]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簿記 https://kotobank.jp/[...] 2019-01-23
[10] 문서 家計簿や小遣い帳も単式簿記といわれる簿記の一種であるといえる。浜田(2005)p.21
[11] 문서 浜田(2005)pp.22-23
[12] 웹사이트 洋式簿記事始め130周年紀念 http://www.lib.hit-u[...] 一橋大学 2003
[13] 문서 西川 (1964)], pp.37-38
[14] 웹사이트 福澤全集緒言 http://project.lib.k[...] 2012-01-12
[15] 문서 西川 (1964)], pp.39-40
[16] 문서 西川 (1964)], p.41
[17] 문서 西川 (1964)], pp.41-42
[18] 웹사이트 馬耳蘇氏記簿法 http://www.lib.hit-u[...] 一橋大学 2003
[19] 웹사이트 銀行簿記精法 http://www.lib.hit-u[...] 一橋大学 2003
[20] 웹사이트 複式簿記の日本への導入とその影響 http://pc9.fuji.ac.j[...] 東京富士大学 2009-03
[21] 문서 西川 (1964)], p.42
[22] 문서 西川 (1964)], p.43
[23] 문서 西川 (1964)], p.44
[24] 간행물 Book-Keep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