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랴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랴트어는 1923년 소련이 몽골과의 민족 분리를 위해 몽골어의 방언을 공용어로 채택하면서 시작되었으나, 1958년 몽골과의 연계를 우려하여 부랴트어 교육이 금지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부흥 운동이 있었지만, 교원 부족과 러시아인 비율이 높아 쇠퇴했다. 현재 부랴트어는 러시아 부랴트 공화국의 공용어이나 유네스코 멸종 위기 언어로 지정되었으며, 초등학교에서 러시아어와 부랴트어 중 선택하여 교육받을 수 있다. 부랴트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SOV 어순과 8개의 격을 가진다.

2. 역사

1923년 소련은 몽골과의 민족 분리를 위해 부랴트-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을 수립하고 부랴트어를 공용어로 채택했다.[41] 그러나 1931년 소련 공산당은 사회주의적 내용과 민족적 형태를 갖춘 부랴트 문화를 건설하는 노선을 수립하면서, 라마교와 함께 몽골에서 유입된 구 몽골 문자를 "무식한 노동자를 억압하는 도구"로 규정하고, 범몽골 언어 창조 이론을 반혁명적인 것으로 간주했다.[28]

1930년대 초, 부랴트어의 국제화와 러시아어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용어 도입이 시작되었다.[28] 1936년에는 일본의 만주 침략에 맞춰 호린 방언으로 재지향하는 개혁이 이루어져 부랴트족을 몽골 세계로부터 고립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 1939년에는 부랴트어가 키릴 문자로 번역되었고,[29] 이는 언어 개혁 관련 부랴트 지식인 탄압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이들은 "범몽골주의와 라마교 용어로 부랴트어를 오염시켰다"는 혐의를 받았다.[30][31]

1938년부터 러시아어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필수 언어가 되면서 부랴트-러시아어 이중 언어 구사가 강화되었다. 1940년대에 소련은 구 몽골 문자로의 인쇄를 완전히 중단하고, 몽골어와 티베트어 단어들을 러시아어로 대량 교체했다.[32][33] 1958년에는 공화국 명칭에서 "몽골"이 삭제되고[41] 부랴트어 교육이 금지되었다.[42]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부흥 운동이 있었지만, 교원 부족과 러시아인 인구 증가로 인해 쇠퇴했다.[42]

2. 1. 소련의 부랴트어 정책

1931년 9월, 소련 공산당(볼셰비키) 중앙위원회는 사회주의적 내용과 민족적 형태를 갖춘 부랴트 문화 건설 노선을 수립했다. 구 몽골 문자가 라마교와 함께 몽골에서 부랴티야로 유입되었으며, 혁명 이전에는 "무식한 노동자를 억압하는 도구"로 여겨졌다. 범몽골 언어 창조 이론은 범몽골주의적이고 반혁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동부 부랴트어(주로 셀렝가) 방언을 기반으로 새로운 문학 언어를 편찬하는 임무가 부여되었다. 1930년대 초, 부랴트어의 국제화와 러시아어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용어의 적극적인 도입이 시작되었다.[28]

1936년, 만주에 대한 일본의 침략과 맞물려 호린 방언으로의 재지향이 이루어졌다. 이는 부랴트족을 나머지 몽골 세계로부터 고립시키려는 의도였다. 1939년, 부랴트어는 키릴 문자로 번역되었으며,[29] 이는 언어 개혁에 관여했던 부랴트 지식인에 대한 탄압과 함께 진행되었다. 이들은 "부랴트어를 범몽골주의와 라마교 용어로 오염시켰다"는 혐의 등을 받았다.[30][31]

1938년부터 러시아어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필수 언어로 도입되어 부랴트-러시아어 이중 언어 구사가 강화되었다. 1940년대에 소련은 구 몽골 언어로의 인쇄를 완전히 중단하고, 몽골어와 티베트어였던 단어들을 러시아어로 대량 교체했다.[32][33]

1923년 부랴트-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수립 당시, 소련은 몽골과의 민족 분리를 위해 부랴트어를 공용어로 채택했다.[41] 1958년에는 공화국 명칭에서 "몽골"이 삭제됨과 동시에[41] 부랴트어 교육이 금지되었다.[42]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부흥 운동이 있었지만, 교원 부족과 러시아인 비율 증가로 쇠퇴했다.[42] 공화국 정부는 초등학교 입학 단계에서 러시아어와 부랴트어 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41] 다나카 가쓰히코는 부랴트어의 학술 용어 부족을 쇠퇴 요인으로 지적한다.[41]

2. 2. 러시아화 정책

1931년 9월, 소련 공산당(볼셰비키) 중앙위원회는 사회주의적 내용과 민족적 형태를 갖춘 부랴트 문화를 건설하는 노선을 수립했다. 구 몽골 문자는 라마교와 함께 몽골에서 유입되었으며, 혁명 이전에는 "무식한 노동자를 억압하는 도구"로 간주되었다. 범몽골 언어 창조 이론은 범몽골주의적이고 반혁명적인 것으로 여겨졌다.[28]

1930년대 초, 부랴트어의 국제화와 러시아어 혁명적 마르크스주의 용어의 적극적인 도입이 시작되었다.[28] 1936년에는 호린 방언으로 재지향하는 개혁이 있었는데, 이는 만주에 대한 일본의 침략과 일치하며 부랴트족을 몽골 세계로부터 고립시키려는 의도였다. 1939년, 부랴트어는 키릴 문자로 번역되었으며,[29] 이는 언어 개혁에 관여했던 부랴트 지식인에 대한 탄압과 일치했다. 탄압받은 이들 중에는 "부랴트어를 범몽골주의와 라마교 용어로 오염시켰다"는 혐의를 받은 이들이 있었다.[30][31]

1938년부터 러시아어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필수 언어로 도입되어 부랴트-러시아어 이중 언어 구사가 강화되었다. 언어의 철자, 알파벳 및 문학 규범의 변화는 부랴트어의 위상을 낮추고 이 지역에서 러시아어의 지배를 강화했다. 1940년대에 소련은 구 몽골 언어로의 인쇄를 완전히 중단했다. 소위 "범몽골" 단어들은 러시아어로 대량 교체되었다.[32][33]

부랴트족은 부랴트 공화국의 원주민이지만, 오늘날 공화국 거주민의 대다수는 러시아인이다. 1989년 인구 조사에서는 러시아인이 70%, 부랴트인이 24%였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는 러시아인이 66.1%, 부랴트인이 30%였다.[34][35]

러시아 제국 시대부터 러시아 당국은 부랴트족의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파괴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민족 부랴트인이 거주하는 지역은 여러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36][37]

부랴트족을 서로 다른 행정 구역으로 분할한 이유 중 하나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범 몽골주의"와 "부랴트 민족주의"에 대한 투쟁이었다. 소련과 러시아 당국은 러시아인의 부랴트 공화국 정착, 몽골 문자의 키릴 문자 대체 등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했다. 현재 유네스코는 부랴트어를 멸종 위기 언어 적색 목록에 포함시켰다. 2010년 조사에 따르면 부랴트 공화국에서 부랴트어 사용자는 전체 인구의 13.4%에 불과하다. 부랴트 학교에서는 러시아어가 필수 과목인 반면, 부랴트어는 선택 과목이다.[38][39]

1923년 부랴트-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이 수립되자, 소련은 몽골과의 민족 분리를 위해 부랴트어를 공용어로 채택했다.[41] 1958년에는 공화국 명칭에서 "몽골"이 삭제되고,[41] 부랴트어 교육이 금지되었다.[42]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부흥 운동이 있었지만, 교원 부족과 러시아인이 많은 인구 구성으로 인해 쇠퇴했다.[42] 다나카 가쓰히코는 부랴트어의 학술 용어 부족을 쇠퇴 요인으로 지적한다.[41]

2. 3.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1958년 몽골과의 연계를 우려하여 공화국 명칭에서 "몽골"이 삭제됨과 동시에[41] 부랴트어 교육이 금지되었다.[42] 이후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에는 부흥 운동이 일어났지만, 교원 부족과 공화국 주민의 7할을 러시아인이 차지하고 있어 쇠퇴했다.[42] 공화국 정부는 초등학교 입학 단계에서 러시아어를 배울지 부랴트어를 배울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41] 교육 기회가 보장되어 있음에도 쇠퇴하는 요인으로 다나카 가쓰히코는 부랴트어의 학술 용어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41]

3. 지리적 분포

대부분의 부랴트어 사용자는 몽골 북부 국경을 따라 러시아에 거주한다. 러시아에서는 부랴트 공화국의 공용어이며, 과거 우스티오르다 부랴트 자치구와 아가 부랴트 자치구 자치구의 공용어였다.[4] 몽골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에도 최소 10만 명의 부랴트족이 거주하고 있다.[7]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445,175명의 민족 부랴트인 중 353,113명(72.3%)이 부랴트어를 구사한다고 답했다. 다른 15,694명도 부랴트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러시아계이다.[5] 2010년 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461,400명의 부랴트인이 러시아에 거주했다. 부랴트 공화국의 상주 인구는 약 972,000명으로, 여기에는 630,780명(66.1%)의 러시아인과 286,840명(30%)의 부랴트인이 포함되었다.[34][35]

부랴트족은 부랴트 공화국의 원주민이지만, 오늘날 공화국 거주민의 대다수는 러시아인이다. 러시아 제국 시대부터 러시아 당국은 부랴트족의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파괴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러시아에서, 민족 부랴트인이 거주하는 지역은 부랴트 공화국과 이르쿠츠크주의 우스트-오르딘 부랴트 구, 그리고 자바이칼 지방의 아긴스크 부랴트 구로 나뉘어 있다. 이러한 행정 구역 외에도 부랴트족은 이르쿠츠크주와 자바이칼 지방의 다른 인접 지역에서도 거주하고 있다.[36][37]

부랴트족을 서로 다른 행정 구역으로 인위적으로 분할한 이유 중 하나는 1920년대부터 시작된 소위 "범 몽골주의"와 "부랴트 민족주의"에 대한 투쟁이었다. 부랴트-몽골족의 몽골과의 문화적, 언어적, 역사적 유대를 끊기 위해 소련, 그리고 이후 러시아 당국은 러시아인의 부랴트 공화국 정착, 몽골 문자키릴 문자 대체 등 결정적인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했다. 현재 유네스코는 부랴트어를 멸종 위기 언어 적색 목록에 공식적으로 포함시켰다. 2010년 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랴트 공화국에서 130,500명이 부랴트어를 사용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13.4%에 불과하다. 현재 부랴트어 사용 영역을 줄이는 과정이 계속되고 있다. 부랴트 학교에서는 러시아어가 필수 과목인 반면, 부랴트어는 선택 과목이다. 부랴트어 간행물, TV 채널, 정기간행물 등이 부족하다.[38][39]

4. 방언

부랴트어의 방언은 인접 언어인 몽골어 및 캄니간 몽골어와의 관계에 따라 주로 구분된다. 캄니간 몽골어는 부랴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이는 동음이의어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쏭골 방언과 사르툴 방언도 마찬가지이며, 역사적으로 할하 몽골어에 더 가깝다.


  • 바이칼 호 동쪽의 호리 방언군은 호리, 아가, 투그누이, 북부 셀렌가 방언을 포함한다. 호리 방언은 몽골의 부랴트족 대부분과 후룬베이르의 일부 화자들도 사용한다.
  • 하부 우다(니즈네우딘스크) 방언은 가장 서쪽에 위치하며, 튀르크어족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 알라르-툰카 방언군은 바이칼 호 남서부에 위치하며 알라르, 툰카-오카, 자캄나, 웅가를 포함한다. 툰카는 몽골까지 이어진다.
  • 에키리트-불라가트 방언군은 우스트-오르다 민족 구에 위치하며 에키리트-불라가트, 보칸, 올혼, 바르구진, 바이칼-쿠다라를 포함한다.
  • 후룬베이르(역사적으로 바르가로 알려짐)의 바르구트 방언군은 구 바르구트와 신 바르구트를 포함한다.

4. 1. 러시아 부랴트어

차용 어휘를 기반으로 러시아 부랴트어, 몽골 부랴트어, 내몽골 부랴트어 간의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어의 영향은 전통적으로 바이칼 호수 서쪽에서 사용되는 방언에서 훨씬 강하므로, 호리 방언군과 바르구트 방언군, 그리고 나머지 세 방언군으로 구분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1] 러시아 부랴트어는 219,000명이 사용한다.[1]

방언세부 방언
바르구진 (bxr-bar)바르구진
오카 (bxr-oka)오카
닌즈네-우딘스크 (bxr-nin)니즈네우딘스크
보한 (bxr-boh)보한
알라 (bxr-ala)알라
불라가트 (bxr-bul)불라가트
툰카 (bxr-tun)툰카
웅가 (bxr-ung)웅가
에키리트 (bxr-ekh)에키리트


4. 2. 몽골 부랴트어

할하 몽골어에 더 가까운 쏭골 방언과 사르툴 방언과 같이, 몽골 부랴트어는 몽골의 부랴트족 대부분과 후룬베이르의 일부 화자들이 사용하는 호리 방언을 포함한다.[1] 몽골 부랴트어의 방언은 다음과 같다.[1]

방언세부 방언
호리 방언군호리, 아가



몽골 부랴트어(【bxm】) 화자는 45,100명이다.[1]

방언
호리 (bxm-kho)
아가 (bxm-aga)


4. 3. 중국 부랴트어

차용 어휘를 기준으로 러시아 부랴트어, 몽골 부랴트어, 내몽골 부랴트어를 구분할 수 있다. 중국 부랴트어는 65,000명이 사용하며, 다음과 같이 나뉜다.[1]

방언비고
바르구 (Bargu)구 바르구트와 신 바르구트를 포함한다.
아가 (Aga)
호리 (Khori)후룬베이르의 일부 화자들도 사용한다.


4. 4. 그 외 방언

부랴트어의 방언은 주로 인접 언어인 몽골어와 캄니간 몽골어와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캄니간 몽골어는 때때로 부랴트어의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이는 동음이의어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 쏭골 방언과 사르툴 방언도 마찬가지이며, 역사적으로 할하 몽골어에 더 가깝다.

  • 바이칼 호 동쪽에 위치한 호리 방언군은 호리, 아가, 투그누이, 북부 셀렌가 방언을 포함한다. 호리 방언은 몽골의 대부분의 부랴트족과 후룬베이르의 몇몇 화자들도 사용한다.
  • 하부 우다(니즈네우딘스크) 방언은 가장 서쪽에 위치한 방언으로, 튀르크어족의 영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 알라르-툰카 방언군은 바이칼 호 남서부에 위치하며 알라르, 툰카-오카, 자캄나, 웅가를 포함한다. 툰카는 몽골까지 이어진다.
  • 에키리트-불라가트 방언군은 우스트-오르다 민족 구에 위치하며 에키리트-불라가트, 보칸, 올혼, 바르구진, 바이칼-쿠다라를 포함한다.
  • 후룬베이르(역사적으로 바르가로 알려짐)의 바르구트 방언군은 구 바르구트와 신 바르구트를 포함한다.


차용 어휘를 기반으로 러시아 부랴트어, 몽골 부랴트어, 내몽골 부랴트어 간의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어의 영향은 전통적으로 바이칼 호수 서쪽에서 사용되는 방언에서 훨씬 강하므로, 호리 방언군과 바르구트 방언군, 그리고 나머지 세 방언군으로 구분하는 것이 더 타당할 수 있다.

방언
중국 부랴트어[1] (65,000명)
몽골 부랴트어[1] (45,100명)
러시아 부랴트어[1] (219,000명)


5. 음운

부랴트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А а, Б б, В в, Г г, Д д, Е е, Ё ё, Ж ж, З з, И и, Й й, К к, Л л, М м, Н н, О о, Ө ө, П п, Р р, С с, Т т, У у, Y ү, Ф ф, Х х, Һ h, Ц ц, Ч ч, Ш ш, Щ щ, ъ, ы, ь, Э э, Ю ю, Я я

부랴트어는 모음 음소 [11]자음 음소 (각각에 대응하는 구개음화 포함) 및 [12][13]를 가지고 있다. 이 모음들은 모음 조화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 제한된다.[14] 기본 음절 구조는 정확한 발음에서는 (C)V(C)이지만, 더 빠른 발음에서는 비초성 음절의 단모음이 생략되어 단어 종결 CC 자음군이 발생할 수 있다.[15]

5. 1. 모음

부랴트어는 의 모음 음소를 가지며(몇몇 이중 모음 포함)[11], 이 모음들은 모음 조화에 따라 발생이 제한된다.[14]

전설중설후설
i iː
‹и ии›
ʉ ʉː
‹ү үү›
u uː
‹у уу›

‹ээ›
(ə)ɤ ‹э›
‹өө›
ɔ ɔː
‹о оо›
a aː
‹а аа›



다른 장모음 소리들은 이중 모음으로 표기되는데, 예를 들어 ай|ajbua, ой|ojbua, үй|yjbua는 각각 [ɛː œː yː]로 들린다. 또한 эй|ejbua도 ээ|eebua와 동음이의어로 발음된다.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에서 와 는 로 변하고, 강세를 받지 않는 는 로 변한다. 이러한 소리들은 빠른 발음에서는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16]

5. 2. 자음

부랴트어는 의 자음 음소(각각에 대응하는 구개음화)와 를 가지고 있다.[12][13]

colspan="2" rowspan="2" |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평음구개음화
파열음유기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비음()
설측음
R-음
접근음colspan="2" |



유성 파열음은 첫 번째 음절에서 음절 말에 반유성음화된다( , ). 하지만 두 번째 음절부터는 완전히 무성음화된다( , ).[17] 연구개 파열음은 후설 모음 조화를 포함하는 단어에서 "후연구개음화"된다( , ). 그러나 , 에서는 그렇지 않다. 또한, 는 후설 모음 사이에서 가 된다( ).[18] 음소 은 연구개 자음 앞에서 이 되며, 단어의 마지막에서는 앞선 모음의 비음화를 유발할 수 있다( ). 아가 방언에서는 와 가 각각 비전동음 와 로 발음된다. 차용어에서는 가 종종 단순한 로 대체되었다.[19] 은 무성 자음 앞에서 로 무성음화된다.[20]

5. 3. 강세

어휘 강세(단어 강세)는 마지막 무거운 비종결 음절에 위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어 종결 무거운 음절에 위치한다. 무거운 음절이 없으면, 첫 음절에 강세가 온다. 주요 강세가 없는 무거운 음절은 이차 강세를 받는다.[21]

강세 패턴IPA의미
ˌHˈHL"격려하다"
LˌHˈHL"잎으로 덮게 하다"
ˌHLˌHˈHL"찐만두 (대격)"
ˌHˈHLLL"적응하다"
ˈHˌH"내기"
HˌH"바다로"
HLˌH"남편의 부모에게"
LˌHˈHˌH"자신의 바다로"
ˌHLˈHˌH"자신의 소녀에 의해"
LˈH"산을 통과하여"
ˈLL"산"[22]



이차 강세는 또한 주요 강세가 없는 단어 처음의 가벼운 음절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강세 패턴은 할하 몽골어와 같다.[21]

6. 문자

부랴트어는 키릴 문자를 차용해 사용한다. 사용되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
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
에르에스에프
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Ф ф
Х хҺ һ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러시아 연방의 부랴트 공화국에서는 20세기 전반 이후 러시아어키릴 문자에 세 글자(Ү ү, Ө ө, Һ һ)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6. 1. 문자 변천사

부랴트어는 18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어 왔으며, 문자의 기반을 세 번 변경했다. 처음에는 몽골 문자를 사용했고, 1930년에는 라틴 문자, 1939년에는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26] 17세기 말부터 고전 몽골어가 종교 및 사무에 사용되었고, 19세기까지의 언어는 옛 부랴트 문어라고 불린다.

1905년, 아그반 도르지예프는 몽골 문자를 바탕으로 ''바긴드라 문자''를 개발하여 1910년까지 12권 이상의 책을 인쇄했으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아그반 도르지예프의 알파벳


1926년 소련에서 부랴트어 라틴 문자 표기법 개발이 시작되어 1929년에 초안이 만들어졌으나 승인되지 않았다. 1930년 2월, 새로운 라틴 문자 표기법이 승인되었지만, 1931년 1월에 수정된 버전이 공식 채택되었다.

;부랴트어 라틴 알파벳 (1931–39)

에프
A aB bC cÇ çD dE eF fG g
H hI iJ jK kL lM mN nO o
에르에스
Ө өP pR rS sŞ şT tU uV v
엑스
X x[25]Y yZ zƵ ƶь[25]



1939년, 라틴 문자는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고, 세 개의 특수 문자('''Ү ү, Ө ө, Һ һ''')가 추가되었다.[26]

;1939년 이후의 현대 부랴트 키릴 문자

А аБ бВ вГ гД дЕ еЁ ёЖ ж
З зИ и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
에르에스에프
Ө өП пР рС сТ тУ уҮ үФ ф
Х хҺ һ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
Ь ьЭ эЮ юЯ я



1936년, 울란우데에서 열린 언어학 회의에서 호린 동부 방언이 문학 언어의 기초로 선택되었다.

부랴트 문자[26]
키릴 문자
(1939년경)
라틴 문자
(1930–1939)
라틴 문자
(1910)
몽골 문자
А аA aA a
Б бB bB b
В вV v-
Г гG gG g
Д дD dD d
Е е---
Ё ё---
Ж жƵ ƶJ j
З зZ zZ z-
И иI iI i
Й йJ jY y
К кK k-
Л лL lL l
М мM mM m
Н нN nN n,
О оO oO o
Ө өӨ өEo eo
П пP pP p
Р рR rR r
С сS sC c
Т тT tT t
У уU uU u
Ү үY yEu eu
Ф фF f--
Х хH h, K kH h
Һ һX xX x
Ц цC cC c-
Ч чÇ ç-
Ш шŞ şS s
Щ щ---
Ъ ъ---
Ы ыЬ ь--
Ь ь---
Э эE eE e
Ю ю---
Я я---



신문 제목 부랴드 으넨을 통해 부랴트어 문자의 변천사를 확인할 수 있다.

7. 문법

부랴트어는 SOV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며, 후치사만을 사용한다. 부랴트어는 8개의 격을 갖추고 있다: 주격, 대격, 속격, 도구격, 탈격, 동격, 여격-처격 그리고 어간의 특수한 경사형이 있다.[27]

8. 수사

영어고전 몽골어몽골어(할하)부랴트어
로마자키릴 문자
1하나нэгэнbua
2хоёрbua
3гурбанbua
4дүрбэнbua
5다섯табанbua
6여섯зургаанbua
7일곱долоонbua
8여덟найманbua
9아홉юһэнbua
10арбанbua


9. 어휘

Черемисов К.М.ru의 부랴트어-러시아어 사전(1973)을 참고할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Buriat https://glottolog.or[...]
[2]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3] 문서 Монгольские языки и диалекты Китая Moscow
[4] 문서
[5] 문서 Russian Census (2002)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Очерки из истории западных бурят-монголов
[24] 서적 Вопросы повышения бурят-монгольской языковой культуры Изд-во ЦК НТА 1929
[25] 문서 Letter established in 1937
[26] 웹사이트 Buryat romanization http://www.eki.ee/kn[...] Institute of the Estonian Language 2012-09-26
[27]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Buriat Language http://www.transpare[...] Transparent Language 2011-11-04
[28] 웹사이트 Языковая ситуация в Республике Бурятия https://cyberleninka[...]
[29]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About the Buryat Language https://www.networkl[...]
[30] 웹사이트 "В Кремле не хотят, чтобы мы осознали свое единство" https://www.sibreal.[...] 2018-04-23
[31] 웹사이트 Живая речь в Бурятии: к проблеме изучения (соци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й обзор) https://cyberleninka[...]
[32] 웹사이트 "Языковое строительство" в бурят-монгольской АССР в 1920-1930-е годы https://cyberleninka[...]
[33] 웹사이트 Chronology for Buryat in Russia https://www.refworld[...]
[34] 뉴스 Information about the Buryat Language https://scalar.usc.e[...]
[35] 웹사이트 Этническая идентичность и языковое сознание носителей бурятского языка: социо- и психолингвистические исследования https://cyberleninka[...]
[36] 논문 The All-Buryat Congress for the Spiritual Rebirth and Consolidation of the Nation: Siberian politics in the final year of the USSR https://journals.sag[...] 2020
[37] 웹사이트 "В Кремле не хотят, чтобы мы осознали свое единство" https://www.sibreal.[...] 2018-04-23
[38] 웹사이트 Языковая ситуация в Республике Бурятия https://cyberleninka[...]
[39] 웹사이트 Бурятский язык в глобальной языковой системе https://cyberleninka[...]
[40] 웹사이트 Ethnologue.com: Altaic http://www.ethnologu[...]
[41] 뉴스 【国境と民】ロシア・ブリヤート共和国から考える 2004-01-15
[42] 뉴스 ロシア・ブリヤート共和国:「チンギス・ハンの子孫」も生活変化 伝統の継承困難 200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