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권박탈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권박탈법은 범죄자의 시민권을 박탈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법으로,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국에서는 반역죄나 중죄를 범한 자에게 적용되었으며, 의회의 법률 제정을 통해 사형 외의 처벌을 부과하기도 했다. 미국 헌법은 연방 및 주 차원에서 사권박탈법 제정을 금지하여 삼권분립을 강화하고 적법절차를 보장하며, 대법원은 이 조항에 따라 여러 법률을 무효화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연방 의회의 사권박탈법 제정을 허용하지 않으며, 주 의회는 사법권 행사에 해당하는 법률 제정을 제한받는다. 사권박탈법은 테리 시아보 사건, AIG 임원 보너스 몰수, ACORN 자금 지원 금지, 저작권 관련 소송 등 다양한 현대적 사례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권박탈법 | |
|---|---|
| 개요 | |
| 종류 | 입법 |
| 설명 |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유죄 선고 |
| 다른 이름 | 사권 박탈 법안, 시민 박탈 법안 |
| 금지 국가 | 미국, 인도, 기타 여러 국가 |
| 관련 용어 | 사권 회복 법안 |
| 설명 | 의회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재판 없이 유죄로 선고하는 법률. |
| 역사적 맥락 | |
| 기원 | 영국 |
| 목적 | 정치적 반대자나 위협 제거 |
| 주요 특징 | 재판 없는 유죄 판결, 처벌 수반 |
| 처벌 종류 | 사형, 재산 몰수, 시민권 박탈 |
| 역사적 사례 | 토머스 크롬웰 아일랜드 반역자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왕당파 |
| 미국에서의 사권 박탈 법안 | |
| 헌법적 금지 | 미국 헌법 제1조 9항 및 10항 |
| 목적 | 권력 남용 방지, 개인 권리 보호 |
| 주요 법적 판례 | United States v. Brown (1965) Nixon v. Administrator of General Services (1977) |
| 제한 사항 | 과거 행위에 대한 처벌 법률 금지 |
| 논란 | 법 집행 및 국가 안보 관련 논쟁 |
| 현대적 함의 | |
| 잠재적 위험 | 정치적 악용 및 개인 권리 침해 가능성 |
| 법치주의 중요성 | 공정한 재판 및 적법 절차 준수 필요 |
| 관련 법률 | 사권 회복 법안 (Attainder of blood) |
| 추가 설명 | 사권 박탈 법안은 개인의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으므로 엄격한 제한 필요 |
| 같이 보기 | |
| 관련 법률 및 원칙 | 적법 절차 인신 보호 영장 권리 장전 사권 회복 법안 |
| 참고 문헌 | |
| 추가 정보 | Justia 법률: 사권 박탈 법안 및 사후법 미국 수정 헌법 주석: 미국 헌법: 분석 및 해석 |
2. 역사적 배경
사권박탈법(Bill of Attaindereng)은 입법부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지목하여 별도의 사법 절차 없이 처벌하는 법률을 의미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특정 인물의 재산을 몰수하거나 시민권을 박탈하고, 심지어 사형을 선고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입법 행위는 삼권 분립의 원칙을 훼손하고, 적법 절차를 보장하지 않으며, 때로는 소급 처벌(ex post facto law)의 성격을 띠어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할 위험이 크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현대의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헌법 등을 통해 사권박탈법의 제정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이 법의 구체적인 역사와 각국의 적용 사례는 아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영국
사권박탈법(Attainder)은 영국의 관습법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영국 법에 따르면, 반역죄나 중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사권이 박탈된" 상태로 선언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인물의 시민권이 무효화됨을 의미하며, 재산을 소유하거나 상속할 권리를 잃게 된다. 그 결과, 재산은 국왕이나 중간 영주에게 귀속되었고, 모든 귀족 작위 역시 국왕에게 돌아갔다.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대개 사형에 처해졌으며, 사형 집행 후 남은 재산은 가족에게 상속되지 않고 몰수되었다. 사권박탈법은 봉건적 특권과 그에 따른 모든 권리 및 재산을 철회하는 기능을 했다.법원의 강제적 판결은 범죄자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유죄를 인정하거나 배심원단에 의해 유죄 판결을 받고 처형된 사람, 그리고 법망을 피해 도망쳐 불법화된 사람의 재산은 몰수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재판 전에 사망했거나, 변론을 거부하고 ''페인 포르테 에 뒤르''(peine forte et dure, 강압 고문)를 받다 사망한 사람의 재산은 몰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단, 범죄 중 살해된 경우는 예외).
때때로 사권박탈에 따른 몰수와 "피의 부패"(corruption of blood, 상속권 박탈)는 남은 가족에게 지나치게 가혹하게 여겨졌다. 이 때문에 국왕이 유죄 판결을 받은 귀족의 토지와 작위를 상속인에게 다시 부여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사권박탈법 자체가 번복되기도 했다. 이는 당사자가 처형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지기도 했다.
법원의 강제적 판결과 달리, 의회가 제정하는 법률은 특정 상황에 맞춰 처벌 수위를 조절할 상당한 재량을 제공했다. 의회는 법원 절차 없이 사형 외의 처벌을 부과할 수도 있었는데, 이러한 법안을 고통과 처벌 법안(Bills of Pains and Penalties)이라고 불렀다.
사권박탈법은 국왕이 재판의 번거로움 없이, 심지어 유죄 판결이나 명확한 증거 없이도 신하를 유죄로 선언하고 재산을 몰수하는 편리한 수단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이는 모든 토지와 작위가 "명예의 근원"(fount of honour)으로서 국왕에게서 비롯된다는 중세적 관념과 관련이 있었다. 즉, 국왕이 부여한 것은 국왕이 회수할 수 있다는 논리였다. 이러한 관행은 개인의 권리가 법적으로 확립되면서 점차 약화되었다.
사권박탈법이 처음 사용된 사례는 1321년 윈체스터 백작 휴 르 데스펜서 경과 그의 아들 글로스터 백작 휴 데스펜서 더 영거에게 적용된 것이다. 이들은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2세가 여왕 및 남작들과의 갈등에서 왕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사권이 박탈되었다.
| 연도 | 인물 | 비고 |
|---|---|---|
| 1321 | 윈체스터 백작 휴 르 데스펜서 경, 글로스터 백작 휴 데스펜서 더 영거 | 최초 사용 사례 |
| 1478 | 클라렌스 공작 조지 플랜태저넷 | 장미 전쟁 관련 |
| 1485 | 잉글랜드 왕 리처드 3세 | 보즈워스 전투 이후 잉글랜드 왕 헨리 7세에 의해 사후 적용[26] ("유아의 피를 흘린" 죄목 포함)[27] |
| 1540 | 토머스 크롬웰 | 헨리 8세 치하 |
| 1540 | 솔즈베리 백작부인 마거릿 폴 | 헨리 8세 치하 |
| 1542 | 캐서린 하워드 | 헨리 8세의 왕비, 이 사건 이후 국왕의 재가 위임 시작 |
| 1549 | 토머스 시모어, 서들리 남작 | 에드워드 6세 치하 |
| 1641 | 스트래퍼드 백작 토머스 웬트워스 | 잉글랜드 내전 직전 |
| 1645 | 캔터베리 대주교 윌리엄 로드 | 잉글랜드 내전 중 |
| 1660 | 존 브래드쇼 (판사), 올리버 크롬웰, 헨리 아이턴, 토머스 프라이드 | 왕정복고 후 찰스 1세 처형 관련자로 사후 적용[28][29][30] (시신 부관참시) |
| 1685 | 먼머스 공작 제임스 스콧 | 먼머스 반란 실패 후 잉글랜드 왕 제임스 2세에 의해 즉결 처형됨 |
| 1753 | 로키엘의 아치볼드 캐머런 | 자코바이트 지도자, 7년 전 법안 소급 적용으로 처형 |
| 1798 |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경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주도 혐의, 마지막 사용 사례 |
왕정복고 이후 1660년, 이미 사망한 찰스 1세 처형 관련자들(존 브래드쇼 (판사), 올리버 크롬웰, 헨리 아이턴, 토머스 프라이드)에게 1649년 1월 1일로 소급 적용되는 사권박탈법이 통과되었다.[28][29][30] 이 법안은 위원회 심의를 거쳐 상원과 영국 하원을 모두 통과하여 1660년 12월 4일에 정식으로 통과되었다. 같은 날 양원은 다음과 같은 결의안을 채택했다:
"올리버 크롬웰, 헨리 아이턴, 존 브래드쇼, 토머스 프라이드의 시신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든 다른 곳에 묻혔든, 즉시 꺼내어 썰매에 실어 타이번으로 끌고 가서 널빤지에 매달아 잠시 동안 놓아두도록 한다. 그 후 사형대 아래에 묻는다. 하원 경호관 제임스 노포크 경은 이 명령이 효과적으로 집행되도록 한다."
1685년, 먼머스 공작 제임스 스콧이 삼촌인 잉글랜드 왕 제임스 2세에 맞서 먼머스 반란을 일으키자 의회는 그에 대한 사권박탈법을 통과시켰다. 세지무어 전투에서 패배하고 체포된 먼머스 공작은 이 법에 따라 재판 없이 즉결 처형되었는데, 이는 법적으로는 가능했으나 당시 많은 이들에게 자의적이고 무자비한 조치로 비춰졌다.
1753년에는 자코바이트 지도자 로키엘의 아치볼드 캐머런이 스코틀랜드에서의 활동으로 재판받는 대신, 7년 전에 통과된 사권박탈법을 근거로 처형되었다. 이는 자코바이트에 비판적인 이들 사이에서도 논란을 일으켰다.
사권박탈법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것은 1798년 에드워드 피츠제럴드 경이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을 주도한 혐의로 기소되었을 때이다.
한편, 1688년 명예 혁명으로 축출된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7세)가 왕위 탈환을 위해 아일랜드로 오자, 그를 지지하는 아일랜드 의회는 1689년 제임스 2세에게 불충한 인물들(약 2,000~3,000명)의 명단을 작성하여 사권박탈법을 통과시켰다. 명단에 오른 이들은 형을 받기 위해 더블린으로 소환되었다. 당시 바스티유 감옥에 갇혀 있던 마운트조이 경은 감옥에서 탈출하여 아일랜드로 돌아오지 않으면 능지처참에 처해질 것이라는 통보를 받기도 했다.[31] 이 의회는 훗날 "애국자 의회"(Patriot Parliament)로 불리게 된다.
이후 애국자 의회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1690년대 윌리엄 3세 치하의 "윌리엄 정착과 몰수"(Williamite Settlement and Confiscation) 과정에서 훨씬 더 많은 수의 자코바이트 용의자들이 사권 박탈되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32]
2. 2. 미국

사권 박탈법은 18세기 내내 영국에서 사용되었으며, 영국 식민지에도 적용되었다. 뉴욕은 1779년 사권 박탈법을 사용하여 영국 왕당파(토리스)의 재산을 몰수했는데, 이는 정치적 동조에 대한 처벌이자 반란 자금 조달의 수단이었다. 미국은 영국의 사권 박탈법 적용 방식에 불만을 품었고, 그 결과 1787년 비준된 미국 헌법에서 사권 박탈법 제정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게 되었다.
미국 헌법은 입법부의 사권박탈법 제정을 금지한다. 연방법 차원에서는 제1조 9항 3절("사권박탈법 또는 소급입법을 제정할 수 없다")에서, 주법 차원에서는 제1조 10항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사권박탈법이 주법에서도 금지되었다는 사실은 헌법 제정자들이 이 문제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를 보여준다.
미국 헌법 내 사권박탈법 금지 조항은 두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진다. 첫째, 입법부가 사법부나 행정부의 고유 기능을 침해하는 것을 막아 삼권 분립 원칙을 강화한다. 사권박탈법은 본질적으로 입법부가 사법적 판단을 내리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둘째, 이는 적법 절차의 원칙을 구현하며, 이는 이후 수정 제5조를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모든 주 헌법 역시 명시적으로 사권박탈법을 금지하고 있다.[38][39] 예를 들어, 위스콘신 헌법 제1조 12항은 "사권박탈법, 소급 입법, 또는 계약의 의무를 저해하는 어떠한 법률도 통과될 수 없으며, 어떠한 유죄 판결도 혈통의 부패 또는 재산 몰수를 초래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반면, 텍사스 헌법은 상속인에게 적용되는 조항을 생략했다.[40] 따라서 텍사스에서 상속인의 재산을 박탈하는 법률이 합헌적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1]
미국 연방 대법원은 역사상 5차례에 걸쳐 사권 박탈 조항을 근거로 특정 법률의 효력을 무효화했다.[42]
사권 박탈 조항의 의미에 대한 대법원의 초기 주요 판결 두 건은 미국 남북 전쟁 이후에 나왔다.
- ''Ex parte Garland'' (1866): 연방 법원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려는 이들에게 남부 연합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서약을 요구하는 연방법을 폐지했다.
- ''Cummings v. Missouri'' (1867): 미주리주에서 전문 면허를 받으려는 모든 이에게 유사한 서약을 요구한 주 헌법 조항을 무효화했다.
두 사건 모두에서 대법원은 이미 자격을 갖춘 사람들에게 사법적 심리 없이 처벌(자격 박탈)을 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판단했으며, 특히 사법 심리의 부재가 헌법 정신에 어긋난다고 강조했다.[43][44]
그러나 20년 후, 대법원은 유사해 보이는 법률들을 합헌으로 인정했다.
- ''Hawker v. New York'' (1898):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의 의사 활동을 금지한 주법을 지지했다.
- ''Dent v. West Virginia'' (1889): 의사 면허 유지를 위해 공인된 의과 대학 졸업이라는 새로운 요건을 부과한 웨스트 버지니아주 법을 지지했다.
대법원은 이 법률들이 개인의 자격 요건에 초점을 맞춰 좁게 규정되었기 때문에 합헌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Garland''나 ''Cummings'' 사건의 광범위한 서약 요구와는 다르다고 판단했다.[45][46]
1946년 ''United States v. Lovett'' 사건에서 대법원은 사권 박탈 여부 심사 기준을 구체화했다. 이 사건은 특정 세 명의 공무원을 전복 분자로 지목하고 연방 고용에서 배제하는 연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대법원은 사권박탈법의 요건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했다: 1) 처벌받을 사람(들)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2) 처벌을 부과하며, 3) 사법적 심리 없이 이를 집행하는 것.[47][48] ''Lovett'' 사건의 법률은 이 세 요건을 모두 충족했으므로 위헌으로 판결되었다.
1947년 제정된 태프트-하트리 법은 노동 조합 지도자들에게 자신이 미국 공산당원이 아니며, 과거에도 아니었고, 정부의 폭력적 전복을 옹호하지 않는다는 서약을 요구했다. 이는 공산주의 계열 노조의 파업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American Communications Association v. Douds'' (1950)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 서약 요건이 사권박탈법이 아니라고 판결했다. 그 이유는 1) 누구든 공산당과의 관계를 부인함으로써 처벌을 피할 수 있었고('탈출 조항'), 2) 법의 초점이 과거 행위가 아닌 미래의 잠재적 행위(정부 전복) 방지에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49] 당시의 냉전 분위기를 반영하여, 법원은 공산주의의 위협을 언급하며 법률의 정당성을 일부 인정했다.[50]
그러나 ''United States v. Brown'' (1965) 사건에서 대법원은 태프트-하트리 법의 다른 조항, 즉 과거 공산당원이었던 사람이 노조 간부로 활동하는 것을 금지한 부분을 위헌으로 판결했다. 이 조항은 명백히 과거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처벌 대상을 특정 집단으로 명시했기 때문이다.[51] 많은 법학자들은 ''Brown'' 판결이 명시적으로는 아니지만 사실상 ''Douds'' 판결의 논리를 뒤집은 것으로 해석한다.[52][53]
''Nixon v. Administrator of General Services'' (1977) 사건은 사권 박탈 심사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주었다.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의회는 대통령 기록 및 자료 보존법을 제정하여 총무청이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의 기록물을 압수하여 보존하고 공개하도록 했다.[54] 닉슨은 이 법이 자신만을 대상으로 한 사권박탈법이라고 주장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합헌으로 인정했다. 대법원은 특정인(또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는 사실만으로는 위헌이 아니며, 그 대상 지정이 합리적인 입법 목적과 관련이 있다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대통령은 '단일 클래스'로 간주될 수 있음).[55] 또한, 법원은 처벌의 강도를 판단할 때 역사적으로 사권박탈법으로 간주되었던 유형의 처벌인지, 그리고 다른 비처벌적 목적 달성을 위한 합리적 수단인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닉슨의 경우 기록물 손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졌다는 점도 처벌의 강도를 완화하는 요소로 고려되었다.[56][57] 마지막으로, 입법의 주된 목적이 처벌이 아니라 합법적인 공익 추구에 있다면, 부수적으로 처벌적 효과가 발생하더라도 사권박탈법으로 보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58]
대법원까지 가지 않았거나 아직 계류 중이지만 하급 법원에서 다루어진 사권 박탈 관련 사례들도 있다.
- 1990년 엑손 발데스호 기름 유출 사고 이후 제정된 1990년 석유 오염법에 대해 엑손모빌의 해운 부서가 사권 박탈법이라며 이의를 제기했다.[59][60]
- 2003년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은 엘리자베스 모건법을 사권 박탈법으로 판단하여 폐지했다.[61]
- 2009년 말, 미국 하원이 지역 사회 조직인 개혁을 위한 지역 사회 조직 협회(ACORN)에 대한 연방 기금 지원을 금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자, ACORN은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62] 이후 더 광범위한 ACORN 기금 삭감법이 제정되었고, 2010년 3월 연방 지방 법원은 이 기금 지원 금지가 위헌적인 사권 박탈법이라고 판결했다.[63] 그러나 2010년 8월, 미국 제2 순회 법원은 ACORN의 전체 자금 중 연방 기금 비율이 약 10%에 불과하여 이것이 헌법에서 금지하는 '처벌'에 해당할 만큼 중대하지 않다는 이유로 원심 판결을 뒤집고 사건을 환송했다.[64][65]
2. 3.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특정 개인을 대상으로 사법적 처벌을 가하려는 사권 박탈 법안을 통과시키려는 시도가 두 차례 있었다. 1984년 클리포드 올슨 사건과 1995년 카를라 호몰카 사건에서 법안 통과를 시도했으나, 각각 하원과 상원의 의장은 캐나다의 의회 관행상 사권 박탈 법안 또는 징벌 법안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23][24]3. 법적 문제점
사권박탈법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입법부가 사법 절차 없이 처벌을 가하는 법률로, 현대 법치국가에서는 심각한 법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입법부가 사법부의 역할을 침해하여 삼권 분립 원칙에 위배된다는 점과, 법에 따른 정당한 재판 없이 처벌을 가하여 적법 절차의 원칙을 위반한다는 점이 있다. 특히 미국 헌법은 제1조 9항과 10항에서 연방 정부와 주 정부 모두 사권박탈법 또는 소급 처벌법(ex post facto law) 제정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36][37] 이는 사권박탈법이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법치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는 헌법 제정자들의 깊은 우려를 반영한다.
3. 1. 삼권분립 위반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특히 영국에서는 '사법 법안'(private bill)이라는 용어가 유사한 개념을 포괄하는데, 이는 통과되면 사법 법(private act)이 되는 법안을 의미한다. 다만, '사법 법안'은 특정 개인에게 적용되는 법률 제안을 지칭하는 보다 일반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법안이 처벌을 가하는 경우에만 사권박탈법(bill of attainder)에 해당한다. 사법 법안은 일부 영연방 국가에서 이혼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33]사법 법안의 다른 전통적인 용도로는 특허 회사 설립, 기존 회사의 헌장 변경, 독점권 부여, 공공 기반 시설 승인 및 관련 재산 몰수, 공유지 구획 및 유사한 재산 재분배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사법 법안 역시 특정 개인의 사유 재산과 권리를 박탈하지만, 일반적으로 '고통과 처벌 법안'(bill of pains and penalties)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고통과 처벌 법안'과 달리, 보상을 전제로 하는 재산 수용 법안은 공용 수용(강제 매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헌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
영국에서 '고통과 처벌 법안'으로 불린 마지막 사례는 1820년 고통과 처벌 법안으로, 1820년 귀족원에서 통과되었으나 하원에서는 심의되지 않았다. 이 법안은 캐롤라인 왕비의 간통 혐의를 근거로 조지 4세 국왕과의 이혼을 강제하고 왕비의 칭호와 재산을 조정하려는 목적이었는데, 이는 개인 간의 이혼을 다루는 다른 사법 법안들과 성격이 유사했다.
1820년 이후 영국에서는 사권박탈법이 통과된 사례가 없다.[34] 법원의 유죄 판결에 따른 법적 결과로서의 사권박탈은 존재했으나, 이 역시 1870년에 처벌의 일부로서 폐지되었다.[35]
3. 2. 적법 절차 위반
미국 헌법은 입법부가 사권박탈법을 만드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한다. 연방 정부에 대해서는 제1조 9항 3절("사권박탈법 또는 소급입법을 제정할 수 없다")에서, 주 정부에 대해서는 제1조 10항에서 이를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주법에서도 사권박탈법을 금지한 것은 헌법 제정자들이 이 문제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준다.
미국 헌법에서 사권박탈법 금지 조항은 두 가지 중요한 목적을 가진다. 첫째, 입법부가 사법부나 행정부의 고유 권한인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처벌을 직접 결정하는 것을 막아 삼권 분립 원칙을 강화한다. 사권박탈법은 본질적으로 입법부가 사법적 판단을 내리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둘째, 이는 적법 절차의 원칙을 구현한다. 즉, 모든 사람은 법에 따른 정당한 절차 없이는 처벌받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으로, 이는 이후 수정 제5조를 통해 더욱 명확히 보장된다.
모든 주 헌법 역시 사권박탈법을 명시적으로 금지한다.[38][39] 예를 들어, 위스콘신 헌법 제1조 12항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 사권박탈법, 소급 입법, 또는 계약의 의무를 저해하는 어떠한 법률도 통과될 수 없으며, 어떠한 유죄 판결도 혈통의 부패 또는 재산 몰수를 초래할 수 없다.
반면, 텍사스 헌법은 상속인에게 불이익이 돌아가는 것을 막는 조항(혈통의 부패 금지)을 포함하지 않았다.[40] 따라서 텍사스에서 상속인의 재산을 박탈하는 법률이 합헌적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1]
미국 연방 대법원은 역사상 다섯 차례에 걸쳐 사권 박탈 조항을 근거로 법률의 효력을 무효화했다.[42]
사권 박탈 조항의 의미에 대한 대법원의 초기 주요 판결 두 건은 미국 남북 전쟁 직후에 나왔다.
- ''Ex parte Garland'' (1866):[43] 연방 법원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려는 사람들에게 과거 남부 연합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서약을 요구하는 연방법을 위헌으로 판결했다.
- ''Cummings v. Missouri'' (1867):[43] 미주리주에서 특정 직업 면허를 받으려는 모든 사람에게 유사한 서약을 요구하는 주 헌법 조항을 위헌으로 판결했다.
두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미 자격을 갖춘 사람들에게 사법적 심리 없이 처벌(자격 박탈)을 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보았다.[43] 특히 사법 심리의 부재는 헌법의 적법 절차 원칙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고 판단했다.[44]
그러나 약 20년 후, 대법원은 유사해 보이는 법률들을 합헌으로 인정했다.
- ''Hawker v. New York'' (1898):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가 의사로 활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주법을 합헌으로 보았다.
- ''Dent v. West Virginia'' (1889): 의사 면허 유지를 위해 공인된 의과 대학 졸업이라는 새로운 요건을 부과하고,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면허를 반납하도록 한 웨스트 버지니아주 법을 합헌으로 인정했다.
대법원은 이 법률들이 특정 개인을 처벌하려는 목적보다는 의사라는 직업을 수행할 자격 요건에 초점을 맞추어 좁게 제정되었기 때문에 합헌이라고 설명했다.[45] 이는 ''Garland''나 ''Cummings'' 사건과는 다르다고 보았다.[45][46]
1946년, 대법원은 ''United States v. Lovett'' 사건[47]에서 사권 박탈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명확히 했다. 이 사건은 특정 세 명의 공무원을 '전복 분자'로 지목하여 연방 정부 고용에서 배제하는 연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대법원은 사권박탈법에 해당하려면 다음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판시했다.[47][48]
# 처벌받을 사람(들)을 구체적으로 식별할 것
# 처벌을 부과할 것
# 사법적 심리 없이 처벌할 것
''Lovett'' 사건의 법률은 이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했으므로, 대법원은 특정 개인의 정부 고용을 금지한 의회 법령이 사권 박탈 조항이 금지하는 위헌적 처벌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이후 냉전 시기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우려 속에서 제정된 태프트-하트리 법(1947)은 새로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법은 노동 조합 지도자들에게 자신이 미국 공산당원이 아니며 정부 전복을 옹호하지 않는다는 서약을 요구했고, 공산당원이 노조 간부로 활동하는 것을 금지했다.
- ''American Communications Association v. Douds'' (1950):[49] 대법원은 서약 요구 조항이 사권박탈법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그 이유는 1) 누구든 공산당과의 관계를 부인함으로써 처벌(노조 활동 제한)을 피할 수 있었고("탈출 조항"), 2) 과거 행위가 아닌 미래의 잠재적 위험(정부 전복 시도)을 막기 위한 조치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법원은 공산주의의 위협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이러한 판단을 내렸다.[50]
- ''United States v. Brown'' (1965):[51] 그러나 대법원은 태프트-하트리 법의 다른 조항, 즉 과거 공산당원이었던 사람이 노조 간부로 활동하는 것을 금지한 부분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이 조항은 명백히 과거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처벌받을 특정 집단(전 공산당원)을 명시했기 때문이다. 많은 법학자들은 ''Brown'' 판결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Douds'' 판결의 논리를 뒤집은 것으로 해석했다.[52] 특히 ''Brown'' 판결에서 ''Douds''의 "탈출 조항" 테스트를 적용하지 않아, 이 테스트가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혼란을 야기했다.[53]
사권박탈법 심사 기준은 ''Nixon v. Administrator of General Services'' (1977) 사건[54]에서 다시 한번 변화를 맞았다. 워터게이트 사건의 여파 속에서 의회는 대통령 기록 및 자료 보존법을 제정하여 총무청이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의 기록물을 압수하고 관리하도록 했다. 닉슨은 이 법이 자신만을 특정하여 불이익을 주는 사권박탈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 법을 합헌으로 인정하며 다음과 같은 논리를 제시했다.[55]
- 특수성: 특정 개인(닉슨)을 대상으로 한 법률이라도, 그 대상이 합리적인 이유로 "단일 클래스"(예: 전직 대통령)를 구성한다면 그 자체만으로 위헌은 아니다.
- 처벌 테스트 수정: 법률이 사권 박탈 조항을 위반하는 '처벌'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사권 박탈로 간주되었던 유형의 불이익(예: 사형, 투옥, 재산 몰수, 특정 직업 금지 등)인지를 고려해야 한다.[56] 또한 닉슨이 기록물 상실에 대해 보상을 받았다는 점도 처벌의 성격을 완화한다고 보았다.[57]
- 비처벌적 목적: 처벌적 요소가 있더라도, 그것이 합법적인 비처벌적 목적(예: 역사적 기록 보존)을 달성하기 위한 합리적인 수단이라면 허용될 수 있다.[57]
- 입법 의도: 법률 제정의 주된 목적이 처벌이 아니라면, 처벌적 효과가 부수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합헌으로 인정될 수 있다.[58]
결론적으로 미국 헌법은 적법 절차 원칙을 지키기 위해 입법부가 사법적 심리 없이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처벌하는 사권박탈법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으며, 연방 대법원은 시대적 상황과 구체적인 사건의 맥락 속에서 그 위헌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발전시켜 왔다.
4. 현대적 적용 및 논란
미국 헌법을 비롯한 여러 현대 국가의 헌법은 입법부가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지목하여 사법 절차 없이 처벌하는 사권박탈법(Bill of Attainder)이나 소급 입법(ex post facto law)의 제정을 금지하고 있다.[38] 이는 법치주의와 권력 분립, 적법 절차의 원칙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장치이다.
하지만 이러한 헌법적 원칙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도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입법이나 행정 조치가 사권박탈법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정치적 격변기나 사회적 위기 상황에서 특정 집단을 제재하거나 불이익을 주려는 시도가 나타나면서, 사권박탈법 금지 조항의 해석과 적용 범위를 둘러싼 법적, 사회적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헌법에 명시적인 금지 조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관련 법률의 합헌성이 연방 대법원에서 다투어졌으며, 현대에도 특정 정책이나 법안이 사권박탈 조항에 위배되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경우 연방 차원에서는 권력 분립 원칙에 따라 사권박탈법이 위헌으로 간주되지만, 주 차원에서는 다른 법적 해석이 존재하여 논쟁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5][6][7][11][12] 이 외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특정 사건이나 인물, 단체와 관련하여 사권박탈법 해당 여부가 문제 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4. 1. 미국
미국 헌법은 입법부의 사권박탈법(Bill of Attainder) 및 소급 입법(ex post facto law) 제정을 금지한다. 이는 연방 정부에 대해서는 제1조 9항 3절("사권박탈법 또는 소급입법을 제정할 수 없다")에 명시되어 있으며, 주 정부에 대해서는 제1조 10항에 규정되어 있다. 사권박탈법은 18세기 영국에서 흔히 사용되었고 영국 식민지에도 적용되었으나,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은 이러한 관행에 비판적이었다. 뉴욕주가 1779년 왕당파(토리스)의 재산을 몰수하기 위해 사권박탈법을 사용한 사례가 있기는 했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였다.[38] 미국 헌법 제정자들은 영국식 사권박탈법의 폐해를 인식하고 1787년 비준된 헌법에서 이를 명확히 금지했으며, 주 차원에서도 금지한 것은 이 문제에 대한 그들의 중요성 인식을 보여준다.
미국 헌법에서 사권박탈법 금지 조항은 두 가지 중요한 목적을 가진다. 첫째, 입법부가 사법부나 행정부의 고유 권한을 침해하여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지목해 처벌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삼권 분립 원칙을 강화한다. 둘째, 이는 적법 절차의 원칙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후 헌법 수정 제5조를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모든 주 헌법 역시 사권박탈법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38][39] 예를 들어, 위스콘신 헌법 제1조 12항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 사권박탈법, 소급 입법, 또는 계약의 의무를 저해하는 어떠한 법률도 통과될 수 없으며, 어떠한 유죄 판결도 혈통의 부패 또는 재산 몰수를 초래할 수 없다.
반면에 텍사스 헌법은 상속인에게 적용되는 조항을 생략했다.[40] 텍사스에서 상속인에게 재산을 박탈하는 법률이 합헌적인지 여부는 불분명하다.[41]
미국 연방 대법원은 사권 박탈 조항에 따라 5차례에 걸쳐 법률의 효력을 무효화했다.[42]
사권 박탈 조항의 의미에 대한 대법원의 첫 번째 결정 중 두 건은 미국 남북 전쟁 이후에 나왔다. ''Ex parte Garland'', 71 U.S. 333 (1866)에서 법원은 연방 법원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반란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서약을 요구하는 연방법을 폐지했다. ''Cummings v. Missouri'', 71 U.S. 277 (1867)에서 미주리주 헌법은 주에서 전문 면허를 받으려는 모든 사람에게 반란을 지지하지 않았다는 서약을 요구했다. 대법원은 이 법과 헌법 조항을 뒤집고, 이미 면허를 받은 사람들에게 사법 심리 없이 처벌을 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43] 대법원은 사법 심리의 부재가 헌법에 대한 결정적인 모욕이라고 말했다.[44]
그러나 20년 후, 법원은 유사한 법률을 지지했다. ''Hawker v. New York'', 170 U.S. 189 (1898)에서 주법은 유죄 판결을 받은 중범죄자가 의사로 활동하는 것을 금지했다. ''Dent v. West Virginia'', 129 U.S. 114 (1889)에서 웨스트버지니아주 법은 의사로 활동하는 사람이 면허를 받은 의과 대학을 졸업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면허를 반납해야 한다는 새로운 요구 사항을 부과했다. 법원은 두 법률 모두를 지지했는데, 이는 그 법률이 개인의 의학 실습 자격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좁게 조정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45] ''Garland'' 또는 ''Cummings''에서는 그렇지 않았다.[45][46]
법원은 1946년에 "사권 박탈 심사"를 변경했다. ''United States v. Lovett'', 328 U.S. 303 (1946)에서 법원은 세 사람을 전복 분자로 지목하고 연방 고용에서 배제하는 연방법과 대결했다. 이전에는 법원이 사권 박탈 심사에 대한 유일한 시험으로 사법 심리의 부재와 법률이 목표를 합리적으로 달성하는 좁은 방식을 유지했다. 그러나 ''Lovett'' 법원은 사권 박탈법은 1) 처벌받을 사람을 구체적으로 식별하고, 2) 처벌을 부과하며, 3) 사법 심리의 혜택 없이 이를 수행한다고 말했다.[47][48] ''Lovett''에서 사권 박탈 시험의 세 가지 모든 원칙이 충족되었으므로, 법원은 특정 개인의 정부 고용을 금지하는 의회 법령이 사권 박탈 조항에 의해 금지된 처벌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태프트-하트리 법 (1947년 제정)은 모든 선출된 노동 지도자에게 공산주의가 지배하는 노동 조합의 파업을 금지하기 위해 자신이 미국 공산당의 회원이 아니었고, 회원이 된 적도 없으며, 미국 정부의 폭력적인 전복을 옹호하지 않는다는 서약을 요구함으로써 금지하고자 했다. 또한 공산당원이 노동 조합의 집행 위원회에서 활동하는 것을 범죄로 만들었다. ''American Communications Association v. Douds'', 339 U.S. 382 (1950)에서 대법원은 서약 요건이 사권 박탈법이 아니라고 말했는데, 1) 누구든 공산당을 부인함으로써 처벌을 피할 수 있었고, 2) 과거 행위가 아닌 미래 행위(정부 전복)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49] 현재의 두려움을 반영하여, 법원은 ''Douds''에서 공산주의에 대한 특정 초점을 승인하면서 공산주의가 얼마나 위협적인지 언급했다.[50] 법원은 법률이 사권 박탈법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탈출 조항" 테스트를 추가했다.[49]
''United States v. Brown'', 381 U.S. 437 (1965)에서 법원은 전 공산주의자가 노동 조합의 집행 위원회에서 활동하는 것을 범죄화하는 법률 조항의 효력을 무효화했다. 분명히, 이 법은 과거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처벌받을 특정 부류의 사람들을 명시했다.[51] 많은 법학자들은 ''Brown'' 사건이 명시적으로는 아니더라도 사실상 ''Douds''의 판례를 뒤집었다고 가정했다.[52] 법원은 ''Douds'' 테스트의 처벌 조항을 적용하지 않아 법학자들은 법원이 여전히 이를 적용할 의도가 있는지 혼란스러워했다.[53]
대법원은 ''Nixon v. Administrator of General Services'', 433 U.S. 425 (1977)에서 사권 박탈의 좁음과 합리성을 강조했다. 워터게이트 사건 동안, 1974년 의회는 대통령 기록 및 자료 보존법을 통과시켜 총무청이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의 대통령 기록을 압수하여 파괴를 방지하고, 국가 안보 및 기타 공개를 막을 수 있는 문제를 걸러내고, 나머지 기록을 가능한 한 빨리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요구했다.[54] 대법원은 ''Nixon''에서 이 법을 지지하며, 대통령이 "단일 클래스"를 구성했기 때문에 특수성만으로는 법률의 효력을 무효화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55] 따라서 특수성은 식별된 클래스와 합리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우 헌법적이었다.[55] 법원은 처벌 테스트를 수정하여 역사적으로 사권 박탈 조항을 위반한 법률만이 무효라고 결론지었다.[56] 법원은 또한 닉슨이 그의 서류 손실에 대한 보상을 받았다는 사실이 처벌을 완화했다는 점도 중요하게 생각했다.[57] 법원은 처벌이 다른, 비처벌 목표와 합리적으로 관련이 있는 경우 검토를 견딜 수 있다는 판결을 통해 처벌 조항을 수정했다.[57] 마지막으로, 법원은 입법이 처벌을 의도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 합법적인 목적으로 제정된 입법은 처벌이 법률의 주요 목적이 아닌 부작용인 한 유지될 수 있다.[58]
사권 박탈 쟁점을 제기한 많은 사건들이 대법원까지 이르지 못했거나 아직 이르지 못했지만, 하급 법원에서 심리되었다.
1990년, 엑손 발데스호 기름 유출 사고 이후, 의회는 다양한 기름 유출 및 기름 오염 법률을 하나의 통일된 법으로 통합하고, 기름 유출 정리에 대한 법적 체계를 제공하기 위해 석유 오염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엑손모빌의 해운 부서에 의해 사권 박탈법으로 제기되었다.[59][60]
2003년,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은 엘리자베스 모건법을 사권 박탈법으로 폐지했다.[61]
2009년 말, 미국 하원이 지역 사회 조직 단체인 개혁을 위한 지역 사회 조직 협회(ACORN)가 연방 기금을 받는 것을 금지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킨 후, 해당 단체는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62] 또 다른, 더 광범위한 법안인 ACORN 기금 삭감법이 그 해 말 의회에서 제정되었다. 2010년 3월, 연방 지방 법원은 기금 지원 금지가 위헌적인 사권 박탈법이라고 선언했다.[63] 2010년 8월 13일, 미국 제2 순회 법원은 ACORN의 자금 중 10%만이 연방 자금이었고, 그것이 "처벌"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판결을 뒤집고 환송했다.[64][65]
4.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헌법에는 연방 의회가 사권 박탈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조항이 없다.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사권 박탈 법안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는데, 이는 권력 분립 원칙에 따라 사법권은 헌법 제3장에 명시된 법원(제3장 법원) 외의 기관이 행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5][6][7] 사법권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생명, 자유, 재산과 관련된 법적 문제에 대해 구속력 있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8][9] 입법부나 행정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법권을 행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10]반면, 오스트레일리아 주들의 헌법은 정부 권한에 대한 제한이 거의 없다. 주 차원에서는 권력 분립이 명확히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권 박탈 법안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1][12]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제77조는 주 법원에 연방 관할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만약 주 법률이 주 법원이 제3장 법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면 해당 법률은 위헌이다.[13] 주는 오스트레일리아 헌법의 적용을 피하도록 법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없다.[14]
중요한 차이점은 법원이 특정 판결을 내리도록 직접 지시하는 법률(예: 명령을 내려야 함)[15]은 위헌이지만, 의무적인 선고,[16][17] 증거 규칙,[18] 비형벌적 구금,[19] 또는 검사[20] 관련 법률은 합헌으로 간주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주 의회는 가석방 위원회가 특정 수감자에게 가석방을 허가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빅토리아주의 1986년 교정법 제74AA조와 제74AB조는 가석방 위원회가 줄리안 나이트나 크레이그 미노그에게 가석방을 허가하는 것을 상당히 제한한다.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은 이 법률을 합헌으로 보았는데, 이는 원래 선고된 형량(종신형)은 유지되고 가석방 집행 방식만 변경되었기 때문에 사권 박탈 법안과는 다르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21][22]
4. 3. 기타 논란 사례
팜 선데이 합의가 테리 시아보 사건에서 사권박탈법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66][67][68]연방 정부의 구제를 받은 투자 은행인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그룹(AIG) 임원에게 지급된 보너스의 90%를 몰수하려는 의회의 법안이 사권박탈법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에 대한 의견 불일치가 존재했으며 해당 법안은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69][70]
2009년,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시가 경찰이 특정 지역에서 "삶의 질 침해"를 저질렀다고 간주한 350명의 개인으로 구성된 "비밀 목록"에 있는 사람들을 더 엄격하게 기소하려는 시도는 위헌적인 사권박탈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71][72]
2011년, 미국 하원은 계획된 부모 협회(Planned Parenthood)의 자금 지원을 중단하기로 투표했다. 이에 민주당 소속 제리 내들러 하원의원은 이 투표가 특정 집단을 표적으로 삼았기 때문에 위헌적인 사권박탈법이라고 비판했다.[73]
2017년 1월, 하원은 홀먼 규칙을 부활시켰다. 이 규칙은 의원들이 개별 연방 공무원의 급여를 1USD까지 삭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적 규칙이다.[74] 이 규칙은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이 된 후인 2019년 1월 제116대 미국 의회에서 다시 폐지되었다.[75]
2019년 11월 5일, 미국 대법원은 ''Allen v. Cooper'' 사건에서 구두 변론을 진행했다.[76][77][78][79] 2020년 3월 23일, 대법원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손을 들어주었고, 의회가 1989년에 주(州)에 의한 저작권 침해를 억제하기 위해 통과시킨 저작권 구제 명확화 법(Copyright Remedy Clarification Act)을 Allen v. Cooper 사건에서 무효화했다.[80][81][82] 판결 후, 원고인 노틸러스 프로덕션스(Nautilus Productions)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동부 지방 법원에 재심을 요청했다.[83] 2021년 8월 18일, 테렌스 보일 판사는 재심 요청을 허가했고, 노스캐롤라이나 주는 즉시 미국 제4 순회 항소 법원에 항소했다.[84] 제4 순회 법원은 2022년 10월 14일에 주의 항소를 기각했다.[85] 이후 노틸러스는 2023년 2월 8일에 수정된 두 번째 소장을 제기하여 노틸러스의 헌법적 권리에 대한 수정 헌법 제5조 및 수정 헌법 제14조 위반, 추가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고, 노스캐롤라이나의 "블랙비어드의 법"(Blackbeard's Law), N.C. Gen Stat §121-25(b),[86]가 사권박탈법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87][88] 블랙비어드의 법 통과 8년 후인 2023년 6월 30일, 로이 쿠퍼 노스캐롤라이나 주지사(민주당)는 해당 법을 폐지하는 법안에 서명했다.[89]
참조
[1]
서적
Three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 of 1787 at 97
University of Kansas Press
1956
[2]
웹사이트
Bills of Attainder and Ex Post Facto Laws
https://law.justia.c[...]
2020-05-25
[3]
간행물
"Nonattainder as a Liberty Interest"
Wisconsin Law Review
2010
[4]
Britannica
Attainder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4-06-18
[5]
AustLII
[6]
AustLII
[7]
AustLII
[8]
AustLII
[9]
AustLII
[10]
AustLII
[11]
간행물
Building Construction Employees and Builders' Labourers Federation of New South Wales v Minister of Industrial Relations
NSW Law Reports
1986
[12]
AustLII
[13]
AustLII
[14]
AustLII
[15]
AustLII
[16]
AustLII
[17]
간행물
R v Moffatt
Victorian Reports
1998
[18]
AustLII
[19]
AustLII
[20]
AustLII
[21]
AustLII
[22]
AustLII
[23]
웹사이트
Debates of the House of Commons: "An Act respecting the execution of Clifford Robert Olson
http://parl.canadian[...]
Hansard
2015-11-23
[24]
웹사이트
Debates of the Senate: "Bill Concerning Karla Homolka
http://parl.canadian[...]
Hansard
2014-11-23
[25]
웹사이트
Home :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26]
뉴스
Richard III: The truth may yet be discovered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8-10-13
[27]
서적
Richard the Third
W. W. Norton
[28]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Journal Volume 8: 15 May 1660
http://www.british-h[...]
2016-07-28
[29]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Journal Volume 8: 4 December 1660
http://www.british-h[...]
2016-07-28
[30]
웹사이트
Index: A–J
http://www.british-h[...]
2016-07-28
[31]
서적
History of England from the Accession of James the Second
1855
[32]
서적
The Irish Parliament of James II
http://www.ucc.ie/ce[...]
1843
[33]
간행물
Explaining Child Custody Determinations in Canada
1998
[34]
서적
Three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 of 1787 at 97
University of Kansas Press
1956
[35]
웹사이트
British Civil Wars, Commonwealth & Protectorate 1638–1660: Impeachment & Attainder
http://www.british-c[...]
2016-07-28
[36]
뉴스
Churchill: execute Hitler without trial
https://www.thetimes[...]
The Sunday Times
2021-02-12
[37]
웹사이트
The 1st Nuremberg Trial
http://www.holocaust[...]
[38]
웹사이트
Bills of Attainder: The Constitutional Implications of Congress Legislating Narrowly
https://sgp.fas.org/[...]
2024-04-12
[39]
웹사이트
Bills of Attainder and Ex Post Facto Laws
https://law.justia.c[...]
2020-05-25
[40]
문서
Texas Constitution of 1876, Article 1 (entitled ''Bill of Rights''); Section 16, entitled ''Bills of Attainder; Ex Post Facto or Retroactive Laws: Impairing Obligation of Contracts''
[41]
논문
The Rule of Law and the Origins of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http://heinonline.or[...]
[42]
논문
Nonattainder as a Liberty Interest
2010
[43]
서적
On Constitutional Ground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서적
Victory of Law: The Fourteenth Amendment, the Civil War, and American Literature, 1852–1867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5]
서적
The Second Amendment Controversy Explained
iUniverse
[46]
간행물
"Beyond Process: A Substantive Rationale for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1984-04
[47]
서적
Cases in Civil Liberties
Prentice Hall
[48]
서적
The Heritage Guide to the Constitution
Heritage Foundation
[49]
간행물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An Unqualified Guarantee of Process"
1983
[50]
서적
History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The Birth of the Modern Constitution: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1941–1953
Macmillan
[51]
간행물
"Beyond Process: A Substantive Rationale for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1984-04
[52]
서적
Unrepentant Leftist: A Lawyer's Memoi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53]
간행물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An Unqualified Guarantee of Process"
1983
[54]
뉴스
"U.S. Judge Rules Nixon Documents Belong to Nation"
1975-02-01
[55]
서적
Prohibited Government Acts: A Reference Guide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Praeger
[56]
서적
Prohibited Government Acts: A Reference Guide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7]
서적
Prohibited Government Acts: A Reference Guide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8]
서적
Prohibited Government Acts: A Reference Guide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59]
문서
SeaRiver Maritime Fin. Holdings, Inc. v. Pena
[60]
간행물
"The Bill of Attainder Clause: A New Weapon to Challenge the Oil Pollution Act of 1990"
[61]
문서
Doris R. Foretich, et al. v. United States
[62]
뉴스
Acorn Sues Over Funding Vote in Hous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1-14
[63]
뉴스
"Funding Gone, Scandal-Plagued ACORN to Disband"
2010-03-23
[64]
뉴스
"Federal Court Rules Against Acorn"
Associated Press
2010-08-14
[65]
논문
ACORN v. United States
http://harvardlawrev[...]
2015-07-23
[66]
간행물
"The Terri Schiavo Case: In Defense of the Special Law Enacted by Congress and President Bush"
[67]
뉴스
"Terri's Law: Is It Constitutional?"
2005-03-22
[68]
간행물
"Terri Schiavo and the Law"
[69]
뉴스
"Would an AIG-Bonus Tax Pass Constitutional Muster? (A Tribe Calls 'Yes!')"
2009-03-18
[70]
뉴스
No Bill of Attainder... Shall Be Passed
2009-03-16
[71]
뉴스
Secret List on Trial
http://www.portlandm[...]
[72]
뉴스
Judge declines to rule on constitutionality of Portland Police Bureau's secret list
https://www.oregonli[...]
2020-08-21
[73]
뉴스
House votes to defund Planned Parenthood
http://www.politico.[...]
2011-02-18
[74]
뉴스
The Holman Rule Once Allowed Congress to Purge Leftists From Government AgenciesNow It's Back
https://www.thenatio[...]
[75]
뉴스
House passes package dismantling fed-targeting rule
https://www.federalt[...]
2019-01-04
[76]
뉴스
How Blackbeard's ship and a diver with an 'iron hand' ended up at the Supreme Court
https://www.newsobse[...]
Charlotte Observer
2019-11-05
[77]
뉴스
Aarrr, matey! Supreme Court justices frown on state's public display of pirate ship's salvage operation
https://www.usatoday[...]
2019-11-05
[78]
뉴스
A Supreme Court piracy case involving Blackbeard proves truth is stranger than fiction
https://qz.com/17426[...]
Quartz
2019-11-05
[79]
뉴스
Supreme Court justices skeptical in Blackbeard pirate ship case from Fayetteville
https://www.fayobser[...]
Fayetteville Observer
2019-11-05
[80]
웹사이트
N.C. Gen Stat §121-25
https://www.ncleg.go[...]
North Carolina
2020-06-19
[81]
뉴스
Blackbeard Just Broke Copyright Law, and Now States Are the Pirates
https://www.escapist[...]
The Escapist
2020-03-29
[82]
법률
https://www.supremec[...]
[83]
뉴스
A North Carolina Filmmaker Continues to Challenge State Sovereign Immunity
https://ial.uk.com/a[...]
Institute of Art & Law
2022-10-28
[84]
웹사이트
Reconsideration Granted
https://www.nautilus[...]
2023-04-05
[85]
웹사이트
4th Circuit Recon
http://www.nautilusp[...]
2023-04-05
[86]
웹사이트
§ 121-25. License to conduct exploration, recovery or salvage operations.
https://www.ncleg.go[...]
North Carolina
2023-05-25
[87]
웹사이트
PLAINTIFFS' SECOND AMENDED COMPLAINT
https://ipwatchdog.c[...]
2023-03-24
[88]
뉴스
Fayetteville's Blackbeard shipwreck filmmaker fires back in new court case
https://www.cityview[...]
CityView
2023-02-14
[89]
웹사이트
AN ACT TO MAKE VARIOUS CHANGES TO THE STATUTES GOVERNING THE DEPARTMENT OF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AS RECOMMENDED BY THE DEPARTMENT
https://www.ncleg.go[...]
North Carolina
2023-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