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플링 (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샘플링은 기존의 음원을 잘라내어 새로운 음악 작품에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1940년대 구체 음악과 전자 음악에서 시작되어 1970년대 힙합 음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80년대 샘플러의 등장으로 더욱 대중화되었다. 힙합, 팝, 전자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며, 샘플링은 음악 제작의 중요한 기법으로 자리 잡았다. 샘플링은 기술 및 도구의 발전을 거쳐 샘플 라이브러리, 인터폴레이션 등의 형태로 발전해왔다.
샘플링 사용에는 법적, 윤리적 문제가 따르며, 저작권 침해, 샘플 클리어런스, 공정 사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단 샘플링은 저작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저작권 소유자의 허가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샘플링 관련 소송과 판례를 통해 법적 기준이 확립되었으며, 샘플링된 자료의 소유자를 추적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음 - 오디오 엔지니어
오디오 엔지니어는 음향 녹음, 강화, 방송 장비 설치 및 작동을 담당하는 전문가로, 연구 개발을 통해 새로운 오디오 기술을 개발하고 건축, 전기, 음악, 심리 음향학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며 음반 제작의 각 단계를 담당한다. - 녹음 - 웃음 트랙
웃음 트랙은 라디오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관객의 반응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된 녹음된 웃음소리나 다른 관중의 반응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의 재미를 더하고 시청자의 웃음을 유도하는 데 기여하지만 인공적인 웃음소리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음악계 논란 - 슬립낫
슬립낫은 1995년 아이오와주 데스 모이네스에서 결성된 미국의 뉴 메탈 밴드로, 가면, 극도로 낮게 조율된 기타 사운드, 대규모 타악기 세션, 샘플링, 다양한 보컬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데뷔 앨범 성공 이후 메탈씬에 큰 영향을 끼치며 현재 25주년 기념 투어를 진행 중이다. - 음악계 논란 - XXX텐타시온
XXX텐타시온은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과 솔직한 가사로 인기를 얻었지만 범죄 혐의와 논란으로도 유명했던 미국의 래퍼이자 싱어송라이터로, "Look at Me"와 "Sad!" 등의 히트곡을 냈으나 2018년 강도 사건으로 사망했다. - 음악 기법 - 비트박스
비트박스는 신체 기관으로 드럼, 멜로디 등 다양한 소리를 흉내 내는 음악적 표현 기법으로, 힙합 문화에서 시작되어 독자적인 음악 장르로 발전했다. - 음악 기법 - 음렬주의
음렬주의는 20세기 초 유럽에서 조성 음악을 벗어나기 위해 시작된 작곡 기법으로, 음높이, 리듬, 셈여림 등의 요소를 규칙에 따라 배열하여 작품을 구성하며, 쇤베르크의 12음 기법이 대표적이고 총렬주의로 발전했으며, 난해하다는 비판과 함께 다른 음악 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샘플링 (음악) | |
---|---|
샘플링 | |
유형 | 오디오 편집 |
설명 | 기존 녹음의 일부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녹음 만들기 |
역사적 맥락 | |
기원 | 뮤직 콘크리트 |
주목할만한 발전 | 힙합 음악 |
관련 기술 | 루핑, 시퀀싱 |
기술적 측면 | |
과정 |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법으로 기존 녹음에서 오디오 발췌 |
사용법 | 새로운 오디오 작품에 통합 |
일반적인 출처 | 기존 노래 영화 연설 소음 |
법적 및 윤리적 문제 | |
저작권 문제 | 샘플링된 자료의 저작권 보유자로부터 허가 필요 |
공정 사용 |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공정 사용 또는 공정 거래 교리가 적용될 수 있음 |
논란 | 저작권 침해 및 창의성에 대한 잠재적 영향에 대한 논쟁 |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의 활용 | |
힙합 음악 | 기본적인 요소, 비트 만들기 및 레이어링에 사용 |
전자 음악 | 질감 만들기, 사운드 디자인 및 리듬 요소에 사용 |
팝 음악 | 독특한 사운드와 질감 추가 |
실험 음악 | 아방가르드 작곡에서 사운드 탐구 |
장비 및 소프트웨어 | |
초기 기술 | 멜로트론, 챔벌린 |
디지털 샘플러 | 페어라이트 CMI, E-mu 에뮬레이터 |
현대 소프트웨어 |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DAW) 및 전문 샘플링 플러그인 |
영향 | |
음악 제작 | 음악가들이 기존 녹음으로부터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게 함 |
창의성 | 기존 사운드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및 혁신적인 사운드스케이프 창조 가능 |
저작권법 | 샘플링된 자료를 사용하는 규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 |
2. 역사
샘플링의 역사는 1940년대 프랑스 작곡가 피에르 셰페르가 구체 음악을 개발하면서 시작되었다. 셰페르는 릴 투 릴 오디오 테이프 녹음을 이용하여 소리를 녹음하고, 이어 붙이고 조작하여 사운드 콜라주를 만들었다. 그는 인체, 기관차, 주방 기구에서 나오는 소리를 사용했으며,[5] 테이프 루프를 활용하여 소리를 무한정 재생하기도 했다.[5] 셰페르는 포노젠을 개발하여 키보드로 다양한 피치의 루프를 재생했다.[5]
존 케이지, 에드가 바레즈,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야니스 크세나키스 등 여러 작곡가들이 구체 음악을 실험했으며,[5] 베베 배런과 루이 배런은 1956년 SF 영화 ''금지된 행성''의 전자 사운드트랙을 만들었다. ''구체 음악''은 BBC 라디오포닉 워크숍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으며, ''닥터 후'' 등의 사운드트랙 제작에 사용되었다.[5]
1960년대에는 킹 터비와 리 "스크래치" 페리 같은 자메이카의 더브 레게 프로듀서들이 레게 리듬 녹음을 사용하여 리듬 트랙을 제작하고 디제잉을 하는 방식으로 샘플링을 활용했다.[1][2]
1970년대 힙합 음악의 탄생은 샘플링 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67] 초기 힙합 DJ들은 턴테이블과 믹싱 콘솔을 사용하여 레코드의 브레이크를 반복 재생하거나 여러 음원을 조합했다.[35] 1960년대 후반의 소울과 펑크, 특히 제임스 브라운의 Funky Drummer|펑키 드러머영어는 힙합 샘플링에 자주 사용되었다.[68]
1988년에 출시된 Akai MPC는 저렴한 가격으로 샘플링을 대중화하여 전자 음악과 힙합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25][11] DJ Shadow의 ''Endtroducing.....'' (1996)은 샘플만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앨범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기록되었다.[37][38]
1990년대 이후 샘플링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했다. DJ 프리미어는 샘플을 잘게 쪼개어 재구성하는 "초핑(chop)" 기법을 개발했고, 테이 토와나 다프트 펑크는 로파이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72]
2023년에는 요네즈 켄시의 "KICK BACK"이 일본어 가사 곡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음반 협회(RIAA) 골드 인증을 받았다.[78] 이 곡은 모닝구무스메의 "그렇다! We're ALIVE"를 샘플링했으며, 원곡 작가인 층쿠♂에게도 기념 디스크가 증정되었다.[79]
샘플링은 힙합뿐만 아니라 팝, R&B,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에서 널리 사용되며,[4][22] 현대 대중음악에서 중요한 음악 제작 기법으로 자리 잡았다.
다음은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샘플링 곡들의 예시이다.
연도 | 곡명 | 아티스트 | 원곡 (샘플링된 부분) |
---|---|---|---|
1990 | ICE ICE BABY | 바닐라 아이스 | 퀸 & 데이비드 보위 - 언더 프레셔 (베이스 라인) |
1991 | GOOD VIBRATIONS | 마키 마크 & 더 펑키 번치 | 로리타 할러웨이 - Love Sensation (일부분) |
1992 | JUMP | 크리스 크로스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 - Funky Worm (간주, 빠르게 돌려 베이스 라인으로 활용) |
1993 | That's The Way Love Goes | 자넷 잭슨 | 제임스 브라운 - Papa Don't Take No Mess |
1994 | Here Comes the Hotstepper | 이니 카모지 | Cannibal & the Headhunters - 댄스 천국 (Land Of Thousand Dance) |
1995 | THIS IS HOW WE DO IT | Montell Jordan | 슬릭 릭 - Children's Story |
1995 | Gangsta's Paradise | 쿨리오 feat. L.V. | 스티비 원더 - Pastime Paradise (낙원의 저편으로) |
1995 | Fantasy | 머라이어 캐리 | 톰 톰 클럽 - 악마의 러브 송 (Genius of Love) |
1996 | Tha Crossroads | 본 석스 앤 하모니 | 아이슬리 브라더스 - Make Me Say It Again Girl |
1996 | How Do U Want It | 투팍 | 퀸시 존스 - Body Heat (시작 부분, 베이스 음으로 반복) |
1996 | California Love | 2Pac feat.Dr.dre | 조 코커 - Woman To Woman, 로니 허드슨 & 더 스트리트 피플스 - West Coast Poplock (후렴구 가사) |
1996 | No Diggity | 블랙스트리트 feat.닥터 드레 | 빌 위더스 - Grandma's Hands (전주 부분) |
1997 | Can't Nobody Hold Me Down | 퍼프 대디 feat. Mase |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 The Message |
1997 | Hypnotize | 노토리어스 B.I.G. | 허브 알퍼트 - Rise (간주 부분) |
1997 | I'll Be Missing You | 퍼프 대디 feat. 페이스 에반스 & 112 | 폴리스 - 見つめていたい(지켜보고 싶어) |
1997 | Mo Money Mo Problems | 노토리어스 B.I.G. feat. Mase And 퍼프 대피 | 다이애나 로스 - I'm Coming Out |
1997 | Honey | 머라이어 캐리 | 월드 페이머스 서프림 팀 - Hey D.J., 트레처러스 쓰리 - The Body Rock |
1998 | Getting' Jiggy Wit It | 윌 스미스 | 시스터 슬레지 - He's The Greatest Dancer (시작 부분), 바케이스 - Sang and Dance (간주 부분) |
1999 | Wild Wild West | 윌 스미스 feat. Dru Hill & Kool Mo Dee | 스티비 원더 - I Wish (전주 부분) |
1998 | Too Close | Next | 커티스 블로우 - Christmas Rappin' (시작 부분) |
1999 | Heartbreaker | 머라이어 캐리 feat.제이 지 | 스테이시 래티소 - Attack Of The Name Game |
2000 | MUSIC | 마돈나 | Mirwais - Never Young Again |
2001 | Ms.Jackson | 아웃캐스트 | 리하르트 바그너 - 결혼 행진곡 (역회전) |
2001 | BUTTERFLY | Crazytown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Pretty Little Ditty |
2001 | Angel | 샤기 feat. Rayvon | 니나 시몬 - Angel Of The Morning, 스티브 밀러 밴드 - Shaggy Joker |
2001 | All For You | 자넷 잭슨 | Change - The Glow Of Love (인스트 부분 반복) |
2001 | Bootylicious | 데스티니스 차일드 | 스티비 닉스 - Edge of Seventeen (베이스 음) |
2001 | Fallin' | 앨리샤 키스 | 제임스 브라운 - Its a Mans Mans Mans World (다시 연주) |
2002 | Foolish | 아샨티 | 데바지 - Stay With Me |
2002 | Hot In Herre | 넬리 | 척 브라운 - Bustin' Loose |
2002 | Dilemma | 넬리 feat.켈리 롤랜드 | 패티 라벨 - Love, Need And Want You (라벨의 파트를 켈리 롤랜드가 부름) |
2003 | All I Have | 제니퍼 로페즈 feat.LL 쿨 J | 데보라 로즈 - Very Special |
2003 | 21Questions | 50 Cent feat.네이트 독 | 배리 화이트 - Its Only Love Doing Its Thing (시작 부분) |
2003 | 크레이지 인 러브 | 비욘세 feat. 제이 Z | 샤이 라이츠 - Are You My Woman (Tell Me So) (퍼커션 부분) |
2004 | Slow Jamz | 트위스타 feat. 카니예 웨스트 & 제이미 폭스 | 루서 밴드로스 - House Is Not A Home |
2005 | Gold Digger | 카니예 웨스트 feat.제이미 폭스 | 레이 찰스 - I Got A Woman (제이미 폭스가 본인의 대역) |
2006 | SOS | 리아나 | 소프트 셀 - Tainted Love |
2006 | HIPS DON'T LIE | 샤키라 feat. 와이클리프 진 | 제리 리베라 - Amores Como el Nuestro |
2007 | BEAUTIFUL GIRLS | 션 킹스턴 | 벤 E. 킹 - Stand By Me |
2007 | Stronger | 카니예 웨스트 | 다프트 펑크 -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다프트 펑크 PV 출연) |
2008 | 마이애미 라이프 | T.I. feat 리아나 | O-Zone - 마이아히 |
2009 | 라이트 라운드 | 플로 라이다 | 데드 오어 얼라이브 - You Spin Me Round(Like a Record) |
2009 | EMPIRE STATE OF MIND | 제이 Z & 앨리샤 키스 | 더 모멘츠 - Love on a Two Way Street |
2009 | 포커 페이스 | 레이디 가가 | 보니 M - Ma Baker (♪마・마・마・마 구절) |
2009 | 와챠 세이, 내 탓 | 제이슨 데룰로 | 이모겐 힙 - Hide and Seek |
2. 1. 초기 역사 (구체 음악과 전자 음악)

1940년대, 프랑스 작곡가 피에르 셰페르는 릴 투 릴 오디오 테이프 녹음을 이용하여 소리를 녹음하고, 이어 붙이고 조작하여 사운드 콜라주를 만드는 실험적인 음악 형태인 구체 음악을 개발했다. 그는 인체, 기관차, 주방 기구에서 나오는 소리를 사용했다.[5] 이 방법은 또한 소리를 무한정 재생할 수 있도록 테이프 조각을 서로 연결하는 테이프 루프를 포함했다.[5] 셰페르는 키보드로 트리거되는 12개의 다른 피치로 루프를 재생하는 포노젠을 개발했다.[5]
존 케이지, 에드가 바레즈,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야니스 크세나키스를 비롯한 작곡가들은 구체 음악을 실험했고,[5] 베베 배런과 루이 배런은 1956년 SF 영화 ''금지된 행성''을 위해 최초의 완전 전자 영화 사운드트랙을 만들었다. ''구체 음악''은 BBC 라디오포닉 워크숍에 의해 주류 청중에게 전달되었으며, 이 워크숍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닥터 후''를 포함한 쇼의 사운드트랙을 제작했다.[5]
1960년대에 킹 터비와 리 "스크래치" 페리와 같은 자메이카의 더브 레게 프로듀서들은 레게 리듬 녹음을 사용하여 리듬 트랙을 제작하기 시작했고, 그 위에 디제잉을 했다.[1][2]
1960년대부터 프로그레시브 록과 전자 음악에서는 자연음이나 악기음을 도입한다는 점에서 멜로트론 등의 전자 악기가 존재했으며, 음성 테이프에 의한 음향 효과와 함께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1980년대에 이르러 페어라이트 CMI나 싱클라비어 등 고성능의 샘플링 기능을 가진 악기가 등장하면서 아트 오브 노이즈, 카바레 볼테르 등의 많은 록, 팝 뮤지션이 샘플링을 수법으로 사용했다.
2. 2. 힙합 음악의 등장과 샘플링의 발전
1970년대 힙합 음악의 탄생은 샘플링 기술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67] 초기 힙합 DJ들은 턴테이블과 믹싱 콘솔을 사용하여 레코드의 특정 부분, 특히 브레이크를 반복 재생(루핑)하거나, 여러 음원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샘플링을 활용했다.[35] 이러한 초기 힙합 DJ들의 실험적인 레코드 조작은 샘플링 기술에 기반한 최초의 대중 음악 장르인 힙합을 탄생시켰다.[67]1960년대 후반의 소울과 펑크는 랩 샘플링에 자주 사용되었는데, 그중 제임스 브라운의 Funky Drummer|펑키 드러머영어는 힙합에서 여러 번 사용된 대표적인 샘플이다.[68] 1986년, "South Bronx", "Eric B. is President", "It's a Demo"와 같은 트랙들은 제임스 브라운의 펑크와 소울 트랙, 특히 "Funky Drummer" (1970)의 드럼 브레이크를 샘플링하여 이 기술을 대중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22]
1988년에 출시된 Akai MPC는 전자 음악과 힙합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25][11] 아티스트가 다른 악기, 스튜디오 또는 정식 음악 지식 없이 정교한 트랙을 만들 수 있도록 했다.[11] 이처럼 저렴한 샘플러의 등장은 루프를 더 쉽게 만들어 샘플링을 더욱 대중화시켰다.[35]
DJ Shadow의 ''Endtroducing.....'' (1996)은 샘플만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앨범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기록되었다.[37][38] 이 앨범은 Akai MPC MPC60으로 제작되었다.[36]
2. 3. 한국에서의 샘플링
1994년 스챠다라파와 오자와 켄지가 함께 작업한 "오늘 밤은 부기 백"은 앤 보그의 "Give It up, Turn It Loose"의 코드 진행을 인용했고, EAST END×YURI의 "DA.YO.NE"은 조지 벤슨의 "Turn Your Love Around"를 샘플링하여 각각 오리콘 차트 최고 15위[76]와 7위[77]를 기록하며 히트했다.2010년에는 카라의 "미스터" 일본어 버전이 큰 인기를 얻었는데, 이 곡의 "One, Two Three...." 코러스 부분은 타카나카 마사요시의 1996년 곡 "Guitar Wonder"에서 샘플링한 것이다.
2023년에는 요네즈 켄시의 "KICK BACK"이 일본어 가사 곡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음반 협회(RIAA) 골드 인증을 받았다.[78] 이 곡은 모닝구무스메의 "그렇다! We're ALIVE" 도입부 ("노력 미래 A BEAUTIFUL STAR")와 후렴구 ("행복해지고 싶어, ~하고 싶어")를 샘플링했는데, 원곡 작가인 층쿠♂에게도 히트 기념 디스크가 RIAA로부터 증정되었다.[79]
P-MODEL의 히라사와 스스무는 1980년대에 라디오 카세트 레코더 2대를 개조하여 자체 샘플링 머신 "헤브나이저"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74]
2. 4. 현대 대중음악에서의 샘플링
샘플링은 힙합뿐만 아니라 팝, R&B,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4][22] 칸예 웨스트, 드레이크 등 유명 아티스트들은 샘플링을 통해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1980년대 이후, 힙합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R&B, 댄스, 팝 등 다른 장르에서도 샘플링이 자연스럽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제 샘플링은 전 세계 대중음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음악 제작 기법이 되었다.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도 샘플링을 사용한 곡들이 자주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샘플링이 보편화되고 법적인 문제의 위험도 높아짐에 따라, 음악가들은 "무엇을 샘플링할까"보다 "어떻게 샘플링할까"에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1992년경, DJ 프리미어는 샘플링한 원본을 더 잘게 쪼개어 재구성하는 "초핑(chop)" 기법을 개발하여, 갱 스타, 나스 등의 앨범을 프로듀싱했다. 테이 토와나 다프트 펑크는 일부러 오래된 장비를 사용하거나 필터를 걸어 음질을 일부러 떨어뜨린 "로파이"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72]
1996년 DJ 섀도우가 발표한 앨범 『Endtroducing.....』은 2001년 기네스 세계 기록에 "최초의 완전한 샘플링 앨범"으로 인정받았다.[73]
2023년에는 요네즈 켄시의 『KICK BACK』이 일본어 가사 곡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음반 협회(RIAA)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78] 이 곡은 모닝구무스메의 『그렇다! We're ALIVE』를 샘플링했으며, 원곡 작가인 층쿠♂에게도 기념 디스크가 증정되었다.[79]
다음은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샘플링 곡들의 예시이다.
연도 | 곡명 | 아티스트 | 원곡 (샘플링된 부분) |
---|---|---|---|
1990 | ICE ICE BABY | 바닐라 아이스 | 퀸 & 데이비드 보위 - 언더 프레셔 (베이스 라인) |
1991 | GOOD VIBRATIONS | 마키 마크 & 더 펑키 번치 | 로리타 할러웨이 - Love Sensation (일부분) |
1992 | JUMP | 크리스 크로스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 - Funky Worm (간주, 빠르게 돌려 베이스 라인으로 활용) |
1993 | That's The Way Love Goes | 자넷 잭슨 | 제임스 브라운 - Papa Don't Take No Mess |
1994 | Here Comes the Hotstepper | 이니 카모지 | Cannibal & the Headhunters - 댄스 천국 (Land Of Thousand Dance) |
1995 | THIS IS HOW WE DO IT | Montell Jordan | 슬릭 릭 - Children's Story |
1995 | Gangsta's Paradise | 쿨리오 feat. L.V. | 스티비 원더 - Pastime Paradise (낙원의 저편으로) |
1995 | Fantasy | 머라이어 캐리 | 톰 톰 클럽 - 악마의 러브 송 (Genius of Love) |
1996 | Tha Crossroads | 본 석스 앤 하모니 | 아이슬리 브라더스 - Make Me Say It Again Girl |
1996 | How Do U Want It | 투팍 | 퀸시 존스 - Body Heat (시작 부분, 베이스 음으로 반복) |
1996 | California Love | 2Pac feat.Dr.dre | 조 코커 - Woman To Woman, 로니 허드슨 & 더 스트리트 피플스 - West Coast Poplock (후렴구 가사) |
1996 | No Diggity | 블랙스트리트 feat.닥터 드레 | 빌 위더스 - Grandma's Hands (전주 부분) |
1997 | Can't Nobody Hold Me Down | 퍼프 대디 feat. Mase |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 The Message |
1997 | Hypnotize | 노토리어스 B.I.G. | 허브 알퍼트 - Rise (간주 부분) |
1997 | I'll Be Missing You | 퍼프 대디 feat. 페이스 에반스 & 112 | 폴리스 - 見つめていたい(지켜보고 싶어) |
1997 | Mo Money Mo Problems | 노토리어스 B.I.G. feat. Mase And 퍼프 대피 | 다이애나 로스 - I'm Coming Out |
1997 | Honey | 머라이어 캐리 | 월드 페이머스 서프림 팀 - Hey D.J., 트레처러스 쓰리 - The Body Rock |
1998 | Getting' Jiggy Wit It | 윌 스미스 | 시스터 슬레지 - He's The Greatest Dancer (시작 부분), 바케이스 - Sang and Dance (간주 부분) |
1999 | Wild Wild West | 윌 스미스 feat. Dru Hill & Kool Mo Dee | 스티비 원더 - I Wish (전주 부분) |
1998 | Too Close | Next | 커티스 블로우 - Christmas Rappin' (시작 부분) |
1999 | Heartbreaker | 머라이어 캐리 feat.제이 지 | 스테이시 래티소 - Attack Of The Name Game |
2000 | MUSIC | 마돈나 | Mirwais - Never Young Again |
2001 | Ms.Jackson | 아웃캐스트 | 리하르트 바그너 - 결혼 행진곡 (역회전) |
2001 | BUTTERFLY | Crazytown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Pretty Little Ditty |
2001 | Angel | 샤기 feat. Rayvon | 니나 시몬 - Angel Of The Morning, 스티브 밀러 밴드 - Shaggy Joker |
2001 | All For You | 자넷 잭슨 | Change - The Glow Of Love (인스트 부분 반복) |
2001 | Bootylicious | 데스티니스 차일드 | 스티비 닉스 - Edge of Seventeen (베이스 음) |
2001 | Fallin' | 앨리샤 키스 | 제임스 브라운 - Its a Mans Mans Mans World (다시 연주) |
2002 | Foolish | 아샨티 | 데바지 - Stay With Me |
2002 | Hot In Herre | 넬리 | 척 브라운 - Bustin' Loose |
2002 | Dilemma | 넬리 feat.켈리 롤랜드 | 패티 라벨 - Love, Need And Want You (라벨의 파트를 켈리 롤랜드가 부름) |
2003 | All I Have | 제니퍼 로페즈 feat.LL 쿨 J | 데보라 로즈 - Very Special |
2003 | 21Questions | 50 Cent feat.네이트 독 | 배리 화이트 - Its Only Love Doing Its Thing (시작 부분) |
2003 | 크레이지 인 러브 | 비욘세 feat. 제이 Z | 샤이 라이츠 - Are You My Woman (Tell Me So) (퍼커션 부분) |
2004 | Slow Jamz | 트위스타 feat. 카니예 웨스트 & 제이미 폭스 | 루서 밴드로스 - House Is Not A Home |
2005 | Gold Digger | 카니예 웨스트 feat.제이미 폭스 | 레이 찰스 - I Got A Woman (제이미 폭스가 본인의 대역) |
2006 | SOS | 리아나 | 소프트 셀 - Tainted Love |
2006 | HIPS DON'T LIE | 샤키라 feat. 와이클리프 진 | 제리 리베라 - Amores Como el Nuestro |
2007 | BEAUTIFUL GIRLS | 션 킹스턴 | 벤 E. 킹 - Stand By Me |
2007 | Stronger | 카니예 웨스트 | 다프트 펑크 -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다프트 펑크 PV 출연) |
2008 | 마이애미 라이프 | T.I. feat 리아나 | O-Zone - 마이아히 |
2009 | 라이트 라운드 | 플로 라이다 | 데드 오어 얼라이브 - You Spin Me Round(Like a Record) |
2009 | EMPIRE STATE OF MIND | 제이 Z & 앨리샤 키스 | 더 모멘츠 - Love on a Two Way Street |
2009 | 포커 페이스 | 레이디 가가 | 보니 M - Ma Baker (♪마・마・마・마 구절) |
2009 | 와챠 세이, 내 탓 | 제이슨 데룰로 | 이모겐 힙 - Hide and Seek |
가디언은 1940년대에 영국의 엔지니어 해리 챔벌린이 개발한 챔벌린을 최초의 샘플러로 묘사했다. 챔벌린은 키보드를 사용하여 각각 8초 분량의 사운드를 담고 있는 일련의 테이프 데크를 작동시켰다. 이와 유사한 기술은 1960년대에 멜로트론으로 대중화되었다.[4] 1969년, 영국의 엔지니어 피터 지노비에프는 최초의 디지털 샘플러인 EMS 뮤시스를 개발했다.[4]
3. 기술 및 도구
'샘플'이라는 용어는 1979년에 출시된 페어라이트 CMI 신시사이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킴 라이리와 피터 보겔이 만들었다.[5] 드럼 머신인 오버하임 DMX와 린 LM-1은 회로에서 소리를 생성하는 대신 드럼 키트와 타악기의 샘플을 통합했다.[8]
오늘날 대부분의 샘플은 프로 툴즈 및 에이블톤 라이브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DAW)을 사용하여 녹음 및 편집된다.[9][13]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조작 가능성도 증가했다.[22]
1930년 6월 13일, 독일의 영화 감독 발터 르트만이 발표한 라디오 프로그램 『Weekend』는 사운드트랙을 잘라 붙여 콜라주한 실험적인 작품이었다.[69]
1948년경부터 프랑스의 전기 기술자 피에르 셰페르는 작곡가 피에르 앙리와 함께 사람의 목소리, 동물의 소리, 철도의 소리, 자연계의 소리, 도시의 소음 등을 전기적·기계적으로 변질시킨 여러 실험 작품을 만들었다. 이것들은 구체 음악이라고 불렸다. 존 케이지,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뤽 페라리와 같은 작곡가들도 콜라주나 전자음을 도입한 작품을 만들었다.[72]
대중음악 제작에서 "과거의 악곡 재사용"이 처음으로 이루어진 것은 1960년대 후반의 자메이카였다.[70] 1967년경부터 동일한 리듬을 여러 가수, DJ가 돌려가며 녹음하거나, 레코딩 엔지니어가 더빙 처리를 하는 등의 수법이 일반화되었다.[71]
프로그레시브 록과 전자 음악에서는 자연음이나 악기음을 도입한다는 점에서 멜로트론 등의 전자 악기가 1960년대부터 존재했고, 음성 테이프에 의한 음향 효과와 함께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1980년대에 이르러 페어라이트 CMI나 싱클라비어 등 고성능의 샘플링 기능을 가진 악기가 등장하면서 아트 오브 노이즈, 카바레 볼테르 등의 많은 록, 팝 뮤지션이 샘플링을 수법으로 사용했다. 1983년,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예스는 페어라이트 CMI에 의한 '''오케스트럴 히트'''를 사용한 곡 "론리 하트"를 발표하여, 빌보드 1위를 획득했다.[72]
3. 1. 샘플러
챔벌린은 1940년대 영국의 엔지니어 해리 챔벌린이 개발한 초기 샘플러로, 키보드를 사용하여 8초 분량의 사운드를 담은 테이프 데크를 작동시키는 방식이었다. 이와 비슷한 기술은 1960년대 멜로트론을 통해 대중화되었다.[4] 1969년에는 영국의 엔지니어 피터 지노비에프가 최초의 디지털 샘플러인 EMS 뮤시스를 개발했다.[4]
1979년 출시된 페어라이트 CMI는 킴 라이리와 피터 보겔이 '샘플'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신시사이저이다.[5] 페어라이트 개발 과정에서 보겔은 라디오 방송에서 1초 분량의 피아노 연주를 녹음하여 다른 피치로 재생해 실제 피아노와 유사한 소리를 낼 수 있음을 발견했다.[6] 페어라이트는 제한적인 기능에도 불구하고 샘플링 기능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5]
페어라이트의 등장은 경쟁을 촉발하여 E-mu 에뮬레이터[5], 아카이 S950[7] 등 새로운 샘플러들이 출시되고 샘플링 기술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초기 샘플러들은 몇 초 길이의 샘플만 저장 가능했지만, 메모리 기술 발전으로 저장 용량이 증가했다.[9]
1988년, 아카이는 최초의 MPC 샘플러를 출시했다.[10] MPC는 패드에 샘플을 할당하여 독립적으로 트리거하는 방식으로, 힙합 음악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11] 코르그, 롤랜드, 카시오 등도 경쟁적으로 샘플러를 출시했다.[12]
1987년에 출시된 E-mu SP-1200은 10초 길이의 샘플과 독특한 "거친"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 힙합 황금기 동안 동부 해안 프로듀서들에게 널리 사용되었다.[39]
오늘날 대부분의 샘플은 프로 툴즈, 에이블톤 라이브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 내 소프트웨어 샘플러를 통해 제작된다.[9][13]
3. 2. 샘플 라이브러리
샘플 라이브러리는 다양한 악기 소리, 효과음 등을 제공하여 음악 제작에 활용된다.[14] 1990년대에는 제로-G와 스펙트라소닉스와 같은 회사의 샘플 라이브러리가 현대 음악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4] 2000년대에는 애플이 자사의 DAW인 개러지밴드용 "Jam Pack" 샘플 라이브러리를 출시했다.[15] 2010년대에는 프로듀서들이 스플라이스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 샘플 팩을 출시하기 시작했다.[16]
3. 3. 인터폴레이션 (Interpolation)
샘플링 대신, 아티스트는 녹음을 재현할 수 있는데, 이를 인터폴레이션이라고 한다.[23] 이는 음원 콘텐츠 소유자의 허가만 필요하며, 별도의 기타 트랙 및 드럼 트랙과 같은 구성 요소를 변경할 수 있는 더 많은 자유를 제공한다.[21]
4. 법적, 윤리적 문제
샘플링은 다른 음악의 일부를 가져와 새로운 곡에 사용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여러 법적, 윤리적 문제가 발생한다.
샘플을 합법적으로 사용하려면 원 저작권자에게 허락을 받아야 한다. 이 과정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40] 허락 없이 샘플링을 하면 저작권 침해가 되며, 원작자의 저작인격권도 침해할 수 있다.[40] 하지만 미국의 공정 사용 법에 따라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경우도 있다.[40] 공정 사용은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49]
널리 샘플링된 아멘 브레이크의 저작권자인 리처드 루이스 스펜서는 뒤늦게 이 사실을 알았지만, 이미 시간이 많이 지나서 로열티를 받지 못했다.[50] 마찬가지로 유명한 "Funky Drummer" 드럼 브레이크를 연주한 클라이드 스터블필드도 로열티를 받지 못했다.[51]
DJ 섀도는 샘플링을 하는 예술가들이 원곡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샘플링을 하거나, 반대로 원곡의 유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52] 그는 샘플링된 곡에 대한 보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다고 설명했다.[53]
샘플링은 원곡을 널리 알리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Desiigner의 "Panda"는 칸예 웨스트가 자신의 곡에 샘플링한 후 빌보드 핫 100 차트 1위에 올랐다.[22]
하지만 샘플링된 원곡의 저작권자를 찾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52] 예를 들어 Daft Punk의 "One More Time"에 샘플링된 곡의 작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고, 그는 많은 돈을 받지 못하고 있다.[57]
4. 1. 저작권 침해 논란
샘플을 합법적으로 사용하려면 아티스트는 저작권 소유자로부터 법적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잠재적으로 길고 복잡한 과정이다.[40] 허가 없이 샘플링하는 것은 원본 사운드 녹음, 작곡 및 가사, 리듬이나 기타 리프와 같은 연주의 저작권 침해를 위반할 수 있다. 원작자의 저작인격권도 저작자 표시가 되지 않거나 샘플링에 반대할 경우 위반될 수 있다.[40]1991년, 힙합 아티스트 비즈 마키는 앨범 『I Need a Haircut』의 수록곡 "Alone Again"에서 길버트 오설리번의 동명 곡을 샘플링하여 사용했다. 이를 알게 된 오설리번은 저작권 침해로 비즈 마키와 발매사인 워너 브라더스를 고소했고, 같은 해 12월 16일, 최종 승소 판결이 확정되어 『I Need a Haircut』은 소매점에서 회수되었다. 이를 통칭 "비즈 마키 사건"이라고 한다.

''Grand Upright Music, Ltd. v. Warner Bros. Records Inc.''에서, 법원은 허가 없이 샘플링하는 것은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판결했다. 오설리번은 로열티를 요구하는 대신, 마키의 레이블인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가 노래가 삭제될 때까지 앨범을 회수하도록 강요했다.[59] 비즈 마키는 1993년에 『All Samples Cleared』(번역: 『모든 샘플링이 허가되었습니다』)라는 앨범을 발매하여 이 사건을 풍자했다.
1989년에 힙 하우스 그룹인 더 크루는 보이드 야비스의 "The music's got me"를 부분적으로 샘플링한 "Get Dumb! (Free your body)"를 발매했지만, 1993년에 야비스는 더 크루를 고소했고, 야비스가 승소했다.
이러한 판례를 통해 아티스트는 샘플링 사용에 있어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판례가 확정되었으며, 메이저 레이블에서 발표되는 샘플링 작품의 대부분은 정식으로 라이선스된 것이 되었다. 또한, 클래식 음악 등의 퍼블릭 도메인 음원에서 샘플링하는 경우도 많아졌으며, 샘플링용 저작권 프리 음원집 CD 등도 발매되었다.
위와 같은 판례가 나온 이후, 미국에서는 권리자의 허락을 받지 않은 샘플링은 불법으로 간주되었지만, 반드시 모든 샘플링이 불법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법은 사소한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데 미니미스)는 관점에서, 질적으로 또는 양적으로 사소한 샘플링은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묻지 않으며,[83] "공정이용의 법리"(미국 저작권법 제107조)의 관점에서, 원곡과 샘플링된 곡의 창작적 표현에 있어서 실질적인 유사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묻지 않는다.[83][84]
1993년 11월 9일, 로이 오비슨의 「오, 프리티 우먼」을 샘플링하여, 패러디 개사곡으로 만든 투 라이브 크루의 「프리티 우먼」을 둘러싸고, 오비슨의 권리를 가진 에이카프-로즈 뮤직사가 투 라이브 크루를 고소했지만, 1994년 3월 7일 법원은 "투 라이브 크루의 곡은 원곡의 공정이용을 구성하는 패러디이다" 즉, 투 라이브 크루의 곡으로 인해 오비슨의 곡이 판매 부진을 겪을 가능성은 없다고 판결하여, 투 라이브 크루 측이 승소했다.[84] 이를 통칭 "프리티 우먼 사건" 또는 "캠벨 사건"이라고 부른다.[84]
일본의 저작권법에는 공정이용 규정이 없지만, 지적재산 전략 본부는 2008년에 일본판 공정이용 규정(일반 예외 규정) 도입을 위한 심의를 시작했다. 2009년에는 문화청에서도 심의가 시작되었지만, 10년이 지난 2019년 현재에도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저널리스트 댄 차르나스(Dan Charnas)는 샘플링에 기존의 저작권법을 적용하는 것이 어렵고, 미국의 법률 시스템이 "이 문화를 이해하고 아이들이 그것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문화적 역량이 없다"고 말했다.[60] 2005년, 작가 넬슨 조지(Nelson George)는 이를 "힙합에 반대하는 가장 해로운 보복의 사례"라고 묘사하며, "여전히 느껴지는 업계에 냉기를 보냈다"고 말했다.[59]
4. 2. 샘플 클리어런스 (Sample Clearance)
샘플을 합법적으로 사용하려면 아티스트는 저작권 소유자로부터 법적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잠재적으로 길고 복잡한 과정일 수 있다.[40] 허가 없이 샘플링하는 것은 원본 사운드 녹음, 작곡 및 가사, 리듬이나 기타 리프와 같은 연주의 저작권 침해를 위반할 수 있다. 원작자의 저작인격권도 저작자 표시가 되지 않거나 샘플링에 반대할 경우 위반될 수 있다.[40] 경우에 따라 샘플링은 미국의 공정 사용법에 따라 보호를 받으며,[40] 이는 "권리 소유자의 허가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49]널리 샘플링된 아멘 브레이크의 저작권을 소유한 미국 음악가 리처드 루이스 스펜서는 상황을 알게 되었을 때 저작권 침해에 대한 제척 기간이 만료되어 사용에 대한 로열티를 전혀 받지 못했다.[50] 널리 샘플링된 "Funky Drummer"의 드럼 브레이크를 연주한 클라이드 스터블필드 역시 로열티를 받지 못했다.[51]
DJ 섀도는 아티스트들이 샘플링을 존경의 표시이자 새로운 청중에게 음악을 소개하는 수단으로 보거나, 유산을 보호하고 아무런 이점을 얻지 못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52] 그는 작품에 샘플링된 각 아티스트에 대한 보상 마련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두 아티스트 모두 50%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 수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예를 들었다.[53] 대신 그는 샘플이 작곡의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파악하여 음악학적 기준으로 샘플을 정리하는 과정을 옹호했다.[53]
샘플링은 샘플링된 작품을 대중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siigner의 "Panda"(2015)는 칸예 웨스트가 "Father Stretch My Hands, Pt. 2"(2016)에 샘플링한 후 ''빌보드 핫 100''에서 1위에 올랐다.[22] 일부 음반사 및 기타 음악 라이선스 회사는 레코드를 "사전 허가"하여 허가 프로세스를 단순화했다.[54]
샘플링된 자료의 소유자는 항상 추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지식은 기업 합병, 폐쇄 및 매수를 통해 흔히 잘못 관리된다.[52] 예를 들어, 2000년 Daft Punk의 "One More Time"에 샘플링된 곡의 작가인 에디 존스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2021년 현재 그는 스트리밍을 기준으로 추정 "6~7자리 수"를 빚지고 있었다.[57]
1989년, 터틀스는 앨범 ''3 Feet High and Rising''에 허가받지 않은 샘플을 사용한 데 라 소울을 고소했다. 이 사건은 법정 밖에서 합의되었고, 힙합 샘플링에 냉각 효과를 가져온 법적 선례를 세웠다.[58]
1991년, 작곡가 길버트 오설리반은 래퍼 비즈 마키를 고소했고, 법원은 ''Grand Upright Music, Ltd. v. Warner Bros. Records Inc.''에서 허가 없이 샘플링하는 것은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판결했다. 오설리반은 로열티를 요구하는 대신, 마키의 레이블인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가 노래가 삭제될 때까지 앨범을 회수하도록 강요했다.[59]
저널리스트 댄 차르나스는 이 판결을 비판하며, 샘플링에 기존의 저작권법을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60] 2005년, 작가 넬슨 조지는 이를 "힙합에 반대하는 가장 해로운 보복의 사례"라고 묘사하며, "여전히 느껴지는 업계에 냉기를 보냈다"고 말했다.[59]
오설리반 소송 이후, 상업 녹음의 샘플은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녹음에서 가져오거나, 성공한 아티스트만 접근할 수 있는 비용이 많이 드는 옵션을 통해 정리되었다.[61] 덜 성공적인 아티스트의 경우, 샘플 사용의 법적 의미가 장애가 된다.[22] 이에 비해 1989년 비스티 보이즈의 앨범 ''Paul's Boutique''는 거의 전부 샘플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쉽고 저렴하게" 정리되었다. 오늘날에는 정리 과정이 훨씬 더 비쌀 것이다.[62] 카니예 웨스트는 샘플 사용으로 여러 번 소송을 당했다.[22]


위와 같은 판례가 나온 이후, 미국에서는 권리자의 허락을 받지 않은 샘플링은 불법으로 간주되었지만, 반드시 모든 샘플링이 불법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법은 사소한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데 미니미스)는 관점에서, 질적으로 또는 양적으로 사소한 샘플링은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묻지 않으며, 공정 사용의 관점에서 원곡과 샘플링된 곡의 창작적 표현에 있어서 실질적인 유사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묻지 않는다.[83][84]
1993년 11월 9일, 로이 오비슨의 「오, 프리티 우먼」을 샘플링하여, 패러디 개사곡으로 만든 투 라이브 크루의 「프리티 우먼」을 둘러싸고, 오비슨의 권리를 가진 에이카프-로즈 뮤직사가 투 라이브 크루를 고소했지만, 1994년 3월 7일 법원은 "투 라이브 크루의 곡은 원곡의 공정이용을 구성하는 패러디이다" 즉, 투 라이브 크루의 곡으로 인해 오비슨의 곡이 판매 부진을 겪을 가능성은 없다고 판결하여, 투 라이브 크루 측이 승소했다.[84]
일본의 저작권법에는 공정이용 규정이 없지만, 지적재산 전략 본부는 2008년에 일본판 공정이용 규정(일반 예외 규정) 도입을 위한 심의를 시작했다. 2009년에는 문화청에서도 심의가 시작되었지만, 10년이 지난 2019년 현재에도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4. 3. 공정 사용 (Fair Use)
샘플을 합법적으로 사용하려면 아티스트는 저작권 소유자로부터 법적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잠재적으로 길고 복잡한 과정이다.[40] 허가 없이 샘플링하는 것은 원본 사운드 녹음, 작곡 및 가사, 리듬이나 기타 리프와 같은 연주의 저작권 침해를 위반할 수 있다. 원작자의 저작인격권도 저작자 표시가 되지 않거나 샘플링에 반대할 경우 위반될 수 있다.[40] 경우에 따라 샘플링은 미국의 공정 사용법에 따라 보호를 받으며,[40] 이는 "권리 소유자의 허가 없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49]2000년, 재즈 플루트 연주자 제임스 뉴턴은 비스티 보이즈의 1992년 싱글 "Pass the Mic"가 자신의 곡 "Choir"를 샘플링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판사는 6초, 3음절로 구성된 샘플이 ''de minimis''(사소할 정도로 작음)하여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결했다. 뉴턴은 2003년과 2004년에 항소를 모두 기각당했다.[63][64]
2005년 사건 ''Bridgeport Music, Inc. v. Dimension Films''에서 힙합 그룹 N.W.A.는 1990년 트랙 "100 Miles and Runnin'"에서 Funkadelic의 노래를 2초간 샘플링한 혐의로 소송에서 패소했다.[65] 미국 제6 순회 항소 법원은 샘플의 길이가 아무리 짧더라도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판결했다.[65] 한 판사는 "라이선스를 받거나 샘플링하지 마시오. 우리는 이것이 어떤 유의미한 방식으로 창의성을 억압한다고 보지 않습니다."라고 적었다.[64]
브리지포트 판결은 미국의 미국 연방 항소 법원에서 결정되었으므로, 유사한 문제에 대한 하급 법원의 판결은 이를 따라야 한다.[65] 그러나 2016년 사건 ''VMG Salsoul v Ciccone''에서 미국 제9 순회 항소 법원은 마돈나가 1990년 노래 "Vogue"에 사용된 짧은 관악기 샘플에 대한 라이선스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결했다. 판사 수잔 그라버는 샘플링 법이 표준적인 ''de minimis'' 법의 예외가 되어야 할 이유를 찾을 수 없다고 적었다.[64]
위와 같은 판례가 나온 이후, 미국에서는 권리자의 허락을 받지 않은 샘플링은 불법으로 간주되었지만, 반드시 모든 샘플링이 불법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법은 사소한 일에 관여하지 않는다"(데 미니미스)는 관점에서, 질적으로 또는 양적으로 사소한 샘플링은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묻지 않으며,[83] "공정이용의 법리"(미국 저작권법 제107조)의 관점에서, 원곡과 샘플링된 곡의 창작적 표현에 있어서 실질적인 유사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묻지 않는다.[83][84]
1993년 11월 9일, 로이 오비슨의 「오, 프리티 우먼」을 샘플링하여, 패러디 개사곡으로 만든 투 라이브 크루의 「프리티 우먼」을 둘러싸고, 오비슨의 권리를 가진 에이카프-로즈 뮤직사가 투 라이브 크루를 고소했지만, 1994년 3월 7일 법원은 "투 라이브 크루의 곡은 원곡의 공정이용을 구성하는 패러디이다" 즉, 투 라이브 크루의 곡으로 인해 오비슨의 곡이 판매 부진을 겪을 가능성은 없다고 판결하여, 투 라이브 크루 측이 승소했다.[84] 이를 통칭 "프리티 우먼 사건" 또는 "캠벨 사건"이라고 부른다.[84]
일본의 저작권법에는 공정이용 규정이 없지만, 지적재산 전략 본부는 2008년에 일본판 공정이용 규정(일반 예외 규정) 도입을 위한 심의를 시작했다. 2009년에는 문화청에서도 심의가 시작되었지만, 10년이 지난 2019년 현재에도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
4. 4. 대한민국 저작권법과 샘플링
대한민국 저작권법에는 미국의 공정 사용과 같은 포괄적인 예외 조항이 없어 샘플링에 대한 법적 해석이 엄격한 편이다. 지적재산 전략 본부는 2008년에 한국판 공정 사용 규정 도입을 위한 심의를 시작했고, 2009년에는 문화청에서도 심의를 시작했지만, 2019년 현재까지도 이렇다 할 진전은 보이지 않고 있다.5. 대표적인 샘플링 사례
- The Winstons의 "Amen, Brother" 드럼 브레이크 (Amen break)[35]
- 제임스 브라운의 "Funky Drummer" 드럼 브레이크[22]
- Fab Five Freddy의 "Change the Beat"[44]
- 오케스트라 히트[47]
- 슈가힐 갱의 "Rapper's Delight"는 시크의 "Good Times"를 샘플링하여 '''브레이크비트'''를 사용한 세계 최초의 히트곡이다.[74]
- 런-D.M.C.의 "Walk This Way"는 에어로스미스를 샘플링하여 Billboard Hot 100의 톱 5에 들어간 최초의 힙합 곡이 되었다.
- 스챠다라파와 오자와 켄지가 공동 작업한 "오늘 밤은 부기 백"은 앤 보그의 "Give It up, Turn It Loose"의 코드 진행을 인용했다.[76]
- EAST END×YURI의 "DA.YO.NE"은 조지 벤슨의 "Turn Your Love Around"를 샘플링했다.[77]
- 카라의 "미스터"는 타카나카 마사요시의 "Guitar Wonder"에서 샘플링했다.
- 요네즈 켄시의 『KICK BACK』는 모닝구무스메의 『그렇다! We're ALIVE』를 샘플링했다.[78]
다음은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대표적인 샘플링 곡들이다.
곡명 | 아티스트 | 원곡/샘플링 | 발매년도 | 빌보드 1위 기간 |
---|---|---|---|---|
ICE ICE BABY | 바닐라 아이스 | 퀸과 데이비드 보위의 합작품 「언더 프레셔」 베이스 라인 | 1990년 | 1주 |
GOOD VIBRATIONS | 마키 마크 & 더 펑키 번치 | 로리타 할러웨이의 「Love Sensation」 일부분 | 1991년 | 1주 |
JUMP | 크리스 크로스 | 오하이오 플레이어스 「Funky Worm」 간주 | 1992년 | 8주 |
That's The Way Love Goes | 자넷 잭슨 | 제임스 브라운의 「Papa Don't Take No Mess」 | 1993년 | 8주 |
Here Comes the Hotstepper | 이니 카모제 | Cannibal & the Headhunters 버전의 「댄스 천국」 | 1994년 | 2주 |
THIS IS HOW WE DO IT | Montell Jordan | 슬릭 릭의 「Children's Story」 | 1995년 | 7주 |
Gangsta's Paradise | 쿨리오 feat. L.V. | 스티비 원더의 「Pastime Paradise(낙원의 저편으로)」 | 1995년 | 3주 |
Fantasy | 머라이어 캐리 | 톰 톰 클럽의 「악마의 러브 송 (Genius of Love)」 | 1995년 | 8주 |
Tha Crossroads | 본 석스 앤 하모니 | 아이슬리 브라더스의 「Make Me Say It Again Girl」 | 1996년 | 8주 |
How Do U Want It | 투팍 | 퀸시 존스의 「Body Heat」 시작 부분 | 1996년 | 2주 |
California Love | 2Pac feat.Dr.dre | 조 코커의 「Woman To Woman」, 로니 허드슨 & 더 스트리트 피플스 「West Coast Poplock」 | 1996년 | 2주 |
No Diggity | 블랙스트리트 feat.닥터 드레 | 빌 위더스의 「Grandma's Hands」 전주 부분 | 1996년 | 4주 |
Can't Nobody Hold Me Down | 퍼프 대디 feat. Mase | 그랜드마스터 플래시의 「The Message」 | 1997년 | 6주 |
Hypnotize | 노토리어스 B.I.G. | 허브 알퍼트의 「Rise」 간주 부분 | 1997년 | 3주 |
I'll Be Missing You | 퍼프 대디 feat. 페이스 에반스 &112 | 폴리스의 「見つめていたい(지켜보고 싶어)」 | 1997년 | 11주 |
Mo Money Mo Problems | 노토리어스 B.I.G. feat. Mase And 퍼프 대피 | 다이애나 로스의 「I'm Coming Out」 | 1997년 | 2주 |
Honey | 머라이어 캐리 | 월드 페이머스 서프림 팀의 「Hey D.J.」와 트레처러스 쓰리의 「The Body Rock」 조합 | 1997년 | 3주 |
Getting' Jiggy Wit It | 윌 스미스 | 시스터 슬레지의 「He's The Greatest Dancer」 시작 부분, 바케이스 「Sang and Dance」 간주 부분 | 1998년 | 3주 |
Wild Wild West | 윌 스미스 feat. Dru Hill & Kool Mo Dee | 스티비 원더의 「I Wish(1976년)」 전주 부분 | 1999년 | 1주 |
Too Close | Next | 커티스 블로우의 「Christmas Rappin'」 시작 부분 | 1998년 | 5주 |
Heartbreaker | 머라이어 캐리 feat.제이 지 | 스테이시 래티소의 「Attack Of The Name Game」 | 1999년 | 2주 |
MUSIC | 마돈나 | Mirwais의 「Never Young Again」 | 2000년 | 4주 |
Ms.Jackson | 아웃캐스트 | 리하르트 바그너의 「결혼 행진곡」 역회전 | 2001년 | 2주 |
BUTTERFLY | Crazytown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Pretty Little Ditty」 | 2001년 | 2주 |
Angel | 샤기 feat. Rayvon | 니나 시몬의 「Angel Of The Morning」, 스티브 밀러 밴드의 「Shaggy Joker」 | 2001년 | 1주 |
All For You | 자넷 잭슨 | Change의 「The Glow Of Love」 인스트 부분 | 2001년 | 7주 |
Bootylicious | 데스티니스 차일드 | 스티비 닉스 「Edge of Seventeen」 베이스 음 | 2001년 | 2주 |
Fallin' | 앨리샤 키스 | 제임스 브라운의 「Its a Mans Mans Mans World」 | 2001년 | 6주 |
Foolish | 아샨티 | 데바지의 「Stay With Me」 | 2002년 | 10주 |
Hot In Herre | 넬리 | 척 브라운의 「Bustin' Loose」 | 2002년 | 7주 |
Dilemma | 넬리 feat.켈리 롤랜드 | 패티 라벨의 「Love, Need And Want You」 | 2002년 | 10주 |
All I Have | 제니퍼 로페즈 feat.LL 쿨 J | 데보라 로즈 「Very Special」 | 2003년 | 4주 |
21Questions | 50 Cent feat.네이트 독 | 배리 화이트 「Its Only Love Doing Its Thing」 시작 부분 | 2003년 | 4주 |
크레이지 인 러브 | 비욘세 feat. 제이 Z | 샤이 라이츠의 「Are You My Woman (Tell Me So)」 퍼커션 부분 | 2003년 | 8주 |
Slow Jamz | 트위스타 feat. /카니예 웨스트&제이미 폭스 | 루서 밴드로스의 「House Is Not A Home」 | 2004년 | 1주 |
Gold Digger | 카니예 웨스트feat.제이미 폭스 | 레이 찰스의 「I Got A Woman」 | 2005년 | 10주 |
SOS | 리아나 | 소프트 셀의 「Tainted Love」 | 2006년 | 3주 |
HIPS DON'T LIE | 샤키라 feat. 와이클리프 진 | 제리 리베라의 「Amores Como el Nuestro」 | 2006년 | 2주 |
BEAUTIFUL GIRLS | 션 킹스턴 | 벤 E. 킹의 「Stand By Me」 | 2007년 | 4주 |
Stronger | 카니예 웨스트 | 다프트 펑크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에드윈 버드송의 「Cola Bottle Baby」 | 2007년 | 1주 |
마이애미 라이프 | T.I. feat 리아나 | O-Zone「마이아히」 | 2008년~2009년 | 6주 |
라이트 라운드 | 플로 라이다 | 데드 오어 얼라이브의 「You Spin Me Round(Like a Record)」 | 2009년 | 6주 |
EMPIRE STATE OF MIND | 제이 Z & 앨리샤 키스 | 더 모멘츠의 「Love on a Two Way Street」 | 2009년 | 5주 |
포커 페이스 | 레이디 가가 | 보니 M의 「Ma Baker」 | 2009년 | 1주 |
와챠 세이, 내 탓 | 제이슨 데룰로 | 이모겐 힙의 「Hide and Seek」 | 2009년 | 1주 |
참조
[1]
서적
Reggae Wisdom: Proverbs in Jamaican Music
https://books.google[...]
Univ. Press of Mississippi
2017-09-11
[2]
간행물
The Mark of Criminality: Rhetoric, Race, and Gangsta Rap in the War-On-Crime E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2024-05-05
[3]
뉴스
Holger Czukay, bassist with Can, dies aged 79
https://www.theguard[...]
2023-08-12
[4]
웹사이트
Hey, what's that sound: Sampler
https://www.theguard[...]
2018-10-12
[5]
웹사이트
The Lost Art Of Sampling: Part 1
https://www.soundons[...]
2018-10-12
[6]
웹사이트
Interview: Electronic maestros
https://www.newscien[...]
Reed Business Information
2016-04-04
[7]
뉴스
A brief history of sampling
https://www.musicrad[...]
2018-10-12
[8]
웹사이트
Hey, what's that sound: Linn LM-1 Drum Computer and the Oberheim DMX
https://www.theguard[...]
2018-02-09
[9]
서적
Perfecting Sound Forever: The Story of Recorded Music
https://books.google[...]
Granta Publications
2018-12-07
[10]
뉴스
The 10 most important hardware samplers in history
https://www.musicrad[...]
2018-05-13
[11]
뉴스
Meet the unassuming drum machine that changed music forever
https://www.vox.com/[...]
2018-05-11
[12]
웹사이트
Korg M1 (Retrozone)
https://www.soundons[...]
2019-11-06
[13]
웹사이트
When did sampling become so non-threatening?
https://www.theguard[...]
2018-10-12
[14]
웹사이트
10 classic sample libraries that changed music
https://www.musicrad[...]
2019-10-26
[1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GarageBand
https://www.musicrad[...]
2022-12-06
[16]
간행물
How Splice Became the Hottest Platform on the Beat Market
https://www.billboar[...]
2022-12-06
[17]
웹사이트
Get to know the loopmakers behind rap's biggest songs
https://pitchfork.co[...]
2021-06-04
[18]
뉴스
How Hitmaking Producer Frank Dukes Is Reinventing the Pop Music Machine
https://www.spin.com[...]
2016-12-15
[19]
뉴스
Frank Dukes' Kingsway Music Library Could Change Sampling Forever
https://www.complex.[...]
2024-06-04
[20]
웹사이트
The Library of Congress wants DJs (and you) to make beats using its audio collections
https://wamu.org/sto[...]
2021-06-04
[21]
웹사이트
Steve Gibson & Dave Walters: Recreating Samples {!}
https://www.soundons[...]
2018-10-14
[22]
뉴스
Untangling the knotty world of hip-hop copyright
http://www.factmag.c[...]
2018-10-14
[23]
뉴스
'Common decency': Beyoncé's Renaissance sparks debate about the politics of music sampling
https://www.theguard[...]
2022-08-06
[24]
뉴스
Remixing Culture And Why The Art Of The Mash-Up Matters
https://techcrunch.c[...]
2018-10-16
[25]
뉴스
Hip-hop's most influential sampler gets a 2017 reboot
https://www.engadget[...]
2018-04-03
[26]
서적
Tokyo city guide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1-06-06
[27]
웹사이트
It's Easy When You're Big In Japan: Yellow Magic Orchestra at The Hollywood Bowl
http://www.thevinyld[...]
2011-07-22
[28]
서적
Hip-hop Japan: rap and the paths of cultural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9-06-11
[29]
웹사이트
The Essential... Yellow Magic Orchestra
https://www.factmag.[...]
2019-06-11
[30]
뉴스
Brian Eno and David Byrne, My Life in the Bush of Ghosts
http://arts.guardian[...]
2018-10-14
[31]
뉴스
Brian Eno and David Byrne, My Life in the Bush of Ghosts
https://www.theguard[...]
2012-03-25
[32]
간행물
Cash for Questions
2001-07
[33]
뉴스
Big Audio Dynamite: more pioneering than the Clash?
https://www.theguard[...]
2016-12-16
[34]
뉴스
"Don't kick the ethics out of sampling: picking up the bullets from the Weeknd's clash with Portishead"
http://www.factmag.c[...]
2018-10-12
[35]
뉴스
Seven seconds of fire
https://www.economis[...]
2018-10-14
[36]
웹사이트
The exclusive interview; 'I feel like I've done a lot for the MPC'
http://news.beatport[...]
Beatport
2013-03-16
[37]
웹사이트
First album made completely from samples
http://www.guinnessw[...]
2013-03-20
[38]
간행물
DJ Shadow's influence looms large
https://www.bostongl[...]
2013-03-23
[39]
뉴스
The Dirty Heartbeat of the Golden Age
https://www.villagev[...]
2019-07-17
[40]
웹사이트
Sample Clearance {{!}}
https://www.soundons[...]
2018-10-14
[41]
뉴스
Just a sample
https://www.economis[...]
2018-10-14
[42]
웹사이트
Spotify playlist: 50 tracks that sample the 'Think' break
https://mixmag.net/r[...]
2021-01-30
[43]
뉴스
The Life of a Song: 'When the Levee Breaks'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18-11-29
[44]
뉴스
The world's most sampled song is "Change the Beat" by Fab 5 Freddy
https://www.smithson[...]
2018-10-12
[45]
웹사이트
James Brown is apparently the most sampled artist of all time
https://www.complex.[...]
2020-08-01
[46]
뉴스
Loleatta Holloway: Much-sampled disco diva who sued Black Box over their worldwide hit 'Ride on Time'
http://www.independe[...]
2019-08-08
[47]
문서
[48]
문서
[49]
서적
The Three Pillar Model For Business Decisions: Strategy, Law, Ethics
Van Rye Publishing
[50]
뉴스
Amen Break musician finally gets paid
https://www.bbc.com/[...]
2023-09-12
[51]
간행물
Clyde Stubblefield, James Brown's 'Funky Drummer,' Dead at 73
https://www.rollings[...]
2020-08-01
[52]
뉴스
DJ Shadow on sampling as a 'collage of mistakes'
https://www.npr.org/[...]
2022-08-15
[53]
웹사이트
DJ Shadow: 'Music has never been worth less, and yet sampling has never been more risky'
http://www.theguardi[...]
2022-08-15
[54]
웹사이트
Future of sample clearance: As easy as tagging friends on Facebook?
https://www.musictec[...]
2021-06-04
[55]
간행물
Inside the Labels Where Kanye West Finds Many of His Best Samples
https://www.rollings[...]
2021-06-04
[56]
웹사이트
How to sample without getting sued
https://www.redbull.[...]
2021-06-04
[57]
웹사이트
A homeless LA musician helped create a Daft Punk classic. So why hasn't he seen a dime?
https://www.latimes.[...]
2021-05-07
[58]
뉴스
Songs on Trial: 12 Landmark Music Copyright Cases
https://www.rollings[...]
2018-10-12
[59]
서적
Hip Hop America
https://play.google.[...]
Penguin
2016-12-11
[60]
웹사이트
Songwriter wins large settlement in rap suit
https://www.latimes.[...]
2022-08-06
[61]
뉴스
The court case that changed hip-hop — from Public Enemy to Kanye — forever
https://www.washingt[...]
2018-10-12
[62]
간행물
The Dust Brothers: sampling, remixing & the Boat studio
http://www.soundonso[...]
SOS Publications Group
2011-07-25
[63]
간행물
Beastie Boys Emerge Victorious In Sampling Suit
http://www.billboard[...]
2020-05-24
[64]
웹사이트
Madonna gets victory over 'Vogue' sample at appeals court
https://www.hollywoo[...]
2022-12-17
[65]
웹사이트
Untangling the knotty world of hip-hop copyright
https://www.factmag.[...]
2022-12-17
[66]
뉴스
Kraftwerk win 20-year sampling copyright case
https://www.bbc.com/[...]
2020-02-01
[67]
웹사이트
History of Sampling
http://www.joyfulnoi[...]
Joyful Noise Recordings
2013-09-27
[68]
웹사이트
Clyde Stubblefield, James Brown's 'Funky Drummer,' Dead at 73
https://www.rollings[...]
2021-09-27
[69]
문서
The transparent tape music festival
http://sfsound.org/t[...]
[70]
문서
Sampling: A Cultural Perspective
http://www.lavelysin[...]
[71]
서적
ブラッドリー
2008
[72]
문서
サンプリングの17年
[73]
서적
Guinness World Records 2001
2001
[74]
웹사이트
20190213_平沢進+斎藤環 をオンラインで鑑賞 {{!}} Vimeo オンデマンド
https://vimeo.com/on[...]
2019-08-27
[75]
웹사이트
https://www.hmv.co.j[...]
[76]
웹사이트
ORICON STYLE
http://www.oricon.co[...]
[77]
웹사이트
ORICON STYLE
http://www.oricon.co[...]
[78]
웹사이트
米津玄師「KICK BACK」がアメリカレコード協会でゴールド認定、日本語曲では初の快挙(写真6枚 / 動画あり)
https://natalie.mu/m[...]
2023-10-26
[79]
웹사이트
https://www.sponichi[...]
[80]
문서
KICK THE CAN CREW「クリスマス・イブRap」, SEAMO「ルパン・ザ・ファイヤー」, HALCALI「Re:やさしい気持ち」
http://music.yahoo.c[...]
[81]
웹사이트
http://www.daily.co.[...]
[82]
서적
Black's Law Dictionary 8th ed.
West Group
2004
[83]
간행물
アメリカにおけるミュージック・サンプリング訴訟に関する一考察(1) : Newton判決とBridgeport判決が与える影響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21世紀COEプログラム「新世代知的財産法政策学の国際拠点形成」事務局
2009-03
[84]
웹사이트
CAMPBELL, AKA SKYYWALKER, ET AL. vs ACUFF-ROSE MUSIC, Inc.
http://www.softic.or[...]
www.softic.or.jp/
2010-10-23
[85]
간행물
BMR誌
1990-12
[86]
웹사이트
http://www.sxdb.net/[...]
[87]
웹사이트
http://www.joyfulno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