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길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길수는 고구려사, 경제사, 불교, 에스페란토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 역사학자이다. 국제대학을 졸업하고 단국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서경대학교 금융경제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고구려연구회 회장 및 이사장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고구려 역사, 경제사, 불교이며, 고구려사 연구와 동북공정 대응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대학교 (서울) 동문 - 김동연
김동연은 1957년 충청북도 음성군 출생으로, 행정고시와 입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고 경기도지사로 당선되었다. - 국제대학교 (서울) 동문 - 김동완 (1935년)
김동완(1935년)은 기상캐스터,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KBS, MBC, TBC 등에서 일기예보를 진행했고, 저서로는 《날씨 때문에 속상하시죠》, 《날씨의 신비》가 있다. - 서경대학교 교수 - 신직수
신직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법무관,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거쳤으며, 중앙정보부장 재직 시 울릉도 간첩단 사건 등 여러 논란에 휘말렸고, 이후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핀들레이 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서경대학교 교수 - 양명문
양명문은 평안남도 평양 출신의 시인이자 교육자로, 시집 『화수원』으로 등단하여 〈명태〉 등의 시를 발표하고 여러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격동의 시대상을 반영한 작품들을 남겨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길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서길수 |
원어 이름 | 徐吉洙 |
출생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화순 |
사망 | |
국적 |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력 | 국제대학교 경제학 학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
경력 | |
직업 | 경제학자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 |
소속 | 서경대학교 명예교수 |
활동 기간 | 1979년 ~ |
가족 | |
배우자 | 이은금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서길수 |
2. 이력
이천 서길수는 1969년 국제대학을 졸업하고, 1973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했다. 1979년 단국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 경력 ===
이천을 본관으로 하는 역사학자 겸 저술가이다. 1979년 단국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해 모교인 국제대에 경제학과 전임강사로 임용되었다.
- 1971. 06. ~ 1974. 02.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 1979. 03. ~ 1981. 02. 국제대학 경제학과 전임강사 (문교부 대학 1040-583, 1979. 4. 26)
- 1981. 03. ~ 1985. 09. 국제대학 경제학과 조교수 (문교부 대학 1041. 5-494, 1981. 5. 13)
- 1985. 09. ~ 2003. 02. 국제대학ㆍ서경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국제대학 제387호, 1985. 9. 18)
- 2003. 03. ~ 2009. 08. 서경대학교 금융경제학과 교수(정년퇴임)
- 1976. 03. ~ 1990. 숙명여대, 단국대, 이화여대, 국민대, 동국대 강사
- 1981. 07. ~ 1995. 07. 세계 에스페란토협회 이사 및 임원 역임(현재 명예회원)
- 1994. 06. ~ 2004. 09.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창립ㆍ회장⦁이사장
- 1994. 09. ~ 2007. 11.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이사장
- 1997. 10. ~ 2001. 09. 문화재관리국 북한문화재 연구위원
- 1989. 01. ~ 2009. 경제사학회 이사ㆍ부회장
- 1989. 01. ~ 2009. 한국경제학회 회원
- 1998. ~ 2009. 한국고대사학회 회원
- 1998. ~ 2009. 한국사연구회 회원
- 1999. ~ 2009. 한국고고학회 회원
2. 1. 학력
이천 서길수는 1969년 국제대학을 졸업하고, 1973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했다. 1979년 단국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2. 2. 경력
이천을 본관으로 하는 역사학자 겸 저술가이다. 1973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1979년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제대 경제학과 전임강사로 임용되었다.- 1971. 06. ~ 1974. 02. 국제대학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 1979. 03. ~ 1981. 02. 국제대학 경제학과 전임강사 (문교부 대학 1040-583, 1979. 4. 26)
- 1981. 03. ~ 1985. 09. 국제대학 경제학과 조교수 (문교부 대학 1041. 5-494, 1981. 5. 13)
- 1985. 09. ~ 2003. 02. 국제대학ㆍ서경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국제대학 제387호, 1985. 9. 18)
- 2003. 03. ~ 2009. 08. 서경대학교 금융경제학과 교수(정년퇴임)
- 1976. 03. ~ 1990. 숙명여대, 단국대, 이화여대, 국민대, 동국대 강사
- 1981. 07. ~ 1995. 07. 세계 에스페란토협회 이사 및 임원 역임(현재 명예회원)
- 1994. 06. ~ 2004. 09.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창립ㆍ회장⦁이사장
- 1994. 09. ~ 2007. 11.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이사장
- 1997. 10. ~ 2001. 09. 문화재관리국 북한문화재 연구위원
- 1989. 01. ~ 2009. 경제사학회 이사ㆍ부회장
- 1989. 01. ~ 2009. 한국경제학회 회원
- 1998. ~ 2009. 한국고대사학회 회원
- 1998. ~ 2009. 한국사연구회 회원
- 1999. ~ 2009. 한국고고학회 회원
- 2013. ~ 현재 고구려ㆍ발해학회 고문
- 2016. ~ 현재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명예회원
3. 연구 업적
wikitext
서길수는 경제사, 고구리(高句麗)사, 불교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 경제사 ==
- 「이이의 사회경제사상연구」,《학술논총》(1),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6.
- 「공자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문집》(6), 1978.
- 「이자사상 연구」,《산업경영논총》(1), 국제대학 산업경영연구소, 1982.
- 「고려시대의 상평창에 관한 연구」,《정경연구소논문집》(6), 숙명여자대학교 정경연구소, 1977.
- 「환곡이자의 변천과정」,《학술논총》(2),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8.
-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학술논총》(3),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9.
- 「고대한국의 창름제도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지》(15), 1978.
-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1)」,《국제대학논문집》(7), 박사학위논문1, 1979.
-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Ⅱ)」,《국제대학논문집》(8), 박사학위논문2, 1980.
- 「고려시대 대차관계 및 이자 연구」,《국제대학논문집》)(9), 1981.
- 「古代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경제사학》(5), 경제사학회, 1981.
- 「조선전기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문집》(10), 1982.
- 「조선후기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Ⅰ)」 - 법정이자율의 변천과 행전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31), 한국경제학회, 1983.
- 「조선후기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Ⅱ)」 -차전동기 및 담보, 보증제도를 중심으로-, 《국제대학논문집》(12), 1984.
- 「조선 후기의 상인과 상인사상」,《한국기업경영의 역사적 성격》, 황명수박사회갑기념논문집, 1986.
- 「개항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Ⅰ)」 -대차관계법령분석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34), 한국경제학회, 1986.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Ⅱ)」 -민간식이의 형태와 이자를 중심으로-, 《국제대학논문집》(15), 1987.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Ⅲ)」 -관부식리의 고리화와 외국자본의 식리 활동을 중심으로-,《경제사학》(12), 경제사학회, 1988.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Ⅳ)」 -차전계층과 차전동기를 중심으로-, 《서경대학논문집》(17), 1993.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Ⅴ)」 -채권의 담보와 보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8), 서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4.
- 「좌관대식기와 삼국의 이자」,《백제 좌관대식기의 세계》, 국립부여박물관ㆍ경기대전통 문화콘텐츠연구소, 2009. 5.
- 「고고학을 통한 경제사 연구 시론」,《매체와 소통으로 보는 역사》, 전국역사학회, 2009. 5.
== 고구리(高句麗) ==
=== 고구리(高句麗) 산성 ===
- 「송화강 유역의 고구려산성 연구(1)」-제2송화강 중류 지린시를 중심으로-, 《고구려연구》(1), 학연문화사, 1995.
- 「길림 동단산 주위의 고구려 유적ㆍ유물에 관한 연구」,《문화사학》(6ㆍ7), 1997.
- 「석대자산성을 통해서 본 고구려 산성의 특징」,《고구려연구》(7), 고구려연구회, 1999.
- 「고구려 축성법 연구(1)-石城의 體性 築造法을 中心으로」,《고구려연구》(8), 고구려연구회, 1999.
- 「고구려 축성법 연구(2)-女墻과 柱洞」,《문화사학》(11), 한국문화사학회, 1999.
- 「벽류하 류역의 고구려 산성과 관방체계」,《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고구려 축성법 연구(3)-雉, 角臺, 敵臺」,《고구려연구》(12), 고구려연구회, 2001.
- 「고구려 축성 연구-城墻石洞(柱洞)」,東北亞考古資料論文集(4), 北方文物雜志社, 2002.
- 「홀본과 국내성 지역의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고구려연구》(15), 학연문화사, 2003.
-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성과 축성술」,《고구려연구》(17), 학연문화사, 2004.
- 「축성법을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고구려연구》(18), 학연문화사, 2004.
- 「오녀산성ㆍ국내성ㆍ환도산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고구려연구》(19), 학연문화사, 2005.
- 「고구려 축성법 연구(4)-城門(Ⅰ) 甕城의 類型 分類」,《한국고대문화연구》, 백산자료원, 2005.
- 「오녀산성 축성법 연구」, 《고구려연구》(20), 학연문화사, 2005.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고구려연구》(22), 학연문화사, 2006.
- 「고구려 석성의 시원에 관한 연구 -신석기시대 석성-」,《고구려연구》(23), 학연문화사, 2006.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고구려발해연구》(31), 고구려발해학회, 학연문화사, 2008.
- 「고구려 축성법 연구(5) -성문(Ⅱ)-」,《사회과학논총》(28), 서경대학교, 2009.
=== 고구리(高句麗)ㆍ발해 유적 유물 ===
- 「북한에서의 광개토호태왕비 탁본과 비문에 관한 연구」,《광개토호태왕비 연구 100년, 고구려연구》(2) 고구려연구회, 1996.
-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현황과 보존방향」,《고구려연구》(3), 고구려연구회, 1997.
- 「고구려 수공업 제품에 대하여」,《고구려연구》(5), 고구려연구회, 1998.
- 「발해 수공업 연구」,《고구려연구》(6), 고구려연구회, 1998.
- 「고구려 유적 기와에 관한 조사 연구」(공동),《고구려연구》(7), 고구려연구회, 1999.
- 「중원고구려비 신석문 국제워크샵과 국제학술대회」,《고구려연구》(10), 고구려연구회, 2000.
- 「구리시 고구려 유적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광개토태왕과 고구려 남진정책》, 고구려연구회, 2002.
- 「유럽학계의 광개토태왕비 조사와 연구」,《고구려연구》(21), 학연문화사, 2005.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고구려연구》(22), 학연문화사, 2006.
=== 동북공정ㆍ백두산 ===
- 「중국의 역사 왜곡 현장에 관한 사례 분석」,《고구려연구」(20), 학연문화사, 2005.
- 「고구려 정체성에 대한 중국의 연구현황과 논리」,《한민족의 북방영역》, 북방문제연구소, 2005.
- 「중화인민공화국 학자의 고구려 왕릉 비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구려연구》(29), 2007.
- 「중화인민공화국 동북공정 5년 성과와 전망」,《고구려연구》(29), 학연문화사, 2007.
- 「간도협약 직전(1908)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 사건에 관한 연구」,《백산학보》(83), 백산학회, 2009.
- 「한국은 사실상 중국의 일부다?」,《2017 금요조찬포럼(21)》, KEF 광주경경자총협회, 2017.
=== 나라 이름 “고구리(高句麗)ㆍ고리(高麗)” ===
- 「‘高句麗’와 ‘高麗’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高句麗硏究》(27), 2007.
- 「高句麗⦁高麗의 나라이름(國名)에 관한 연구(1)」, 《高句麗渤海硏究》(50), 2014. 11.
- 「각저총의 사신도와 조우관에 대한 재검토」, 《역사민속학》(46), 2014. 11.
- 「6세기 인도의 천하관(天竺=中國)과 高(句)麗의 위상에 관한 연구」, 《백산학보》(100), 2014. 12.
- 「외국 高句麗 인물화에 나타난 닭깃털관(鷄羽冠)과 高句麗의 위상 연구」, 《高句麗渤海硏究》(51), 2015. 3.
- 「통일 코리아의 나라이름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학연구센터, 《한국사 속의 나라이름과 겨레이름 3》, 2015. 12. 21.
- 「시안(西安) 출토 도관칠국육판은합(都管七國六瓣銀盒)에 새겨진 “고리국(高麗國)”의 연대에 대한 연구」《高句麗渤海硏究》(62), 2018. 11.
- 「아프라시압 벽화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Ⅰ)」,《高句麗渤海硏究》 (66), 2020.
- 「아프라시압 벽화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Ⅱ)」, 《동북아역사논총》 (68), 2020.
- 「일본 호류지(法隆寺) 불상 대좌에 그려진 고구리(高句麗) 인물상 연구」,《高句麗渤海硏究》 (67), 2020.
=== 고구리(高句麗) 역사 일반논문 ===
- 「고구려 후손의 현황과 의식에 관한 연구」, -중국 요령성 태안현 대고려방진거주 후손을 중심으로-《고구려연구》(1),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1995.
- 「서희의 가계연구」,《고구려연구 학술총서》(2), 고구려연구회, 1999.
- 「역사와 고구려 드라마 ‘주몽’」,《고구려연구》(28), 고구려연구회, 2007.
=== 번역 ===
- 「대련지구에 있는 4개의 고구려 산성에 대한 소고」,《고구려연구》(9), 학연문화사, 2000.
- 「비사성」,《고구려연구》(9),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2000.
- 「발해국」(중국 이전복의《발해국》)(공동),《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고구려의 귀속문제에 관한 몇 가지 논쟁의 초점」,《고구려연구》(15), 2003.
- 「적봉 영금하ㆍ음하 유역의 석성 유적」,《고구려연구》(22), 2006.
- 「주은래 총리의 중국 - 조선 관계 담화」,《고구려연구》(27), 학연문화사, 2007.
=== 답사 보고서 ===
- 「중국내고구려산성및고분유적답사현황」,《문화재연구소 해외문화유적연구 학술회의 발표논문집》, 1995.
- 「동경국립박물관‘고구려 광개토왕비탁본’전시회 참관기」,《5차 학술발표회 논집》, 고구려연구회, 1996.
- 「내몽골 대흥안령 주변 역사유적 답사기」,《고구려연구》(7), 고구려연구회, 1999.
- 「2000년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산성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2001년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산성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2001년 5월 러시아 연해주 발해성터」,《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2001年 5月 RUSSIA 연해주 발해 城址 답사보고서」,《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요서지역 역사유적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3), 고구려연구회, 2002.
- 「2002年 中國 東北地域 고구려 산성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3), 고구려연구회, 2002.
- 「부여 유적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3),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2002.
=== 학회발표, 미게재 논문 ===
- 「남북 역사학자간 교류․협력 현황 및 증진방안 -고구려사 연구를 중심으로-」, 《‘95년도 전문가 위촉과제 종합》, 통일원, 1995.
- 「하바로브스크 지역에서 발굴된 고구려식 화살촉」,《고구려연구회 8차학술발표회논집》, 1997.
- 「한일 형제론」,《바람직한 韓日關係 定立을 위한 歷史的 이데올로기》, 일본 고오베 - 한일 관계사 에스페란토 심포지움, 1997.
- 「한국 최고의 명문」,《고구려연구회 13차 정기학술발표 요약문집》, 2000.
- 「구리시고구려역사유적의지역문화 특성화 방안」, 27차 지방자치정책세미나, 《지방자치와 지역문화》,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프리드리히나우만단, 2001.
- 「다국어처리에서 다리말(橋梁語)의 조건 - 에스페란토와 정음 비교」
- 「고구려=중국사다. 중국의 논리와 국가 프로젝트 “동북공정”」, 고구려연구회 29차 정기학술발표회, 2003.
- 「중국의 고구려 유적 세계유산 등재신청 과정과 현황」, 30차 정기학술발표회, 2003.
- 「중국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과 성과」, 고구려연구회 31차 정기학술발표회, 2004.
- 「동북아 고대사 전체를 다루는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북한》 387호, 2004.
- 「한ㆍ중 고구려 연구의 현황과 고구려연구회」, 32차 정기학술발표회, 2004.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국회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회, 2005.
- 「Koguryo Fortresscs」, The Harvard Conference on Koguryo History and Archaeology, 2005.
- 「동북공정의 연구 주제 선정 과정과 성과」, 《중국의 동북공정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 학술발표 자료집》, 2006.
- 「동북공정의 고구려 연구 결과에 대한 평가」, 《중국의 동북공정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 과 평가 학술발표 자료집》, 2006.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 고조선사연구회 연구발표회, 2008.
- 「백두산ㆍ압록강ㆍ두만강 국경 연구」,《50차 고구려발해정기학술발표문집》, 고구려발해학회, 2008.
== 기타ㆍ일반논문 ==
- 「일제의 풍수침략사」,《일제잔재 19가지》, 가람기획, 1994.
- 「일본의 침략과 한말 사회의 변동 -일본의 경제침략과 한말 사회경제적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알타이 바위그림 조사」,《시베리아ㆍ국토지역의 고고ㆍ민족ㆍ인류학 문제》 VOLUME Ⅳ, part Ⅰ, 노보시비리스크, 2003, 377~380. (В. Д. Кубарев, Со Гилсу, Со Джинсу, “ОБСЛЕДОВАНИЕ ПЕТРОГЛИФОВ АЛТАЯ”, ПРОВЛЕМЫ АРХЕОЛОГ ИИ, ЕТН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ЬЛЫХ TЕРРИТОРИЙ, ТОМ Ⅳ, часть Ⅰ, НОВОСИБИРСК, 2003. 377~380. (V.D.꾸바레프, 서길수, 서진수)
- 「kiel oni pensas pri ‘kim ĉung-son(sajaka)’ en koreio」, 韓國側から見た金忠善(沙也可, 1571~1642), 2013.
- 「실크로드의 악마들, la diabloj sur Silkvojo - ĉu rabistoj aŭ savintoj」,《Internacia Kongresa Universitato 2016. 69-a sesio》, Red. J. A. Vergara kaj A. André. Scienco kaj tekniko. UEA. 로테르담. 2016.
- 「The Esperanto movement beyond Zamenh of 100 years on」,《이탈리아 정치학회 년차대회 발표논문집》, 2017.
== 불교 ==
- 「寬淨의 淨土禪 수행법에 관한 연구」, 韓國淨土學會《정토학연구》, 2015. 6.
- 「반야심주(般若心呪) 소리값(音價)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 (96), 2020.
- 「‘南無阿彌陀佛’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 (1), 《정토학연구》 (34집), 2020.
- 「‘南無阿彌陀佛’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 (2), 《정토학연구》 (35집?), 2021.
- '''고구리(高句麗) 역사'''
- * (01) 《고구려 성》, 고구려특별대전 도록, 한국방송공사, 1994.
- * (02)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사계절, 1998.
- * (03) 《대륙에 남은 고구려》, 고구려연구회, 2003.
- * (04)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 미디어채널, 2003.
- * (05) 《세계유산 고구려》, 동명, 2004.
- * (06) 《동북공정 고구려사》(번역), 사계절, 2006.
- * (07)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번역), 여유당, 2007.
- * (08) 《한말 유럽 학자의 고구려 연구》, 여유당, 2007.
- * (09) 《동북공정과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공저), 여유당, 2008.
- * (10) 《고구려 축성법 연구》, 학연문화사, 2009.
- * (11) 《백두산 국경 연구》, 여유당, 2009.
- * (12) 《고구려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 여유당, 2019. 12.
- * (13)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 여유당 2019. 12.
- * (14)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맑은나라, 2020. 12.
- * (15)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여유당, 2020. 12.
- * (16)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여유당, 2020. 12.
- '''학술탐사'''
- * (11)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 학연문화사, 2009.
- * (12) 《알타이의 자연과 문화》, 학연문화사, 2009.
- '''여행'''
- * (13) 《시베리아 횡단열차》, 1989.
- * (14) 《동유럽 민박여행》Ⅰ(불가리아ㆍ유고슬라비아ㆍ폴란드) 1989.
- * (15) 《동유럽 민박여행》Ⅱ(헝가리ㆍ체코슬로바키아ㆍ동곡), 1989.
- * (16) 《살루톤! 호주ㆍ뉴질랜드》, 경세원, 2001.
- * (17) 《시베리아횡단열차로 가보는 유라시아문화》(1~5), 미디어채널, 2004.
- '''에스페란토'''
- * (18) 《에스페란토》 초급 강습서
- * (19) 《에스페란토》 중급 강습서
- '''불교'''
- * (20) 《정토와 선》(편저), 맑은나라, 2014. 05. 30.
- * (21) 《극락과 정토선》(편저), 맑은나라, 2015. 09. 30.
- * (22) 《극락 가는 사람들》(편저), 맑은나라, 2015. 12. 25.
- * (23) 《아미따경》(전자책), 맑은나라, 2014. 05. 30.
- * (24) 《만화로 읽는 아미따경》(번역), 맑은나라, 2015. 09. 30.
- * (25) 《극락과 염불》, 맑은나라, 2016. 04. 08.
- '''기타'''
- * (26) 《우리집》(1ㆍ2ㆍ3ㆍ4ㆍ5ㆍ6), 1987ㆍ1989ㆍ1992ㆍ1995ㆍ2009ㆍ2009. <가족지>
- * (27) 《엄두를 낸 것은 할 수 있다》, 도서출판 솔과 숲, 2009. <수필집>
- * (28) 《대한민국 대학교수》, 여유당, 2009.<서길수 교수 65년 개인사>
- * (29) 《맑은나라 사람들》, 여유당, 2009. <192명이 쓴 정년퇴임 기념문집>
3. 1. 주요 연구 분야
서길수는 고구려사, 경제사, 불교, 에스페란토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1) 고구리(高句麗) 역사 연구
서길수는 고구려 역사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고구려 성》(1994),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1998), 《대륙에 남은 고구려》(2003),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2003), 《세계유산 고구려》(2004) 등 다수의 저서를 출간했다. 특히, 《고구려 축성법 연구》(2009)에서는 고구려 성곽의 축조 기술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고구려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2019),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2019)에서는 고구려와 고려의 국호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2020),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2020),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2020) 등을 통해 고구려의 국제적 위상을 조명했다.
2) 경제사 연구
경제사 분야에서는 이이의 사회경제사상, 공자의 경제사상, 이자사상 등을 연구했다. 고려시대의 상평창, 환곡이자,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특히,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1979)은 박사학위 논문으로, 개항 이후 한국 경제의 변화상을 분석했다.
3) 불교 연구
불교 분야에서는 정토와 선, 극락과 정토선, 극락 가는 사람들, 아미타경 등을 연구했다. 특히, 《정토와 선》(2014), 《극락과 정토선》(2015), 《극락 가는 사람들》(2015)은 편저로 출간되었다.
4) 기타 연구
그 외에도 학술탐사, 여행, 에스페란토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2009), 《알타이의 자연과 문화》(2009)는 학술탐사 관련 저서이며, 《시베리아 횡단열차》(1989), 《동유럽 민박여행》(1989), 《살루톤! 호주ㆍ뉴질랜드》(2001) 등은 여행 관련 저서이다. 에스페란토 초급 및 중급 강습서를 집필하기도 했다.
3. 2. 저서
- '''고구리(高句麗) 역사'''
- * (01) 《고구려 성》, 고구려특별대전 도록, 한국방송공사, 1994.
- * (02)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사계절, 1998.
- * (03) 《대륙에 남은 고구려》, 고구려연구회, 2003.
- * (04)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 미디어채널, 2003.
- * (05) 《세계유산 고구려》, 동명, 2004.
- * (06) 《동북공정 고구려사》(번역), 사계절, 2006.
- * (07)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번역), 여유당, 2007.
- * (08) 《한말 유럽 학자의 고구려 연구》, 여유당, 2007.
- * (09) 《동북공정과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공저), 여유당, 2008.
- * (10) 《고구려 축성법 연구》, 학연문화사, 2009.
- * (11) 《백두산 국경 연구》, 여유당, 2009.
- * (12) 《고구려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 여유당, 2019. 12.
- * (13)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 여유당 2019. 12.
- * (14)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맑은나라, 2020. 12.
- * (15)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여유당, 2020. 12.
- * (16)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여유당, 2020. 12.
- '''학술탐사'''
- * (11)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 학연문화사, 2009.
- * (12) 《알타이의 자연과 문화》, 학연문화사, 2009.
- '''여행'''
- * (13) 《시베리아 횡단열차》, 1989.
- * (14) 《동유럽 민박여행》Ⅰ(불가리아ㆍ유고슬라비아ㆍ폴란드) 1989.
- * (15) 《동유럽 민박여행》Ⅱ(헝가리ㆍ체코슬로바키아ㆍ동곡), 1989.
- * (16) 《살루톤! 호주ㆍ뉴질랜드》, 경세원, 2001.
- * (17) 《시베리아횡단열차로 가보는 유라시아문화》(1~5), 미디어채널, 2004.
- '''에스페란토'''
- * (18) 《에스페란토》 초급 강습서
- * (19) 《에스페란토》 중급 강습서
- '''불교'''
- * (20) 《정토와 선》(편저), 맑은나라, 2014. 05. 30.
- * (21) 《극락과 정토선》(편저), 맑은나라, 2015. 09. 30.
- * (22) 《극락 가는 사람들》(편저), 맑은나라, 2015. 12. 25.
- * (23) 《아미따경》(전자책), 맑은나라, 2014. 05. 30.
- * (24) 《만화로 읽는 아미따경》(번역), 맑은나라, 2015. 09. 30.
- * (25) 《극락과 염불》, 맑은나라, 2016. 04. 08.
- '''기타'''
- * (26) 《우리집》(1ㆍ2ㆍ3ㆍ4ㆍ5ㆍ6), 1987ㆍ1989ㆍ1992ㆍ1995ㆍ2009ㆍ2009. <가족지>
- * (27) 《엄두를 낸 것은 할 수 있다》, 도서출판 솔과 숲, 2009. <수필집>
- * (28) 《대한민국 대학교수》, 여유당, 2009.<서길수 교수 65년 개인사>
- * (29) 《맑은나라 사람들》, 여유당, 2009. <192명이 쓴 정년퇴임 기념문집>
3. 2. 1. 고구려사
서길수는 고구려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역사학자이다. 그는 고구려의 역사, 유적, 유물, 축성법, 그리고 국경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특히,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고구려사를 지키기 위한 그의 노력은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책
- 《고구리(高句麗) 역사》 (1994-2020): 《고구려 성》,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대륙에 남은 고구려》,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 《세계유산 고구려》, 《동북공정 고구려사》(번역),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번역), 《한말 유럽 학자의 고구려 연구》, 《동북공정과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공저), 《고구려 축성법 연구》, 《백두산 국경 연구》, 《고구려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등을 저술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기틀을 다졌다.
논문
- 고구리(高句麗) 산성:
- 「송화강 유역의 고구려산성 연구(1)」(1995)
- 「길림 동단산 주위의 고구려 유적ㆍ유물에 관한 연구」(1997)
- 「석대자산성을 통해서 본 고구려 산성의 특징」(1999)
- 「고구려 축성법 연구(1)-石城의 體性 築造法을 中心으로」(1999)
- 「고구려 축성법 연구(2)-女墻과 柱洞」(1999)
- 「벽류하 류역의 고구려 산성과 관방체계」(2001)
- 「고구려 축성법 연구(3)-雉, 角臺, 敵臺」(2001)
- 「고구려 축성 연구-城墻石洞(柱洞)」(2002)
- 「홀본과 국내성 지역의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2003)
-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성과 축성술」(2004)
- 「축성법을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2004)
- 「오녀산성ㆍ국내성ㆍ환도산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2005)
- 「고구려 축성법 연구(4)-城門(Ⅰ) 甕城의 類型 分類」(2005)
- 「오녀산성 축성법 연구」(2005)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2006)
- 「고구려 석성의 시원에 관한 연구 -신석기시대 석성-」(2006)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2008)
- 「고구려 축성법 연구(5) -성문(Ⅱ)-」(2009)
- 고구리(高句麗)ㆍ발해 유적 유물:
- 「북한에서의 광개토호태왕비 탁본과 비문에 관한 연구」(1996)
-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현황과 보존방향」(1997)
- 「고구려 수공업 제품에 대하여」(1998)
- 「발해 수공업 연구」(1998)
- 「고구려 유적 기와에 관한 조사 연구」(공동, 1999)
- 「중원 고구려비 신석문 국제워크샵과 국제학술대회」(2000)
- 「구리시 고구려 유적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2002)
- 「유럽학계의 광개토태왕비 조사와 연구」(2005)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2006)
- 동북공정ㆍ백두산:
- 「중국의 역사 왜곡 현장에 관한 사례 분석」(2005)
- 「고구려 정체성에 대한 중국의 연구현황과 논리」(2005)
- 「중화인민공화국 학자의 고구려 왕릉 비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7)
- 「중화인민공화국 동북공정 5년 성과와 전망」(2007)
- 「간도협약 직전(1908)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 사건에 관한 연구」(2009)
- 「한국은 사실상 중국의 일부다?」(2017)
- 나라 이름 “고구리(高句麗)ㆍ고리(高麗)”:
- 「‘高句麗’와 ‘高麗’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2007)
- 「高句麗⦁高麗의 나라이름(國名)에 관한 연구(1)」(2014)
- 「춤무덤의 사신도와 조우관에 대한 재검토」(2014)
- 「6세기 인도의 천하관(天竺=中國)과 高(句)麗의 위상에 관한 연구」(2014)
- 「외국 高句麗 인물화에 나타난 닭깃털관(鷄羽冠)과 高句麗의 위상 연구」(2015)
- 「통일 코리아의 나라이름 연구」(2015)
- 「시안(西安) 출토 도관칠국육판은합(都管七國六瓣銀盒)에 새겨진 “고리국(高麗國)”의 연대에 대한 연구」(2018)
- 「아프라시압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Ⅰ)」(2020)
- 「아프라시압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Ⅱ)」(2020)
- 「일본 법륭사(法隆寺) 불상 대좌에 그려진 고구리(高句麗) 인물상 연구」(2020)
- 고구리(高句麗) 역사 일반논문:
- 「고구려 후손의 현황과 의식에 관한 연구」(1995)
- 「서희의 가계연구」(1999)
- 「역사와 고구려 드리마 ‘주몽’」(2007)
- 번역:
- 「대련지구에 있는 4개의 고구려 산성에 대한 소고」(2000)
- 「비사성」(2000)
- 「발해국」(중국 이전복의《발해국》)(공동, 2001)
- 「고구려의 귀속문제에 관한 몇 가지 논쟁의 초점」(2003)
- 「적봉 영금하ㆍ음하 유역의 석성 유적」(2006)
- 「주은래 총리의 중국 - 조선 관계 담화」(2007)
- 답사 보고서:
- 「중국내고구려산성및고분유적답사현황」(1995)
- 「동경국립박물관‘고구려 광개토왕비탁본’전시회 참관기」(1996)
- 「내몽골 대흥안령 주변 역사유적 답사기」(1999)
- 「2000년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산성 답사 보고서」(2001)
- 「2001년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산성 답사 보고서」(2001)
- 「2001년 5월 러시아 연해주 발해성터」(2001)
- 「2001年 5月 RUSSIA 연해주 발해 城址 답사보고서」(2001)
- 「요서지역 역사유적 답사 보고서」(2002)
- 「2002年 中國 東北地域 고구려 산성 답사 보고서」(2002)
- 「부여 유적 답사 보고서」(2002)
- 학회발표, 미게재 논문:
- 「남북 역사학자간 교류․협력 현황 및 증진방안 -고구려사 연구를 중심으로-」(1995)
- 「하바로브스크 지역에서 발굴된 고구려식 화살촉」(1997)
- 「한일 형제론」(1997)
- 「한국 최고의 명문」(2000)
- 「구리시고구려역사유적의지역문화 특성화 방안」(2001)
- 「다국어처리에서 다리말(橋梁語)의 조건 - 에스페란토와 정음 비교」
- 「고구려=중국사다. 중국의 논리와 국가 프로젝트 “동북공정”」(2003)
- 「중국의 고구려 유적 세계유산 등재신청 과정과 현황」(2003)
- 「중국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과 성과」(2004)
- 「동북아 고대사 전체를 다루는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2004)
- 「한ㆍ중 고구려 연구의 현황과 고구려연구회」(2004)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2005)
- 「Koguryo Fortresscs」(2005)
- 「동북공정의 연구 주제 선정 과정과 성과」(2006)
- 「동북공정의 고구려 연구 결과에 대한 평가」(2006)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2008)
- 「백두산ㆍ압록강ㆍ두만강 국경 연구」(2008)
서길수는 고구려사 연구를 통해 한국 고대사의 지평을 넓혔으며, 특히 중국의 역사 왜곡에 맞서 한국사를 수호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의 연구는 앞으로도 한국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3. 2. 2. 기타 저서
wikitext- '''고구리(高句麗) 역사'''
- * (01) 《고구려 성》, 고구려특별대전 도록, 한국방송공사, 1994.
- * (02)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 사계절, 1998.
- * (03) 《대륙에 남은 고구려》, 고구려연구회, 2003.
- * (04)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 미디어채널, 2003.
- * (05) 《세계유산 고구려》, 동명, 2004.
- * (06) 《동북공정 고구려사》(번역), 사계절, 2006.
- * (07)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번역), 여유당, 2007.
- * (08) 《한말 유럽 학자의 고구려 연구》, 여유당, 2007.
- * (09) 《동북공정과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공저), 여유당, 2008.
- * (10) 《고구려 축성법 연구》, 학연문화사, 2009.
- * (11) 《백두산 국경 연구》, 여유당, 2009.
- * (12) 《고구려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 여유당, 2019. 12.
- * (13)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 여유당 2019. 12.
- * (14)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 - 막북(몽골) 초원에서 로마까지》, 맑은나라, 2020. 12.
- * (15)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여유당, 2020. 12.
- * (16)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 여유당, 2020. 12.
- '''학술탐사'''
- * (11) 《아시아의 진주 알타이》, 학연문화사, 2009.
- * (12) 《알타이의 자연과 문화》, 학연문화사, 2009.
- '''여행'''
- * (13) 《시베리아 횡단열차》, 1989.
- * (14) 《동유럽 민박여행》Ⅰ(불가리아ㆍ유고슬라비아ㆍ폴란드) 1989.
- * (15) 《동유럽 민박여행》Ⅱ(헝가리ㆍ체코슬로바키아ㆍ동곡), 1989.
- * (16) 《살루톤! 호주ㆍ뉴질랜드》, 경세원, 2001.
- * (17) 《시베리아횡단열차로 가보는 유라시아문화》(1~5), 미디어채널, 2004.
- '''에스페란토'''
- * (18) 《에스페란토》 초급 강습서
- * (19) 《에스페란토》 중급 강습서
- '''불교'''
- * (20) 《정토와 선》(편저), 맑은나라, 2014. 05. 30.
- * (21) 《극락과 정토선》(편저), 맑은나라, 2015. 09. 30.
- * (22) 《극락 가는 사람들》(편저), 맑은나라, 2015. 12. 25.
- * (23) 《아미따경》(전자책), 맑은나라, 2014. 05. 30.???
- * (24) 《만화로 읽는 아미따경》(번역), 맑은나라, 2015. 09. 30. 모두 1
- * (25) 《극락과 염불》, 맑은나라, 2016. 04. 08.
- '''기타'''
- * (26) 《우리집》(1ㆍ2ㆍ3ㆍ4ㆍ5ㆍ6), 1987ㆍ1989ㆍ1992ㆍ1995ㆍ2009ㆍ2009. <가족지>
- * (27) 《엄두를 낸 것은 할 수 있다》, 도서출판 솔과 숲, 2009. <수필집>
- * (28) 《대한민국 대학교수》, 여유당, 2009.<서길수 교수 65년 개인사>
- * (29) 《맑은나라 사람들》, 여유당, 2009. <192명이 쓴 정년퇴임 기념문집>
3. 3. 논문
- 「이이의 사회경제사상연구」,《학술논총》(1),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76.
- 「孔子의 경제사상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문집》(6), 1978.
- 「이자사상 연구」,《산업경영논총》(1), 국제대학 산업경영연구소, 1982.
== 경제사 ==
- 「고려시대의 상평창에 관한 연구」,《정경연구소논문집》(6), 숙명여자대학교 정경연구소, 1977.
- 「환곡이자의 변천과정」,《학술논총》(2),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8.
-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학술논총》(3), 단국대학교 대학원, 1979.
- 「고대한국의 창름제도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지》(15), 1978.
-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1)」,《국제대학논문집》(7), 박사학위논문1, 1979.
-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Ⅱ)」,《국제대학논문집》(8), 박사학위논문2, 1980.
- 「고려시대 대차관계 및 이자 연구」,《국제대학논문집》)(9), 1981.
- 「古代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경제사학》(5), 경제사학회, 1981.
- 「조선전기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문집》(10), 1982.
- 「조선후기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Ⅰ)」 - 법정이자율의 변천과 행전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31), 한국경제학회, 1983.
- 「조선후기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Ⅱ)」 -차전동기 및 담보, 보증제도를 중심으로-, 《국제대학논문집》(12), 1984.
- 「조선 후기의 상인과 상인사상」,《한국기업경영의 역사적 성격》, 황명수박사회갑기념논문집, 1986.
- 「개항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Ⅰ)」 -대차관계법령분석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34), 한국경제학회, 1986.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Ⅱ)」 -민간식이의 형태와 이자를 중심으로-, 《국제대학논문집》(15), 1987.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Ⅲ)」 -관부식리의 고리화와 외국자본의 식리 활동을 중심으로-,《경제사학》(12), 경제사학회, 1988.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Ⅳ)」 -차전계층과 차전동기를 중심으로-, 《서경대학논문집》(17), 1993.
-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Ⅴ)」 -채권의 담보와 보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8), 서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4.
- 「좌관대식기와 삼국의 이자」,《백제 좌관대식기의 세계》, 국립부여박물관ㆍ경기대전통 문화콘텐츠연구소, 2009. 5.
- 「고고학을 통한 경제사 연구 시론」,《매체와 소통으로 보는 역사》, 전국역사학회, 2009. 5.
== 고구리(高句麗) ==
=== 고구리(高句麗) 산성 ===
- 「송화강 유역의 고구려산성 연구(1)」-제2송화강 중류 지린시를 중심으로-, 《고구려연구》(1), 학연문화사, 1995.
- 「길림 동단산 주위의 고구려 유적ㆍ유물에 관한 연구」,《문화사학》(6ㆍ7), 1997.
- 「석대자산성을 통해서 본 고구려 산성의 특징」,《고구려연구》(7), 고구려연구회, 1999.
- 「고구려 축성법 연구(1)-石城의 體性 築造法을 中心으로」,《고구려연구》(8), 고구려연구회, 1999.
- 「고구려 축성법 연구(2)-女墻과 柱洞」,《문화사학》(11), 한국문화사학회, 1999.
- 「벽류하 류역의 고구려 산성과 관방체계」,《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고구려 축성법 연구(3)-雉, 角臺, 敵臺」,《고구려연구》(12), 고구려연구회, 2001.
- 「고구려 축성 연구-城墻石洞(柱洞)」,東北亞考古資料論文集(4), 北方文物雜志社, 2002.
- 「홀본과 국내성 지역의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고구려연구》(15), 학연문화사, 2003.
-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성과 축성술」,《고구려연구》(17), 학연문화사, 2004.
- 「축성법을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고구려연구》(18), 학연문화사, 2004.
- 「오녀산성ㆍ국내성ㆍ환도산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고구려연구》(19), 학연문화사, 2005.
- 「고구려 축성법 연구(4)-城門(Ⅰ) 甕城의 類型 分類」,《한국고대문화연구》, 백산자료원, 2005.
- 「오녀산성 축성법 연구」, 《고구려연구》(20), 학연문화사, 2005.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고구려연구》(22), 학연문화사, 2006.
- 「고구려 석성의 시원에 관한 연구 -신석기시대 석성-」,《고구려연구》(23), 학연문화사, 2006.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고구려발해연구》(31), 고구려발해학회, 학연문화사, 2008.
- 「고구려 축성법 연구(5) -성문(Ⅱ)-」,《사회과학논총》(28), 서경대학교, 2009.
=== 고구리(高句麗)ㆍ발해 유적 유물 ===
- 「북한에서의 광개토호태왕비 탁본과 비문에 관한 연구」,《광개토호태왕비 연구 100년, 고구려연구》(2) 고구려연구회, 1996.
-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현황과 보존방향」,《고구려연구》(3), 고구려연구회, 1997.
- 「고구려 수공업 제품에 대하여」,《고구려연구》(5), 고구려연구회, 1998.
- 「발해 수공업 연구」,《고구려연구》(6), 고구려연구회, 1998.
- 「고구려 유적 기와에 관한 조사 연구」(공동),《고구려연구》(7), 고구려연구회, 1999.
- 「중원고구려비 신석문 국제워크샵과 국제학술대회」,《고구려연구》(10), 고구려연구회, 2000.
- 「구리시 고구려 유적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광개토태왕과 고구려 남진정책》, 고구려연구회, 2002.
- 「유럽학계의 광개토태왕비 조사와 연구」,《고구려연구》(21), 학연문화사, 2005.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고구려연구》(22), 학연문화사, 2006.
=== 동북공정ㆍ백두산 ===
- 「중국의 역사 왜곡 현장에 관한 사례 분석」,《고구려연구」(20), 학연문화사, 2005.
- 「고구려 정체성에 대한 중국의 연구현황과 논리」,《한민족의 북방영역》, 북방문제연구소, 2005.
- 「중화인민공화국 학자의 고구려 왕릉 비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고구려연구》(29), 2007.
- 「중화인민공화국 동북공정 5년 성과와 전망」,《고구려연구》(29), 학연문화사, 2007.
- 「간도협약 직전(1908)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 사건에 관한 연구」,《백산학보》(83), 백산학회, 2009.
- 「한국은 사실상 중국의 일부다?」,《2017 금요조찬포럼(21)》, KEF 광주경경자총협회, 2017.
=== 나라 이름 “고구리(高句麗)ㆍ고리(高麗)” ===
- 「‘高句麗’와 ‘高麗’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高句麗硏究》(27), 2007.
- 「高句麗⦁高麗의 나라이름(國名)에 관한 연구(1)」, 《高句麗渤海硏究》(50), 2014. 11.
- 「각저총의 사신도와 조우관에 대한 재검토」, 《역사민속학》(46), 2014. 11.
- 「6세기 인도의 천하관(天竺=中國)과 高(句)麗의 위상에 관한 연구」, 《백산학보》(100), 2014. 12.
- 「외국 高句麗 인물화에 나타난 닭깃털관(鷄羽冠)과 高句麗의 위상 연구」, 《高句麗渤海硏究》(51), 2015. 3.
- 「통일 코리아의 나라이름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학연구센터, 《한국사 속의 나라이름과 겨레이름 3》, 2015. 12. 21.
- 「시안(西安) 출토 도관칠국육판은합(都管七國六瓣銀盒)에 새겨진 “고리국(高麗國)”의 연대에 대한 연구」《高句麗渤海硏究》(62), 2018. 11.
- 「아프라시압 벽화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Ⅰ)」,《高句麗渤海硏究》 (66), 2020.
- 「아프라시압 벽화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 - 高句麗 사신 사행(使行) 부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Ⅱ)」, 《동북아역사논총》 (68), 2020.
- 「일본 호류지(法隆寺) 불상 대좌에 그려진 고구리(高句麗) 인물상 연구」,《高句麗渤海硏究》 (67), 2020.
=== 고구리(高句麗) 역사 일반논문 ===
- 「고구려 후손의 현황과 의식에 관한 연구」, -중국 요령성 태안현 대고려방진거주 후손을 중심으로-《고구려연구》(1),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1995.
- 「서희의 가계연구」,《고구려연구 학술총서》(2), 고구려연구회, 1999.
- 「역사와 고구려 드라마 ‘주몽’」,《고구려연구》(28), 고구려연구회, 2007.
=== 번역 ===
- 「대련지구에 있는 4개의 고구려 산성에 대한 소고」,《고구려연구》(9), 학연문화사, 2000.
- 「비사성」,《고구려연구》(9),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2000.
- 「발해국」(중국 이전복의《발해국》)(공동),《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고구려의 귀속문제에 관한 몇 가지 논쟁의 초점」,《고구려연구》(15), 2003.
- 「적봉 영금하ㆍ음하 유역의 석성 유적」,《고구려연구》(22), 2006.
- 「주은래 총리의 중국 - 조선 관계 담화」,《고구려연구》(27), 학연문화사, 2007.
=== 답사 보고서 ===
- 「중국내고구려산성및고분유적답사현황」,《문화재연구소 해외문화유적연구 학술회의 발표논문집》, 1995.
- 「동경국립박물관‘고구려 광개토왕비탁본’전시회 참관기」,《5차 학술발표회 논집》, 고구려연구회, 1996.
- 「내몽골 대흥안령 주변 역사유적 답사기」,《고구려연구》(7), 고구려연구회, 1999.
- 「2000년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산성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2001년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산성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2001년 5월 러시아 연해주 발해성터」,《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2001年 5月 RUSSIA 연해주 발해 城址 답사보고서」,《고구려연구》(11), 고구려연구회, 2001.
- 「요서지역 역사유적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3), 고구려연구회, 2002.
- 「2002年 中國 東北地域 고구려 산성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3), 고구려연구회, 2002.
- 「부여 유적 답사 보고서」,《고구려연구》(13), 고구려연구회, 학연문화사, 2002.
=== 학회발표, 미게재 논문 ===
- 「남북 역사학자간 교류․협력 현황 및 증진방안 -고구려사 연구를 중심으로-」, 《‘95년도 전문가 위촉과제 종합》, 통일원, 1995.
- 「하바로브스크 지역에서 발굴된 고구려식 화살촉」,《고구려연구회 8차학술발표회논집》, 1997.
- 「한일 형제론」,《바람직한 韓日關係 定立을 위한 歷史的 이데올로기》, 일본 고오베 - 한일 관계사 에스페란토 심포지움, 1997.
- 「한국 최고의 명문」,《고구려연구회 13차 정기학술발표 요약문집》, 2000.
- 「구리시고구려역사유적의지역문화 특성화 방안」, 27차 지방자치정책세미나, 《지방자치와 지역문화》,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프리드리히나우만단, 2001.
- 「다국어처리에서 다리말(橋梁語)의 조건 - 에스페란토와 정음 비교」
- 「고구려=중국사다. 중국의 논리와 국가 프로젝트 “동북공정”」, 고구려연구회 29차 정기학술발표회, 2003.
- 「중국의 고구려 유적 세계유산 등재신청 과정과 현황」, 30차 정기학술발표회, 2003.
- 「중국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과 성과」, 고구려연구회 31차 정기학술발표회, 2004.
- 「동북아 고대사 전체를 다루는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북한》 387호, 2004.
- 「한ㆍ중 고구려 연구의 현황과 고구려연구회」, 32차 정기학술발표회, 2004.
-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국회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회, 2005.
- 「Koguryo Fortresscs」, The Harvard Conference on Koguryo History and Archaeology, 2005.
- 「동북공정의 연구 주제 선정 과정과 성과」, 《중국의 동북공정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 학술발표 자료집》, 2006.
- 「동북공정의 고구려 연구 결과에 대한 평가」, 《중국의 동북공정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 과 평가 학술발표 자료집》, 2006.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 고조선사연구회 연구발표회, 2008.
- 「백두산ㆍ압록강ㆍ두만강 국경 연구」,《50차 고구려발해정기학술발표문집》, 고구려발해학회, 2008.
== 기타ㆍ일반논문 ==
- 「일제의 풍수침략사」,《일제잔재 19가지》, 가람기획, 1994.
- 「일본의 침략과 한말 사회의 변동 -일본의 경제침략과 한말 사회경제적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알타이 바위그림 조사」,《시베리아ㆍ국토지역의 고고ㆍ민족ㆍ인류학 문제》 VOLUME Ⅳ, part Ⅰ, 노보시비리스크, 2003, 377~380. (В. Д. Кубарев, Со Гилсу, Со Джинсу, “ОБСЛЕДОВАНИЕ ПЕТРОГЛИФОВ АЛТАЯ”, ПРОВЛЕМЫ АРХЕОЛОГ ИИ, ЕТН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ЬЛЫХ TЕРРИТОРИЙ, ТОМ Ⅳ, часть Ⅰ, НОВОСИБИРСК, 2003. 377~380. (V.D.꾸바레프, 서길수, 서진수)
- 「kiel oni pensas pri ‘kim ĉung-son(sajaka)’ en koreio」, 韓國側から見た金忠善(沙也可, 1571~1642), 2013.
- 「실크로드의 악마들, la diabloj sur Silkvojo - ĉu rabistoj aŭ savintoj」,《Internacia Kongresa Universitato 2016. 69-a sesio》, Red. J. A. Vergara kaj A. André. Scienco kaj tekniko. UEA. 로테르담. 2016.
- 「The Esperanto movement beyond Zamenh of 100 years on」,《이탈리아 정치학회 년차대회 발표논문집》, 2017.
== 불교 ==
- 「寬淨의 淨土禪 수행법에 관한 연구」, 韓國淨土學會《정토학연구》, 2015. 6.
- 「반야심주(般若心呪) 소리값(音價)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 (96), 2020.
- 「‘南無阿彌陀佛’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 (1), 《정토학연구》 (34집), 2020.
- 「‘南無阿彌陀佛’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 (2), 《정토학연구》 (35집?), 2021.
3. 3. 1. 경제사
(04) 「고려시대의 상평창에 관한 연구」,《정경연구소논문집》(6), 숙명여대 정경연구소, 1977.(05) 「환곡이자의 변천과정」,《학술논총》(2), 단국대 대학원, 1978.
(06)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학술논총》(3), 단국대 대학원, 1979.
(07) 「고대한국의 창름제도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지》(15), 1978.
(08)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1)」,《국제대학논문집》(7), 박사학위논문1, 1979.
(09) 「개항 후 이자부자본에 관한 사적고찰(Ⅱ)」,《국제대학논문집》(8), 박사학위논문2, 1980.
(10) 「고려시대 대차관계 및 이자 연구」,《국제대학논문집》)(9), 1981.
(11) 「古代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경제사학》(5), 경제사학회, 1981.
(12) 「조선전기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국제대학논문집》(10), 1982.
(13) 「조선후기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Ⅰ)」 - 법정이자율의 변천과 행전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31), 한국경제학회, 1983.
(14) 「조선후기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Ⅱ)」 -차전동기 및 담보, 보증제도를 중심으로-, 《국제대학논문집》(12), 1984.
(15) 「조선 후기의 상인과 상인사상」,《한국기업경영의 역사적 성격》, 황명수박사회갑기념논문집, 1986.
(16) 「개항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Ⅰ)」 -대차관계법령분석을 중심으로-, 《경제학연구》(34), 한국경제학회, 1986.
(17)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Ⅱ)」 -민간식이의 형태와 이자를 중심으로-, 《국제대학논문집》(15), 1987.
(18)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Ⅲ)」 -관부식리의 고리화와 외국자본의 식리 활동을 중심으로-,《경제사학》(12), 경제사학회, 1988.
(19)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Ⅳ)」 -차전계층과 차전동기를 중심으로-, 《서경대학논문집》(17), 1993.
(20) 「개항 후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Ⅴ)」 -채권의 담보와 보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8), 서경대 사회과학연구소, 1994.
(21) 「좌관대식기와 삼국의 이자」,《백제 좌관대식기의 세계》, 국립부여박물관ㆍ경기대전통 문화콘텐츠연구소, 2009. 5.
(22) 「고고학을 통한 경제사 연구 시론」,《매체와 소통으로 보는 역사》, 전국역사학회, 2009. 5.
3. 3. 2. 고구려사
서길수는 고구려사 연구에 평생을 바친 학자로, 다양한 저술과 논문을 통해 고구려사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고구려의 성곽, 유적, 유물, 그리고 국호 문제에 대한 연구가 돋보인다.1) 고구려사 관련 저술
- 《고구리(高句麗) 역사》 (1994-2020): 16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술로, 고구려의 역사, 유적, 유물, 축성법, 국경, 국호 문제 등을 총망라한다. 특히 《고구려 성》(1994), 《고구려 역사유적 답사》(1998), 《유적 유물로 보는 고구려》(2003), 《세계유산 고구려》(2004) 등은 고구려 유적과 유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보여준다. 《고구려 축성법 연구》(2009)는 고구려 성곽의 특징과 축조 기술을 분석한 역작이다. 《고구려 본디 이름 고구리(高句麗)》(2019), 《장수왕이 바꾼 나라이름 고리(高麗)》(2019), 《세계 속의 고리(高句麗)》(2020), 《실크로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2020), 《사마르칸드에 핀 고리(高句麗)의 상징 닭깃털관(鷄羽冠)》(2020) 등에서는 고구려의 국호와 관련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다.
- 《동북공정 고구려사》(2006, 번역), 《중국이 쓴 고구려 역사》(2007, 번역)는 중국 측의 고구려사 연구를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함으로써,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는 데 기여했다.
- 《한말 유럽 학자의 고구려 연구》(2007)는 19세기 말~20세기 초 유럽 학자들의 고구려 연구를 소개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국제적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동북공정과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2008, 공저)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 학계의 대응 논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고구려사 왜곡 문제에 대한 학술적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백두산 국경 연구》(2009)는 백두산을 둘러싼 역사적, 영토적 문제를 다루며, 한국의 영토 주권 수호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킨다.
2) 고구려사 관련 논문서길수는 고구려사 관련 논문을 1995년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발표하며 학문적 깊이를 더했다.
- 가) 고구려 산성:
- 「송화강 유역의 고구려산성 연구(1)」(1995)을 시작으로, 길림, 석대자산성, 벽류하 유역 등 다양한 지역의 고구려 산성을 연구했다.
- 「고구려 축성법 연구」(1999-2009) 연작 논문에서는 고구려 성곽의 체성 축조법, 여장, 주동, 치, 각대, 적대, 성문 등 세부적인 건축 기술을 분석하여 고구려 축성술의 우수성을 밝혔다.
-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의 성과 축성술」(2004)에서는 고구려 벽화에 묘사된 성곽의 모습을 통해 당시의 축성 기술을 추적했다.
- 「오녀산성 축성법 연구」(2005)에서는 오녀산성의 축성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고구려 초기 산성의 특징을 밝혀냈다.
- 「에두아르 샤반느의 고구려 국내성 탐사(1907)에 관한 연구」(2006)에서는 프랑스 학자 샤반느의 국내성 탐사 기록을 분석하여, 초기 고구려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 「하가점하층문화의 산성 연구」(2008)에서는 고구려 이전 시기 산성의 존재를 확인하여, 고구려 축성술의 기원을 탐구했다.
- 나) 고구려ㆍ발해 유적 유물:
- 「북한에서의 광개토호태왕비 탁본과 비문에 관한 연구」(1996)에서는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한 북한 측의 연구를 소개하고, 비문 해석의 쟁점을 분석했다.
- 「평양지역 고분벽화의 분포현황과 보존방향」(1997)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보존 상태를 점검하고, 보존 방안을 제시했다.
- 「고구려 수공업 제품에 대하여」(1998), 「발해 수공업 연구」(1998)에서는 고구려와 발해의 수공업 기술 수준을 조명했다.
- 「고구려 유적 기와에 관한 조사 연구」(1999, 공동)에서는 고구려 기와의 특징을 분석하여, 고구려 건축 문화의 일면을 드러냈다.
- 「구리시 고구려 유적의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2002)에서는 아차산성 등 구리시 소재 고구려 유적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 「유럽학계의 광개토태왕비 조사와 연구」(2005)에서는 유럽 학자들의 광개토대왕릉비 연구를 소개하여, 비문 연구의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 다) 동북공정ㆍ백두산:
- 「중국의 역사 왜곡 현장에 관한 사례 분석」(2005)에서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그 심각성을 알렸다.
- 「고구려 정체성에 대한 중국의 연구현황과 논리」(2005)에서는 중국 학계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학자의 고구려 왕릉 비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7), 「중화인민공화국 동북공정 5년 성과와 전망」(2007)에서는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했다.
- 「간도협약 직전(1908)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 사건에 관한 연구」(2009)에서는 청나라가 간도협약 체결 직전 백두산 국경을 조작한 사실을 밝혀내, 한국의 영토 주권 수호를 위한 역사적 근거를 제시했다.
- 「한국은 사실상 중국의 일부다?」(2017)에서는 중국의 역사 왜곡 주장을 비판하며, 한국 사회의 경각심을 촉구했다.
- **라) 나라 이름 “고구리(高句麗)ㆍ고리(高麗)”:
- 「‘高句麗’와 ‘高麗’의 소릿값(音價)에 관한 연구」(2007)에서는 고구려와 고려의 국호에 담긴 음운학적 의미를 분석했다.
- 「高句麗⦁高麗의 나라이름(國名)에 관한 연구(1)」(2014)에서는 고구려와 고려의 국호에 대한 다양한 학설을 검토하고,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 「춤무덤의 사신도와 조우관에 대한 재검토」(2014)에서는 각저총의 사신도와 조우관을 분석하여, 고구려 문화의 특징을 고찰했다.
- 「6세기 인도의 천하관(天竺=中國)과 高(句)麗의 위상에 관한 연구」(2014)에서는 6세기 인도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의 위상을 분석하여, 당시 고구려의 국제적 지위를 조명했다.
- 「외국 高句麗 인물화에 나타난 닭깃털관(鷄羽冠)과 高句麗의 위상 연구」(2015)에서는 외국 문헌에 묘사된 고구려인의 모습을 통해 고구려의 국제적 위상을 재확인했다.
- 「통일 코리아의 나라이름 연구」(2015)에서는 통일 한국의 국호 문제에 대한 역사적, 학술적 논의를 제시했다.
- 「시안(西安) 출토 도관칠국육판은합(都管七國六瓣銀盒)에 새겨진 “고리국(高麗國)”의 연대에 대한 연구」(2018)에서는 중국 시안에서 출토된 유물에 새겨진 '고리국' 명문의 연대를 분석하여, 고구려 국호 사용의 역사적 맥락을 밝혔다.
- 「아프라시압 高句麗 사절에 대한 새 논란 검토」(2020)에서는 아프라시압 벽화에 묘사된 고구려 사절에 대한 논쟁을 검토하고, 고구려 사신의 존재를 옹호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 「일본 법륭사(法隆寺) 불상 대좌에 그려진 고구리(高句麗) 인물상 연구」(2020)에서는 일본 호류지 불상 대좌에 그려진 고구려인 그림을 분석하여, 고구려와 일본 간의 문화 교류를 조명했다.
- 마) 고구려 역사 일반 논문:
- 「고구려 후손의 현황과 의식에 관한 연구」(1995)에서는 중국 요령성 태안현 대고려방진에 거주하는 고구려 후손들의 삶과 의식을 조사하여, 고구려 유민의 역사적 정체성을 탐구했다.
- 「서희의 가계연구」(1999)에서는 고려 초기의 문신 서희의 가계를 분석하여, 고구려 유민 출신 관료의 존재를 확인했다.
- 「역사와 고구려 드리마 ‘주몽’」(2007)에서는 드라마 주몽의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고, 역사 드라마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제시했다.
- 바) 번역:
- 「대련지구에 있는 4개의 고구려 산성에 대한 소고」(2000), 「비사성」(2000) 등 중국 학자의 논문을 번역하여 국내에 소개했다.
- 「발해국」(2001, 공동 번역), 「고구려의 귀속문제에 관한 몇 가지 논쟁의 초점」(2003), 「적봉 영금하ㆍ음하 유역의 석성 유적」(2006), 「주은래 총리의 중국 - 조선 관계 담화」(2007) 등 중국 측 자료를 번역하여,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기여했다.
- 사) 답사 보고서:
-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중국, 러시아 등지의 고구려, 발해 유적 답사 보고서를 꾸준히 발표하여, 현장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아) 학회 발표, 미게재 논문:
- 고구려사, 동북공정, 백두산 문제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학회 발표를 통해 학계와의 소통을 활발히 했다.
이처럼 서길수는 고구려사 연구에 헌신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그의 연구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한국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며 고구려사 왜곡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점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3. 3. 3. 기타 논문
(102) 「일제의 풍수침략사」,《일제잔재 19가지》, 가람기획, 1994.(103) 「일본의 침략과 한말 사회의 변동 -일본의 경제침략과 한말 사회경제적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4) 「알타이 바위그림 조사」,《시베리아ㆍ국토지역의 고고ㆍ민족ㆍ인류학 문제》 VOLUME Ⅳ, part Ⅰ, 노보시비리스크, 2003, 377~380. (В. Д. Кубарев, Со Гилсу, Со Джинсу, “ОБСЛЕДОВАНИЕ ПЕТРОГЛИФОВ АЛТАЯ”, ПРОВЛЕМЫ АРХЕОЛОГ ИИ, ЕТН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ЬЛЫХ TЕРРИТОРИЙ, ТОМ Ⅳ, часть Ⅰ, НОВОСИБИРСК, 2003. 377~380. (V.D.꾸바레프, 서길수, 서진수)
(105) 「kiel oni pensas pri ‘kim ĉung-son(sajaka)’ en koreio」, 韓國側から見た金忠善(沙也可, 1571~1642), 2013.
(106) 「실크로드의 악마들, la diabloj sur Silkvojo - ĉu rabistoj aŭ savintoj」,《Internacia Kongresa Universitato 2016. 69-a sesio》, Red. J. A. Vergara kaj A. André. Scienco kaj tekniko. UEA. 로테르담. 2016.
(107) 「The Esperanto movement beyond Zamenh of 100 years on」,《이탈리아 정치학회 년차대회 발표논문집》, 2017.
4. 사회 활동
고구려ㆍ발해학회 고문(2013년 ~ 현재)과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명예회원(2016년 ~ 현재)으로 활동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