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자 스트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수자 스트레스는 사회적 소수자가 겪는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소수자 지위가 차별, 편견과 같은 외부적 스트레스 요인(원접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키고, 이러한 경험이 정체성 은폐, 불안과 같은 내부적 스트레스 요인(근접 스트레스 요인)을 유발하며, 결국 건강 악화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주로 인종적 소수자와 성적 소수자를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적, 개인적 수준에서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성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민족성 - 신토
신토는 일본 고유의 종교적 관념으로, 창시자나 경전 없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가미'에 대한 믿음을 중심으로 다양한 의례와 신앙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격변을 거쳐 현재는 신사신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스트레스 -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심리적,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지속시간, 강도, 예측 가능성, 통제 가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며, 인지된 스트레스 척도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 스트레스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은 시상하부, 뇌하수체 전엽, 부신피질로 구성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며, 코르티코트로핀 방출 호르몬, 바소프레신,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코르티솔 등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를 통해 뇌와 신체에 영향을 미친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사회화
사회화는 개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학습하고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며, 콜버그, 에릭슨, 미드 등의 이론과 사회적 사전 프로그래밍 가설로 설명되고, 초기 사회화, 이차 사회화, 성별 사회화, 정치 사회화 등 다양한 유형과 계획된 사회화, 자연적 사회화, 긍정적 사회화, 부정적 사회화 등으로 구분되며, 한국 사회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함께 학교 문화, 젠더 사회화 등 새로운 과제를 맞이하고 있다. - 다수자-소수자 관계 - 민족
민족은 언어, 종교, 문화, 역사적 경험 등 특정 문화적 특징을 공유하며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사회 집단으로, 본질주의적,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고, 민족주의, 민족자결 등 다양한 사회 현상과 관련되며, 모어, 생활 양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소수자 스트레스 | |
|---|---|
| 개요 | |
| 유형 | 스트레스 |
| 하위 유형 | 만성 스트레스 |
| 관련 | 차별 왕따 사회적 낙인 사회적 배제 |
| 소수자 스트레스 | |
| 원인 | 차별적 사건 주변화 낙인 편견 |
| 영향 | 정신 건강 문제 신체 건강 문제 사회적 고립 자존감 저하 |
| 관련 집단 | 성소수자 인종적 소수자 장애인 종교적 소수자 기타 소외된 집단 |
2. 이론의 발달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1980년대 이후 사회과학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주로 인종 및 성소수자 집단의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기 위해 등장했다.
2. 1. 탄생
1980년대 이후 사회과학자들은 소수자 집단이 다수 집단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 격차를 겪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초기 연구는 주로 인종 및 성소수자 집단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백인에 비해 고혈압 발병률이 높고,[108]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LGB)는 이성애자에 비해 자살, 약물 남용, 암 등의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09][110][111] 이러한 연구는 소수자 건강 격차의 원인을 탐구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2. 1. 1. 사회적 선택 가설
소수자 건강 격차에 대한 인과적 설명 중 하나는 사회적 선택 가설이다. 이 가설은 소수자 집단의 내재적인 무언가(예: 유전)가 개인을 건강 문제에 취약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112][113]일반적으로 경험적인 연구는 이런 관점을 지지하지 않는다. 만일 소수자 개인의 나쁜 건강이 유전적으로 결정되었다면, 그들 대다수 역시 건강 격차를 겪어야 한다. 하지만 대규모 경험적 연구는 대부분의 LGB 개인이 정신병리를 가지지 않고,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심장질환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신 연구는 유전적 요소보다 환경적인 요소가 소수자 건강 격차를 더 잘 설명한다고 주장한다.[114] 사회적 선택 가설이 여전히 논의되지만, 유전적이고 기질적인 요인이 소수자 집단에서 관찰되는 건강 격차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하는 것은 명백하다.
2. 1. 2. 사회적 야기 가설
사회적 선택 가설의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사회적 야기 가설이다. 이 가설은 소수자 집단이 겪는 어려운 사회적 상황(차별, 편견, 사회경제적 불평등, 의료 접근성 제한 등)이 건강 악화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115][116] 사회 심리학자들은 소수자 개인이 편견과 차별, 불평등한 사회경제적 지위, 의료에 대한 제한된 접근을 포함한 다수와는 다른 사회적 경험을 겪음을 인식했다.[115][116] 이러한 힘든 사회적 경험이 소수자와 다수자 개인의 건강 차이를 설명한다.[17][4] 사회적 야기 가설은 광범위한 경험적 지지를 받았으며,[17][4]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의 토대가 되었다.3.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의 개요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사회적 야기 가설을 확장한 것으로, 힘든 사회적 상황이 소수자 개인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 스트레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어 장기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고 설명한다.[117][22][1][23]
이 이론은 원접인 과정과 근접인 과정을 구분한다. 원접인 과정은 소수자 개인 외부에 존재하며 거부, 편견, 차별 경험을 포함한다. 근접인 과정은 소수자 내적이며, 자신의 소수자 정체성을 은폐하거나 편견에 대한 경계와 불안, 자신이 속한 소수자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 포함하며, 종종 원접인 과정의 부산물이다.[117]
"소수자 스트레스"라는 용어는 1981년 버지니아 레이 브룩스(Virginia Rae Brooks, 이후 윈 켈리 브룩스)의 저서 ''레즈비언 여성의 소수자 스트레스''에서 처음 등장했다.[24][25] 현재 통용되는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1995년 일란 마이어(Illan Meyer)의 연구 "''게이 남성의 소수자 스트레스와 정신 건강''"에서 처음 사용되었다.[4]
3. 1. 핵심 원리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다음 세 가지 핵심 원리를 제시한다.[117]# 소수자 지위는 원접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킨다.
# 소수자 지위는 원접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근접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킨다.
# 소수자 개인은 이런 노출로 인해 유발된 건강상의 악영향으로 고통받는다.
이러한 세 가지 원리는 인종적 소수자와 성적 소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134개 이상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3] 일반적으로, 이 연구들은 힘든 사회적 상황이 소수자 개인의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으며, 소수자 스트레스가 건강 격차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3. 2. 원위 스트레스 요인과 근위 스트레스 요인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스트레스 요인을 원위 스트레스 요인과 근위 스트레스 요인으로 구분한다. 원위 스트레스 요인은 소수자 개인 외부에서 발생하는 객관적인 사건이나 조건으로, 거부, 편견, 차별 경험 등을 포함한다.[117] 근위 스트레스 요인은 소수자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는 주관적인 과정으로, 자신의 소수자 정체성을 은폐하거나, 편견에 대한 경계와 불안, 자신이 속한 소수자 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을 포함하며, 종종 원위 스트레스 요인의 부산물이다.[117]원위 스트레스 요인과 근위 스트레스 요인은 함께 시간에 걸쳐 쌓이면서 만성적으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는 안 좋은 건강 상태로 이어진다.[117] 따라서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세 가지 주요 원리를 가진다.
# 소수자 지위는 원위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킨다.
# 소수자 지위는 원위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근위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킨다.
# 소수자 개인은 이러한 노출로 인해 유발된 건강상의 악영향으로 고통받는다.
이러한 세 가지 원리는 대부분 인종적 소수자와 성적 소수자 인구 집단에 대한 134개 이상의 경험적 연구로 검증되었다. 일반적으로, 연구는 힘든 사회적 상황이 소수자 개인의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으며, 소수자 스트레스가 건강 격차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됨을 확인했다.
근위 스트레스 요인은 원위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된 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내부 과정이다.[4] 근위 스트레스 요인의 예로는 거부당할까 봐 두려움, 편견에 대한 이전 경험에 대한 반추, 그리고 편견 사건 이후 자신의 소수 집단에 대한 혐오 등이 있다.[1][23] 이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성 소수자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두 집단 간에 근위 스트레스 과정이 개념적으로 유사한지는 불분명하다. 따라서 성 소수자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집단에 대해 근위 스트레스 과정을 별도로 검토해야 한다.
4. 주요 개념의 증거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소수자 집단에 속하는 것이 편견, 차별과 같은 외부적인 스트레스 요인(원위 스트레스 요인)에 더 많이 노출되게 하고, 이는 다시 거부 공포, 내면화된 편견, 소수자 집단에 대한 불쾌감 등 내부적인 스트레스 요인(근위 스트레스 요인)을 유발하여, 결국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원위 스트레스 요인:
- LGB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개인은 이성애자에 비해 더 많은 편견과 차별을 경험한다.[119][120][121]
- LGBT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청소년의 90%가 학교에서 편견적인 발언을 듣는다.[122][123]
-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최대 60%는 학교, 주거, 고용 등에서 차별을 경험한다.[124][125][126][127]
근위 스트레스 요인:
- 성소수자: 성적 지향에 대한 차별과 편견으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 거부 민감성 등을 경험한다.
- 성별 불일치 소수자: 트랜스 혐오와 같은 스트레스는 내면화된 트랜스 혐오를 포함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진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 과거 차별 경험으로 인해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불안감이 높고, 고정관념 위협으로 인해 학업 수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 공통: 편견 경험은 반추와 같은 일반적인 심리적 스트레스 과정을 유발할 수 있다.
건강 결과:
- 소수자 집단은 다수 집단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 격차를 겪는다.
- 성소수자: 정신 질환, 약물 남용, 자살 시도 위험이 높고, 특정 암이나 면역 질환 발병률도 높다.
- 아프리카계 미국인: 뇌졸중, 주산기 질환, 당뇨병 발병률이 높고, 대장암, 췌장암, 위암 발병률 또한 높으며, 삶의 만족도가 낮고, 우울 증세와 약물 남용을 더 심하게 겪는다.
4. 1. 소수자 지위와 원위 스트레스 요인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의 첫째 원리는 소수자 집단으로 존재하는 것이 편견과 차별 같은 원위 스트레스 요인 노출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수많은 연구들은 소수자 개인이 계속해서 원위 스트레스 요인에 더 직면함을 확인했다.[118]예를 들어, LGB(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개인은 일생에 걸쳐 더 많은 편견과 차별을 보고했다.[119][120][121] LGB 성인의 25%가 성적 지향과 연관된 피해를 겪었고, LGBT(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청소년의 90%가 학교에서 편견적인 발언을 들었다고 보고했다.[122][123]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최대 60%는 삶 전반에 걸쳐 학교에서의 사회적 거부, 주거 차별, 고용 차별과 같은 다양한 원위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124][125][126][127] 한 연구에서, 37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응답자는 2년 간 있었던 100개 이상의 독립적인 인종차별적 편견 경험을 떠올렸다.[128] 또 다른 연구에서 98% 흑인 참여자가 작년에 있었던 편견 경험을 최소 하나씩은 보고했다.[129]
원위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노출 비율은 다수에 비해 인종적 소수자와 성적 소수자에서 훨씬 높았다. 예를 들면, LGB 성인은 삶에 걸쳐서 이성애자에 비해 편견 경험을 상기할 확률이 두 배 높다. LGBT 청소년은 그들의 이성애자 또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편견과 차별을 보고했다.[130][131] LGBT 청소년과 그들의 이성애자 형제자매의 피해를 비교한 결과, LGB 개인에게서 유의미하게 높은 학대 피해를 발견했다.[132]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백인 개인의 지각된 차별 비율을 비교하면, 연구자들은 차별 보고에서 더 큰 차이를 발견했다.
| 구분 | 심각한 차별 경험 | 자주 차별 경험 |
|---|---|---|
| 아프리카계 미국인 | 48.9% | 24.8% |
| 백인 | 30.9% | 3.4% |
[133]
따라서, 총괄적으로 연구는 소수자 개인이 다수 집단의 상대에 비해 자주 원위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함을 시사한다.[134][135]
4. 2. 소수자 지위와 근위 스트레스 요인
근접 스트레스 요인은 외부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된 후 발생하는 내적 과정으로 여겨진다.[4] 이러한 예로는 거부 공포, 기존 편견 경험에 대한 반추, 편견 사건에 따른 자신의 소수자 집단에 대한 불쾌 등이 있다.[1][23] 이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성 소수자 또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들 간의 근접 스트레스 요인이 개념적으로 비슷한지는 확실치 않다. 따라서 성 소수자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집단에 대한 근접 스트레스 과정은 별도로 검토해야 한다.4. 2. 1. 성소수자의 근위 스트레스 요인
성소수자는 성적 지향에 대한 차별과 편견으로 인해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 거부 민감성 등을 경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성적 지향에 대한 편견을 겪은 LGB(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청소년과 성인은 때때로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숨기기도 한다.[137][138][139] 이는 비밀에 대한 거슬리는 생각, 수치심, 죄책감, 불안, 소수자 집단의 다른 구성원과의 고립 등 심리적 고통을 유발한다.[140][141][142]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는 LGB 개인에게 흔한 또 다른 근접 스트레스 요인이다. 이는 자기혐오와 낮은 자기존중감을 유발하는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관점의 내면화를 의미한다.[143][144]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에 따르면,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는 LGB 개인이 동성 간 끌림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태도에 노출되었을 때만 발생한다는 점에서 원접 스트레스 요인의 노출과 관련이 있다.[145]
거부 민감성은 성적 소수자 개인의 세 번째 근접 스트레스 요인이다. 이는 개인의 낙인찍힌 지위에 기반한 만성적인 불안한 거부 예상을 의미한다. 성적 소수자 개인에게서 거부 민감성은 부모로부터의 거부 경험에서 비롯되며,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 소극성, 우울, 불안과 연관된다.[146][147]
이처럼 이전의 편견 경험은 LGB 개인의 근접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여기에는 성적 정체성 은폐,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 거부 민감성이 포함된다.
4. 2. 2. 성별 불일치 소수자의 근위 스트레스 요인
성별이 다른 소수자는 시스젠더(트랜스젠더가 아닌 사람)에 비해 배제, 언어적 트랜스 혐오, 신체적 및 성적 폭력과 같은 스트레스 요인을 더 많이 겪는다.[56][57][58]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은 가족, 친구, 동료, 심지어 경찰로부터도 발생할 수 있으며, 내면화된 트랜스 혐오를 포함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56][58][59] 내면화된 트랜스 혐오는 자기 수용 감소, 불안, 우울증 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소수자 스트레스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59]4. 2. 3.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근위 스트레스 요인
어빙 고프만은 인종 소수자들이 과거에 차별을 받았기 때문에 사회적 상호 작용에 높은 수준의 불안감을 가지고 접근한다고 관찰했다.[60] 고든 올포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편견에 노출된 후 경계를 보이며 잠재적인 위협을 찾기 위해 사회 환경을 적극적으로 탐색한다고 주장했다.[20] 이러한 경계는 소수자 개인에게서 감정적, 인지적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근접 스트레스 요인은 고정관념 위협 측면에서도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사이에서 입증되었다.[61][62] 연구자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학문적 맥락에서 그들의 인종적 소수자 지위를 상기할 때 높은 수준의 불안감에 직면하여 지적 수행 능력이 저하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2]4. 2. 4. 소수자 개인의 일반적인 근접 스트레스 요인
근접 스트레스 요인은 외부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된 후 발생하는 내적인 과정으로 여겨진다.[4] 이러한 예로는 거부 공포, 기존 편견 경험에 대한 반추, 편견 사건에 따른 자신의 소수자 집단에 대한 불쾌 등이 있다.[1][23]특정 소수자 집단에 고유한 근접 스트레스 요인 외에도, 일반적인 심리적 과정이 소수자 개인에게 근접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63] 예를 들어, 편견에 노출되면 반추로 이어질 수 있다. 반추는 우울 및 불안 증상을 유발하는 과거 사건에 대한 부적응적이고 반복적이며 강박적인 집중이 특징인 일반적인 심리 현상이다.[64][65]
여러 연구에서 원거리 스트레스 요인이 소수자 개인의 이러한 일반적인 근접 스트레스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종단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성적 지향과 관련된 원거리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한 게이 남성이 그렇지 않은 게이 남성에 비해 우울 및 불안 증상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66] 2009년의 또 다른 연구에서, LGBT 청소년은 원거리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한 날에 반추율이 더 높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심리적 고통과 관련이 있었다.[67] 소수자 개인이 다수자 개인에 비해 높은 비율의 원거리 스트레스 요인을 겪고, 원거리 스트레스 요인 경험이 반추 및 불안과 같은 일반적인 심리적 스트레스 과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결과는 편견과 차별이 소수자 개인의 내부 스트레스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일반적인 방식을 보여준다.
4. 3. 건강 결과
지난 삼십 년간 사회 과학자들은 소수자 집단이 다수 집단에 비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 격차를 겪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주로 인종 및 성소수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백인에 비해 고혈압 발병률이 더 높다.[108]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퀴어(LGBTQ+)는 이성애자보다 자살, 약물 남용, 암 발병률이 더 높다.[109][110][111] 이러한 건강 격차는 기대 수명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소수자 스트레스는 LGBTQ+ 사람들 사이에서 편두통,[10] 뇌졸중,[11] 기능성 신경 질환 발병률과 관련이 있다.[12][13] 여러 소수자 낙인이 중첩되면 스트레스 경험이 증가한다는 가설도 제기되고 있다.[14][15]
원위 스트레스 요인과 근위 스트레스 요인은 모두 소수자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68] 다만, 소수자 스트레스가 서로 다른 소수 집단 간에 다른 건강 결과를 유발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사회 과학자들은 LGBTQ+, 아프리카계 미국인, 이민자 집단에 대해 소수자 스트레스와 건강의 연관성을 별도로 검토해야 한다. 이민자의 역설은 이민자 집단의 건강 결과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3. 1. 성소수자의 건강
성소수자는 비성소수자에 비해 정신 질환, 약물 남용, 자살 시도 등의 위험이 높고, 특정 암이나 면역 질환 발병률도 높게 나타난다.[109][110][111]LGBT(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는 이성애자에 비해 평생 정신질환 병력을 가질 확률이 2.5배 높고, 현재 정신질환을 가질 확률이 2배 높다는 메타분석 결과도 있다.[1] 신체적으로는 일부 암과 면역장애 위험이 높다.[9]
여러 연구에서 원접 스트레스 요인과 이러한 부정적인 건강 결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국가 조사에서 LGBT 성인은 이성애자보다 높은 비율의 정신과적 질병률을 보였고, 더 높은 편견과 차별을 보고했다. 그리고 편견과 차별이 성적 지향과 LGBT 응답자의 정신과적 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히 설명했다.[38] 또 다른 연구에서는 동년배로 인한 피해 수준이 성적 지향과 자살 시도의 연관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했다.[156] 지각된 차별 수준 역시 LGB 개인들의 불안과 약물 남용 장애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7]
근접 스트레스 요인 역시 성소수자의 부정적인 건강 결과와 연관되었다. 예를 들어, 내재화된 동성애혐오는 위험한 성적 행동뿐만 아니라 자해와 식이장애와 관계가 있다.[158] 내재화된 동성애혐오는 또한 장기적인 정신 건강 결과를 예측하는 일반적인 심리적 고통과 관련이 있다.[30]
최근 증거는 근접 스트레스 요인과 LGB 공동체의 신체적 건강 격차에서 비슷한 연결고리를 시사하며, 이는 심혈관질환, 천식, 당뇨병, 일부 암을 포함한다.[159]
4. 3. 2.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건강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백인에 비해 뇌졸중, 주산기 질환, 당뇨병 발병률이 높고, 대장암, 췌장암, 위암 발병률 또한 높다.[82] 이들은 백인보다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낮고, 우울 증세와 약물 남용을 더 심하게 겪는다고 보고된다.[83][84] 평균 수명 또한 백인보다 짧다.한 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겪는 차별과 편견은 불규칙한 혈압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85][86] 또한 인종적 편견은 흡연과 약물 남용 같은 부정적인 건강 행동을 유발하여 심혈관 건강을 악화시킨다.[37][87] 2009년 메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종적 편견과 차별은 신체 건강(예: 심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과 정신 건강(예: 우울 증세, 정신적 고통)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편견 경험으로 인해 열등감과 낮은 자존감을 느끼며, 이는 정서적 고통으로 이어진다.[91] 내면화된 인종차별은 높은 알코올 소비, 낮은 자존감,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 증상과 관련이 있다.[92][93][94] 비히스패닉계 흑인은 비히스패닉계 백인보다 항우울제 처방 치료를 받을 확률이 절반 이하이다. 2009년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의 자살 사망률은 여성보다 거의 4배 높았지만, 전체 자살률은 비히스패닉계 백인보다 60% 낮았다. 1980년부터 1995년까지 10세에서 14세 사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자살률은 233% 증가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비히스패닉계 백인의 증가율 120%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5. 한국 사회와 소수자 스트레스
한국 사회는 단일민족 국가라는 인식이 강하고, 이성애 중심적이며, 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여전히 남아있는 등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소수자 집단은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6. 비판과 한계
다수의 연구에서 소수자 개인이 자신의 소수자 정체성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높은 수준으로 경험하고, 이러한 소수자 스트레스가 건강 악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에는 몇 가지 방법론적 한계와 지속적인 논쟁이 존재한다.[160][161]
첫째, 소수자 스트레스 개념은 소수자 개인의 부정적인 경험에만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고, 이들이 활용하는 독특한 대처 전략과 사회적 지지 구조를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95][96]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 문헌에서는 대처 전략의 중요성을 언급하지만,[1] 개별 연구들은 대처 전략보다는 부정적인 건강 결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수자 집단 구성원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어떤 측면이 소수자 건강 결과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조사해야 한다.
둘째,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을 전체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대부분의 연구는 소수자 개인이 높은 수준의 편견을 겪거나, 건강 불평등을 경험하거나, 편견이 건강 불평등과 관련이 있다는 세 가지 연결 고리 중 하나만을 검증한다. 이 세 영역의 연구 결과가 함께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을 뒷받침할 수는 있지만, 한 연구에서 세 부분을 모두 검증해야 더 강력한 검증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38] 소수자 스트레스의 가정된 경로를 뒷받침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소수자 스트레스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상관관계 연구이다.[3] 이러한 연구는 소수자 지위, 스트레스 요인, 건강 간의 연관성을 확립하는 데 대규모 국가 데이터 세트를 활용하는 장점이 있지만, 인과 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다. 즉, 기존 연구 대부분은 편견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그 스트레스가 소수자 개인의 건강 악화를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험적, 종단적 연구 설계를 활용하여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여러 연구에서 이러한 더 엄격한 검증 방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2][163] [97][98] 하지만 편견이 소수자 개인의 건강 악화를 유발한다고 확신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서로 다른 소수자 집단이 서로 다른 유형의 소수자 스트레스와 편견에 따른 서로 다른 건강 결과를 경험하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 소수자 스트레스 이론은 본래 LGB 개인의 사회적 상황, 스트레스, 건강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다.[1] 그러나 연구자들은 동일한 일반 이론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스트레스 과정을 조사하는 데 사용했고, 그 결과는 LGB 집단의 결과와 대체로 일치했다. 따라서 소수자 스트레스가 다양한 소수자 집단에 적용될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 다양한 소수자 집단 간의 경험, 스트레스 반응, 건강 결과를 직접 비교하는 연구는 없다.[3] 소수자 스트레스가 모든 소수자에게 광범위하게 적용되는지, 아니면 집단별로 다른 모델이 필요한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J. 마이클 베일리는 성적 지향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소수자 스트레스 모델이 기질 및 유전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베일리는 비이성애자 집단에서 스트레스 증가에 생물학적 요소가 있다고 주장하며, "무엇보다 정신 건강이 위험에 처한 게이 남성과 레즈비언을 위해, 사회 정치적 문제로 인해 연구자들이 합리적인 가설에 대한 성실한 고려를 막는다면 유감일 것이다"라고 말한다.[99]
7. 응용
소수자 스트레스 연구는 소수자 건강 불평등과 관련된 여러 특정 과정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는 원위 스트레스 요인과 근위 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를 강조하며, 소수자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요인(예: 소수자에 대한 높은 편견)과 내부 과정(예: 반추) 모두에 주목한다. 소수자 스트레스의 사회 문화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을 분리함으로써, 이 이론은 실질적인 중재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한다.[23]
7. 1. 사회적 응용
사회적 수준에서 소수자 스트레스 연구는 소수자 개인들에게 편견과 차별이 일상적이며, 이것이 개인의 복지를 손상시킨다는 걸 보여주었다. 법적 집행과 정책입안가, 사회단체는 원접 스트레스 요인의 발생을 겨냥해 최소화하고 거시적으로 소수자 보건을 증진시키는데 이런 정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편견이 소수자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다는 증거는 여러 법정 조언자 의견서가 소수자 편견과 차별에 관한 중요한 소송 사건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었다.[164][165] 편견과 차별이 LGB 개인의 복지를 해치는 소수자 스트레스와 연관이 있다는 증거는 연방의 LGB 청소년 반-괴롭힘 보호 제도에 대한 의회 논의에서 언급되었다.[23] 앞으로 소수자 스트레스 개념은 집단 간 편견을 줄이는 걸 목표하는 전국적인 캠페인과 개입을 위한 연방 재정 지원을 옹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 프로그램은 원접 스트레스 요인을 줄여 소수자 개인의 건강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7. 2. 개인적 응용
소수자 스트레스 연구는 소수자가 편견에 반응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어떤 개인은 편견 경험을 반복적으로 생각하는 반추를 하는데, 이는 불안과 우울로 이어질 수 있다.[166] 이러한 정보는 소수자 개인이 편견 경험을 반추하지 않도록 가르치는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소수자 스트레스는 내재화된 낙인이 부정적인 심리적 결과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임상가들은 내재화된 낙인을 줄이고 소수자 개인의 행복을 증진하는 조치를 개발했다.[166] 이러한 임상적 적용은 구조적 개입과 함께 사용될 때 소수자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만연한 건강 격차를 줄일 수 있다.
소수자 스트레스 연구는 소수자 건강 불평등과 관련된 여러 특정 과정을 입증했다. 예를 들어, 기존 연구는 외부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내부적인 스트레스 요인 간의 차이점을 강조하며, 소수자의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요인(예: 소수자에 대한 높은 편견)과 내부 과정(예: 반추) 모두에 주목한다. 소수자 스트레스의 사회 문화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을 분리함으로써, 이 이론은 실질적인 중재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 모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참조
[1]
논문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Conceptual issues and research evidence.
[2]
논문
Racism as a stressor for African Americans: A biopsychosocial model.
http://www.isr.umich[...]
2018-07-05
[3]
논문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4]
논문
The role of adversity and stress in psychopathology: some evid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https://pubmed.ncbi.[...]
[5]
서적
The health of sexual minorities: Public health perspectives on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opulations.
Springer
[6]
서적
Th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oncurrent criterion validity of the perceived racism scale: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White racism among African Americans.
Cobb and Henry
[7]
논문
Lifetime prevalence of suicide symptoms and affective disorders among men reporting same-sex sexual partners: Results from NHANES III
https://www.ncbi.nlm[...]
[8]
논문
Alcohol and tobacco use patterns among heterosexually and homosexually experienced California women
https://www.ncbi.nlm[...]
[9]
서적
Cancer and sexual minority women
http://eknygos.lsmun[...]
APA
[10]
논문
Migraine, Migraine Disability, Trauma, and Discrimination in Sexual and Gender Minority Individuals
2022-07-11
[11]
논문
Assessing and Addressing Cardiovascular Health in People Who Are Transgender and Gender Diver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08-10
[1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trauma type and conversion (functional neurological) disorder symptoms: a cross-sectional study
https://pubmed.ncbi.[...]
2021-06
[13]
논문
Functional Neurological Disorder Among Sexual and Gender Minority People
https://linkinghub.e[...]
2023-04
[14]
논문
Intersectional minority stress disparities among sexual minority adults in the USA: the role of race/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
2020-04
[15]
논문
Integrating the Neurobiology of Minority Stress with an Intersectionality Framework for LGBTQ-Latinx Populations: Integrating the Neurobiology of Minority Stress
2018-09
[16]
논문
Homosexuality and mental illness
https://jamanetwork.[...]
[17]
논문
Social status and psychological disorder: An issue of substance and an issue of method
https://www.jstor.or[...]
[18]
논문
The concept of race in Health Services Research: 1966 to 1990
https://www.ncbi.nlm[...]
[19]
논문
Why genes don't count (for racial differences in health)
https://www.ncbi.nlm[...]
[20]
서적
The nature of prejudice.
Anchor
[21]
논문
Violence and victimization of lesbians and gay men: Mental health consequences
http://journals.sage[...]
[22]
서적
Minority stress and lesbian women
Lexington Books.
[23]
서적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social stressors
http://eknygos.lsmun[...]
APA
[24]
논문
Sexual Minority Stress Theory: Remembering and Honoring the Work of Virginia Brooks
https://www.liebertp[...]
2020-04-01
[25]
웹사이트
Minority Stress and Lesbian Women by Virginia R. Brooks - 9780669039535
https://www.bookdepo[...]
2023-03-14
[26]
논문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The added affects of racism and discrimination
https://deepblue.lib[...]
[27]
서적
Hate crimes: Confronting violence against lesbian and gay men
https://books.google[...]
Sage
[28]
서적
Hatred in the hallways: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students in U.S. schools
https://books.google[...]
[29]
간행물
Eighty-three thousand youth: Selected findings of eight population-based studies as they pertain to anti-gay harassment and the safety and well-being of sexual minority students.
[30]
논문
Psychological sequelae of hate-crime victimization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adults.
[31]
간행물
GLSEN's national school climate survey: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s in school.
[32]
서적
Black Americans' views of racial inequality: The dream deferr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논문
Recent racial incidents in higher education: A preliminary perspective
https://deepblue.lib[...]
[34]
서적
Closed doors, opportunities lost: The continuing costs of housing discrimination.
Sage
[35]
서적
We'd love to hire them, but... The meaning of race for employers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36]
논문
The continuing significance of race: Antiblack discrimination in public places
1991
[37]
논문
The Schedule of Racist Events: A measure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a study of its nega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equences
http://journals.sage[...]
1996
[38]
논문
Mental health correlat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mong LGBTQ+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01
[39]
논문
Correlates of same-sex sexual behavior in a random sample of Massachusetts high school students
https://ajph.aphapub[...]
1998
[40]
논문
Victimization over the life span: A comparison of lesbian, gay, bisexual, and heterosexual siblings
http://tpb.psy.ohio-[...]
2005
[41]
논문
The prevalence, distribution,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jstor.or[...]
1999
[42]
서적
Faces at the bottom of the well: The permanence of racism
Basic Books
1992
[43]
서적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racism
Academic Press
1986
[44]
논문
A conceptual framework for clinical work with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clients
2012
[45]
논문
Research on the work experience of lesbian, gay, and bisexual people: an integrative review of methodology and findings
1996
[46]
논문
Disclosure of sexual/gender orientation, victimiz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older adults
2001
[47]
논문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concealing a stigma: A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model
https://www.research[...]
2007
[48]
논문
Covering up what can't be seen: Concealable stigma and mental control
https://www.research[...]
1999
[49]
서적
The power of the narrative: A multiple code accou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
[50]
논문
Concealable stigmas and positive self-perceptions: feeling better around similar others
https://wesfiles.wes[...]
1998
[51]
서적
Psychotherapeutic implications of internalized homophobia in gay men
Haworth Press
1982
[52]
서적
Internalized homophobia, intimacy, and sexual behavior among gay and bisexual men
https://books.google[...]
Sage
1998
[53]
논문
Ego-dystonic homosexuality
1980
[54]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lesbians and gay men: An examination of internalized homonegativity and rejection sensitivity as potential mechanisms
http://psycnet.apa.o[...]
2012
[55]
논문
Extension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construct to the interpersonal functioning of gay men
http://citeseerx.ist[...]
2008
[56]
논문
Violence against transgender people: A review of United States data
2009
[57]
논문
Counselling transgender individuals: Issues and considerations.
2018
[58]
논문
Understanding (and Acting On) 20 Years of Research on Violence and LGBTQ + Communities
2017
[59]
서적
ACT For Gender Identity: The Comprehensive Guid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20
[60]
서적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Hall
1963
[61]
논문
A threat in the air: how stereotypes shape intellectual identity and performance
http://psycnet.apa.o[...]
1997
[62]
논문
Stereotype threat and the intellectual test performance of African Americans
1995
[63]
논문
How does sexual minority stigma "get under the skin"? A psychological mediation framework
2009
[64]
논문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http://psycnet.apa.o[...]
1991
[65]
논문
Rethinking rumination
2008
[66]
서적
Gender, sexual orientation,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https://www.research[...]
Springer
2010
[67]
논문
How does stigma "get under the ski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https://www.ncbi.nlm[...]
2009
[68]
논문
Multiple minority stress: The role of proximal and distal stress on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lesbian, gay, and bisexual people of color
https://www.tandfonl[...]
2020-05-10
[69]
논문
Estimates of alcohol use and clinical treatment needs among LGBTQ+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ncbi.nlm[...]
2000
[70]
논문
Do New Zealand sexual minorities engage in more hazardous drinking than non-sexual minorities?
2019-05-26
[71]
논문
Relation between psychiatric syndromes and behaviorally defined sexual orientation in a sample of the US population
https://academic.oup[...]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0
[72]
논문
Risk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individuals reporting same-sex sexual partn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https://www.ncbi.nlm[...]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1
[73]
학술지
Increased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adjustment and somatoform disorders in transsexual individuals
https://www.scienced[...]
2020-09-01
[74]
논문
Adolescent sexual orientation and suicide risk: Evidence from a national study
https://ajph.aphapub[...]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1
[75]
논문
Stress, expectancies, and vulnerability to substance abuse: A test of a model among homosexual men
http://psycnet.apa.o[...]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89
[76]
학술지
The Association Between Same-Sex Marriage Legalization and Youth Deaths by Suicide: A Multimethod Counterfactual Analysis
https://pubmed.ncbi.[...]
2021
[77]
학술지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tate Same-Sex Marriage Policies and Adolescent Suicide Attempts
2017-04-01
[78]
논문
Internalized homophobia and health issues affecting lesbians and gay men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0
[79]
학술지
Experiences of minority stress and their impact on suicidality among asexual individuals
[80]
논문
Minority stress and physical health among sexual minorities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2013
[81]
학술지
Gender dysphoria and minority stress: Support for inclusion of gender dysphoria as a proximal stressor.
http://doi.apa.org/g[...]
2020-09
[82]
간행물
Health, United States, 2004
U.S.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04
[83]
논문
Racial differenc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o-economic status, stress and disctimination
http://journals.sage[...]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97
[84]
논문
Racism and mental health: The African American experience
Ethnicity & Health
2000
[85]
논문
Racism and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a community sample
Psychosomatic Medicine
2008
[86]
논문
Effects of perceived racism and anger inhibition on ambulatory blood pressure in African Americans
Psychosomatic Medicine
2003
[87]
논문
Perceived racial/ethnic harassment and tobacco use among African American young adults
http://ajph.aphapubl[...]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5
[88]
논문
Perceived experiences of racism as stressful life events
Community Mental Health
1996
[89]
논문
Racism and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of African Americans: A thirteen year national panel study
Ethnicity and Disease
1996
[90]
논문
Racial and gender discrimination: Risk factors for high blood pressur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990
[91]
논문
Uncle Tom and Mr. Charlie: Metaphysical pathos in the study of racism and personal disorganiz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71
[92]
논문
Factors affecting alcohol consumption in black women, Part II
https://www.tandfon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dictions
1990
[93]
논문
Evaluation of a holistic model of mental health symptoms in African American women
http://journals.sage[...]
The Journal of Black Psychology
1991
[94]
논문
Depression in black women of low socioeconomic status: Psychological factors and nursing diagnosis
https://europepmc.or[...]
Journal of National Black Nurses Association
1990
[95]
논문
Integrating research on sexual-minority and heterosexual development: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2003
[96]
논문
Then and now: recruitment, definition, diversity, and positive attributes of same-sex popul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008
[97]
논문
Perceived racism and cardiovascular reactivity and recovery to personally relevant stress
Health Psychology
2006
[98]
논문
Does perceived discrimination affect health?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work discrimination and women's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https://www.researc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03
[99]
학술지
The Minority Stress Model Deserves Reconsideration, Not Just Extension
https://www.research[...]
2020-10-01
[100]
문서
Brief for the NLF as Amicus Curiae, Perry v. Schwarzenegger and Hollingsworth, No. 10-16696 (2010)
[101]
문서
Brief for the USCA as Amicus Curiae, Log Cabin Republicans v. United States and Gates, No. 10-56634 (2010)
[102]
논문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The self-protective properties of stigma
https://wesfiles.wes[...]
Psychological Review
1989
[103]
논문
Prejudice, social stress, and mental health in lesbian, gay, and bisexual populations: Conceptual issues and research evidence
Psychological Bulletin
2003
[104]
논문
Racism as a stressor for African Americans: A biopsychosocial model
American Psychologist
1999
[105]
논문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2009
[106]
논문
The role of adversity and stress in psychopathology: Some evidence and it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research
2000
[107]
서적
The health of sexual minorities: Public health perspectives on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populations
Springer
2007
[108]
서적
The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oncurrent criterion validity of the perceived racism scale: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White racism among African Americans
Cobb and Henry
1996
[109]
논문
Lifetime prevalence of suicide symptoms and affective disorders among men reporting same-sex sexual partners: Results from NHANES III
2000
[110]
논문
Alcohol and tobacco use patterns among heterosexually and homosexually experienced California women
2005
[111]
서적
Cancer and sexual minority women
APA
2003
[112]
논문
Homosexuality and mental illness
1999
[113]
논문
Social status and psychological disorder: An issue of substance and an issue of method
1966
[114]
논문
Why genes don't count (for racial differences in health)
2000
[115]
서적
The nature of prejudice
Anchor
1954
[116]
논문
Violence and victimization of lesbians and gay men: Mental health consequences
1990
[117]
서적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social stressors
APA
2007
[118]
논문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The added affects of racism and discrimination
1999
[119]
서적
Hate crimes: Confronting violence against lesbian and gay men
Sage
1992
[120]
간행물
Hatred in the hallways: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students in U.S. schools
Human Rights Watch
2001
[121]
간행물
Eighty-three thousand youth: Selected findings of eight population-based studies as they pertain to anti-gay harassment and the safety and well-being of sexual minority students
Safe Schools Coalition of Washington
1999
[122]
논문
Psychological sequelae of hate-crime victimization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adults
1999
[123]
간행물
GLSEN’s national school climate survey: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s in school
GLSEN
1999
[124]
서적
Black Americans' views of racial inequality: The dream deferr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25]
논문
Recent racial incidents in higher education: A preliminary perspective
1988
[126]
서적
Closed doors, opportunities lost: The continuing costs of housing discrimination
Sage
1995
[127]
서적
We'd love to hire them, but... The meaning of race for employers
Brookings Institution
1991
[128]
논문
The continuing significance of race: Antiblack discrimination in public places
1991
[129]
논문
The Schedule of Racist Events: A measure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a study of its nega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equences
1996
[130]
논문
Mental health correlat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mong LGBT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01
[131]
논문
Correlates of same-sex sexual behavior in a random sample of Massachusetts high school students
1998
[132]
논문
Victimization over the life span: A comparison of lesbian, gay, bisexual, and heterosexual siblings
2005
[133]
논문
The prevalence, distribution,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1999
[134]
서적
Faces at the bottom of the well: The permanence of racism
Basic Books
1992
[135]
서적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racism
Academic Press
1986
[136]
저널
A conceptual framework for clinical work with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clients
https://archive.org/[...]
2012
[137]
논문
Research on the work experience of lesbian, gay, and bisexual people: an integrative review of methodology and findings
1996
[138]
논문
Disclosure of sexual/gender orientation, victimiz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older adults
2001
[139]
논문
Th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concealing a stigma: A cognitive-affective-behavioral model
2007
[140]
논문
Covering up what can’t be seen: Concealable stigma and mental control
1999
[141]
서적
The power of the narrative: A multiple code accou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1995
[142]
논문
Concealable stigmas and positive self-perceptions: feeling better around similar others.
1998
[143]
서적
Psychotherapeutic implications of internalized homophobia in gay men
Haworth Press, New York
1982
[144]
서적
Internalized homophobia, intimacy, and sexual behavior among gay and bisexual men
Sage, Thousand Oaks, CA
1998
[145]
논문
Ego-dystonic homosexuality
1980
[146]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lesbians and gay men: An examination of internalized homonegativity and rejection sensitivity as potential mechanisms.
2012
[147]
논문
Extension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construct to the interpersonal functioning of gay men.
2008
[148]
논문
How does sexual minority stigma "get under the skin"? A psychological mediation framework.
2009
[149]
논문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1991
[150]
논문
Rethinking rumination.
2008
[151]
서적
Gender, sexual orientation,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Springer, New York
2010
[152]
논문
How does stigma "get under the ski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2009
[153]
논문
Estimates of alcohol use and clinical treatment needs among LGBT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2000
[154]
논문
Relation between psychiatric syndromes and behaviorally defined sexual orientation in a sample of the US population.
2000
[155]
논문
Risk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individuals reporting same-sex sexual partn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2001
[156]
논문
Adolescent sexual orientation and suicide risk: Evidence from a national study.
2001
[157]
논문
Stress, expectancies, and vulnerability to substance abuse: A test of a model among homosexual men.
[158]
논문
Internalized homophobia and health issues affecting lesbians and gay men.
2000
[159]
논문
Minority stress and physical health among sexual minorities.
2013
[160]
논문
Integrating research on sexual-minority and heterosexual development: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2003
[161]
논문
Then and now: recruitment, definition, diversity, and positive attributes of same-sex populations.
2008
[162]
논문
Perceived racism and cardiovascular reactivity and recovery to personally relevant stress.
2006
[163]
논문
Does perceived discrimination affect health?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work discrimination and women’s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2003
[164]
간행물
Brief for the NLF as Amicus Curiae
2010
[165]
간행물
Brief for the USCA as Amicus Curiae
2010
[166]
논문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The self-protective properties of stigma.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