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쇠동고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동고비는 몸길이 약 11.5cm의 작은 오름새로, 중국 북동부, 한반도,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한다. 1865년 프랑스 조류학자 쥘 베로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붉은가슴북미쇠박이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 쇠동고비는 세 개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곤충, 견과류, 씨앗 등을 먹고, 침엽수림에 서식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매우 드문 겨울철 방문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고비과 - 동고비류
    동고비류는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작고 둥근 체형에 회색, 갈색, 흰색 깃털을 가진 조류로,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곤충, 씨앗 등을 먹고 번식하며, 서식지 파괴 등의 부정적 영향과 생태 지표종으로서의 긍정적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 1865년 기재된 새 - 카생뿔매
    카생뿔매는 아프리카 열대우림에 서식하며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는 검독수리속의 비교적 작은 수리류로, 암갈색 바탕에 흰 반점 깃털을 가진 성체와 다른 깃털 색깔의 어린 개체가 있으며 콩고뱀매와 의태 관계가 거론되고 IUCN 적색 목록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1865년 기재된 새 - 흰등독수리
    흰등독수리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흰색 등과 목둘레깃을 가진 중형 독수리로 사체를 먹는 청소동물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위급종으로 분류되어 보전 노력이 시급하다.
  • 한국의 겨울철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한국의 겨울철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쇠동고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국에 서식하는 쇠동고비
한국
학명Sitta villosa
명명자Verreaux, 1865
이명Sitta pekinensis (David, 1867)
Sitta villosa yamashinai (Momiyama, 1931)
이명 참고Zoologische Mededelingen
멸종 위기 등급LC (관심 필요)
멸종 위기 기준IUCN3.1
멸종 위기 참고BirdLife International, 2016
크기11.5 cm
쇠동고비 분포도
쇠동고비 분포
한국어 이름쇠동고비
특징

2. 분류

중국쇠동고비는 1865년 프랑스 조류학자 쥘 베로가 처음 기술했다. 베로는 선교사 아르망 다비드가 베이징에서 보낸 표본을 바탕으로 이 새를 붉은가슴북미쇠박이(''Sitta canadensis'')와 가깝지만, 더 길고 비단결 같은 깃털을 가졌다고 묘사하며, "털이 많은"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따온 "villosa"라는 종명을 붙였다.[3][4] 1867년에는 ''Sitta pekinensis''라고 불리기도 했다.[5]

1865년 조제프 위엣이 그린 중국 쇠동고비 삽화. 이 종을 처음 기술한 쥘 베로가 사용했다.


독일 조류학자 한스 에드문트 볼터스는 1975년부터 1982년까지 ''Sitta'' 속을 아속으로 나누는 것을 제안했는데, 중국쇠동고비는 ''Sitta'' (''Micrositta'')에 속하게 되었다.[6] 국제 조류 학회(IOC)에 따르면, 세 개의 아종이 있다.[7]

아종학명명명자분포 지역
모식종Sitta villosa villosa쥘 베로, 1865남동 시베리아에서 북중부 및 북동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
Sitta villosa bangsi에르빈 슈트레제만, 1929중국 북동부 칭하이성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술, 원래는 붉은가슴북미쇠박이의 아종, 중국 중부
Sitta villosa corea윌리엄 로버트 오길비-그랜트, 1906서울에서 남동쪽으로 180km 떨어진 곳에서 채집한 표본을 바탕으로 기술, 한반도와 남동 시베리아



''S. v. corea''는 종종 모식 아종의 변종으로 여겨지지만, 나자렌코는 2006년에 이를 유효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제안했고,[9] 이는 2014년 ''하워드와 무어의 세계 조류 완전 목록'' 네 번째 판과 그 후 국제 조류 학회 분류의 버전 5.2 (2015년 4월)에서 지지되었다.[7]

일본 조류학자 모미야마 도쿠 타로가 ''Sitta villosa yamashinai'' (모미야마, 1931)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 이름은 유효한 과학적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무효명이다.[2]

2. 1. 명명법 및 아종

중국쇠동고비는 1862년 선교사 아르망 다비드가 베이징에서 보낸 표본을 바탕으로, 프랑스 조류학자 쥘 베로에 의해 1865년에 처음 기술되었다.[3][4] 1867년에 ''Sitta pekinensis''라고 불리기도 했다.[5] 베로는 이 종을 붉은가슴북미쇠박이 (''Sitta canadensis'')와 가깝지만 길고 비단결 같은 깃털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며, "털이 많은"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따온 "villosa"라는 종명을 부여했다. 독일 조류학자 한스 에드문트 볼터스는 1975년부터 1982년까지 ''Sitta'' 속을 아속으로 나누는 것을 제안했는데, 중국쇠동고비는 ''Sitta'' (''Micrositta'')에 속한다.[6] 국제 조류 학회에 따르면, 세 개의 아종이 있다:[7]

아종학명명명자분포 지역
모식종Sitta villosa villosa쥘 베로, 1865남동 시베리아에서 북중부 및 북동 중국, 그리고 대한민국
Sitta villosa bangsi에르빈 슈트레제만, 1929중국 북동부 칭하이성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술, 원래는 붉은가슴북미쇠박이의 아종, 중국 중부
Sitta villosa corea윌리엄 로버트 오길비-그랜트, 1906서울에서 남동쪽으로 180km 떨어진 곳에서 채집한 표본을 바탕으로 기술, 한반도와 남동 시베리아



''S. v. corea''는 종종 모식 아종의 변종으로 여겨지지만, 나자렌코는 2006년에 이를 유효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제안했고,[9] 이는 2014년 ''하워드와 무어의 세계 조류 완전 목록'' 네 번째 판과 그 후 국제 조류 학회 분류의 버전 5.2 (2015년 4월)에서 지지되었다.[7]

일본 조류학자 모미야마 도쿠 타로가 ''Sitta villosa yamashinai'' (모미야마, 1931)라는 이름을 사용했지만, 이 이름은 유효한 과학적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무효명이다.[2]

2. 2. 분자 계통학

1998년, 에릭 파스케는 미토콘드리아 DNA사이토크롬 b 연구를 통해 ''Sitta canadensis'' 그룹, 즉 아속 ''Micrositta''를 구성하는 ''canadensis'', ''villosa'', ''yunnanensis'', ''whiteheadi'', ''krueperi'', ''ledanti'' 종들을 조사했다.[10][6] 이 연구에서 윈난쇠동고비(''S. yunnanensis'')는 제외되었다. 파스케는 중국쇠동고비가 계통발생학적으로 코르시카쇠동고비(''S. whiteheadi'') 및 붉은가슴쇠동고비와 관련 있으며, 이 세 종이 크뤼퍼쇠동고비(''S. krueperi'')와 알제리쇠동고비(''S. ledanti'')를 포함하는 분지군의 자매군을 형성한다고 결론지었다. 이 세 종은 동종 종으로 간주될 만큼 가깝지만, 분류학적 안정을 위해 별개의 종 지위를 유지한다.[11] 2014년, 파스케와 동료들은 21종의 쇠동고비 핵 DNA 및 미토콘드리아 DNA 기반 계통 발생을 발표, 윈난쇠동고비를 추가하여 1998년 연구의 "canadensis 그룹" 내 관계를 확인했고, 윈난쇠동고비가 이 그룹의 가장 기저 종임을 밝혔다.[12]

2. 3. 생물지리학

"canadensis group"의 두 주요 분기군 사이의 분화는 5백만 년 이상 전, 미오세 말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krueperi''와 ''ledanti''의 공통 조상이 메시니안 염분 위기 당시 지중해 분지에 진입했다. 이 두 종은 175만 년 전에 분화되었다. 다른 분기군은 세 개로 갈라져, 동쪽으로 아시아를 떠난 개체군이 붉은가슴쇠동고비를 낳았고, 약 백만 년 전 서쪽에서 갈라져 코르시카쇠동고비와 중국쇠동고비의 분리를 나타냈다.[10]

3. 형태

중국에서 머리부터 나무 줄기를 타고 내려오는 쇠동고비


쇠동고비는 몸길이가 11.5cm인 작은 오름새이다. 등 부분은 푸른 회색이며, 머리깃은 광택이 나는 검은색에서 짙은 회색을 띤다. 아랫 부분은 밝은 색으로, 칙칙한 황갈색 회색에서 계피 오렌지색까지 다양하다. 색상은 성별, 깃털 마모 및 아종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이 종은 뚜렷한 흰색 눈썹선과 함께 다소 뚜렷한 검은색 눈선을 가지고 있다. 부리는 가늘고 뾰족하며, 위턱 가장자리(상연)가 직선으로 되어 있어 부리 끝이 위로 솟아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부리는 흑색이며, 아래턱 기부는 청회색이다. 홍채는 갈색에서 짙은 갈색이며, 다리와 발가락은 칙칙한 청회색에서 잿빛 갈색이다.[22]

수컷은 매우 검은 머리깃과 대조적인 흰색 눈썹선을 감싸는 뚜렷한 검은색 눈선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암컷은 신선한 깃털에서는 머리깃이 다른 윗부분보다 거의 어둡지 않고, 특히 이마 부분에서 더 어둡고 더 대조적인 그을린 회색이 되며, 경우에 따라 전체 머리깃이 그을린 검은색이 된다. 또한 눈선은 덜 뚜렷하고 칙칙하며 눈썹선은 더 얇다. 암컷은 전반적으로 수컷보다 칙칙하며, 특히 어깨깃이 덜 선명하고, 덮깃의 가장자리가 갈색이며, 아랫부분이 더 어둡고 색상이 덜하다.[22]

쇠동고비는 유럽 쇠동고비와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크기가 더 작고, 뚜렷하게 보이는 흰색 눈썹, 수컷의 검은색 머리, 상대적으로 밋밋한 아랫부분(붉은색 꼬리덮깃과 옆구리 부위 없음)으로 구별된다. 분포 지역 서쪽에서는 프르제발스키 쇠동고비와 함께 발견될 수 있으며, 두 종 모두 밝은 계피색의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중국 쇠동고비는 검은색 눈선으로 쉽게 구별되는 반면, 프르제발스키 쇠동고비는 가슴과 대조되는 매우 밝은 뺨을 가지고 있다.[22] 중국 쇠동고비는 계통발생학적으로 그리고 형태학적으로 코르시카 쇠동고비와 매우 가깝지만, 코르시카 쇠동고비는 코르시카 고유종이며 일반적으로 아랫부분이 훨씬 덜 선명하다. 닳은 털갈이를 한 중국 쇠동고비의 아랫부분은 털갈이 직후의 코르시카 쇠동고비보다 약간 더 황갈색이다. 두 종 모두 붉은 가슴 쇠동고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종은 더 눈에 띄는 눈 선과 훨씬 더 밝은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22]

3. 1. 깃털과 측정

쇠동고비는 몸길이가 11.5cm인 작은 오름새이다. 쇠동고비의 등 부분은 푸른 회색이며, 머리깃은 광택이 나는 검은색에서 짙은 회색을 띤다. 아랫 부분은 밝은 색으로, 칙칙한 황갈색 회색에서 계피 오렌지색까지 다양하다. 색상은 성별, 깃털 마모 및 아종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이 종은 뚜렷한 흰색 눈썹선과 함께 다소 뚜렷한 검은색 눈선을 가지고 있다. 부리는 가늘고 뾰족하며, 위턱 가장자리(상연)가 직선으로 되어 있어 부리 끝이 위로 솟아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부리는 흑색이며, 아래턱 기부는 청회색이다. 홍채는 갈색에서 짙은 갈색이며, 다리와 발가락은 칙칙한 청회색에서 잿빛 갈색이다.[22]

뚜렷한 성적 이형성이 존재한다. 수컷은 매우 검은 머리깃과 대조적인 흰색 눈썹선을 감싸는 뚜렷한 검은색 눈선을 가지고 있는 반면, 암컷은 신선한 깃털에서는 머리깃이 다른 윗부분보다 거의 어둡지 않고, 특히 이마 부분에서 더 어둡고 더 대조적인 그을린 회색이 되며, 경우에 따라 전체 머리깃이 그을린 검은색이 된다. 또한 눈선은 덜 뚜렷하고 칙칙하며 눈썹선은 더 얇다. 암컷은 전반적으로 수컷보다 칙칙하며, 특히 어깨깃이 덜 선명하고, 덮깃의 가장자리가 갈색이며, 아랫부분이 더 어둡고 색상이 덜하다. 어린 수컷은 암컷보다 머리깃이 더 검지만, 성체 수컷보다 덜 검고 덜 밝다. 아랫부분은 더 어둡고 계피색을 띤다. 기준 아종의 경우, 어린 새는 날개 깃털에도 계피색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는 반면, 성체의 깃털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더 칙칙하고 회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22] 아종 ''S. v. bangsi''의 성체는 계피색 깃털 가장자리를 가지며, 수컷은 오렌지 계피색, 암컷은 칙칙한 황갈색 계피색과 칙칙한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어 ''S. v. villosa'' 아종보다 전반적으로 더 화려하다. 그러나 늦겨울에는 두 아종 모두 더 옅고 상당히 유사한 색상을 띤다.[22] 아종 ''S. v. corea''는 기준 아종보다 더 옅고, 회색을 띠며, 더 작다.[22][9]

3. 2. 유사 종

쇠동고비는 유럽 쇠동고비(''S. europaea'')와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크기가 더 작고, 뚜렷하게 보이는 흰색 눈썹, 수컷의 검은색 머리, 상대적으로 밋밋한 아랫부분(붉은색 꼬리덮깃과 옆구리 부위 없음)으로 구별된다. 분포 지역 서쪽에서는 프르제발스키 쇠동고비(''S. przewalskii'')와 함께 발견될 수 있으며, 두 종 모두 밝은 계피색의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중국 쇠동고비는 검은색 눈선으로 쉽게 구별되는 반면, 프르제발스키 쇠동고비는 가슴과 대조되는 매우 밝은 뺨을 가지고 있다.[22] 중국 쇠동고비는 계통발생학적으로 그리고 형태학적으로 코르시카 쇠동고비와 매우 가깝지만, 코르시카 쇠동고비는 코르시카 고유종이며 일반적으로 아랫부분이 훨씬 덜 선명하다. 닳은 털갈이를 한 중국 쇠동고비의 아랫부분은 털갈이 직후의 코르시카 쇠동고비보다 약간 더 황갈색이다. 두 종 모두 붉은 가슴 쇠동고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 종은 더 눈에 띄는 눈 선과 훨씬 더 밝은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22]

4. 생태와 행동

쇠동고비는 소나무가문비나무 꼭대기에서 노래하며, 다양한 소리를 낸다.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소리를 내는데, 첫 번째는 유라시아 어치를 연상시키는 거칠고 긴 ''schraa'' 소리이다. 두 번째는 다양하고 조용한 단일 소리이며, ''whip'', ''whip whip...'' 또는 ''quip-quip-quip''와 같이 반복된다. 세 번째는 짧고 비음이 있는 ''quir'', ''quir'' 소리이다.[22]

여름철에는 주로 곤충을 먹으며, 딱정벌레, , 나비, 노린재 등을 먹는다. 겨울철에는 견과류, 씨앗, 나무 열매를 먹는다. 겨울에는 종종 다른 종과 함께 혼합 종 먹이 떼를 이루기도 한다.[22][13]

부리로 곤충을 잡고 있는 쇠동고비


지린성에서 번식기는 4월 말에서 5월 초이다. 둥지는 보통 침엽수의 높은 구멍(평균 지상 9m)에 위치하며, 썩은 그루터기나 낡은 건물에도 짓는다. 암수 모두 둥지를 만들고, 암컷은 알을 품고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준다. 새끼는 15~17일 후에 부화하며, 양쪽 부모 모두 새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22]

4. 1. 울음소리

쇠동고비는 소나무가문비나무 꼭대기에서 노래한다. 영국의 조류학자 사이먼 해랩(Simon Harrap)은 세 가지 기본적인 유형의 소리를 제시한다. 첫 번째는 유라시아 어치(''Garrulus glandarius'')를 연상시키는 거칠고 긴 ''schraa'', ''schraa'' 소리이며, 코르시카 쇠동고비, 알제리 쇠동고비, 크뤼퍼 쇠동고비에서 발견되는 일부 소리와 유사하다. 흥분하거나 격앙된 상태에서 0.31~1초 간격으로 한 번 또는 불규칙적으로 연달아 낸다. 두 번째 유형은 다양하고 조용하며 대화하는 듯한 짧은 단일 소리이며, 더 멜로디하거나 파이프 소리가 나며 ''whip'', ''whip whip...'' 또는 ''quip-quip-quip''와 같이 반복되며, 때로는 ''quit'', ''quit...'' 삐걱거리는 소리가 된다. 노래는 이 유형의 소리로 구성되며, 그 수는 5개에서 30개에 이르며 노래의 첫 부분에서 음량이 증가한다. 초당 7음절 속도로 1.5~2.25초 동안 작은 상승하는 휘파람 소리도 방출되며, 때로는 더 높은 음표로 시작하여 ''tsi-pui-pui-pui-pui....''를 형성한다. 변형은 훨씬 더 평평하고 덜 음악적이며 더 단조로운 래틀(초당 약 12개) ''duiduiduidui...''이며, 전달 속도와 지속 시간에서 밤색배쇠동고비의 노래 변형을 연상시키지만, 약간 더 부드럽고 저음이다. 마지막 유형의 소리는 짧고 비음이 있는 음표 ''quir'', ''quir''로 구성되며, 길고 매우 빠른 연달아 내거나 불규칙하게 생성된다.[22]

4. 2. 먹이

여름철 쇠동고비는 거의 전적으로 곤충을 먹으며, 어린 새끼들의 유일한 먹이이기도 하다. 4월부터 8월까지 중국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식단의 98.5%가 곤충으로 구성되었으며, 여기에는 딱정벌레(딱정벌레목), 벌목, 나비, 노린재(노린재목), 매미목(진딧물과 매미과 포함), 풀잠자리목파리(파리목)가 포함된다. 다리가 달린 채로 부리로 찢어 더 큰 곤충을 먹으며, 비행 중에도 곤충을 잡을 수 있다. 다른 쇠동고비류와 마찬가지로 쇠동고비는 먹이를 저장한다.[13] 겨울철 쇠동고비의 식단은 주로 견과류, 씨앗, 나무 열매로 구성된다. 이 종은 겨울철에 종종 혼합 종 먹이 떼에 참여하며, 짝을 지어 관찰된다.[22][13]

4. 3. 번식

지린성에서는 번식기가 4월 말에서 5월 초에 걸쳐 진행된다. 둥지는 보통 침엽수의 높은 구멍(평균적으로 지상 9m 이상)에 위치하지만, 썩은 그루터기나 낡은 건물에도 지을 수 있다. 둥지 입구의 지름은 약 35mm이며 (겉으로는 진흙이나 수지로 둥지 구멍을 바르지 않는다). 암수 모두 7~8일 안에 둥지를 짓는데, 식물 섬유, 깃털, 로 둥지를 만든다. 산란 시기는 4~9개의 알을 낳으며, 보통 5~6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흰색 바탕에 적갈색 반점이 있으며, 크기는 15×이다. 암컷은 단독으로 알을 품고,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공급하며, 어린 새끼는 15~17일간의 포란 후에 부화한다. 양쪽 부모 모두 먹이를 공급하며, 1년에 한 번만 새끼를 기른다.[22]

5. 분포 및 서식지

쇠동고비는 중국 북동부, 한반도,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9] 사할린섬에서도 보고되었지만, 그곳에서는 방랑 개체일 가능성이 있다. 중국에서는 서쪽의 동부 칭하이성에서 동남부 및 중부 간쑤성, 대부분의 산시성, 산시성, 랴오닝 반도의 남부 랴오닝성, 북부 허베이성, 베이징시, 북부 쓰촨성까지 분포한다.

북한에서는 가을에 주변 지역으로 일부 분산되는 것이 기록되었다. 7월~8월에는 함경북도에서, 5월~11월에는 함경북도를 포함한 경상북도에서 관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매우 드문 겨울철 방문객으로, 경기 산지(10월~3월, 1917년 7월에도 관찰)와 11월의 경상북도에서 기록이 있다. 최근 한국 기록은 1968년 3월 강원도 송 인근의 광릉시험림에서 발견된 것이 유일하다.[22][15]

한반도에서는 주로 소나무(''Pinus densiflora'') 숲과 관련이 깊다.[16] 중국에서는 침엽수림 (''Pinus'', ''Picea'')에 서식하며, 때로는 참나무(''Quercus'') 및 자작나무(''Betula'')와 혼합된 곳에서도 발견된다.[13]

2006년 여름, 네덜란드인들이 알타이산맥에서 한 쌍의 쇠동고비가 둥지를 트는 것을 관찰했다. 해발 2150m의 순수한 낙엽송(''Larix'' sp.) 숲에서였다. 2017년 6월 번식기 동안, 스위스 조류학자들이 해당 지역에서 쇠동고비를 찾기 위해 탐색한 결과, 최소 한두 마리의 어린 쇠동고비를 포함한 3쌍의 번식 짝 ''S. europaea asiatica''가 확인되었다.[19]

6. 보전 상태 및 위협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에 따르면 쇠동고비의 서식 범위는 1810000km2이다. 전체 개체 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마크 브라질(Mark Brazil)의 동아시아 조류 안내서에는 중국에서 쇠동고비가 드물게 나타나는 범주(성숙한 쌍의 범위가 100~10,000쌍)에 속한다고 기록되어 있다.[16][20] 한국에는 1,000마리 미만의 철새 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20] 쇠동고비의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지만, 국제 자연 보전 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은 쇠동고비를 "최소 관심" 종으로 간주한다.[1] 2009년 연구에서는 기후 변화가 아시아 여러 종의 쇠동고비 분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예측하고자 두 가지 시나리오를 모델링했는데, 중국 쇠동고비는 2040년부터 2069년까지 분포가 79.8~80.4% 감소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21]

참조

[1] 간행물 "''Sitta villosa''" 2016
[2] 논문 Systematic notes on Asian birds. 66. Types of the Sittidae and Certhiidae https://www.research[...] 2000-12
[3] 논문 New archiv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https://archive.org/[...] Masson et Cie
[4] 서적 The birds of China https://gallica.bnf.[...] 2022-01-12
[5] 웹사이트 Richmond Index pictures - species group level names (species & subspecies) http://www.zoonomen.[...] 2022-01-12
[6] 서적 The Nuthatches A & C Black
[7] 웹사이트 Nuthatches, Wallcreeper, treecreepers, mockingbirds, starlings, oxpeckers – IOC World Bird List https://www.worldbir[...] 2022-01-12
[8]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9] 논문 Systematic notes on Asian birds. 64. The range of the Chinese Nuthatch ''Sitta villosa'' and an evaluation of subspecies validity http://www.zoologisc[...] 2010-01-24
[10] 논문 Phylogeny of the nuthatches of the Sitta canadensis group and its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https://onlinelibrar[...]
[11] 논문 Corsican nuthatch restoration plan https://archive.wiki[...] 2000
[12] 논문 Evolution within the nuthatches (Sittidae: Aves, Passeriformes): molecular phylogeny, biogeography, and ecological perspectives 2014-04
[1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4] 논문 "''Pteroherpus surmachi'' sp. n., first record of the feather mite family Pteronyssidae (Acari: Analgoidea) from nuthatches (Passeriformes: Sittidae)" http://www.zin.ru/Jo[...]
[15] 논문 The Birds of North Korea, around Mount Paektu, Passeriformes Panstw. Wyd. Naukowe, 2001
[16] 서적 Birds of East Asia : China, Taiwan, Korea, Japan, and Russia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2-01-12
[17] 서적 Unidentified nuthatch in Siberian Altay in July 2006 https://www.dutchbir[...] Dutch Birding 2022-01-12
[18] 논문 The Altai Nuthatch: a missing link? https://www.research[...] 2015
[19] 논문 In search of the Altai nuthatch https://www.research[...] 2019-05
[20] 웹사이트 Snowy-browed Nuthatch (''Sitta villosa'') http://datazone.bird[...] BirdLife 2022-01-12
[21] 논문 Projected climate change effects on nuthatch distribution and diversity across Asia http://scholarworks.[...] 2003-08-31
[22] 서적 Chickadees, Tits, Nuthatches and Treecreep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23] 문서 Nazarenko A.A. Systematic notes on Asian birds. 64. The range of the Chinese Nuthatch Sitta villosa 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