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희는 남송 효종 때 사용된 연호로, 1173년 12월 15일에 정해져 1174년 2월 4일에 개원하여 1189년 12월 23일까지 사용되었다. 순희 연간에는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러 사건과 정책 변화가 있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교지의 안남 국왕 책봉, 주희와 육구연의 학문 토론, 악비 시호 하사, 백록동서원 재건 등이 있다. 또한, 금나라, 서하 등 주변 국가와 베트남, 일본 등지에서도 각기 다른 연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연호 - 개희
    개희는 남송 영종의 연호로 1205년부터 1208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 금나라, 서하의 연호와 함께 남송에서는 북벌 실패와 반란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전개되다 화의 후 연호가 가정으로 바뀌었다.
  • 송나라의 연호 - 건흥 (북송)
    건흥은 북송의 연호로 1022년 2월 4일에 제정되어 1023년 1월 25일에 천성으로 개원되었다.
순희

2. 연원 및 개원

건도(乾道) 9년 음력 11월 9일(12월 15일)에 연호를 순희(淳熙)로 정하고, 다음 해 음력 1월 1일(2월 4일)에 개원하였다.[5][6][7][8][9][10]

순희(淳熙) 16년 음력 11월 14일(12월 23일)에 연호를 소희(紹熙)로 정하고, 다음 해 음력 1월 1일(2월 7일)에 개원하였다.[11][12][13][14][9][10]

3. 연대 대조표

순희서기(西紀)간지(干支)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원년1174년갑오(甲午)대정(大定) 14년건우(乾祐) 5년
2년1175년을미(乙未)대정 15년건우 6년
3년1176년병신(丙申)대정 16년건우 7년
4년1177년정유(丁酉)대정 17년건우 8년
5년1178년무술(戊戌)대정 18년건우 9년
6년1179년기해(己亥)대정 19년건우 10년
7년1180년경자(庚子)대정 20년건우 11년
8년1181년신축(辛丑)대정 21년건우 12년
9년1182년임인(壬寅)대정 22년건우 13년
10년1183년계묘(癸卯)대정 23년건우 14년
순희서기(西紀)간지(干支)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11년1184년갑진(甲辰)대정(大定) 24년건우(乾祐) 15년
12년1185년을사(乙巳)대정 25년건우 16년
13년1186년병오(丙午)대정 26년건우 17년
14년1187년정미(丁未)대정 27년건우 18년
15년1188년무신(戊申)대정 28년건우 19년
16년1189년기유(己酉)대정 29년건우 20년


4. 주요 사건

건도 9년(1173년) 11월 9일: 이듬해부터 윤년 개원의 조서가 내려졌다.

순희 원년(1174년) 2월 1일: 교지의 이천조를 안남 국왕으로 책봉하였다.

2월 16일: 우윤문 사망.

순희 2년(1175년) 6월: 주희와 육구연이 리학의 해석을 놓고 토론(아호의 회)하였다.

9월: 형호·강서에서 준동한 다구가 평정되었다.

순희 3년(1176년) 4월 6일: 정주의 계동만이 난을 일으켰다.

9월 13일: 군정기구에 의한 관염 판매의 이자 취득을 엄금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12월: 만구가 여주를 급습했지만, 곧 도주하였다.

순희 4년(1177년) 정월 26일: 순희력이 시행되었다.

2월 18일: 형호·사천·이광의 계동만을 안무하고, 변방의 교란을 단속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5년(1178년) 정월 6일: 정이·왕안석의 학설로 인재를 뽑는 것을 금지하였다.

2월 4일: 주현에 정세사가 설치되었다.

2월 25일: 위주를 습격한 만구가 평정되었다.

5월 7일: 무학국자원이 설치되었다.

9월 18일: 악비에게 "무목"의 시호가 내려졌다.

순희 6년(1179년) 2월 13일: 무관의 음보법을 정하였다.

5월 18일: 점주의 계동만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이를 안무하게 하였다.

12월 3일: 『중수 순희 칙령 격식』이 공포되었다.

순희 7년(1180년) 3월 18일: 남강군의 백록동서원이 재건되었다.

4월 22일: 여주의 오부락이 침구하였다.

10월: 오부락이 귀순을 청하자, 호시를 허락하였다.

순희 8년(1181년) 3월 1일: 『순희 조법 사류』가 공포되었다.

5월 3일: 지방관에게 농상을 권하였다.

8월 9일: 왕회가 우승상·추밀사가 되었다.

12월 22일: 주희의 사창법이 여러 길에서 시행되었다.

순희 9년(1182년) 7월: 당중우에 대한 주희의 탄핵 사건이 일어났다.

8월 2일: 문무의 여관을 줄였다.

9월 27일: 시박사를 통해 금은의 해외 유출을 금지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10년(1183년) 3월 28일: 전시의 구법을 복구하고, 잡문을 시험하는 일이 없어졌다.

6월 5일: 어사대가 위학의 금령을 청하였다.

순희 11년(1184년) 정월 11일: 의주를 습격한 만구가 평정되었다.

순희 12년(1185년) 정월 5일: 교지로부터의 의 유입을 금지하였다.

정월 8일: 사천제치사의 유정이 청강의 추장을 유인하여 죽였다.

4월 23일: 서요와 서하가 금을 협격할 가능성에 대비하였다.

6월 4일: 『순희 관휼 조령』이 공포되었다.

순희 13년(1186년) 9월 2일: 회자의 위조범이나 유통자를 극형에 처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14년(1187년) 10월 8일: 고종이 붕어하였다.

11월 2일: 황태자(후의 광종)에게 서무의 결재를 명하였다.

순희 15년(1188년) 5월 4일: 재상 왕회가 파면되었다.

11월 7일: 주희가 『무신 봉사』를 상소하였다.

순희 16년(1189년) 2월 2일: 효종이 퇴위하였다.

11월 14일: 광종의 즉위로 이듬해부터 "소희"로 윤년 개원의 조서가 내려졌다.

4. 1. 정치 및 외교

순희 연간에는 다양한 정치적 사건과 외교적 교류가 있었다. 순희 원년(1174년) 2월 1일, 교지의 이천조가 안남 국왕으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2월 16일에는 우윤문이 사망하였다. 순희 2년(1175년) 6월에는 주희와 육구연이 리학 해석을 놓고 토론한 아호의 회가 있었다. 순희 3년(1176년) 4월 6일, 정주에서 계동만이 난을 일으켰다.

순희 4년(1177년) 정월 26일, 순희력이 시행되었다. 순희 5년(1178년) 정월 6일, 정이·왕안석의 학설로 인재를 뽑는 것을 금지했다. 같은 해 9월 18일, 악비에게 "무목"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순희 6년(1179년) 12월 3일, 『중수 순희 칙령 격식』이 공포되었다.

순희 7년(1180년) 3월 18일, 남강군에 백록동서원이 재건되었다. 순희 8년(1181년) 3월 1일, 『순희 조법 사류』가 공포되었다. 같은 해 8월 9일, 왕회가 우승상·추밀사가 되었다. 순희 9년(1182년) 7월, 당중우에 대한 주희의 탄핵 사건이 있었다.

순희 10년(1183년) 3월 28일, 전시의 구법이 복구되고 잡문을 시험하는 것이 없어졌다. 순희 12년(1185년) 4월 23일, 서요와 서하가 금을 협공할 가능성에 대비하였다. 같은 해 6월 4일, 『순희 관휼 조령』이 공포되었다.

순희 14년(1187년) 10월 8일, 고종이 붕어하였다. 순희 16년(1189년) 2월 2일, 효종이 퇴위하였다. 같은 해 11월 14일, 광종의 즉위와 함께 이듬해부터 "소희"로 윤년 개원한다는 조서가 내려졌다.

4. 2. 사회 및 경제

순희 연간에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사건과 정책 변화가 있었다. 순희 원년(1174년) 2월 1일, 교지의 이천조가 안남 국왕으로 책봉되었다. 같은 해 2월 16일에는 우윤문이 사망하였다. 순희 2년(1175년) 6월, 주희와 육구연이 리학 해석을 두고 아호의 회에서 토론하였다. 순희 3년(1176년) 9월 13일, 군정기구에 의한 관염 판매의 이자 취득을 엄금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4년(1177년) 정월 26일에는 순희력이 시행되었다. 순희 5년(1178년) 정월 6일, 정이·왕안석의 학설로 인재를 뽑는 것을 금지하였고, 2월 4일에는 주현에 정세사가 설치되었다. 9월 18일, 악비에게 "무목"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순희 6년(1179년) 12월 3일, 『중수 순희 칙령 격식』이 공포되었다.

순희 7년(1180년) 3월 18일, 남강군의 백록동서원이 재건되었다. 순희 8년(1181년) 3월 1일, 『순희 조법 사류』가 공포되었고, 5월 3일에는 지방관에게 농상을 권장하였다. 12월 22일, 주희의 사창법이 여러 지역에서 시행되었다. 순희 9년(1182년) 9월 27일, 시박사를 통해 금은의 해외 유출을 금지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10년(1183년) 3월 28일, 전시의 구법이 복구되고 잡문을 시험하는 일이 없어졌다. 순희 12년(1185년) 정월 5일, 교지로부터의 유입이 금지되었고, 6월 4일에는 『순희 관휼 조령』이 공포되었다. 순희 13년(1186년) 9월 2일, 회자 위조범이나 유통자를 극형에 처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14년(1187년) 10월 8일, 고종이 붕어하였다.

순희 15년(1188년) 5월 4일, 재상 왕회가 파면되었다. 순희 16년(1189년) 2월 2일, 효종이 퇴위하였다.

4. 3. 문화 및 사상

순희 2년(1175년) 6월, 주희와 육구연이 리학의 해석을 놓고 토론(아호의 회)하였다. 순희 5년(1178년) 9월 18일, 악비에게 "무목"의 시호가 내려졌다. 순희 7년(1180년) 3월 18일, 남강군의 백록동서원이 재건되었다. 순희 8년(1181년) 12월 22일, 주희의 사창법이 여러 길에서 시행되었다. 순희 9년(1182년) 7월, 당중우에 대한 주희의 탄핵 사건이 일어났다. 순희 10년(1183년) 6월 5일, 어사대가 위학의 금령을 청하였다. 순희 15년(1188년) 11월 7일, 주희가 『무신 봉사』를 상소하였다.

4. 4. 군사 및 민족 분쟁

순희 3년(1176년) 4월 6일, 정주에서 계동만이 난을 일으켰다. 순희 4년(1177년) 2월 18일, 형호·사천·이광의 계동만을 안무하고 변방의 교란을 단속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순희 5년(1178년) 2월 25일, 위주를 습격한 만구가 평정되었다. 순희 6년(1179년) 5월 18일, 점주의 계동만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이를 안무하게 하였다.

순희 7년(1180년) 4월 22일, 여주의 오부락이 침구하였다. 같은 해 10월, 오부락이 귀순을 청하자, 호시를 허락하였다. 순희 11년(1184년) 정월 11일, 의주를 습격한 만구가 평정되었다. 순희 12년(1185년) 1월 8일, 사천제치사 유정이 청강의 추장을 유인하여 죽였다. 같은 해 4월 23일, 서요서하을 협격할 가능성에 대비하였다.

5. 동시대 다른 지역의 연호

wikitable

순희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기1174년1175년1176년1177년1178년1179년1180년1181년1182년1183년
간지갑오을미병신정유무술기해경자신축임인계묘
대정14대정15대정16대정17대정18대정19대정20대정21대정22대정23
서하건우5건우6건우7건우8건우9건우10건우11건우12건우13건우14
순희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
서기1184년1185년1186년1187년1188년1189년
간지갑진을사병오정미무신기유
대정24대정25대정26대정27대정28대정29
서하건우15건우16건우17건우18건우19건우20


5. 1. 중국

금나라에서는 대정(大定) (1161년 ~ 1189년) 연호를 사용하였다. 서하는 건우(乾祐) (1170년 ~ 1193년)연호를 사용하였다. 대리국은 이정(利貞) (1172년 ~ 1175년), 성덕(盛德) (1176년 ~ 1180년), 가회(嘉會) (1181년 ~ 1184년), 원형(元亨) (1185년 ~ 1195년)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서요는 숭복(崇福) (1164년 ~ 1177년)과 천희(天禧) (1177년 ~ 1211년) 연호를 사용하였다.

5. 2. 베트남

찐롱바오응(政隆寶應) (1163년 ~ 1174년), 티엔깜찌바오(天感至寶) (1174년 ~ 1175년), 찐푸(貞符) (1176년 ~ 1186년), 티엔뜨자투이(天資嘉瑞) (1186년 ~ 1202년) 등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5. 3. 일본

조안(承安) (1171년 ~ 1175년), 안겐(安元) (1175년 ~ 1177년), 지쇼(治承) (1177년 ~ 1181년), 요와(養和) (1181년 ~ 1182년), 주에이(壽永) (1182년 ~ 1185년), 겐랴쿠(元曆) (1184년 ~ 1185년), 분지(文治) (1185년 ~ 1190년)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건염이래조야잡기》(建炎以來朝野雜記) 〈갑집〉(甲集) 권3 전례(典禮)
[2] 서적 《건염이래조야잡기》(建炎以來朝野雜記) 〈을집〉(乙集) 권7 조사(朝事) 2
[3] 서적 《용재속필》(容齋續筆) 권13 기년조상(紀年兆祥)
[4] 서적 운록만초(雲麓漫鈔) 권10
[5] 문서 계사년(癸巳年) 11월 무술일(戊戌日)
[6] 문서 갑오년(甲午年) 1월 기축일(己丑日)
[7] 송사 《송사》(宋史) 권34 〈본기〉(本紀) 제34 - 효종(孝宗) 2 https://zh.wikisourc[...]
[8] 속자치통감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43 〈송기〉(宋紀) 143 https://zh.wikisourc[...]
[9] 웹사이트 《송회요집고》(宋會要輯稿) 예(禮) 54 - 개원소(改元詔) https://zh.wikisourc[...]
[10]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https://astro.kasi.r[...]
[11] 문서 기유년(己酉年) 11월 경오일(庚午日)
[12] 문서 경술년(庚戌年) 1월 병진일(丙辰日)
[13] 송사 《송사》(宋史) 권36 〈본기〉(本紀) 제36 - 광종(光宗) https://zh.wikisourc[...]
[14] 속자치통감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51 〈송기〉(宋紀) 151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