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75년은 남송 순희 2년, 금 대정 15년, 고려 명종 5년 등으로,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아마데우스 폰 부에르덴의 쾰른 대주교 임명, 고토바 천황의 즉위, 살라딘의 알레포 점령 등이 있었다. 이 해에는 호콘 2세의 사망과 마그누스 5세의 노르웨이 왕 즉위, 예루살렘 왕국의 아이유브 왕조에 대한 예루살렘 상실 등이 일어났다. 주요 인물로는 아시카가 요시즈미, 호조 도키후사, 테오도르 1세 라스카리스 등이 태어났고, 이의방, 이븐 아사키르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175년 | |
---|---|
1175년 | |
주요 사건 | 호넨, 게이안의 법난으로 유배됨. 금나라, 송나라에 승리. |
탄생 | |
날짜 미상 | 알렉산드라, 카시미르 2세의 딸 (1194년) |
사망 | |
5월 15일 | 안드레이 3세 (키예프), 키예프 대공. |
11월 17일 | 훔프리 4세 드 보훈, 영국-노르만족 귀족 (출생년도: 1155년) |
2. 연호
남송 순희(淳熙) 2년
남송 효종 13년
금 대정(大定) 15년
일본 조안(承安일본어) 5년 / 안겐(安元일본어) 원년
서하 건우(乾祐) 6년
리 왕조(李朝) 티엔깜찌바오(天感至寶) 2년
고려 명종 5년
단기 3508년
서요 숭복 12년?
대리국 이정 4년
간지 을미
황기 1835년
불멸기원 1717년 - 1718년
이슬람력 570년 - 571년
유대력 4935년 - 4936년
3. 기년
금 세종 15년
고려 명종 5년
서하 인종 36년
리 왕조 영종 38년
간지는 을미이다.
일본의 연호는 조안 5년, 안겐 원년(7월 28일부터)이다.
황기 1835년이다.
중국의 연호는 남송 순희 2년, 금 대정 15년이다.
서요는 숭복 12년, 서하는 건우 6년, 대리국은 이정 4년을 사용하였다.
조선에서는 고려 명종 5년, 단기 3508년이였다.
베트남은 이조 천감지보 2년이다.
불멸기원은 1717년 - 1718년, 이슬람력은 570년 - 571년, 유대력은 4935년 - 4936년이다.
4. 사건
4. 1. 동아시아
4. 2. 서아시아
4. 3. 유럽
잉글랜드 국왕 헨리 2세는 정부 로사문드 클리포드와 공개적으로 동거하기 시작하여 그들의 관계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헨리의 아내인 잉글랜드 여왕 아키텐의 엘레오노르를 소외시켰다.[1] 아키텐의 엘레오노르는 윌트셔의 올드 세럼 성에서 가택 연금되었으나, 그곳에서 편안하게 지냈으며 그녀를 위한 고급 의류가 런던에서 정기적으로 보내졌다.[2]
윈저 조약을 통해 최고 왕 루아이드리 우어 콘초바르 (또는 '''로데릭 오코너''')는 자신의 칭호를 포기하고 아일랜드의 코노트의 봉신으로서 헨리 2세에게 복종하기로 동의하였다. 겨울에는 어버게니 학살이 윌리엄 드 브루즈 영주의 명령으로 여러 웨일스 귀족들이 사망하면서 종결되었다.
바누 마르다니쉬 씨족의 제독 아래 알모아드 함대는 리스본을 재정복하려다 포르투갈에게 큰 패배를 겪었다.[3] 덴마크의 국왕 발데마르 1세('''대왕''')는 방어 요새로 보딩보르 성을 완공했다. 이탈리아의 모데나 레조 에밀리아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5. 탄생
1175년 동아시아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인 아시카가 요시즈미가 아시카가 요시카네의 서장자로 태어났다. 또한, 가마쿠라 막부렌쇼이자 초대 로쿠하라 탄다이 남방인 호조 도키후사가 태어났다. 헤이안 시대 및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이자 승려인 도손이 태어났으며,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인 도쿠다이지 긴쓰구도 이 해에 태어났다.
== 서아시아 ==
1175년에는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자히르가 태어났다. 그는 1226년에 사망하였다. 또한 니케아 제국의 황제 테오도르 1세가 태어났으며, 1221년에 사망하였다.
== 유럽 ==
1175년 유럽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다. 나둥먀는 버마의 왕이 되었고(1235년 사망), 프리슬란트의 에모는 프리슬란트 학자이자 수도원장이였으며 (1237년 사망), 프리드리히 1세는 오스트리아 공작이 되었다(1198년 사망). 헨리 오들리는 잉글랜드 귀족이 되었고(1246년 사망), 헤르만 2세는 독일 귀족 (리페 가문)이 되었다(1229년 사망).
헝가리의 마가렛은 비잔틴 제국 황후가 되었고(1223년 사망), 마이클 스코트는 스코틀랜드 수학자이자 학자가 되었다(1232년 사망). 오토 4세는 벨프 가문출신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고(1218년 사망), 필리프 1세는 나뮈르 변경백이 되었다(1212년 사망). 레이몬드 데 페냐포르트는 스페인 도미니코회 수도사가 되었고(1275년 사망),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잉글랜드 정치가가 되었다(1253년 사망). 로저 3세는 시칠리아의 왕 (오트빌 가문)이 되었으나 (1193년 사망), 욜란다는 라틴 제국 황후가 되었다(1219년 사망).
그 외에도, 잉게보르그는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의 두 번째 왕비가 되었고 (1236년),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잉글랜드 출신의 신학자, 과학자, 주교가 되었다(1253년). 마이클 스코트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점성가, 수학자가 되었고(1232년?), 루지에로 3세는 시칠리아 왕이 되었다(1194년).
5. 1. 동아시아
1175년 동아시아에서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인 아시카가 요시즈미가 아시카가 요시카네의 서장자로 태어났다. 또한, 가마쿠라 막부렌쇼이자 초대 로쿠하라 탄다이 남방인 호조 도키후사가 태어났다. 헤이안 시대 및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이자 승려인 도손이 태어났으며,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인 도쿠다이지 긴쓰구도 이 해에 태어났다.5. 2. 서아시아
1175년에는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자히르가 태어났다. 그는 1226년에 사망하였다. 또한 니케아 제국의 황제 테오도르 1세가 태어났으며, 1221년에 사망하였다.5. 3. 유럽
1175년 유럽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태어났다. 나둥먀는 버마의 왕이 되었고(1235년 사망), 알-자히르는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가 되었다(1226년 사망). 프리슬란트의 에모는 프리슬란트 학자이자 수도원장이였으며 (1237년 사망), 프리드리히 1세는 오스트리아 공작이 되었다(1198년 사망). 헨리 오들리는 잉글랜드 귀족이 되었고(1246년 사망), 헤르만 2세는 독일 귀족 (리페 가문)이 되었다(1229년 사망).헝가리의 마가렛은 비잔틴 제국 황후가 되었고(1223년 사망), 마이클 스코트는 스코틀랜드 수학자이자 학자가 되었다(1232년 사망). 오토 4세는 벨프 가문출신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되었고(1218년 사망), 필리프 1세는 나뮈르 변경백이 되었다(1212년 사망). 레이몬드 데 페냐포르트는 스페인 도미니코회 수도사가 되었고(1275년 사망),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잉글랜드 정치가가 되었다(1253년 사망). 로저 3세는 시칠리아의 왕 (오트빌 가문)이 되었으나 (1193년 사망), 욜란다는 라틴 제국 황후가 되었다(1219년 사망).
그 외에도, 잉게보르그는 프랑스 국왕 필리프 2세의 두 번째 왕비가 되었고 (+ 1236년),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잉글랜드 출신의 신학자, 과학자, 주교가 되었다(+ 1253년). 마이클 스코트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점성가, 수학자가 되었고(+ 1232년?), 루지에로 3세는 시칠리아 왕이 되었다(+ 1194년).
6. 사망
- 고려의 무신정권 집권자 이의방(李義方)이 사망했다.
- 1월 12일 – 이의방, 고려의 무신 (출생 1121년)
- 1월 24일 – 이븐 아사키르, 시리아의 역사가이자 신비주의 (출생 1105년)
- 3월 5일 – 할룸의 프리드리히, 프리지아의 사제이자 수도원장
- 5월 15일 –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군주인 멜레흐 1세 (산악 영주)
- 5월 25일 – 이쇼야브 5세, 동방교회 총대주교
- 7월 1일 – 레지날드 드 던스턴빌, 잉글랜드 귀족 (출생 1110년)
- 7월 27일 – 퐁스 드 미네르바, 프랑스 귀족이자 장군
- 10월 19일 – 성 빅토르의 앤드루, 잉글랜드의 수도원장이자 학자
- 11월 13일 – 랭스의 앙리, 랭스 대교구의 대주교 (출생 1121년)
- 이븐 사아드 알-카이르 알-발란시, 아랍 안달루시아의 언어학자이자 시인 (출생 1116년)
- 체링겐의 클레멘티아, 바이에른 공국과 작센 공국의 공작 부인
- 마리아 토리비아 (또는 '''라 카베자'''), 스페인의 평신도이자 은둔자
- 니콜라스 하지오테오도리테스, 비잔틴 학자이자 관료
- 3월 21일 - 미나모토 마사미치, 헤이안 시대의 공경 (* 1118년)
- 6월 10일 - 나카하라 모로모토, 헤이안 시대의 공가 (* 1109년)
- 센츠루마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장남 (* 1172년?)
- 후지와라 이에유키, 헤이안 시대의 서예가 (* 1139년?)
-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 (*1111년)
6. 1. 동아시아
고려(高麗) 무신정권(武臣政權) 집권자(執權子) 이의방(李義方)이 사망했다.6. 2. 유럽
- 1월 12일 - 이의방, 고려 무신정권의 집권자.
- 1월 24일 - 이븐 아사키르, 시리아의 역사가.
- 3월 5일 - 할룸의 프리드리히, 프리지아의 사제.
- 7월 1일 - 레지날드 드 던스턴빌, 잉글랜드 귀족.
- 7월 27일 - 퐁스 드 미네르바, 프랑스 귀족.
- 10월 19일 - 성 빅토르의 앤드루, 잉글랜드의 수도원장.
- 11월 13일 - 랭스의 앙리, 랭스 대교구의 대주교.
-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
- 체링겐의 클레멘티아, 바이에른 공국과 작센 공국의 공작 부인.
- 마리아 토리비아, 스페인의 평신도.
6. 3. 서아시아
고려(高麗)의 무신정권(武臣政權) 집권자(執權子) 이의방(李義方)이 사망하였다. 1월 24일에는 시리아의 역사가이자 신비주의자인 이븐 아사키르가 사망하였다.참조
[1]
서적
King Joh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1
[2]
서적
Eleanor of Aquitaine: By the Wrath of God, Queen of England
2008
[3]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au Moyen Ag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97
[4]
서적
Saladin
Osprey: Command
2011
[5]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6]
웹사이트
About Pasay - History: Kingdom of Namayan
http://www.pasay.gov[...]
City Government of Pasay
2008-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