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로베니아의 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베니아의 언어는 슬로베니아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베니아의 유일한 공식 언어이며, 2004년 공용법에 의해 법적 지위가 강화되었다.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등에서 슬로베니아어 사용이 의무화되며, 슬로베니아어 제2/외국어 센터를 통해 슬로베니아어 교육이 이루어진다. 슬로베니아어는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이며,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베니아어 방언, 이탈리아어, 헝가리어, 로마니어 등 소수 언어, 독일어, 구 유고슬라비아 언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외국어 등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베니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슬로베니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슬로베니아의 언어
언어 개요
공용어슬로베니아어
공용어 (지역)이탈리아어, 헝가리어
주요 언어
주요 언어슬로베니아어
소수 언어
소수 언어헝가리어, 이탈리아어, 로마니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독일어
기타 언어
토착어해당사항 없음
이민자 언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로마니어
외국어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영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수화슬로베니아 수어
키보드슬로베니아어 QWERTZ
키보드 이미지
슬로베니아어 키보드 레이아웃
슬로베니아어 키보드

2.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이다. 헌법과 법률에 의해 그 지위가 보장되며, 공공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사용된다.

2. 1. 슬로베니아어의 법적 지위

슬로베니아 헌법 제11조는 슬로베니아어를 슬로베니아 전역의 유일한 공식 및 국어로 규정하고 있다. 2004년 슬로베니아어 공용법[12]은 국가 및 지방 당국이 소통 및 입법에 슬로베니아어를 사용하도록 의무화함으로써 슬로베니아어의 법적 지위를 더욱 명확히 정의했다. 국어로서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베니아 유로 동전 앞면, 슬로베니아 국가에 사용되며, 슬로베니아 대통령이 사용하고, 슬로베니아 문화를 국제 무대에서 독특하게 대표한다.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 신문, 광고, 사용자 설명서 및 기타 인쇄물 또는 방송 자료는 슬로베니아어로 작성되어야 한다. 다른 언어로 된 자료는 적절한 자막, 더빙 또는 번역이 제공되는 경우 사용이 허용된다. 슬로베니아어로 번역되지 않은 자료의 출판 또는 방송, 그리고 슬로베니아어 지침 및 선언 없이 상품을 판매하는 행위는 법으로 처벌되고 금지된다. 또한 슬로베니아에 등록된 법인 및 상표의 이름은 슬로베니아어로 작성되어야 하지만, 외국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다른 언어로 번역된 이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슬로베니아어는 초등학교부터 고등 교육까지 모든 수준의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류블랴나에는 영어를 수업 언어로 하는 국제 고등학교가 있지만, 외국 외교관의 자녀와 수년 동안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슬로베니아 학생만 입학을 허용한다. 대학교 프로그램은 슬로베니아어로 제공되지만, 일부는 영어와 같은 외국어로도 제공된다.

2004년 5월 1일 슬로베니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슬로베니아어는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가 되었으며, 모든 법률과 지침을 슬로베니아어로 번역해야 한다. 또한 슬로베니아 시민은 슬로베니아어로 EU 기관에 서면으로 질의하고 동일한 언어로 답변을 받을 수 있다.

2. 2. 슬로베니아어 교육

슬로베니아어는 초등학교부터 고등 교육까지 모든 수준의 학교 교육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류블랴나에는 영어를 수업 언어로 하는 국제 고등학교가 있지만, 외국 외교관의 자녀와 수년 동안 해외에서 교육을 받은 슬로베니아 학생만 입학을 허용한다. 대학교 프로그램은 슬로베니아어로 제공되지만, 일부는 영어와 같은 외국어로도 제공된다.

슬로베니아어 제2/외국어 센터[13]는 슬로베니아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것을 장려하고, 다양한 슬로베니아어 강좌를 제공하며, 언어 능력 인증서를 발급한다. 슬로베니아어 시험은 기본, 중급, 고급의 세 가지 수준으로 치를 수 있다. 시험에 합격하면 류블랴나 대학교 문학부에서 발급하는 슬로베니아어 지식 인증서를 받게 되는데, 이는 유럽 연합 전체에서 유효하며 슬로베니아의 모든 학교 또는 대학교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2. 3. 슬로베니아어 방언

슬로베니아어는 7개의 지역 방언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은 다시 지역 방언으로 세분화된다. 특정 방언 간의 상호 이해는 제한적이다.[14]

프레크무르예 슬로베니아어는 프레크무르예 지역에서 공식 언어로 선언하려는 시도가 있었던 유일한 슬로베니아어 방언이다. 제한적인 표준화된 문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16] 전례에서 사용되었고,[17][18] 현대 문학, 음악, 텔레비전 및 영화에서도 사용되었다.[19][20]

3. 소수 언어

슬로베니아에는 이탈리아어, 헝가리어, 로마어 외에도 다양한 소수 언어가 존재한다.

크로아티아어세르비아어의 변종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도 상당수 있는데, 이들은 주로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다른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에서 슬로베니아로 이주한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다. 2002년 조사에 따르면 슬로베니아 인구의 0.4%는 알바니아어를, 0.2%는 마케도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밝혔다.[21]

백 카르니올라에는 유고슬라비아보다 오래된 소규모 크로아티아어 사용 공동체가 존재한다. 밀리치, 보얀치, 마린돌, 파우노비치 등 4개 마을에서는 슬로베니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사용한다. 이곳 주민들은 주로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이며,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서 싸운 세르비아 우스코크의 후손들이다.[22]

독일어바이에른어 방언은 8세기에 바이에른의 지배를 받게 된 이후부터 슬로베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많은 독일어 사용 지역 출신 이민자들이 수 세기 동안 슬로베니아어를 채택했지만, 일부는 독일어를 계속 사용했다. 20세기까지 독일어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니즈카슈타이에르의 도시, 슬로베니아 남부 코체베 군, 무라 강을 따라 아파체(아파슈코 폴리에) 주변 마을이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 오늘날 슬로베니아 인구의 약 9%가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응답했다. 독일어 사용 인구가 다수인 마을로는 마리보르, 첼레, 프투이, 코체베, 슬로벤그라데츠, 슬로벤스카 비스트리차, 오르모주, 드라보그라드 등이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어 사용자는 크게 감소했다. 대부분 마을이 슬로베니아화되었고, 독일어는 코체베 군과 아파체 주변에서만 다수 언어로 남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는 독일어 사용자가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민족 독일인들은 이탈리아 점령 지역에서 독일 점령 지역으로 재정착했다. 전쟁 말기와 그 이후, 남아있는 독일인 대다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추방되거나 살해당했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1,628명(인구의 0.1%)만이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오늘날 슬로베니아에서 태어난 거의 모든 사람은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슬로베니아어를 배우므로 슬로베니아어를 알지만, 많은 사람이 집에서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마리보르 주변의 독일어를 사용하는 슬로베니아 시민 여성들은 ''Kulturno društvo nemško govorečih žena »Mostovi« Maribor'' ("다리")라는 협회를 조직했다.

3. 1. 이탈리아어

피란의 슬로베니아어-이탈리아어 이중 언어 표지판


이탈리아어는 슬로베니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소수 언어이다. 약 3,700명의 슬로베니아 시민이 이탈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대부분 이스트리아 이탈리아인이다. 이들의 수는 이스트리아-달마티아 엑소더스 (1943–1960)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

이탈리아어는 슬로베니아 이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 해안가에서 보호받는 이탈리아 소수 민족의 모국어이자 공용어로 공식적으로 인정된다. 이탈리아어의 공공 사용은 소수 민족 보호법에 의해 허용되고 보호받는다. 이탈리아 소수 민족 구성원은 모국어로 초등 및 중등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탈리아어로 라디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권리, 그리고 당국과 이탈리아어로 소통할 권리가 있다.

이탈리아어는 슬로베니아-이탈리아 국경 근처의 4개의 지방 자치 단체(모두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의 25개 정착지에서 슬로베니아어와 공동 공용어이다.

지방 자치 단체슬로베니아어 정착지명이탈리아어 정착지명
안카란안카란Ancarano
이졸라도브라바Dobrava presso Isola
이졸라Isola
야고드예Valleggia
코페르바리조니Barisoni
베르토키Bertocchi
보사마린Bossamarin
체레이Cerei
흐르바티니Crevatini
캄펠Campel
콜롬반Colombano
코페르Capodistria
프라데Prade
프레만찬Premanzano
스포드네 스코피예Valmarin
살라라Salara
스코찬San Canziano
피란드라곤야Dragogna
루치야Lucia
파레차그Parezzago
피란Pirano
포르토로즈Portorose
세차Sezza
세초블례Sicciole
스트루냔Strugnano


3. 2. 헝가리어

프레크무레에서 헝가리 소수파들은 헝가리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있다.[1] 헝가리어는 슬로베니아-헝가리 국경 근처 프레크무르예 지역에 거주하는 헝가리 소수민족의 모국어로 공식 인정받고 있다.[1] 헝가리어의 공공 사용은 허용되며 소수 민족 보호법에 의해 보호받는다.[1] 헝가리 소수 민족 구성원은 모국어로 초등 및 중등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헝가리어로 라디오 및 가끔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할 권리, 당국과 헝가리어로 소통할 권리가 있다.[1]

헝가리어는 5개 지방 자치 단체의 30개 정착촌에서 슬로베니아어와 공동 공용어이며 (그중 3개는 공식적으로 이중 언어 사용),[1] 해당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방 자치 단체정착촌
도브로브니크 시(Občina Dobrovnik)도브로브니크, 지트코브치
호도슈 시(Občina Hodoš)호도슈, 크르플리브니크
렌다바 시(Občina Lendava)바누타, 첸티바, 돌가 바스, 돌고바슈케 고리체, 렌다바 근처 돌리나, 돌니 라코슈, 렌다바의 가베르제, 겐테로브치, 고르니 라코슈, 카모브치, 카프차, 렌다바의 코트, 렌다바, 렌다브스케 고리체, 렌다바의 모슈테, 페티쇼브치, 핀체, 핀체-마로프, 라드모잔치, 트림리니
모라브스케 토플리체 시(Občina Moravske Toplice)치케츠카 바스, 모트바레브치, 포르다신치, 프로세냐코브치, 스레디슈체
살로브치 시(Občina Šalovci)도만셰브치


3. 3. 로마니어

로마어는 2002년 기준 슬로베니아 인구의 0.2%가 모국어로 사용하며, 슬로베니아에서 법적으로 보호받는 언어이다.[1] 이들은 주로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소외된 로마 공동체에 속해 있다.[1]

4. 기타 언어

슬로베니아에는 슬로베니아어 외에도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독일어는 중유럽의 링구아 프랑카였으며, 슬로베니아의 무역, 학문, 문학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다. 학교에서 주요 외국어로 가르쳐졌으나, 현재는 영어에 그 자리를 내주었다. 그러나 여전히 슬로베니아에서 중요한 외국어이며, 스페인어, 프랑스어, 헝가리어도 기본적인 외국어로 사용된다.

독일어바이에른어 방언은 8세기부터 슬로베니아가 바이에른의 지배를 받게 된 이후 토착 언어였다. 20세기까지 독일어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니즈카슈타이에르의 도시 중심지, 슬로베니아 남부의 코체베 군, 무라 강을 따라 아파체(아파슈코 폴리에) 주변 마을이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 마지막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슬로베니아 인구의 약 9%가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독일어 사용 인구가 다수인 마을은 다음과 같다.

도시
마리보르
첼레
프투이
코체베
슬로벤그라데츠
슬로벤스카 비스트리차
오르모주
드라보그라드
기타 작은 마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어 사용자의 수는 크게 감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는 독일어 사용자가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민족 독일인들은 이탈리아 점령 지역에서 독일 점령 지역으로 재정착했다. 전쟁 말기와 전쟁 이후, 남아있는 독일인의 대다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추방되거나 살해당했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 단 1,628명(인구의 0.1%)만이 독일어를 모국어로 선언했다. 오늘날 슬로베니아에서 태어난 거의 모든 사람은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슬로베니아어를 배우기 때문에 슬로베니아어를 알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마리보르 주변의 독일어를 사용하는 슬로베니아 시민 여성들은 "다리"라는 협회를 조직했다.

고체리쉬 또는 그라니쉬는 바이에른어 방언으로, 1330년부터 코체브예(고체) 주변의 고체 카운티에서 사용되어 온 독일어 방언이다. 600년 이상 동안 이 지역의 고체르인들의 주된 구어였으며, 표준 독일어는 그들의 문어였다.[26][27]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독일 점령군에 의해 대부분의 고체 독일인들은 재정착되었다. 단지 수백 명의 고체르인들만이 남았으며, 대부분은 유격대 운동을 지원했다. 전쟁 후, 고체리쉬는 금지되었다. 오늘날에는 몇 명의 화자만이 남아 있으며, 그들 중 대부분은 코체브스케 폴리아네와 체르모쉬니체, 세미치 사이의 모슈니체 계곡(Črmošnjiško-Poljanska dolina)에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주로 표준 독일어를 알고 있다.[28]

고체리쉬와 독일어는 슬로베니아에 고유하지만 공식적인 지위가 없으며 법으로 보호받지 못한다.[29]

체코어슬로바키아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슬로베니아에서 이탈리아어, 독일어, 헝가리어, 크로아티아어 및 세르비아어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소수 언어였으며, 현재는 수백 명의 슬로베니아 거주민의 모국어이다.[21]

4. 1. 구 유고슬라비아 언어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에서 슬로베니아로 이주한 이민자와 그 후손들은 크로아티아어세르비아어의 변종을 모국어로 사용한다. 이들은 주로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슬로베니아로 이주하였다.[21] 2002년 슬로베니아 인구의 0.4%는 알바니아어를, 0.2%는 마케도니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고 밝혔다.[21]

백 카르니올라에는 유고슬라비아보다 오래된 소규모 크로아티아어 사용 공동체가 존재한다. 밀리치, 보얀치, 마린돌, 파우노비치 등 4개 마을에서는 슬로베니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사용한다.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주로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이며,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항한 게릴라 전사인 세르비아 우스코크의 후손들이다.[22]

4. 2. 독일어

역사적으로 독일어는 중유럽의 링구아 프랑카였다. 독일어는 슬로베니아의 무역, 학문, 문학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고, 학교에서 주요 외국어로 가르쳐졌다. 현재는 영어에 그 자리를 내주었지만, 여전히 슬로베니아에서 중요한 외국어이다. 슬로베니아에서는 스페인어, 프랑스어, 헝가리어도 기본적인 외국어로 사용된다.

독일어바이에른어 방언은 8세기부터 슬로베니아가 바이에른의 지배를 받게 된 이후 토착 언어였다. 많은 독일어 사용 지역 출신 이민자들이 슬로베니아어를 채택했지만, 일부는 그들의 언어를 유지했다. 20세기까지 독일어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니즈카슈타이에르의 도시 중심지, 슬로베니아 남부의 코체베 군, 무라 강을 따라 아파체(아파슈코 폴리에) 주변 마을이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 마지막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슬로베니아 인구의 약 9%가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독일어 사용 인구가 다수인 마을은 다음과 같다.

도시
마리보르
첼레
프투이
코체베
슬로벤그라데츠
슬로벤스카 비스트리차
오르모주
드라보그라드
기타 작은 마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어 사용자의 수는 크게 감소했다. 대부분의 마을이 슬로베니아화되었고, 독일어는 코체베 군과 아파체 주변에서만 다수 언어로 남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는 독일어 사용자가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했다. 이전 독일어 사용자 또는 이중 언어 사용자는 공식 언어인 슬로베니아어로 전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민족 독일인들은 이탈리아 점령 지역(류블랴나, 코체베)에서 독일 점령 지역으로 재정착했다. 전쟁 말기와 전쟁 이후, 남아있는 독일인의 대다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해 몰수(AVNOJ-Decree)당하고 추방되거나 살해당했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 단 1,628명(인구의 0.1%)만이 독일어를 모국어로 선언했다. 오늘날 슬로베니아에서 태어난 거의 모든 사람은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슬로베니아어를 배우기 때문에 슬로베니아어를 알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다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독일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의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마리보르 주변의 독일어를 사용하는 슬로베니아 시민 여성들은 "다리"라는 협회를 조직했다.

4. 2. 1. 고체어리쉬

고체리쉬 또는 그라니쉬는 바이에른어 방언으로, 1330년부터 코체브예(고체) 주변의 고체 카운티에서 사용되어 온 독일어 방언이다. 600년 이상 동안 이 지역의 고체르인들의 주된 구어였으며, 표준 독일어는 그들의 문어였다.[26][27]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년 독일 점령군에 의해 대부분의 고체 독일인들은 재정착되었다. 단지 수백 명의 고체르인들만이 남았으며, 대부분은 유격대 운동을 지원했다. 전쟁 후, 고체리쉬는 금지되었다. 오늘날에는 몇 명의 화자만이 남아 있으며, 그들 중 대부분은 코체브스케 폴리아네와 체르모쉬니체, 세미치 사이의 모슈니체 계곡(Črmošnjiško-Poljanska dolina)에 있으며, 다른 사람들은 주로 표준 독일어를 알고 있다.[28]

고체리쉬와 독일어는 슬로베니아에 고유하지만 공식적인 지위가 없으며 법으로 보호받지 못한다.[29]

4. 3.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체코어슬로바키아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슬로베니아에서 이탈리아어, 독일어, 헝가리어, 크로아티아어 및 세르비아어 다음으로 네 번째로 큰 소수 언어였으며, 현재는 수백 명의 슬로베니아 거주민의 모국어이다.[21]

5. 외국어

350px


슬로베니아에서는 역사적으로 독일어가 중유럽의 링구아프랑카로 사용되었고, 무역, 학문, 문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과거에는 학교에서 독일어를 주요 외국어로 가르쳤지만, 현재는 영어가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어는 여전히 중요한 외국어로 남아 있으며, 스페인어, 프랑스어, 헝가리어도 사용된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가 연방 정부의 언어이자 학교에서 가르치는 첫 번째 외국어였다. 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유사하여 슬로베니아인들은 쉽게 습득할 수 있었다.

현재는 영어가 유치원부터 전국적으로 첫 번째 외국어로 교육되고 있다. 독일어는 고등학교에서 가장 흔한 두 번째 외국어 중 하나이며, EU에 따르면 슬로베니아는 비 게르만 국가 중 독일어 능력 수준이 높다.[31] 슬로베니아 졸업 시험(마투라)에서는 외국어(주로 영어)가 필수 과목이다.

슬로베니아는 다양한 외국어가 가르쳐졌기 때문에 특정 외국어가 지배적이지 않다. 젊은 세대는 영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에 능통하고, 노년 세대는 세르보크로아트어를 더 잘 구사한다. 지역별로는 도렌스카 지역에서 독일어가, 슬로베니아 해안 지역에서 이탈리아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5. 1. 역사적 배경

역사적으로 독일어는 중유럽의 링구아프랑카였으며, 슬로베니아에서 무역, 학문, 문학의 주요 언어로 사용되었다. 과거 학교에서 주요 외국어로 독일어를 가르쳤으나, 현재는 영어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독일어는 여전히 슬로베니아에서 중요한 외국어로 남아있으며, 스페인어, 프랑스어, 헝가리어도 기본적인 외국어로 사용된다.[31]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가 연방 정부의 언어이자 학교에서 가르치는 첫 번째 외국어였다. 슬로베니아어는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언어학적으로 유사하여 슬로베니아인들은 비교적 쉽게 세르보크로아트어를 습득했다.

오늘날에는 영어가 유치원부터 전국적으로 첫 번째 외국어로 교육되고 있다. 그러나 독일어는 여전히 중요한 언어로, 고등학교에서 가장 흔한 두 번째 외국어 중 하나이다. EU에 따르면 슬로베니아는 비 게르만 국가 중 독일어 능력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다.[31] 다른 두 번째 외국어로는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헝가리어가 있다.

슬로베니아에서는 다양한 외국어가 서로 다른 시기에 가르쳐졌기 때문에 특정 외국어가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지는 않는다. 젊은 세대는 영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에 능통하고, 노년 세대는 세르보크로아트어를 더 잘 구사한다. 지역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데, 도렌스카 지역에서는 독일어가, 슬로베니아 해안 지역에서는 이탈리아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5. 2. 현대의 외국어 교육

역사적으로 독일어는 중앙 유럽의 ''공용어''였으며 슬로베니아에서 상업, 과학 및 문학 언어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독일어는 학교에서 처음 가르치는 외국어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영어가 이를 대체하여 유치원부터 전국적으로 첫 번째 외국어로 가르치고 있다. 독일어는 여전히 중요한 언어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고등학교에서 가장 흔한 두 번째 외국어이다.[31] 다른 두 번째 외국어로는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헝가리어가 있다. 슬로베니아 졸업 시험(마투라)에서 5개 과목 중 하나인 외국어(가장 흔히 영어)는 필수이다.

슬로베니아는 다양한 외국어가 서로 다른 시기에 가르쳐졌기 때문에 지배적인 외국어 지식이 없다. 젊은 세대는 의사 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영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를 잘 알고 있으며, 노년 세대는 세르보크로아트어를 더 잘 구사한다. 특히 두 번째 외국어 지식은 지역적 차이가 있는데, 도렌스카 지역에서는 독일어가 더 자주 가르쳐지고 사용되는 반면, 슬로베니아 해안 지역 주민들은 이탈리아어에 더 익숙하다.

참조

[1] 문서 Italian and Hungarian are recognised as official languages in the residential areas of the Italian or Hungarian national community.
[2] 보고서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Second Periodical Report: Sloven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6-06-13
[3] 보고서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Third Periodical Report: Sloven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9-06-02
[4] 웹사이트 SOER: Country Introduction http://www.arso.gov.[...] Environment Agency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1-02-03
[5] 서적 Medkulturni dialog kot temeljna vrednota EU http://www.mk.gov.si[...] Faculty of Humanities
[6] 웹사이트 Resolution on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Republic of Slovenia http://sova.gov.si/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01-06-21
[7] 웹사이트 Jezikovni položaj http://www.vlada.si/[...]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2-05-11
[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lovenia http://www.dz-rs.si/[...]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1-01-26
[9] 뉴스 International Mother Language Day 2010 http://www.stat.si/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1-01-29
[10] 서적 Primerjava narodne, verske in jezikovne sestave Slovenije: diplomsko delo http://geo.ff.uni-lj[...] Faculty of Arts, University of Ljubljana 2011-01-29
[11] 웹사이트 Raziskava Položaj in status pripadnikov narodov nekdanje Jugoslavije vRS.pdf http://www.inv.si/Do[...]
[12] 웹사이트 Ukaz o razglasitvi Zakona o javni rabi slovenščine (ZJRS) http://www.uradni-li[...]
[13] 웹사이트 Centre for Slovene as a Second/Foreign Language http://www.centerslo[...]
[14]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문서 Franc Kuzmič: Stranke v Prekmurju med obema vojnama, Kronika (Ljubljana) 39. št. 1991. 59. p. http://www.dlib.si/d[...]
[16] 문서 Marko Jesenšek: Prekmuriana, Cathedra Philologiæ Slavicæ, 129. p.
[17] 간행물 Jezik in slovstvo https://books.google[...] Slavistično društvo v Ljubljani
[18] 보고서 Zapis 34. posveta predstavnikov verskih skupnosti, ki so prijavile svojo ustanovitev v Republiki Sloveniji http://www.uvs.gov.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Slovenia for Religious Communities 2005-03-04
[19] 학술회의 Prekmursko narečje v medijih http://www.centerslo[...] Faculty of Arts, University of Ljubljana
[20] 학술회의 Prekmurje, Prekmurci in prekmursko narečje v slovenskih medijih http://www.pazu.si/d[...] Pomurje Academic Scientific Union
[21] 서적 Verska, jezikovna in narodna sestava prebivalstva Slovenije: Popisi 1921-2002 http://www.stat.si/p[...] Statistični urad Republike Slovenije
[22] 웹사이트 http://www.inv.si/Do[...]
[23] 간행물 Legal Protection of Roma in Slovenia http://www2.arnes.si[...] Institute for Ethnic Studies
[24] 서적 Evropa, Slovenija in Romi http://www.inv.si/Do[...] Institute for Ethnic Studies 2011-02-03
[25] 웹사이트 Veronika Haring http://www.drustvo-m[...]
[26] 웹사이트 Pokrajinski muzej Kočevje: Vsi niso odšli / Not all of them left http://www.pmk-kocev[...]
[27]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28] 웹사이트 Granish – a Minority Language Spoken in Slovenia Norway.si 2011-10-07
[29] 문서 Application of the Charter in Slovenia http://www.coe.int/t[...]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2010-05-26
[30] 서적 Special Eurobarometer 243: Europeans and their Language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06-02
[31] 파일 German foreign language EU.jpg
[32] 문서 몇 개의 이탈리아인과 헝가리인 공동체에서는 [[이탈리아어]]와 [[헝가리어]].
[33] 문서 [[로마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독일어]]
[34] 보고서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Second Periodical Report: Sloven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6-06-13
[35] 보고서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Third Periodical Report: Sloven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09-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