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습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습관은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형성되며, 개인의 생각이나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후천적인 양식이다. 습관은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며, 버릇, 중독과 구분된다. 습관은 어원, 형성 과정, 목표와의 관계, 신경증적 습관, 나쁜 습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건강, 결정, 사회적 관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습관 - 흡연
    흡연은 기원전 5000년경부터 시작된 아메리카 대륙의 담배 흡연을 시작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었으며, 현재 예방 및 금연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 습관 - 버릇
    버릇은 반복적인 행동으로 상황 변화에도 부적절한 결과를 초래하는 소극적인 의미를 가지며, 긍정적·부정적 습관과 함께 집단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무의식적인 말이 사회나 픽션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습관

2. 습관의 정의 및 개념

습관은 오랫동안 반복하여 익숙해진 행동 양식이다. 습관은 주로 신체적인 행동을 가리키지만, 사고방식과 같은 정신적, 심리적인 측면도 포함한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라는 말처럼, 습관은 반복을 통해 굳어져 개인과 분리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습관의 수는 늘어나고, 행동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며, 정착 정도도 높아진다.

습관을 바꾸는 것은 어렵지만, 로버트 마우러는 작고 꾸준한 노력을 통해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고 말한다.

2. 1. 어원 및 역사

"습관"이라는 단어는 "가지다, ~으로 구성되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habere|하베레la와 "상태, 존재 상태"를 의미하는 habitus|하비투스la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의복을 의미하는 프랑스어 habit|아비프랑스어에서 파생되었다.[8] 13세기에 습관이라는 단어는 처음에는 의복만을 지칭했다. 이후 의미가 발전하여 "획득된 행동 방식"이라는 보다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8]

1890년, 선구적인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는 그의 저서 ''심리학 원리''에서 습관이라는 주제를 다루었다. 제임스는 습관을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경향으로 보았다. 그에게 "살아있는 존재...는 습관의 묶음"이며 "선천적인 경향을 가진" 그러한 습관을 본능이라고 불렀다.[9] 제임스는 또한 습관이 어떻게 우리의 삶을 지배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그는 "자주 반복된 일련의 정신 활동은 스스로를 영속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우리는 이전에 비슷한 상황에서 의식적인 목적이나 예상된 결과 없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에 익숙해져 자동적으로 그렇게 하도록 유도된다"고 말했다.[9]

2. 2. 버릇 및 중독과의 차이

습관과 버릇은 모두 영어로 'habit'이라고 표기되지만 차이점이 있다. 먼저 습관은 한자어이고 버릇은 순우리말이다. 보통 버릇은 부정적으로 쓰이는 반면 습관은 긍정적인 표현과 부정적인 표현을 두루 사용한다. 또한 버릇은 신체적 행동과 말에 관한 무의식적인 행위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면, 습관은 신체적 행동 외에 생각 등 정신적, 심리적 경향도 포함한다.

중독은 자극을 주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마약과 같은 약물에 의한 중독이나 게임과 같은 보상을 받기 위해 하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 것이 중독이다. 습관이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이라면 중독은 의식해도 자기 스스로 억제하기 힘들어하는 것과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습관과 중독은 비슷해 보이지만 이러한 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3. 습관의 형성

'루틴 기반 대 시간 기반 큐 계획에 따른 습관 형성' 연구에 따르면 습관이 형성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중앙값은 59일이다.[45] 습관 형성은 반복 횟수에 따라 자동성이 증가하며, 점근선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모델링된다.[10][11]

Habitica와 같은 온라인 또는 모바일 앱은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습관 형성을 지원하기도 한다. 경험과 골드와 같은 보상을 제공하여 비디오 게임에서 발견되는 전략을 실제 작업에 적용하는 방식이다.[16] 그러나 이러한 도구들은 대부분 이론에 기반한 설계가 미흡하며, 자동성 개발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는다.[17]

쇼핑 습관은 졸업, 결혼, 첫 아이 출산, 이사, 이혼과 같은 "인생의 중요한 순간"에 변화하기 쉽다. 일부 상점에서는 구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러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마케팅 기회로 활용하기도 한다.[18]

"핵심 습관"은 다른 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습관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자신의 몸을 관리하는 습관은 더 나은 식습관을 갖고 신용 카드 사용을 줄이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비즈니스에서 안전은 생산성을 높이는 다른 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습관이 될 수 있다.[18]

어떤 사람의 습관은 후천적인 행동 양식이며, 반복적인 행동으로 인해 고정화된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라는 말처럼, 그 사람과 습관을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습관의 수가 늘어나고 행동에서 습관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며, 정착 정도도 강해진다. 따라서 습관을 바꾸거나 교정하는 것은 고령일수록 더 어려워진다.

3. 1. 형성 과정

습관 형성은 규칙적인 반복을 통해 행동이 자동적 또는 습관적이 되는 과정이다. 이는 반복 횟수에 따라 자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모델링되며, 점근선에 도달한다.[10][11] 이러한 습관 형성 과정은 느릴 수 있다. Lally 외 연구진은 참가자들이 자동성의 점근선에 도달하는 평균 시간이 66일(범위 18~254일)이라는 것을 발견했다.[11]

습관 형성에는 맥락 신호, 갈망, 행동 반복, 보상 등 4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다.[12] 맥락 신호는 이전 행동, 시간, 장소 또는 습관적 행동을 유발하는 모든 것일 수 있다. 이는 습관과 연관된 모든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에 따라 습관적 행동이 자동으로 시작된다. 신호는 갈망 또는 욕망으로 이어진다. 갈망은 습관의 동기 부여 요인이다. 습관 자체를 갈망하는 것이 아니라, 습관이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 결과를 갈망하는 것이다.[13] 행동은 실제로 나타나는 습관이며, 긍정적인 감정과 같은 보상은 "습관 고리"를 강화한다.[14] 습관은 처음에는 목표에 의해 유발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목표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습관은 더욱 자동적이 된다. 간헐적이거나 불확실한 보상은 습관 학습을 촉진하는 데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5]

로버트 마우러에 따르면, 작고 조심스러운 한 걸음을 지속함으로써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몸에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3. 2. 주요 요소

습관 형성에는 맥락 신호, 갈망, 행동 반복, 보상 등 4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다.[12]

  • 맥락 신호: 이전 행동, 시간, 장소 등 습관적 행동을 유발하는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이는 습관과 연관된 모든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에 따라 습관적 행동이 자동으로 시작된다.
  • 갈망: 신호에 따라 나타나는 갈망 또는 욕망은 습관의 동기 부여 요인이다. 습관 자체가 아니라, 습관이 가져올 것이라고 믿는 결과를 갈망하는 것이다.[13]
  • 행동 반복: 실제로 나타나는 습관이다.
  • 보상: 긍정적인 감정과 같은 보상은 "습관 고리"를 강화한다.[14] 간헐적이거나 불확실한 보상은 습관 학습을 촉진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15]


처음에는 목표에 의해 습관이 유발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목표의 필요성은 줄어들고 습관은 더욱 자동적이 된다.

3. 3. 관련 연구

'루틴 기반 대 시간 기반 큐 계획에 따른 습관 형성' 연구에 따르면 습관이 형성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중앙값은 59일이다.[45] Lally 외 연구진은 참가자들이 자동성의 점근선에 도달하는 평균 시간이 66일(범위 18~254일)이라는 것을 발견했다.[11]

Adriaanse 외 연구진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습관은 자기 통제와 건강에 좋지 않은 간식 섭취 사이의 관계를 매개한다.[19] 이 연구 결과는 높은 자기 통제가 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보여준다.

4. 습관과 목표

습관은 오랫동안 반복하여 마치 그렇게 하는 것이 정해진 것처럼 된 행동이나 사고방식을 말한다. 어떤 사람의 습관은 후천적인 행동 양식이며, 반복적으로 행해짐으로써 고정화되어 그 사람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도 한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라는 말도 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습관이 늘어나고, 행동에서 습관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며, 정착 정도도 높아진다. 습관을 바꾸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여겨지지만, 로버트 마우러에 따르면, 작고 조심스러운 한 걸음을 지속함으로써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몸에 익힐 수 있다.[6]

4. 1. 습관-목표 인터페이스

습관-목표 인터페이스 또는 상호 작용은 습관이 학습되고 기억 속에 표현되는 특정한 방식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특히, 습관의 근간이 되는 연상 학습은 절차 기억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느리고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6] 습관은 개인이 스스로 설정한 목표에 도움이 되거나 해를 끼칠 수 있다.

목표는 반응 반복에 대한 최초의 결과 지향적인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습관을 이끈다. 이러한 의미에서 습관은 종종 과거 목표 추구의 흔적이다.[6] 하지만 습관이 한 가지 행동을 강요하지만, 의식적인 목표가 다른 행동을 추진하는 경우, 반대되는 상황이 발생한다.[20] 습관이 의식적인 목표보다 우선할 때, 포착 오류가 발생한다.

행동 예측 또한 목표에서 파생된다. 행동 예측은 습관 형성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해당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목표가 존재했어야 한다. 목표가 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습관을 마음속의 다른 자동적 과정과 구별하는 요소이다.[21]

4. 2. 목표 지향적 행동과 습관

목표는 반응 반복에 대한 최초의 결과 지향적인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습관을 이끈다. 이러한 의미에서 습관은 종종 과거 목표 추구의 흔적이다.[6] 하지만, 습관이 한 가지 행동을 강요하지만, 의식적인 목표가 다른 행동을 추진하는 경우, 반대되는 상황이 발생한다.[20] 습관이 의식적인 목표보다 우선할 때, 포착 오류가 발생한다.

행동 예측 또한 목표에서 파생된다. 행동 예측은 습관이 형성될 가능성을 인정하지만, 해당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목표가 존재했어야 한다. 목표가 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습관을 마음속의 다른 자동적 과정과 구별하는 요소이다.[21]

습관-목표 인터페이스 또는 상호 작용은 습관이 학습되고 기억 속에 표현되는 특정한 방식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특히, 습관의 근간이 되는 연상 학습은 절차 기억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느리고 점진적으로 축적되는 것이 특징이다.[6]

5. 신경증적 습관

일부 습관은 '신경질적인' 습관이다. 여기에는 손톱 물어뜯기, 말더듬, 코 훌쩍이기, 머리 박치기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증상은 정서적 상태, 불안, 불안감, 열등감, 긴장 상태를 나타낸다.[22] 이러한 습관은 어린 나이에 형성되며, 관심에 대한 욕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신경질적인 습관을 극복하려면 습관 자체보다는 신경질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22] 불안은 과도하고 예상치 못한 걱정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애이다.[23]

5. 1. 종류 및 원인

신경증적 습관에는 손톱 물어뜯기, 말 더듬기, 코 훌쩍이기, 머리 박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습관은 정서적 상태, 불안, 불안감, 열등감, 긴장 상태의 증상이다.[22] 종종 어린 나이에 형성되며, 관심에 대한 욕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신경증적 습관을 극복하려고 할 때는 습관 자체인 증상보다는 신경질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22] 불안은 개인의 일상생활과 일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도하고 예상치 못한 걱정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애이다.[23]

5. 2. 극복 방법

신경증적 습관에는 손톱 물어뜯기, 말 더듬기, 코 훌쩍이기, 머리 박치기 등이 있다. 이러한 습관은 정서적 상태, 불안, 불안감, 열등감, 긴장 상태의 증상이며, 종종 어린 나이에 형성되어 관심에 대한 욕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2] 신경증적 습관을 극복할 때는 습관 자체(증상)보다는 신경질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22] 불안은 개인의 일상생활과 일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도하고 예상치 못한 걱정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애이다.[23]

6. 바람직하지 않은 습관 (나쁜 습관)

행동 중독 또는 정신 질환과 나쁜 습관을 구별하는 주요 요소는 의지력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행동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면, 그것은 습관이다.[27] 실행 의도는 나쁜 습관의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있지만, 그러한 습관을 제거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28]

나쁜 습관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강화물의 철회'는 습관을 유발하고 강화하는 요인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것이다.[29] 기저핵은 습관을 유발하는 맥락을 기억하는 것으로 보이며, 유발 요인이 다시 나타나면 습관을 되살릴 수 있다.[30] 찰스 두히그에 따르면, 모든 습관에는 단서, 루틴, 보상으로 구성된 고리가 있다. 습관 고리의 예로는 TV 프로그램 종료 (단서), 냉장고로 이동 (루틴), 간식 섭취 (보상)가 있다. 습관을 바꾸는 핵심은 단서를 식별하고 루틴과 보상을 수정하는 것이다.[31]

6. 1. 정의 및 종류

나쁜 습관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패턴이다. 개인적인 나쁜 습관의 예로는 미루는 버릇, 안절부절못함, 과소비, 손톱 물어뜯기 등이 있다.[24] 이러한 나쁜 습관은 빨리 인식할수록 고치기 더 쉽다.[25] 나쁜 습관을 단순히 없애려고 시도하기보다는, 더 건강한 대처 방안으로 대체하는 것이 더 생산적일 수 있다.[26] 바람직하지 않은 습관은 공동체 수준에서도 공유될 수 있는데, 소비 행동에서 많은 공유된 습관을 예로 들 수 있다.

습관은 오랫동안 반복함으로써 마치 그렇게 하는 것이 정해진 것처럼 된 것이다. 기본적으로 행동, 신체적인 행위를 가리키지만, 넓게는 사고방식 등 정신적・심리적인 것도 포함한다.

어떤 사람의 습관은 후천적인 행동 양식이며, 반복적으로 행해짐으로써 고정화되어, 어느새 그 사람과 그 사람의 습관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많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습관의 수가 늘어나고, 어떤 사람의 행동 중에서 습관이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며, 게다가 정착 정도도 높아져 간다.

습관을 (자발적으로) 바꾸려고 하는 경우나 (타인이 개입하여) 바꾸게 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고령이 될수록 그 변경・교정도 어려워진다. 습관을 바꾸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일이지만, 로버트 마우러에 따르면, 작고 조심스러운 한 걸음을 지속함으로써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몸에 익힐 수 있다고 한다.

6. 2. 극복 방법

나쁜 습관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다. '강화물 철회'는 습관을 유발하고 강화하는 요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다.[29] 기저핵은 습관을 유발하는 맥락을 기억하고, 유발 요인이 다시 나타나면 습관을 되살린다.[30] 습관 제거는 나이가 들수록 어려워지는데, 이는 반복이 평생에 걸쳐 습관을 누적적으로 강화하기 때문이다. 찰스 두히그에 따르면, 모든 습관은 단서, 루틴, 보상으로 구성된 고리를 가진다. 예를 들어 TV 프로그램 종료(단서), 냉장고로 이동(루틴), 간식 섭취(보상)가 습관 고리의 예시이다. 습관을 바꾸는 핵심은 단서를 식별하고 루틴과 보상을 수정하는 것이다.[31]

로버트 마우러에 따르면, 작고 조심스러운 단계를 지속하면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익힐 수 있다.

6. 3. 의지력과의 관계

나쁜 습관과 행동 중독을 구별하는 주요 요소는 의지력이다. 어떤 사람이 행동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면, 그것은 습관이다.[27] 실행 의도는 나쁜 습관의 부정적인 영향을 무시할 수 있지만, 그러한 습관을 제거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28]

7. 지역, 공동체와 습관 (관습)

대사전(大辞泉)에서는 "습관"을 "그 나라나 그 지역 사람들의 사이에서 보통 행해지는 사물의 방식. 사회적인 관습. 관례."라고 설명한다.[35] 즉, "습관"은 개인의 습관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종교, 종파별 습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개인적 습관과 지역적 습관을 구분할 때는 전자를 "습관", 후자를 "관습"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일상에서는 "습관"으로 통칭한다.

사람의 탄생(출산), 결혼, 죽음) 등과 관련된 의례, 통과의례, 일상적인 인사 방법(허그, 악수, 고개 숙여 인사 등)은 국가나 지역별 관습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경에 명시되지 않았음에도 오랜 역사 속에서 널리 퍼져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을 "관습" 대신 "전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5]

관습은 지역 공동체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관습의 기원이 설명되는 경우도 있지만, 구성원들도 이유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대다수가 따르는 관습도 있지만, 불행의 근원이라 여겨 바꾸려는 관습도 있다.

관습 준수 정도는 공동체의 성격과 관습 내용에 따라 다르다. 공동체가 관습 준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오다 노부나가는 지역 연못에 "용이 산다"는 관습을 깨고 연못에 잠수하여 용이 없음을 보여준 예가 있다.

7. 1. 관습의 개념과 중요성

慣習일본어은 그 나라나 지역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행하는 사물의 방식, 사회적인 관습, 관례를 의미한다.[35] 즉, '습관'은 개인의 습관뿐만 아니라 국가별, 지역별, 종교, 종파별 습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개인의 습관과 지역의 습관을 의식적으로, 혹은 학술적으로 구분할 때는 개인적인 습관을 '습관', 지역적인 습관을 '관습'이라고 부른다. 일상에서는 '습관'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사람의 탄생(출산), 결혼, 죽음과 같은 때에 어떤 의례를 행하는지, 어떤 교류를 하는지 등은 국가나 지역별 관습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성인이 되는 연령, 통과의례, 일상적인 인사 방법(허그, 뺨 맞대기, 악수, 고개 숙여 인사 등)도 관습에 따라 다르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경이나 복음서에 명시되지 않았지만, 오랜 역사 속에서 널리 퍼져 당연하게 여겨지는 방식을 (가톨릭교회 내부 용어로) '전통'이라고 부른다.[35]

관습(지역적 공동체 내부에 널리 스며든 습관)은 대부분 그 공동체의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관습의 이유나 다른 관습과의 정합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공동체 구성원들도 이유를 모르는 '기묘한' 관습도 존재한다.

구성원 대다수가 따르는 관습도 있지만, 불행의 근원이라 여겨 바꾸고 싶어 하는 관습도 있다.

관습 준수 정도에 대한 관점은 공동체의 성격과 개별 관습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공동체가 관습 준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경우도 있지만('지켜야 한다' 혹은 '많이 지키지 않아도 된다'), 개별 구성원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다 노부나가는 청년 시절, 지역에 있던 "용이 살고 있으므로 들어가면 안 된다"라는 관례를 깨고 연못에 잠수하여 용이 없음을 보여주고,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7. 2. 한국 사회의 관습

한국 사회의 관습은 개인의 습관뿐만 아니라 국가 및 지역별 관습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출산, 결혼, 죽음과 같은 중요한 인생의 단계와 인사 방식 등은 국가나 지역별 관습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35]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유교 문화의 영향을 받아 관혼상제(冠婚喪祭)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이러한 전통 관습이 간소화되거나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한국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출산''': 한국에서는 아기의 탄생을 축하하고 산모의 건강을 기원하는 다양한 관습이 존재한다. 삼칠일 동안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미역국을 먹는 풍습이 대표적이다.
  • '''결혼''': 전통 혼례는 복잡한 절차와 격식을 갖추었지만, 현대에는 서구식 결혼식과 전통 혼례를 결합하거나 간소화된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을 보내거나 예단을 주고받는 풍습은 여전히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 '''장례''': 한국의 장례는 전통적으로 유교식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상여를 메고 만장을 펄럭이는 등의 풍습이 있었다. 현대에는 화장(火葬)이 보편화되고, 장례 절차도 간소화되는 추세이다.
  • '''명절''': 설날추석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로, 온 가족이 모여 차례를 지내고 전통 음식을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이 외에도 한국 사회에는 다양한 관습이 존재하며, 이러한 관습은 시대와 사회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오다 노부나가의 예처럼, 기존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다.

7. 3. 관습과 문화

대사전(大辞泉)에서는 "습관"을 설명하면서, 국가나 지역, 종교, 종파별로 행해지는 보편적인 방식, 즉 사회적인 관습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35] 개인의 습관과 지역의 관습을 구분할 때는 학술적으로 "관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일상에서는 "습관"으로 통칭할 수 있다.

사람의 출산, 결혼, 죽음과 관련된 의례, 성인이 되는 통과의례, 일상적인 인사 방식(예: 허그, 악수, 고개 숙여 인사) 등은 국가나 지역별 관습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경에 명시되지 않았음에도 오랜 역사 속에서 널리 퍼져 당연하게 여겨지는 행위를 "관습" 대신 "전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5]

관습(지역적 공동체 내에 널리 퍼진 습관)은 대부분 그 공동체의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하고, 문화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관습의 기원이나 이유가 명확히 설명되는 경우도 있지만, 공동체 구성원들조차 그 이유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공동체 구성원 대다수가 따르는 관습도 있지만, 불행의 근원이라 여겨 바꾸고 싶어하는 관습도 있다.

관습 준수 정도에 대한 관점은 공동체의 성격과 관습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공동체 차원에서 관습 준수에 대한 통일된 생각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다 노부나가는 청년 시절, 지역의 연못에 "용이 살고 있어 들어가면 안 된다"는 관습에 반하여 직접 연못에 들어가 용이 없음을 증명하고, 관습의 허구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8. 심리학 및 사회학에서의 습관

습관은 오랫동안 반복하여 마치 그렇게 하는 것이 정해진 것처럼 된 것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행동이나 신체적인 행위를 가리키지만, 넓게는 사고방식 등 정신적, 심리적인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의 습관은 후천적인 행동 양식이며, 반복적으로 행해짐으로써 고정화되어, 어느새 그 사람과 습관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도 많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습관의 수가 늘어나고, 어떤 사람의 행동 중에서 습관이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며, 정착 정도도 높아진다. 습관을 바꾸려는 경우, 고령이 될수록 변경이나 교정이 어려워진다.

8. 1. 심리학적 관점

심리학에서는 반복을 통해 습득하고 적은 심적 노력으로 반복할 수 있는 고정된 행동을 "습관"이라고 부른다.[1] 다양한 연구를 통해 나쁜 습관을 고치고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능하며, 습관을 만들고 고치기 위한 몇 가지 효과적인 방법이 발견되었다.[1] 그중 하나는 피터 골비처(Peter Gollwitzer) 박사의 메타 분석 결과 발견된 "If then 플래닝"이다.[1] 로버트 마우러에 따르면, 작고 조심스러운 한 걸음을 지속함으로써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몸에 익힐 수 있다.[1]

8. 2. 사회학적 관점

에밀 뒤르켐에 따르면, 습관은 통용되는 동안에는 꼼꼼히 고찰되지 않는다.[41] 습관이 쇠퇴하고 나서야 비로소 숙고하게 된다. 어린이는 습관에 굳게 매달리고, 암시에 의해 쉽게 다른 습관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어린이의 성질을 도덕 교육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9. 습관의 힘과 활용

습관은 오랫동안 반복하여 마치 정해진 것처럼 굳어진 행동 양식이다. 신체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사고방식과 같은 정신적인 것도 습관에 포함될 수 있다. 어떤 사람의 습관은 후천적으로 형성되며, 반복을 통해 고정화되어 그 사람과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워지기도 한다. "습관은 제2의 천성이다"라는 말도 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습관의 수가 늘어나고, 행동에서 습관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며, 정착 정도도 강해진다. 그래서 습관을 바꾸는 것은 어렵지만, 로버트 마우러에 따르면, 작고 조심스러운 단계를 지속하면 습관을 바꾸거나 새로운 습관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습관화된 행동은 건강과 관련이 깊으며, "인생의 절반은 습관적인 행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말처럼 습관은 중요하다.

9. 1. 습관과 건강

운동, 7시간 이상의 수면, 건강한 식단 등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은 건강한 경우가 많다[38]。 반대로, 고칼로리 식단, 과도한 인터넷 사용, 수면 부족 등 나쁜 습관을 가진 사람은 병에 걸리기 쉽다[39]。「인생의 절반은 습관적인 행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말에서도 그 중요성을 엿볼 수 있다.

9. 2. 습관과 결정 피로

스티브 잡스가 같은 옷을 입는 것도 습관 중 하나로, 식사를 고르거나 옷을 고르는 행위를 습관화함으로써 "결정 피로"를 줄일 수 있다[37]。 운동, 7시간 이상의 수면, 건강한 식단 등 좋은 습관을 가진 사람은 건강한 경우가 많고[38], 고칼로리 식단, 과도한 인터넷 사용, 수면 부족 등 나쁜 습관을 가진 사람은 병에 걸리기 쉽다[39]

9. 3. 루틴

스포츠 선수가 투구, 타격, 프리킥, 서브 등을 할 때 정해진 행동을 하는 것을 루틴이라고 한다. 이 경우 루틴은 긴장을 완화하거나 집중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진다.[40] 또한, 루틴으로 하는 행동 자체가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서적 Managing Your Mind: The Mental Fitnes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bit'' https://www.merriam-[...] 2008-08-29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bituation'' https://www.merriam-[...] 2008-08-29
[4] 논문 Habit
[5]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bituation'' https://www.merriam-[...] 2008-08-29
[6] 웹사이트 Habituation http://www.animalbeh[...] 2008-08-29
[7] 논문 Habits in everyday life: Thought, emotion, and a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8] 웹사이트 Habit Formation https://www.psycholo[...] 2011-11-30
[9] 논문 A new look at habits and the habit-goal interfa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0] 서적 Handbook of social cogn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1]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bit'' https://www.merriam-[...] 2008-08-29
[12] 서적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2021-07-07
[13] 서적 Principles of behavior: An introduction to behavior theory Appleton-Century-Crofts 1943
[14] 서적 Essentials of behavior Greenwood Press 1951
[15] 논문 How are habits formed: Modelling habit formation in the real world Wiley 2009
[16] 논문 Healthy through habit: Interventions for initiating & maintaining health behavior change Project MUSE
[17] 문서 The Power of Habit: Why we do what we do in life and Business Random House 2012
[18] 웹사이트 Habits: How They Form And How To Break Them https://www.npr.org/[...] NPR 2021-01-16
[19] 논문 Psychology of Habit
[20] 간행물 CHI '11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2011-05-07
[21] conference Beyond Self-Tracking and Reminders ACM 2015-04-18
[22] 웹사이트 Habits, Life, and Business - Think https://think.kera.o[...] 2012-03-14
[23] 논문 Effortless inhibition: habit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unhealthy snack consumption 2014
[24] 서적 Psychology Worth Publishers
[25] 논문 How do habits guide behavior? perceived and actual triggers of habits in daily life https://dornsife.usc[...]
[26] 논문 The Psychology of Nervous Habits 1939-04-01
[27] 뉴스 Anxiety Disorders - CMHA National https://cmha.ca/ment[...] 2018-02-08
[28]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Breaking Bad Habits https://books.google[...] Alpha Books
[29] 논문 The Psychology of Habit https://www.jstor.or[...] 1919-04
[30] 뉴스 How to Break a Bad Habit (and Replace It With a Good One) https://jamesclear.c[...] 2018-02-08
[31] 서적 Diseases of the Will: Alcohol and the Dilemmas of Freedo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논문 Good intentions, bad habits, and effects of forming implementation intentions on healthy eating http://www3.intersci[...] 1999-06-21
[33] 서적 Don't Say Yes When You Want to Say No https://books.google[...] Dell
[34] 웹사이트 MIT explains why bad habits are hard to break http://news.cnet.com[...] CBS Interactive
[35] 서적 The Power of Habit Random House 2012
[36] 문서 ウィズダム英和辞典「習慣」第二版
[37] 문서 広辞苑第六版「習慣」
[38] 문서 デジタル大辞泉「習慣」
[39] 문서 カトリックの「伝統」は、必ずしも「伝統的」なそれだけをそう呼んでいるわけではない。ほんの5年~10年前程度前にある神父が意識的に作り出したものも、ともかく教会の聖職者やメンバーの大半がそれに従っていれば「伝統」と呼んでいることがある。カトリックの慣習(内部用語の「伝統」)の中には、福音書の中で示されているイエス・キリストの教えと明らかに根本的に対立するようなものさえあり、それが[[프로테스탄트]]諸教会から批判の的となることも多い。
[36] 서적 短時間で”良い習慣”が身につき人生が思い通りになる!超習慣術 ゴマブックス出版
[37] 서적 やり抜くための9つの習慣 コロンビア大学の成功の科学 ディスカヴァー・トゥエンティワン
[38] 서적 Sleep, Sleep, Sleep サンマーク出版
[39] 간행물 大学生のインターネット依存傾向と健康度および生活習慣との関連性 https://doi.org/10.7[...] 日本総合健診医学会 2016
[40] 간행물 スポーツ選手の「あがり」の対処法に関する実践的研究-パフォーマンスルーティンに着目して- http://id.nii.ac.jp/[...] 武庫川女子大学健康運動科学研究所 2017-03
[41] 문서 英語[[wikt:reflect|reflect]]やフランス語[[:en:wikt:réfléchir|réfléchir]]に相当する表現。文脈に応じて「熟慮する」「熟考する」「じっくり考察する」「反省する」などの訳語があてられる。
[42] 서적 Managing Your Mind: The mental fitness guide Oxford Paperbacks
[43]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bit http://www.merriam-w[...] 2008-08-29
[44]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bituation http://www.merriam-w[...] 2008-08-29
[45] 논문 Habit formation following routine-based versus time-based cue plann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