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는 1814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파리 외방전교회 신학교에서 수학하고 사제 서품을 받았다. 1840년부터 해외 선교 활동을 시작하여 베트남에서 체포, 석방된 후 만주 선교에 임명되었다. 1854년 주교로 서임된 후 조선에 파견되어 제4대 교구장으로 활동하며 베론 신학교 설립, 인쇄소 설치 등 조선 천주교 발전에 기여했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체포되어 순교했으며, 그의 순교는 병인양요의 원인이 되었다. 1968년 복자,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는 프랑스 출신으로 조선의 제2대 사도 대목구장이며 기해박해 때 순교하여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베트남에서 활동한 기독교 선교사 - 알렉상드르 드 로드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17세기 인도차이나에서 활동하며 베트남어 로마자 표기법인 꾸옥응으를 체계화하고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을 편찬하여 베트남어 연구와 가톨릭 전파, 그리고 베트남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베트남에 거주한 프랑스인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베트남에 거주한 프랑스인 - 덴마크 여왕 부군 헨리크
헨리크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덴마크 마르그레테 2세 여왕과 결혼하여 덴마크 공작이 되었으며, 예술과 문화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치매와 암 투병 끝에 사망했다.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칭호 | 순교자 |
본명 | Siméon-François Berneux |
한국어 이름 | 장경일 |
한자 표기 | 張敬一 |
로마자 표기 | Jang Gyeong-il |
므콘-라이샤워 표기 | Chang Kyŏngil |
출생일 | 1814년 5월 14일 |
출생지 | 프랑스 루아르 지방 샤토뒤루아르 |
사망일 | 1866년 3월 8일 |
사망 장소 | 한국 서울 새남터 |
국적 | 프랑스 |
종교 활동 | |
소속 교단 | 로마 가톨릭교회 |
서품 (가톨릭) | 1837년 5월 20일 |
주교 서임 (가톨릭) | 1854년 12월 27일 |
직책 | 조선 교구장 |
시복일 | 1968년 10월 6일 |
시복 결정자 | 교황 바오로 6세 |
시성일 | 1984년 5월 6일 |
시성 결정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공경 대상 | 가톨릭 교회 |
축일 | 3월 7일 9월 20일 (로마 달력,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
매장지 | 절두산 순교 성지 |
2. 생애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는 1814년 프랑스 르망 교구 소속의 샤토 뒤 루와 마을에서 태어나, 르망 교구의 소신학교와 신학대학교에서 공부하고 1837년 5월 20일에 사제로 서품받았다. 르망 대신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던 중 1839년에 파리 외방전교회에 입회하여 해외 선교에 투신하였다.
1840년에 프랑스를 떠나 베트남의 통킹과 청나라의 만주에서 14년 동안 선교하였다. 1841년에 통킹에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2년간 수감생활을 한 끝에 석방되었다. 그 후 청나라로 가서 만주 교구에서 12년을 선교하였다. 1854년에 만주 교구의 보좌 주교로 임명되었고, 그 해 12월 27일에 주교로 성성되었다.
1853년 조선 천주교회 교구장 페레올 주교가 사망하자, 베르뇌 주교가 제4대 교구장(카프사의 명의주교)으로 임명되었고, 1856년에 조선으로 입국하였다. 이후 10년 동안 조선 교회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는데, 베론 신학교를 설립하고, 한양에 2 개의 인쇄소를 설치하는 등 천주교의 교세 확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박해받는 조선 천주교회의 특수성에 비추어 베르뇌 주교에게는 교황청의 비준 없이도 사제 서품을 줄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그는 뮈텔 주교, 리델 신부 등과 함께 천주교 세력을 넓혀, 고종이 즉위하기까지에는 신도수가 2만여 명에 이르렀으며, 왕실 안까지 복음을 전파하였다.
1866년 병인박해로 2월 23일에 한양에서 체포되었고, 3월 7일에 새남터에서 브르트니에르 신부, 도리 신부, 볼리외 신부 등과 함께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9] 그를 비롯한 프랑스 선교사들의 처형은 프랑스가 병인양요를 일으켜 조선을 침략하는 구실이 되었다.
2. 1. 프랑스에서의 초기 생애와 사제 서품
1814년 프랑스 르망 교구 소속의 샤토 뒤 루와 마을에서 태어났다. 르망 교구의 소신학교와 신학대학교에서 공부했고, 1837년 5월 20일 사제로 서품받았다.[9] 르망 대신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던 중 1839년 파리 외방전교회에 입회하였다.[9]2. 2. 해외 선교 활동
1840년 프랑스를 떠나 베트남의 통킹과 청나라의 만주에서 14년 동안 선교하였다. 1841년 통킹에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지만, 2년간 수감생활을 한 끝에 석방되었다.[9] 그 후 청나라로 가서 만주 교구에서 12년 동안 선교하였다. 1854년 만주 교구의 보좌 주교로 임명되었고, 그 해 12월 27일에 주교로 성성되었다.[9]베르뇌는 1840년 2월 12일 르아브르를 출발하여 5월 31일 자바의 안예르에 도착했고, 마닐라에서 여름을 보낸 후 마카오로 항해했다. 1841년 1월에는 통킹으로 항해했다. 베트남에서 투옥되어 재판을 위해 후에로 이송되었고, 5월 28일에 그곳에 도착했다. 1842년 선교 활동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형 집행은 무기한 연기되었다. 1843년 3월 12일 석방되어 프랑스로 돌아가기 위해 출항했으나, 부르봉 섬(현재의 레위니옹)에서 마카오로 돌아갈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 이후 만주에서 선교를 시작하도록 임명받았고, 1844년 3월 15일 랴오둥 반도에 도착했다.[1]
1844년 3월부터 1849년까지 랴오닝에 체류하며, 주교와 함께 활동하며 언어를 배웠다. 같은 해, 박해를 피해 상하이로 몇 주간 피신했다. [6]
2. 3. 조선에서의 선교 활동과 순교
1853년 조선 교구장 페레올 주교가 사망하자, 베르뇌 주교가 제4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2] 1856년 조선에 입국하여 10년간 조선 교회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베론 신학교를 설립하고, 한양에 2개의 인쇄소를 설치하는 등 천주교 교세 확장에 크게 기여하였다.[9]박해받는 조선 천주교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베르뇌 주교는 교황청의 비준 없이도 사제 서품을 줄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하였다. 뮈텔 주교, 리델 신부 등과 함께 천주교 세력을 확장하여, 고종 즉위 무렵에는 신도 수가 2만여 명에 이르렀고, 왕실 안까지 복음을 전파하였다.[9]
1866년 병인박해가 발발하자, 베르뇌는 2월 23일 한양에서 체포되었다.[9] 고문을 받으며 반복적으로 심문을 받았고, 사형을 선고받았다. 3월 7일, 새남터에서 브르트니에르 신부, 도리 신부, 볼리외 신부와 함께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9]
3. 시복 및 시성
1968년 10월 6일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바오로 6세가 집전한 24위 시복식을 통해 복자가 되었고,[11] 1984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에 이뤄진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이 되었다.[4]
축일은 3월 7일이며,[5] 나머지 103명의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9월 20일에 공경받는다.
4. 유해
베르뇌 주교는 1866년 병인박해 당시 한강 근처 새남터에서 참수되어 그곳에 매장되었다.[6] 같은 해 8월, 그의 유해는 서울 남쪽 와이코카이 산으로 옮겨졌다가 1899년 10월 30일 용산 신학교로 이장되었다. 현재 베르뇌 주교의 유해는 명동성당에 안치되어 있다.[6]
베르뇌 주교가 소지했던 십자가와 치보리움(성체를 보관하는 용기)은 파리 외방 전교회 신학교의 순교자 방에 보관되어 있으며, 다른 유물들은 절두산 순교 성지에 보관되어 있다.[6]
2001년 베르뇌 주교의 유해가 베를린으로 옮겨져 독일 베를린의 성 필립 네리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는 기록도 있다.[6]
5. 평가 및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어야 평가 및 영향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6. 기타
참조
[1]
서적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2-16
[2]
웹사이트
Bishop St. Siméon-François Berneux [Catholic-Hierarchy]
https://www.catholic[...]
[3]
서적
Index ac status causarum beatificationis servorum dei et canonizationis beatorum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53-01
[4]
웹사이트
Saint Siméon-François Berneux
http://catholicsaint[...]
2010-03-07
[5]
웹사이트
Roman Martyrology
https://www.vatican.[...]
The Vatican
[6]
웹사이트
Bishop St. Siméon-François Berneux [Catholic-Hierarchy]
https://www.catholic[...]
2024-04-24
[7]
웹사이트
http://newsaints.fai[...]
[8]
웹인용
절두산 순교성지 성인유해실
http://www.jeoldusan[...]
2015-01-11
[9]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10]
백과사전
103위 성인 (百三位聖人)
http://preview.brita[...]
2015-01-11
[11]
뉴스
교황 "순교자 유산, 세계 평화·인간가치 수호에 이바지할 것"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디지털 신문
2014-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