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기는 956년 후주에서 고려로 파견된 사신 설문우를 따라왔다가 병으로 고려에 머무르게 된 인물이다. 고려 광종은 그의 재능을 높이 사 한림학사로 등용하고 과거 제도의 도입을 건의하게 했다. 쌍기는 과거 제도를 통해 고려의 문신을 등용하는 데 기여했으나, 이후에는 지나친 문인 우대와 부화한 문풍을 조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주 사람 - 의덕황후
의덕황후 부씨는 북송 태종의 황후로, 태종 즉위 전에 사망하여 사후에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생전에 여러 작위를 받았으나 태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 후주 사람 - 유윤 (후한)
유윤은 후한의 장수 유총의 아들이자 후한 고조 유지원의 양자로, 후한 멸망 후 황위 계승을 시도했으나 곽위에 의해 살해되었다. - 고려 광종 - 과거제
수나라에서 시작되어 당나라에서 정례화된 과거제는 시험을 통해 관리를 선발하는 제도로, 주변 국가에 영향을 주었으나 각국의 상황에 따라 운영 방식과 효과가 달랐다. - 고려 광종 - 신주원부인
신주원부인은 고려 태조 왕건의 부인으로, 아찬 강기주의 딸이며 아들을 낳았으나 요절하여 신명순성왕후의 아들 왕소(광종)를 양자로 길렀고, 광종 즉위 기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으로 귀화한 사람 - 나세
나세는 원나라에서 귀화하여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 토벌에 기여하고, 진포 해전에서 왜선을 격파하는 등 활약하다가 조선 시대에 왜적을 막다 사망한 무관이다. - 한국으로 귀화한 사람 - 김충선
김충선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으로 참전했으나 조선에 귀순하여 공을 세웠고, 조선의 문물을 흠모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출병에 명분이 없다고 여겨 귀순했으며, 이후 조선군과 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우며 공을 세워 김해 김씨 성과 김충선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화포와 조총 제조 기술을 조선에 전수하는 데 기여하는 등 조선의 안보에 공헌하였다.
쌍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쌍기 |
한자 | 双冀 |
가타카나 | 산기 |
로마자 표기 | Ssang Gi |
인물 정보 | |
이름 | 쌍기 |
원어명 | 雙冀 |
국가 | 고려 |
직책 | 한림학사 |
군주 | 고려 광종 |
출생지 | 후주 |
출생일 | 생년 미상 |
사망일 | 몰년 미상 |
2. 생애
956년 후주의 황제 세종 시영이 설문우를 책봉사로 고려에 파견할 때 쌍기가 따라왔으나, 병으로 쓰러져 고려에 머무르게 되었다[2]. 광종은 그의 재능을 아껴 한림학사로 등용하여 문필을 관장하게 했다. 957년에는 쌍기의 건의로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과거를 설치하고 그를 지공거로 삼았다. 이듬해, 쌍기의 아버지도 사신을 따라와 좌승을 제수받았다[2].
2. 1. 귀화 배경
956년, 후주의 제2대 황제 세종 시영은 설문우를 책봉사로 고려에 파견했다. 이때 설문우를 따라 고려에 온 쌍기는 병으로 쓰러져 고려에 머무르게 되었다[2]. 광종은 쌍기의 재능을 아껴 한림학사로 등용하여 문필을 관장하게 했다. 957년, 쌍기의 건의에 따라 당나라 제도를 본받아 과거(科)를 설치하고 쌍기를 지공거로 삼았다. 다음 해, 쌍기의 아버지도 사신을 따라 와 좌승을 제수받았다[2].고려는 송, 거란, 여진 등과 활발하게 교류했으며, 이들 국가에서 온 귀화인도 많았다. 귀화인의 직업 중 가장 많은 것은 문인, 문사, 관인 등의 지식인이었으며, 그 외에도 상인, 역어, 승려, 의사, 음악가, 점술가 등이 있었다. 후삼국 시대 통일을 주도한 세력은 무장이었기 때문에 지식인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고려는 귀화인에게 관직, 토지, 가옥, 물품을 제공하는 등 귀화인을 우대했다[1]. 특히 광종은 귀화한 한인을 후대하여 신료의 딸과 혼인시켰다. 귀화인은 외교, 통역, 무역, 의료, 음악, 점술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여 고려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
2. 2. 고려의 귀화인 정책
고려는 송, 거란, 여진 등과 활발하게 교류했으며, 이들 국가에서 온 귀화인도 많았다. 귀화인의 직업 중 가장 많은 것은 문인, 문사, 관인 등의 지식인이었으며, 그 외에도 상인, 역어, 승려, 의사, 음악가, 점술가 등이 있었다. 후삼국 시대 통일을 주도한 세력은 무장이었기 때문에 지식인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고려는 귀화인에게 관직, 토지, 가옥, 물품을 제공하는 등 귀화인을 우대했다[1]. 특히 광종은 귀화한 한인을 후대하여 신료의 딸과 혼인시켰다. 귀화인은 외교, 통역, 무역, 의료, 음악, 점술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여 고려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3. 평가
현재 남아 있는 기록으로는 광종 대의 혁신적인 개혁에서 쌍기의 역할이 과거제도에 한정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좀 더 광범위하고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이후의 학자들이 광종 대의 과거제도는 비판하지 않으면서도 쌍기를 비판한 것에서 짐작할 수 있다.
3. 1. 부정적 평가
최승로는 광종을 평하면서 "쌍기를 등용한 이후로는 문사(文士)를 높이고 중히 여겨 은례(恩禮)가 지나쳤다"라고 평가했다.[3] 이제현도 쌍기를 "보탬이 없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부화(浮華)의 문(文)을 주창하여 후세에 큰 폐단을 남겼다"라고 평가했다.[4] 사실 광종 때에 과거는 자주 실시된 것도 아니고,[5] 당시 관료층 구성에 과거 출신자들이 큰 비중을 차지한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후대에 쌍기가 비판받는 것은 그가 광종의 다른 개혁 정책에도 개입하여 당시 이해관계가 달랐던 사람들과의 사이에 많은 갈등을 일으켰다고 추측할 수 있다.4. 등장 작품
5. 전기 자료
쌍기에 대한 전기 자료는 《고려사》 권93, 〈열전〉6, 쌍기 편에 실려 있다.
참조
[1]
뉴스
송·거란·여진인과의 통혼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
서적
朝鮮
雄山閣
1937
[3]
문서
고려사 권93, 〈열전〉6, 최승로
[4]
문서
이제현, 《익재난고》 권9·하, 〈사찬〉, 광왕
[5]
문서
고려사 권73, 〈지〉27, [선거]1, 과목(科目)1, 선장(選場)에 의하면 광종 때 실시한 과거는 총 8회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