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와드는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섬으로, 기원전 3천 년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곳이다. 페니키아인에 의해 건설되어 해상 무역 도시로 발전했으며, 독립 왕국으로 번성하며 공화정의 초기 사례로 꼽히기도 했다. 고대 이집트, 아시리아, 페르시아 등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영향 아래 안티오케이아 티스 피에리아스로 불리기도 했다. 로마 시대와 기독교 시대를 거쳐 십자군 전쟁 당시에는 십자군의 마지막 거점이 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 점령되었고, 프랑스 위임 통치령 시기를 거쳐 시리아에 귀속되었다. 현재는 관광, 어업, 조선업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의 도시 - 티레
티레는 레바논 남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페니키아 시대에 주요 도시 국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자연 보호 구역을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관광, 계약 서비스, 건설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종교 공동체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거주한다. - 페니키아의 도시 - 야파
야파는 기원전 7500년부터 사람이 거주한 고대 도시로,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으며 중요한 항구 도시 역할을 했고, 현재는 텔아비브에 통합되어 다양한 인종이 거주하는 관광 명소이다. - 감옥섬 - 카호올라웨섬
카호올라웨섬은 하와이 제도에 속한 플라이스토세 순상화산 섬으로, 과거 환경 파괴를 겪었지만 현재는 생태계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며 고대 폴리네시아인의 흔적과 전통 항해술과 관련이 있다. - 감옥섬 - 아시나라섬
아시나라섬은 이탈리아의 섬으로 신석기 시대부터 인간의 흔적이 있고, 항해와 교역 거점, 군사 요새, 수도원, 수용소, 교도소 등 다양한 역사를 거쳐 1997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해양보호구역으로서 보호받고 있다. - 지중해의 섬 - 시칠리아섬
- 지중해의 섬 - 키프로스섬
키프로스섬은 지중해에서 세 번째로 큰 섬으로, 서남아시아에 속하지만 유럽으로도 분류되며, 키프로스 공화국,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 등으로 나뉘어 분단되었고, 트로도스 산맥과 키레니아 산맥, 메사오리아 평야로 이루어진 지형과 지중해성 기후를 지닌다.
아르와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아르와드 |
다른 이름 | 아라두스 phn ar el el el |
![]() | |
위치 | 시리아 타르투스 주 |
행정 구역 | |
국가 | 시리아 |
주 | 타르투스 주 |
구 | 타르투스 구 |
하위 구 | 아르와드 |
지리 | |
면적 | 0.2km² |
인구 통계 | |
2004년 인구 | 4403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EET (+2) |
하계 시간 (DST) | EEST (+3) |
기후 | CSa |
국가 번호 | 963 |
지역 번호 | 43 |
2. 역사
기원전 2천년기 초, 페니키아인들이 섬에 정착하면서 알바드(Arvad) 또는 자지라트(Jazirat, "섬"을 의미)라는 이름의 독립 왕국이 되었다. 이 도시는 군주보다는 인민이 주권을 가진 국가로 기록되어 공화국의 가장 오래된 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32]。그리스어로는 아라드(Άραδοel), 아라두스(Άραδοςel)라고 불렸으며, 고대 문서에는 알파드라는 이름으로도 등장한다[33]。
아르와드는 페니키아의 강국 중 하나가 되어 북쪽의 바니아스 부근까지 해안 도시들을 식민지로 삼았다. 본토에도 마을을 세웠는데, 아르와드 맞은편의 작은 마을은 안타라두스(라틴어 Anti-Aradus, "아라두스 맞은편")라고 불렸으며, 이것이 타르투스의 어원이 되었다. 페니키아 시대 안타라두스는 아라드 지배하의 작은 마을이었다.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된 아르와드는 안티오코스 1세(기원전 281년-기원전 261년)에 의해 안티오케이아 티스 피에리아스(피에리아의 안티오키아, Αντιόχεια της Πιερίαςel)로 개명되었다. 아라드 섬은 오론테스강 유역 상업 활동의 기지로서 중요했다.
구약 성서 에제키엘서에는 예언자 에제키엘이 페니키아 도시 티루스를 위해 부른 애가에 아르와드가 주변 여러 나라와 함께 번영한 도시로 두 번 언급된다.
십자군 시대에 아르와드(Ruad) 섬은 십자군의 교두보 또는 집결지가 되었다. 1291년 아크 함락으로 십자군은 육지의 거점을 모두 잃었지만, 아르와드 섬은 템플 기사단 등이 사수하며 토르토사(타르투스) 탈환 작전을 세웠다.
1300년 말, 일 칸국의 군주 가잔 칸이 십자군 국가인 키프로스 왕국에 공동 작전을 제안했다[34]。 키프로스 왕국은 600명의 육군을 준비했고, 템플 기사단과 성 요한 기사단도 병력을 파견했다[34]。 이들은 키프로스에서 배로 아르와드 섬에 집결했다[35][34]。
아르와드 섬에서 토르토사를 여러 번 공격했지만, 몽골군의 원군이 지연되면서 십자군은 아르와드 섬으로 철수해야 했다[36][37]。 몽골군이 오지 않자 대부분의 십자군은 키프로스로 돌아갔고, 교황 클레멘스 5세가 템플 기사단에 섬을 공식적으로 넘겨준 후에는 템플 기사단 중심의 병력만 남았다.
1301년 2월, 60,000명의 몽골군이 나타났지만, 시리아 주변에서 몇 차례 교전 후 요르단강 계곡에 20,000명의 기병을 배치하여 다마스쿠스를 지키게 한 뒤[38] 곧 철수했다.
1302년 9월, 맘루크 왕조의 공격으로 아르와드 섬 전투가 시작되었다. 십자군은 항복했지만, 안전 보장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궁수와 시리아인 병사는 모두 처형되었으며, 기사는 카이로의 감옥으로 연행되었다. 이후 십자군은 시리아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다.
2. 1. 고대


아르와드는 적어도 기원전 3천년기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에블라 왕궁 기록과 알랄라크에서도 언급되었다.[6]
기원전 2천년 초 페니키아인들이 정착한 아르와드는 트리폴리 북쪽 약 50km 지점에 위치한 황량한 바위섬으로, 요새와 여러 층의 집들로 덮여 있었다. 섬은 길이 약 800m, 폭 약 500m였으며, 거대한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동쪽에는 본토를 향한 인공 항구가 건설되었다. 아르와드는 초창기 다른 페니키아 도시들처럼 무역 도시로 발전했으며, 강력한 해군을 보유하여 이집트와 아시리아 기념물에도 그 배가 언급되었다. 성경에서는 "아르바드"를 가나안 민족 "아르바드인"의 조상으로 언급한다.[7] 페니키아인들은 빗물을 저수조에 모으고 섬으로 담수를 수송했으며, 결국 근처 해저 담수 샘을 발견했다.[30]
아르와드는 오론테스 강 하구에서 레바논 북쪽 경계까지 북부 페니키아 도시들에 대한 일종의 패권을 행사했으며, 이는 남쪽의 시돈과 유사했다. 마라트(오늘날 암리트)와 수무르 등 본토 인근 도시들을 통제했는데, 마라트는 섬과 거의 마주보고 있었고 수무르는 남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다. 아르와드는 자체적인 지역 왕조와 주화를 가졌으며, 일부 왕들의 이름이 복원되었다.
페니키아 지배하에 아르와드는 "알바드"(Arvad) 또는 "자지라트"(Jazirat, "섬"을 의미)라는 이름의 독립 왕국이 되었다. 이 도시는 군주보다는 인민이 주권자인 국가로 기록되어 공화국의 가장 오래된 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32] 그리스어로는 "아라드"(Άραδοel), "아라두스"(Άραδοςel)라고 불렸으며, 고대 문서에는 "알파드" 또는 "알파드"라는 이름으로도 등장한다.[33]
아라드는 페니키아 강국 중 하나가 되어 북쪽 바니아스 부근까지 해안 도시들을 식민지로 삼았다. 본토에도 마을이 세워졌는데, 아라드 맞은편의 작은 마을은 안타라두스(라틴어 Anti-Aradus, "아라두스 맞은편")라고 불렸으며, 이것이 타르투스의 어원이 되었다. 페니키아 시대 안타라두스는 아라드 지배하의 작은 마을이었다.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 지배하에 놓인 아르와드는 안티오코스 1세(기원전 281년-기원전 261년)에 의해 "안티오케이아 티스 피에리아스"(피에리아의 안티오키아, Αντιόχεια της Πιερίαςel)로 개명되었다. 아라드 섬은 오론테스강 유역 상업 활동의 기지로서 중요했다.
구약 성서 에제키엘서에는 예언자 에제키엘이 페니키아 도시 티루스를 위해 부른 애가에 아르와드가 주변 여러 나라와 함께 번영한 도시로 두 번 언급된다.
2. 1. 1. 이집트 시대
투트모세 3세는 기원전 1472년 북 시리아 원정에서 아르와드를 점령했고, 기원전 13세기 초 람세스 2세의 원정에서도 언급된다.[8] 아마르나 서한에서 아르와드는 시리아에 있는 이집트 영토를 공격하는 아모리인과 동맹을 맺고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9] 기원전 1200년경 또는 그 직후, 아르와드는 해안의 대부분의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아나톨리아 또는 섬에서 온 침략자들에 의해 약탈당했지만, 그들이 물러나면서 다시 회복되었다.[10]2. 1. 2. 아시리아 시대
아르와드의 해상 중요성은 아시리아 왕들의 비문에서 드러난다. 티글라트-필레세르 1세(기원전)는 자신이 아르와드의 배를 타고 항해했다고 자랑했다. 아슈르나시르팔 2세(기원전)는 아르와드를 조공국으로 만들었지만, 아르와드는 반란을 일으켰고, 카르카르 전투에서 아르와드 병사 200명이 아람 다마스쿠스의 하다데제르 동맹군으로 언급되었다.[11] 이 전투는 시리아 전체가 살마네세르 3세(기원전)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당시 아르와드의 왕은 마탄 바알이었다. 이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와 센나케리브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센나케리브 치세에는 압드-일리히트(기원전)가 아르와드의 왕이었다. 아슈르바니팔(기원전)은 왕 야킨루에게 복종하고 자신의 딸 중 한 명을 왕실 후궁으로 보낼 것을 강요했다.[11]2. 2. 페르시아 시대
페르시아 시대에 아르와드는 시돈, 티레와 연합하여 트리폴리에 공동 의회를 두도록 허용되었다.[12] 에제키엘서는 티레를 섬기는 아르와드 선원과 군인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3]2. 3. 헬레니즘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기원전 332년 시리아를 침공했을 때, 아르와드는 왕 스트라토의 지배 하에 저항 없이 항복했으며, 그는 티레를 정복하는 데 알렉산드로스를 돕기 위해 해군을 보냈다.[14] 아르와드는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제국 왕들의 호의를 얻어 정치적 망명자들에 대한 망명권을 누렸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38년경 로마의 칙령에 다른 동방의 도시들과 통치자들과 함께 언급되었으며, 유대인들에게 호의를 보였다.[14] 이는 로마가 유대와 시리아 문제에 개입하기 시작한 후의 일로, 아르와드가 당시에도 상당한 중요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나타낸다.이 도시는 군주가 아닌 시민이 주권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 레반트 지역에서 최초로 알려진 공화국의 사례 중 하나로 인용되었다.[32] 이 섬은 오론테스 강 계곡으로의 상업적 모험을 위한 기지로서 중요했다.
아르와드는 기원전 259년, 전통적인 왕권이 사라지고 안티오코스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셀레우코스 왕국 내에서 자유 독립 도시가 되면서 새로운 도시 시대를 열었다.[15]
2. 4. 로마 시대
로마 시대에 아르와드는 시리아에 자금을 조달하러 온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게 격렬히 저항했다. 도시가 협력하기를 거부하자 기원전 38년에 포위되었고, 결국 항복했는데, 이는 기원전 34~35년에 독립의 종말을 고했다.[16]2. 5. 기독교 시대
아르와드시는 당시 기독교 주교구였다. 아타나시우스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 치하에서 아르와드와 인접한 안타라두스의 칼케돈파 주교였던 키마티우스가 아리우스파에 의해 추방되었다고 기록한다.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모키무스가 아르와드 주교로 나타난다. 에페소스 공의회 (431년) 당시, 일부 자료는 무사우스를 아르와드와 안타라두스 주교로 언급하는 반면, 다른 자료는 아르와드만 언급하거나 안타라두스만 언급한다. 알렉산더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안타라두스 주교로, 파울루스는 아르와드 주교로 참석했으며, 그 직전 안티오키아에서 열린 시노드에서는 파울루스가 아르와드와 안타라두스 주교로 참여했다.
458년, 아르와드 주교 자격으로 아티쿠스는 페니키아 프리마 지방 주교들이 비잔틴 황제 레오 1세에게 보낸 편지에 서명하여 알렉산드리아의 프로테리우스 살해에 항의했다. 518년에 사망한 테오도로스 또는 테오도시우스는 안티오키아의 세베루스에 관한 지방 주교들의 편지에서 안타라두스 주교로 언급되었으며, 이 편지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메나스 총대주교가 주최한 시노드에서 낭독되었다. 553년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의 회의록에는 아신크레티우스가 아르와드 주교로 서명했다. 십자군 시대에 이르러 타르투스 또는 토르토사로 불린 안타라두스는 라틴 교회 교구였으며, 그 주교는 아르와드와 마라클레아 (아마 라클레아)의 칭호도 함께 보유했다.
1295년 키프로스의 파마구스타 교구와 통합되었다.[17][18][19] 더 이상 주교가 상주하는 교구가 아닌 아르와드는 현재 가톨릭 교회에 의해 명목 교구로 등재되어 있다.[20]
2. 6. 중세 십자군 시대
13세기 후반, 십자군 전쟁 시대에 아르와드 섬은 십자군이 성지에서 유지했던 마지막 땅으로, 교두보 또는 대기 지역으로 사용되었다.1291년에 십자군은 아크 함락으로 육지를 잃었고, 예루살렘 왕국은 키프로스 섬으로 옮겨졌다. 1300년 말, 몽골 지도자 가잔과 군사 작전을 조율하기 위해[21] 키프로스인들은 약 600명의 육상 병력을 준비했다. 이 병력은 키프로스의 휴 3세의 아들 아말릭 드 뤼지냥 휘하의 300명과 템플 기사단, 병원 기사단에서 파견된 병력으로 구성되었다.[21] 그들은 말과 함께 키프로스에서 아르와드로 옮겨졌고,[21][22] 토르토사를 공격하며 몽골의 지원군을 기다렸다.[22][23] 그러나 몽골군이 도착하지 않자 대부분의 기독교 군대는 키프로스로 돌아갔고, 아르와드에는 다양한 키프로스 병력으로 구성된 수비대가 남았다. 교황 클레멘스 5세는 템플 기사단에게 섬의 소유권을 공식적으로 수여했고, 템플 기사단은 1302년에 사령관 바르텔레미 드 캥시 휘하의 기사 120명, 궁병 500명, 시리아인 협력자 400명으로 구성된 수비대를 유지했다.
1301년 2월, 몽골군은 60,000명의 병력으로 도착했지만, 시리아 주변에서 몇 차례 공격을 가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활동을 하지 못했다. 몽골 지도자 쿠틀루샤는 요르단 계곡에 20,000명의 기병을 주둔시켜 다마스쿠스를 보호했고, 몽골 총독이 임명되었다.[24] 그러나 곧 그들은 철수해야 했다.
이집트 맘루크는 팔레스타인과 시리아에 대한 지배권을 재확립하려 했고, 아르와드도 점령하려 했다. 맘루크 함대는 섬에 병력을 상륙시켜 템플 기사단과 교전했고, 이후 아르와드 함락으로 절정에 달하는 장기간의 포위가 시작되었다. 십자군은 1302년 9월 26일, 안전 보장을 약속받은 후 항복했다.[25] 그러나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 모든 궁병과 시리아인 협력자는 살해되었고, 템플 기사단 기사들은 카이로 감옥으로 보내졌다.[26]
2. 7.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9월 1일, 루이 다르티그 뒤 푸르네 제독이 지휘하는 프랑스 해군이 이 섬을 점령했다. 여기에는 ''조레기베리'', ''잔 다르크'', ''데스트레''와 같은 군함이 포함되었다.[27] 이후, 알베르 트라보|알베르 트라보ca가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917년 11월 오스만 제국이 섬을 폭격했지만, 프랑스 해군에 의해 공격이 격퇴되었다.프랑스 위임통치령 하에서 요새의 지하 감옥은 프랑스 통치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위한 감옥으로 사용되었으며, 갇힌 사람들의 낙서가 아직도 남아있다.[28][29]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시, 프랑스는 섬을 보존하기 원했고, 군사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의 압력으로 1945년 말에 섬은 조건 없이 시리아에 할양되었으며, 이 결정은 1946년에 확정되었다.
20세기 후반과 21세기 동안 섬의 경제는 관광, 어업 및 조선업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었다.[30]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시리아 여행이 감소하면서 관광 중심의 경제는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전쟁 동안 섬에서는 충돌이 없었고, 전쟁 시작부터 2024년 12월 8일 아사드 정권 붕괴까지 정부군이 섬을 통제해 왔다. 코로나19 범유행 또한 섬의 경제에 영향을 미쳐 관광 산업을 더욱 약화시켰으며, 많은 지역 사업체들이 잠재적인 관광 관련 수입을 잃었다.[31]
3. 어원
원래의 페니키아 도시 이름은 '''아르와드'''(𐤀𐤓𐤅𐤃|ʾrwdphn)였으며,[2] (𐤀𐤉𐤍𐤊|ʾynkphn)라고 불리는 섬에 위치해 있었다.[2] 이 도시는 투트모세 3세의 연대기에 카르나크 신전에서 '''이르투'''로 언급되어 있다.[4] 이후 '''아르바드''', '''아르파드''', 그리고 '''아르파드'''로 알려지게 되었다.[5] 이들은 ''Árados'' (Ἄραδος|grc)로 헬레니즘화되었으며, '''아라두스'''로 라틴어화되었다. 아랍어로, 이 도시는 ''아르와드'' (أروادar)가 되었다.
셀레우코스 제국 하에서 안티오코스 1세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혹은 셀레우코스 대왕의 아버지를 따라 이 도시의 이름을 안티오크로 개명했다. 이 도시는 다른 여러 동명의 도시와 구별하기 위해 '''안티오크''' 또는 (Ἀντιόχεια τῆς Πιερίας|Antiókeia tôs Pieríasgrc)로 불렸다.
이 도시의 위치는 루아드 섬으로도 알려져 있다.
4. 지리
기원전 2천년기 초, 페니키아인들이 섬에 살기 시작했다. 페니키아의 지배하에 이 섬은 "알바드"(Arvad) 또는 "자지라트"(Jazirat, "섬"을 의미)라는 이름의 독립 왕국이 되었다. 이 도시는 군주보다는 인민이 주권자인 국가로 기록되어 공화국의 가장 오래된 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32] 그리스어로는 "아라드"(Άραδο|아라도el), "아라두스"(Άραδος|아라도스el)라고 불렸다. 고대 문서에는 "알파드"나 "알파드"라는 이름으로도 등장한다.[33]
아라드는 페니키아의 강국 중 하나가 되어 북쪽의 바니아스 부근까지의 해안의 여러 도시를 식민지로 삼았다. 본토 쪽에도 마을이 세워졌지만, 이 맞은편의 작은 마을은 아라드에서 유래하여 안타라두스(라틴어 Anti-Aradus, "아라두스의 맞은편")라고 불렸으며, 이것이 타르투스의 어원이 되었다. 페니키아 시대의 안타라두스는 아라드 지배하의 작은 마을에 불과했다.
이후 도시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안티오코스 1세(기원전 281년-기원전 261년)에 의해 "안티오케이아 티스 피에리아스"(피에리아의 안티오키아, Αντιόχεια της Πιερίας|안티오케이아 테스 피에리아스el)로 개명되었다. 아라드 섬은 오론테스강 유역에서의 상업 활동 기지로서 중요했다.
구약 성서에는 이 섬(알와드)이 두 번 언급되어 있다. 《에제키엘서》에서 예언자 에제키엘은 페니키아 도시 티루스를 위해 애가(슬픈 노래)를 부르는데, 그 전반부의 티루스의 번영 부분에 주변의 여러 나라와 함께 알와드도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ral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04
https://web.archive.[...]
[2]
서적
La région alaouite et le pouvoir syrien
http://tel.archives-[...]
Karthala Editions
[3]
Facebook
Syrian Ministry of Tourism Arwad Regeneration Programme
https://www.facebook[...]
[4]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https://archive.org/[...]
1925
[5]
문서
Hazlitt, p. 53
[6]
서적
Itineraria Phoenicia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4
[7]
성경
Genesis 10:18
[8]
문서
Breasted, Ancient Records
[9]
문서
44 and 28, B.M. Tell el-Amarna Letters
[10]
문서
Paton, Syria and Palestine, 145
[11]
문서
Rawlinson, Phoenicia, 456-57
[12]
문서
Ibid, 484
[13]
성경
Ezekiel 27:8 and 11
[14]
문서
Bernal, p. 359
[15]
서적
Die Phönizier: Geschichte und Kultur
C. H. Beck
2008
[16]
서적
Strabon, Géographie, Livre XVI, 2, 14
http://remacle.org/b[...]
[17]
서적
Series episcoporum Ecclesiae Catholicae
http://www.wbc.pozna[...]
1931
[18]
서적
Oriens christianus in quatuor Patriarchatus digestus
https://archive.org/[...]
1740
[19]
웹사이트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http://sul-derivativ[...]
[20]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21]
문서
Schein, p. 811
[22]
문서
Demurger, p. 147
[23]
문서
The Trial of the Templars
[24]
문서
Jean Richard, p.481
[25]
문서
Demurger, p.156
[26]
문서
The Trial of the Templars
[27]
서적
Warship 2018
Bloomsbury Publishing
[28]
웹사이트
Prisoners at Arwad Island Prison
http://syrianhistory[...]
2023-03-22
[29]
웹사이트
Historical buildings of Arwad island
https://homsonline.c[...]
2023-03-22
[30]
웹사이트
Arwad, Fortress at Sea
https://www.aramcowo[...]
2022-07-22
[31]
웹사이트
Feature: Syrian island escapes war, but caught by tough economic situation – Xinhua
http://www.xinhuanet[...]
2022-01-28
[32]
문서
Bernal, p. 359
[33]
문서
Hazlitt, p. 53
[34]
문서
Schein, p. 811
[35]
문서
Demurger, p. 147
[36]
서적
The Trial of the Templars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