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바르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과 아제르바이잔 자가탈라 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약 100만 명에서 120만 명이 사용하며, 다게스탄 공화국의 6개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 고대 조지아 문자와 아랍 문자를 거쳐 1938년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가 사용되며, 1928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도 했다. 아바르어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북부 및 남부 방언을 포함한 50여 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훈자흐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어가 사용된다.
아바르어는 주로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의 서부 및 남부 지역과 북서부 아제르바이잔의 발라켄, 자카탈라 지역에서 사용된다. 일부 아바르인들은 러시아의 다른 지역에 거주하기도 하며, 체첸 공화국, 칼미크 공화국 등 러시아 내 다른 공화국과 조지아,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요르단, 터키의 마르마라해 지역 등에서도 소규모 사용 공동체가 존재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120만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유네스코는 아바르어를 멸종 위기에 놓인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4]
아바르 문자에 대한 시도는 14세기에 그루지야 문자로 아바르어를 표기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7][8] 15세기부터는 아바르어를 표현하기 위해 아랍 문자를 부가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아잠"이라고 알려진 이 아랍 문자 사용 방식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알려져 있다.[8] 17세기 이후 아랍 문자 표기가 본격화되었다.
아바르어는 역사적으로 여러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 15세기 무렵에는 고대 조지아 문자가 사용되었으며[7][8], 17세기부터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아잠' 표기법이 사용되었다.[8]
2. 사용 지역
2. 1. 공식 지위
아바르어는 다게스탄 공화국의 6개 공용어이자 문학 언어 중 하나이다. 주로 아바르족이 사용하지만, 다게스탄 내 다양한 민족 및 언어 집단 사이에서 공용어 역할을 하기도 한다.
3. 역사
표트르 폰 우슬라르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를 개발하여 1889년에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일부 그루지야 문자 기반 글자도 사용되었다. 많은 글자가 유니코드에 인코딩되지 않았다. 이 문자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졌다:[9] '''а б в г ӷ д е ж һ
1928년 소련의 언어 정책에 따라 아잠은 라틴 문자(로마자) 표기로 대체되었으며, 1938년에는 다시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 기반의 정서법으로 대체되었다. 이 키릴 문자는 기본적으로 러시아 문자에 "팔로치카"(Ӏ, '막대'라는 뜻)라는 글자 하나가 더해진 형태이다. 팔로치카는 일반적인 키보드 배열로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문자 라틴 문자 I (''I''), 소문자 라틴 문자 L (''l''), 또는 숫자 ''1''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한편, 고대 아바르족(Avar: 같은 이름)은 튀르크계를 중심으로 한 민족으로, 현재의 아바르인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불분명하며 다른 계통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4. 문자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문자 정책의 변화가 있었다. 1928년에는 라틴 문자 표기가 도입되었으나[7][8], 1938년에 다시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8]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는 러시아 문자에 몇 가지 특수 문자를 추가한 형태이다.[5][10] 각 문자 체계의 구체적인 형태와 특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4. 1. 키릴 문자
표트르 폰 우슬라르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아바르어 문자를 개발하여 1889년에 출판했으며, 일부 그루지야 문자 기반 글자를 사용했다. 이 문자 체계에 포함된 많은 글자는 유니코드에 인코딩되지 않았다. 당시 제안된 문자는 다음과 같다:[9] '''а б в г ӷ д е ж һ і ј к қ л м н о п ԛ р с ҫ т ҭ у х х̓ хّ ц ц̓ ꚑ ч ч̍ чّ /ч̓ ш ƞ ƞ̓ ɳّ ດ'''
1928년 소련의 언어 정책에 따라 라틴 문자 표기가 도입되었으나, 1938년에는 다시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 기반의 정서법으로 대체되었다.[7][8] 이 키릴 문자는 기본적으로 러시아 문자에 '팔로치카'(Ӏ)라는 독특한 문자 하나를 추가한 형태이다. 팔로치카는 일반적인 키보드 배열로는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종 대문자 라틴 문자 'I', 소문자 라틴 문자 'l', 또는 숫자 '1'로 대체되어 표기되기도 한다.
현재 아바르어 표기에 사용되는 키릴 문자와 각 문자의 국제 음성 기호 (IPA) 발음은 다음과 같다:[5][10]
А а /a/ | Б б /b/ | В в /w/ | Г г /ɡ/ | Гъ гъ /ʁ/ | Гь гь /h/ | ГӀ гӏ /ʕ/ | Д д /d/ |
Е е /e/, /je/ | Ё ё /jo/ | Ж ж /ʒ/ | З з /z/ | И и /i/ | Й й /j/ | К к /k/ | Къ къ /q͡χːʼ/ |
Кь кь /t͡ɬːʼ/ | КӀ кӏ /kʼ/ | КӀкӏ кӏкӏ /kːʼ/ | Кк кк /kː/ | Л л /l/ | ЛӀ лӏ /t͡ɬː/ | Лъ лъ /ɬ/ | Лълъ лълъ /ɬː/ |
М м /m/ | Н н /n/ | О о /o/ | П п /p/ | Р р /r/ | С с /s/ | Сс сс /sː/ | Т т /t/ |
ТӀ тӏ /tʼ/ | У у /u/ | Ф ф /f/ | Х х /χ/ | Хх хх /χː/ | Хъ хъ /q͡χː/ | Хь хь /x/ | Хьхь хьхь /xː/ |
ХӀ хӏ /ħ/ | Ц ц /t͡s/ | Цц цц /t͡sː/ | ЦӀ цӏ /t͡sʼ/ | ЦӀцӏ цӏцӏ /t͡sːʼ/ | Ч ч /t͡ʃ/ | Чч чч /t͡ʃː/ | ЧӀ чӏ /t͡ʃʼ/ |
ЧӀчӏ чӏчӏ /t͡ʃːʼ/ | Ш ш /ʃ/ | Щ щ /ʃː/ | Ъ ъ /ʔ/ | Ы ы /ɨ/ | Ь ь /ʲ/ | Э э /e/ | Ю ю /ju/ |
Я я /ja/ |
다음 표는 아바르어의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아랍 문자 표기와 해당 IPA 발음을 비교한 것이다.[11][12][13][14][15]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아랍 문자 | IPA |
---|---|---|---|
А а | A a | آ ,ا | /a/ |
Б б | B b | ب | /b/ |
В в | V v | و | /w/ |
Г г | G g | ڬ | /ɡ/ |
Гъ Гъ | Ƣ ƣ | غ | /ʁ/ |
Гь гь | H h | ﻫ | /h/ |
ГӀ гӀ | Ⱨ ⱨ | ع | /ʕ/ |
Д д | D d | د | /d/ |
Е е | E e, Je je | ئې، ې، يې | /e/, /je/ |
Ё ё | Jo, jo | يۈ | /jo/ |
Ж ж | Ƶ ƶ | ج | /ʒ/ |
З з | Z z | ز | /z/ |
И и | I i | ئێ، ێ | /i/ |
Й й | J j | ي | /j/ |
К к | K k | ك | /k/ |
Кк кк | Kk kk | كّ | /kː/ |
Къ къ | Q q | ق | /q͡χʼː/ |
Кь кь | Ꝗ ꝗ | ڨ | /t͡ɬʼː/ |
КӀ кӀ | Ⱪ ⱪ | گ | /kʼ/ |
КӀкӀ кӀкӀ | Ⱪⱪ ⱪⱪ | گّ | /kʼː/ |
Л л | L l | ل | /l/ |
Лъ лъ | Ļ ļ | ڸ | /t͡ɬ/ |
Лълъ лълъ | Ļļ ļļ | ڸّ | /t͡ɬː/ |
М м | M m | م | /m/ |
Н н | N n | ن | /n/ |
О о | O o | ئۈ، ۈ | /o/ |
П п | P p | ف | /p/ |
ПӀ пӀ | P p | ڣ | /pʼ/ |
Р р | R r | ر | /r/ |
С с | S s | س | /s/ |
Сс сс | Ss ss | سّ | /sː/ |
Т т | T t | ت | /t/ |
ТӀ тӀ | Ţ ţ | ط | /tʼ/ |
У у | U u | ئۇ، ۇ | /u/ |
Ф ф | F f | ف | /f/ |
Х х | X x | خ | /χ/ |
Хх хх | Xx xx | خّ | /χː/ |
Хъ хъ | Ӿ ӿ | څ | /q͡χː/ |
Хь хь | Ҳ ҳ | ڮ | /x/ |
Хьхь хьхь | Ҳҳ ҳҳ | ڮّ | /xː/ |
ХӀ хӀ | Ħ ħ | ح | /ħ/ |
Ц ц | Ꞩ ꞩ | ص | /t͡s/ |
Цц цц | Ꞩꞩ ꞩꞩ | صّ | /t͡sː/ |
ЦӀ цӀ | Ⱬ ⱬ | ض | /t͡sʼ/ |
ЦӀцӀ цӀцӀ | Ⱬⱬ ⱬⱬ | ضّ | /t͡sʼː/ |
Ч ч | C c | چ | /t͡ʃ/ |
(Чч чч) | Cc cc | چّ | /t͡ʃː/ |
ЧӀ чӀ | Ç ç | ڃ | /t͡ʃʼ/ |
ЧӀчӀ чӀчӀ | Çç çç | ڃّ | /t͡ʃʼː/ |
Ш ш | Ş ş | ش | /ʃ/ |
Щ щ | Şş şş | شّ | /ʃː/ |
Ъ ъ | ’ | ئ | /ʔ/ |
Ы ы | Y y | ئێ، ێ | /ɨ/ |
Ь ь | J j | ي | /ʲ/ |
Э э | E e | ئې، ې | /e/ |
Ю ю | Ju ju | يۇ | /ju/ |
Я я | Ja ja | يا | /ja/ |
아래는 2007년 기준으로 아바르어 시를 아랍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로 표기한 예시이다.[16]
아랍 문자(2007) | 키릴 문자(2007) | 라틴 문자 |
---|---|---|
نۈڸ ماڨێڸ وێڮانا، ڨالدا ڸۇق - ڸۇقۇن، ڨۇردا كُېر ڃُان ئۇنېو، بێدا وېضّۇن دۇن؛ ڨۇرۇڬێ باطاڸۇن صېوې ئۇناڬۈ، صۈ ڸارال راعالدا عۈدۈو كّۈلېو دۇن. ڸار چُاخّۇلېب بۇڬۈ چابخێل گّالاڅان، ڸێن گانضۇلېب بۇڬۈ ڬانڃازدا طاسان؛ طاراماغادێسېب قُال بالېب بۇڬۈ، قۈ ڸێگێلان دێصا سۈعاب راڨالدا | Нолъ макьилъ вихьана, кьалда лъукъ-лъукъун, Кьурда квер чIван унев, бида вецIцIун дун; Кьуруги батIалъун цеве унаго, Цо лъарал рагIалда гIодов кколев дун. Лъар чваххулеб буго чабхил кIкIалахъан, Лъин кIанцIулеб буго ганчIазда тIасан; ТIарамагъадисеб къвал балеб буго, Къо лъикIилан дица согIаб ракьалда. | Noļ maꝗiļ viҳana, ꝗalda ļuq-ļuqun, Ꝗurda кvеr çvan unеv, bida vеⱬⱬun dun; Ꝗuruⱨ baţaļun s̶еvе unago, Co ļaral raⱨalda ⱨodov ккolеv dun. Łar cvaxxulеb bugo cabxil ⱪⱪalax̶an, Łin ⱪanⱬulеb bugo gançazda ţaсan; Ţaramaƣadiсеb qval balеb bugo, Qo ļiⱪilan dis̶a сoⱨab raꝗalda. |
4. 2. 라틴 문자
1928년 소련의 언어 재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기존에 사용되던 아랍 문자 표기('아잠')는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다.[7][8] 그러나 이 라틴 문자 표기는 오래가지 못하고 1938년에 다시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 기반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8]아래는 아바르어 표기에 사용된 키릴 문자, 라틴 문자(1928-1938년 사용), 아랍 문자 및 국제 음성 기호(IPA) 발음을 비교한 표이다.[11][12][13][14][15]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아랍 문자 | IPA |
---|---|---|---|
А а | A a | آ ,ا | /a/ |
Б б | B b | ب | /b/ |
В в | V v | و | /w/ |
Г г | G g | ڬ | /ɡ/ |
Гъ Гъ | Ƣ ƣ | غ | /ʁ/ |
Гь гь | H h | ﻫ | /h/ |
ГӀ гӀ | Ⱨ ⱨ | ع | /ʕ/ |
Д д | D d | د | /d/ |
Е е | E e, Je je | ئې، ې، يې | /e/, /je/ |
Ё ё | Jo, jo | يۈ | /jo/ |
Ж ж | Ƶ ƶ | ج | /ʒ/ |
З з | Z z | ز | /z/ |
И и | I i | ئێ، ێ | /i/ |
Й й | J j | ي | /j/ |
К к | K k | ك | /k/ |
Кк кк | Kk kk | كّ | /kː/ |
Къ къ | Q q | ق | /q͡χʼː/ |
Кь кь | Ꝗ ꝗ | ڨ | /t͡ɬʼː/ |
КӀ кӀ | Ⱪ ⱪ | گ | /kʼ/ |
КӀкӀ кӀкӀ | Ⱪⱪ ⱪⱪ | گّ | /kʼː/ |
Л л | L l | ل | /l/ |
Лъ лъ | Ļ ļ | ڸ | /t͡ɬ/ |
Лълъ лълъ | Ļļ ļļ | ڸّ | /t͡ɬː/ |
М м | M m | م | /m/ |
Н н | N n | ن | /n/ |
О о | O o | ئۈ، ۈ | /o/ |
П п | P p | ف | /p/ |
ПӀ пӀ | P p | ڣ | /pʼ/ |
Р р | R r | ر | /r/ |
С с | S s | س | /s/ |
Сс сс | Ss ss | سّ | /sː/ |
Т т | T t | ت | /t/ |
ТӀ тӀ | Ţ ţ | ط | /tʼ/ |
У у | U u | ئۇ، ۇ | /u/ |
Ф ф | F f | ف | /f/ |
Х х | X x | خ | /χ/ |
Хх хх | Xx xx | خّ | /χː/ |
Хъ хъ | Ӿ ӿ | څ | /q͡χː/ |
Хь хь | Ҳ ҳ | ڮ | /x/ |
Хьхь хьхь | Ҳҳ ҳҳ | ڮّ | /xː/ |
ХӀ хӀ | Ħ ħ | ح | /ħ/ |
Ц ц | Ꞩ ꞩ | ص | /t͡s/ |
Цц цц | Ꞩꞩ ꞩꞩ | صّ | /t͡sː/ |
ЦӀ цӀ | Ⱬ ⱬ | ض | /t͡sʼ/ |
ЦӀцӀ цӀцӀ | Ⱬⱬ ⱬⱬ | ضّ | /t͡sʼː/ |
Ч ч | C c | چ | /t͡ʃ/ |
(Чч чч) | Cc cc | چّ | /t͡ʃː/ |
ЧӀ чӀ | Ç ç | ڃ | /t͡ʃʼ/ |
ЧӀчӀ чӀчӀ | Çç çç | ڃّ | /t͡ʃʼː/ |
Ш ш | Ş ş | ش | /ʃ/ |
Щ щ | Şş şş | شّ | /ʃː/ |
Ъ ъ | ’ | ئ | /ʔ/ |
Ы ы | Y y | ئێ، ێ | /ɨ/ |
Ь ь | J j | ي | /ʲ/ |
Э э | E e | ئې، ې | /e/ |
Ю ю | Ju ju | يۇ | /ju/ |
Я я | Ja ja | يا | /ja/ |
다음은 아바르어 시를 아랍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로 표기한 예시이다.[16]
아랍 문자(2007) | 키릴 문자(2007) | 라틴 문자 |
---|---|---|
4. 3. 아랍 문자
15세기부터 아바르어를 표기하기 위해 아랍 문자를 부가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17세기부터는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아바르어의 아랍 문자 표기는 ''아잠''이라고 불렸으며 오늘날에도 이 명칭이 알려져 있다.[8]소련의 언어 정책 변화에 따라, 1928년 아잠 표기는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고, 1938년에는 다시 현재 사용되는 키릴 문자 기반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11][12][13][14][15]
아래는 키릴 문자를 기준으로 라틴 문자, 아랍 문자, 국제음성기호(IPA)를 비교한 표이다.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아랍 문자 | IPA |
---|---|---|---|
А а | A a | آ ,ا | /a/ |
Б б | B b | ب | /b/ |
В в | V v | و | /w/ |
Г г | G g | ڬ | /ɡ/ |
Гъ Гъ | Ƣ ƣ | غ | /ʁ/ |
Гь гь | H h | ﻫ | /h/ |
ГӀ гӀ | Ⱨ ⱨ | ع | /ʕ/ |
Д д | D d | د | /d/ |
Е е | E e, Je je | ئې، ې، يې | /e/, /je/ |
Ё ё | Jo, jo | يۈ | /jo/ |
Ж ж | Ƶ ƶ | ج | /ʒ/ |
З з | Z z | ز | /z/ |
И и | I i | ئێ، ێ | /i/ |
Й й | J j | ي | /j/ |
К к | K k | ك | /k/ |
Кк кк | Kk kk | كّ | /kː/ |
Къ къ | Q q | ق | /q͡χʼː/ |
Кь кь | Ꝗ ꝗ | ڨ | /t͡ɬʼː/ |
КӀ кӀ | Ⱪ ⱪ | گ | /kʼ/ |
КӀкӀ кӀкӀ | Ⱪⱪ ⱪⱪ | گّ | /kʼː/ |
Л л | L l | ل | /l/ |
Лъ лъ | Ļ ļ | ڸ | /t͡ɬ/ |
Лълъ лълъ | Ļļ ļļ | ڸّ | /t͡ɬː/ |
М м | M m | م | /m/ |
Н н | N n | ن | /n/ |
О о | O o | ئۈ، ۈ | /o/ |
П п | P p | ف | /p/ |
ПӀ пӀ | P p | ڣ | /pʼ/ |
Р р | R r | ر | /r/ |
С с | S s | س | /s/ |
Сс сс | Ss ss | سّ | /sː/ |
Т т | T t | ت | /t/ |
ТӀ тӀ | Ţ ţ | ط | /tʼ/ |
У у | U u | ئۇ، ۇ | /u/ |
Ф ф | F f | ف | /f/ |
Х х | X x | خ | /χ/ |
Хх хх | Xx xx | خّ | /χː/ |
Хъ хъ | Ӿ ӿ | څ | /q͡χː/ |
Хь хь | Ҳ ҳ | ڮ | /x/ |
Хьхь хьхь | Ҳҳ ҳҳ | ڮّ | /xː/ |
ХӀ хӀ | Ħ ħ | ح | /ħ/ |
Ц ц | Ꞩ ꞩ | ص | /t͡s/ |
Цц цц | Ꞩꞩ ꞩꞩ | صّ | /t͡sː/ |
ЦӀ цӀ | Ⱬ ⱬ | ض | /t͡sʼ/ |
ЦӀцӀ цӀцӀ | Ⱬⱬ ⱬⱬ | ضّ | /t͡sʼː/ |
Ч ч | C c | چ | /t͡ʃ/ |
(Чч чч) | Cc cc | چّ | /t͡ʃː/ |
ЧӀ чӀ | Ç ç | ڃ | /t͡ʃʼ/ |
ЧӀчӀ чӀчӀ | Çç çç | ڃّ | /t͡ʃʼː/ |
Ш ш | Ş ş | ش | /ʃ/ |
Щ щ | Şş şş | شّ | /ʃː/ |
Ъ ъ | ’ | ئ | /ʔ/ |
Ы ы | Y y | ئێ، ێ | /ɨ/ |
Ь ь | J j | ي | /ʲ/ |
Э э | E e | ئې، ې | /e/ |
Ю ю | Ju ju | يۇ | /ju/ |
Я я | Ja ja | يا | /ja/ |
아래는 아랍 문자 순서에 따른 비교표이다.
아랍어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IPA |
---|---|---|---|
ا | А а | A a | /a/ |
ب | Б б | B b | /b/ |
ت | Т т | T t | /t/ |
تُ | Тв тв | Tv tv | /tʷ/ |
ج | Ж ж | Ƶ ƶ | /ʒ/ |
جُ | Жв жв | Ƶv ƶv | /ʒʷ/ |
ڃ | ЧӀ чӀ | Ç ç | /t͡ʃʼ/ |
ڃُ | ЧӀв чӀв | Çv çv | /t͡ʃʼʷ/ |
ڃّ | ЧӀчӀ чӀчӀ | Çç çç | /t͡ʃʼː/ |
ڃُّ | ЧӀчӀв чӀчӀв | Ççv ççv | /t͡ʃʼːʷ/ |
چ | Ч ч | C c | /t͡ʃ/ |
چُ | Чв чв | Cv cv | /t͡ʃʷ/ |
چّ | Чч чч | Cc cc | /t͡ʃː/ |
چُّ | Ччв ччв | Ccv ccv | /t͡ʃːʷ/ |
ح | ХӀ хӀ | Ħ ħ | /ʜ/ |
حُ | ХӀв хӀв | Ħv ħv | /ʜʷ/ |
خ | Х х | X x | /χ/ |
خُ | Хв хв | Xv xv | /χʷ/ |
خّ | Хх хх | Xx xx | /χː/ |
خُّ | Ххв ххв | Xxv xxv | /χːʷ/ |
څ | Хъ хъ | Ӿ ӿ | /q͡χː/ |
څُ | Хъв хъв | Ӿv ӿv | /q͡χːʷ/ |
د | Д д | D d | /d/ |
دُ | Дв дв | Dv dv | /dʷ/ |
ر | Р р | R r | /r/ |
ز | З з | Z z | /z/ |
زُ | Зв зв | Zv zv | /zʷ/ |
س | С с | S s | /s/ |
سُ | Св св | Sv cv | /sʷ/ |
سّ | Сс сс | Ss ss | /sː/ |
سُّ | Ссв ссв | Ssv ssv | /sːʷ/ |
ش | Ш ш | Ş ş | /ʃ/ |
شُ | Шв шв | Şv şv | /ʃʷ/ |
شّ | Щ щ | Şş şş | /ʃː/ |
شُّ | Щв щв | Şşv şşv | /ʃːʷ/ |
ص | Ц ц | Ꞩ ꞩ | /t͡s/ |
صّ | Цц цц | Ꞩꞩ ꞩꞩ | /t͡sː/ |
ض | ЦӀ цӀ | Ⱬ ⱬ | /t͡sʼ/ |
ضُ | ЦӀв цӀв | Ⱬv ⱬv | /t͡sʼʷ/ |
ضّ | ЦӀцӀ цӀцӀ | Ⱬⱬ ⱬⱬ | /t͡sʼː/ |
ضُّ | ЦӀцӀв цӀцӀв | Ⱬⱬv ⱬⱬv | /t͡sʼːʷ/ |
ط | ТӀ тӀ | Ţ ţ | /tʼ/ |
طُ | ТӀв тӀв | Ţv ţv | /tʼʷ/ |
ع | ГӀ гӀ | Ⱨ ⱨ | /ʕ/ |
غ | Гъ Гъ | Ƣ ƣ | /ʁ/ |
غُ | Гъв Гъв | Ƣv ƣv | /ʁʷ/ |
ف | П п | P p | /p/ |
Ф ф | F f | /f/ | |
ڣ | ПӀ пӀ | P p | /pʼ/ |
ق | Къ къ | Q q | /q͡χʼː/ |
قُ | Къв къв | Qv qv | /q͡χʼːʷ/ |
ڨ | Кь кь | Ꝗ ꝗ | /t͡ɬʼː/ |
ڨُ | Кьв кьв | Ꝗv ꝗv | /t͡ɬʼːʷ/ |
ك | К к | K k | /k/ |
كُ | Кв кв | Kv kv | /kʷ/ |
كّ | Кк кк | Kk kk | /kː/ |
كُّ | Ккв ккв | Kkv kkv | /kːʷ/ |
گ | КӀ кӀ | Ⱪ ⱪ | /kʼ/ |
گُ | КӀв кӀв | Ⱪv ⱪv | /kʼʷ/ |
گّ | КӀкӀ кӀкӀ | Ⱪⱪ ⱪⱪ | /kʼː/ |
گُّ | КӀкӀв кӀкӀв | Ⱪⱪv ⱪⱪv | /kʼːʷ/ |
ڬ | Г г | G g | /ɡ/ |
ڬُ | Гв гв | Gv gv | /ɡʷ/ |
ڮ | Хь хь | Ҳ ҳ | /x/ |
ڮُ | Хьв хьв | Ҳv ҳv | /xʷ/ |
ڮّ | Хьхь хьхь | Ҳҳ ҳҳ | /xː/ |
ل | Л л | L l | /l/ |
ڸ | Лъ лъ | Ļ ļ | /t͡ɬ/ |
ڸُ | Лъв лъв | Ļv ļv | /t͡ɬʷ/ |
ڸّ | Лълъ лълъ | Ļļ ļļ | /t͡ɬː/ |
ڸُّ | Лълъв лълъв | Ļļv ļļv | /t͡ɬːʷ/ |
م | М м | M m | /m/ |
ن | Н н | N n | /n/ |
و | В в | V v | /w/ |
ئۈ، ۈ | О о | O o | /o/ |
ئۇ، ۇ | У у | U u | /u/ |
ﻫُ | Гьв гьв | Hv hv | /ɦʷ/ |
ﻫ | Гь гь | H h | /ɦ/ |
ئې، ې | Э э | E e | /e/ |
ئې، ې، يې | Е е | E e, Je je | /e/, /je/ |
ئێ، ێ | И и | I i | /i/ |
Ы ы | Y y | /ɨ/ | |
ي | Й й | J j | /j/ |
Ь ь | J j | /ʲ/ | |
يا | Я я | Ja ja | /ja/ |
يۈ | Ё ё | Jo, jo | /jo/ |
يۇ | Ю ю | Ju ju | /ju/ |
ئ | Ъ ъ | ’ | /ʔ/ |
ئُ | Ъв ъв | ’v | /ʔʷ/ |
아바르어 아랍 문자의 특징 중 하나는 위구르 문자, 쿠르드 문자처럼 모음을 표기하기 위해 점의 위치나 악센트가 수정된 문자를 표준화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모음 표기를 위해 아랍어 기호에 의존하거나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전통적인 아랍 문자, 페르시아 문자, 오스만 터키 문자와 달리, 아바르어 아랍 문자는 불완전한 압자드가 아닌 완전한 알파벳에 가깝게 기능한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아랍 문자가 사용된 초기에는 그렇지 않았다.[14]
예를 들어, 아랍 문자 '야'(ی)는 아바르어에서 네 가지 변형으로 발전하여 각각 다른 음가를 나타낸다.
문자 | 키릴 문자 대응 | IPA | 기능 |
---|---|---|---|
ئ | - / ъ | /ʔ/ | 모음 "О о" [o], "У у" [u], "Э э" [e], "И и" [i]로 시작하는 단어 첫머리에서 모음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자체 음가는 없다. 위구르 문자 및 쿠르드 문자 표기법과 유사하다. |
ئې، ې | Э э / Е е | /e/ | 파슈토 문자, 우즈베크어, 위구르 문자 표기법에도 유사한 문자가 있다. |
ئێ، ێ | И и / Ы ы | /i~ɨ/ | 쿠르드 문자 표기법에도 유사한 문자가 있지만, 모음 [e] 표기에 사용된다. |
ي | Й й | /j/ | 영어의 "y" 소리에 해당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바르어 아랍 문자에는 두 가지 아랍어 기호가 유지되어 사용된다.
첫째는 겹자음 표기에 사용되는 '샤다'(ـّـ)이다. 키릴 문자에서는 같은 자음을 두 번 써서 표기하지만, 아랍 문자에서는 샤다 기호를 사용한다.
둘째는 '담마'(ـُـ) 기호이다. 아랍어, 페르시아어 등에서는 [o]나 [u] 모음을 나타내지만, 아바르어에서는 모음이 아닌 순음화([◌ʷ])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담마는 주로 다른 모음 글자와 함께 쓰인다. 예를 들어, 'зва' [zʷa]는 아랍 문자로 'زُا'와 같이 표기된다. 담마는 샤다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어서, 'ссвa' [sːʷa]는 'سُّا'로 표기된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할 경우, [a] 소리는 알리프(ا)로 표기한다. 다른 모음([o], [u], [e], [i])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모음 글자 앞에 '함자-야'(ئـ)를 붙여 표기한다. 단어 중간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표기가 필요 없다.
А а | О о | У у | Э э / Е е | И и |
---|---|---|---|---|
[a] | [o] | [u] | [e] | [i] |
단어 시작 모음 | ||||
ا | ئۈ | ئۇ | ئېـ | ئێـ |
단어 중간 또는 끝 모음 | ||||
ـا، ا | ـۈ، ۈ | ـۇ، ۇ | ېـ، ـېـ، ـې | ێـ، ـێـ، ـێ |
아래는 아바르어 시를 아랍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로 표기한 예시이다.[16]
아랍 문자(2007) | 키릴 문자(2007) | 라틴 문자 |
---|---|---|
5. 음운
(내용 없음)
5. 1. 자음
colspan="2" rowspan="3" | | 순음 | 치음 | 치경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성문음 | |||||||
---|---|---|---|---|---|---|---|---|---|---|---|---|---|---|---|
중앙 | 설측 | ||||||||||||||
약음 | 강음 | 약음 | 강음 | 약음 | 강음 | 약음 | 강음 | 약음 | 강음 | ||||||
비음 | m | n | |||||||||||||
파열음 | 유성음 | b | d | ɡ | |||||||||||
무성음 | p | t | k | kː | ʔ | ||||||||||
방출음 | tʼ | kʼ | kːʼ | ||||||||||||
파찰음 | 무성음 | t͡s | t͡sː | t͡ʃ | t͡ʃː | t͡ɬː | q͡χː | ||||||||
방출음 | t͡sʼ | t͡sːʼ | t͡ʃʼ | t͡ʃːʼ | (t͡ɬːʼ) | q͡χːʼ | |||||||||
마찰음 | 무성음 | s | sː | ʃ | ʃː | ɬ | ɬː | x | xː | χ | χː | ʜ | |||
유성음 | z | ʒ | ʁ | ʕ | ɦ | ||||||||||
전동음 | r | ||||||||||||||
접근음 | w | l | j |
표에 표기된 구별은 ː 기호가 있는 길이 표기와 관련하여 상반된 분석이 존재한다. 길이는 구별의 일부이지만 조음 강도도 마찬가지이므로, 강음과 약음으로 분석되었다. 강음 파찰음은 윤곽의 마찰 부분에서 길게 나타난다. 예: tsː, 일본어와 이탈리아어와 같은 언어의 쌍자 파찰음과 같이 파열 부분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tːs. Laver (1994)는 예: t͡ɬː를 2개의 분절 파찰음–마찰음 시퀀스 [t͡ɬɬ] (/t͡ɬɬ/ = /tɬɬ/)로 분석한다.[6]
5. 2. 모음
아바르어는 /a e i o u/의 다섯 개의 음소 모음을 가지고 있다.
5. 3. 어휘 강세
아바르어에서 강세는 대조적이고 자유로우며 이동할 수 있다. 강세는 단어의 음절 수와 관계없이 나타난다. 어휘 강세 위치의 변화는 단어의 서로 다른 의미나 문법적 의미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ра́гӏиava (단어) ~ рагӏи́ava (사료)
- ру́гъналava (상처, 복수 주격) ~ ругъна́лava (상처, 단수 속격)
6. 문법
아바르어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부사는 일반적으로 굴절하지 않지만, 장소 부사 중 일부는 명사 등급에 따라 굴절하는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안쪽'을 의미하는 단어와 '앞에'를 의미하는 단어가 있다. 장소 부사는 또한 접미사를 사용하여 위격, 향격, 탈격 형태를 구별하는데, 예를 들어 '안쪽'(위격), '안으로'(향격), '안에서'(탈격)와 같이 표현된다. 파생되지 않은 형용사에는 강조를 나타내는 접미사 '-go'가 붙기도 한다.
7. 방언
아바르어의 주요 방언은 크게 북부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 북부 방언: 아바르어의 문학 작품에 많이 사용되며, 훈자흐 방언, 카즈베크 방언, 구니브 방언, 굼베트 방언 등이 여기에 속한다. 특히 훈자흐 방언은 표준어의 기반이 되었다.
- 남부 방언: 수브 방언의 일종으로, 안달랄 방언, 기다틀 방언, 안추흐 방언, 차로다 방언, 틸랴라타 방언, 쿠마다 방언, 쿤타 방언 등이 포함된다.
이 외에도 아바르어는 약 50개에 달하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바구달어, 차말랄어, 부두흐어, 보틀리흐어, 안디어, 고도베리어, 틴디어, 카라티어, 아흐바흐어, 체스어 (때로는 디도어), 흐바르시어, 기누흐어, 훈지브어, 베즈타어 등을 아바르어와 가까운 언어로 분류하기도 한다.
Glottolog는 아바르어의 14개 방언을 아래와 같이 목록으로 제시하며, 일부는 해당 방언이 사용되는 마을 이름에 해당한다.
방언명 (Glottolog 기준) | 키릴 문자 표기 |
---|---|
안축 / Анцух | |
안달랄-그다틀 | | |
바차딘 | | |
바틀룩스 | | |
히드 | | |
카락스 | | |
카십 | | |
켈레브 | | |
살라타브 | | |
슐라니 | | |
운팁 | | |
훈자흐 / Хунзах | |
자카탈라 |
7. 1. 표준어
문어(文語)로 쓰거나 서로 다른 방언 사용자들이 소통할 때는 주로 болмацӏ|볼마츠ava라는 표준어를 사용한다. 이 표준어는 아바르 지역의 중심지인 쿤자흐 방언을 기반으로 남부 방언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다게스탄의 국민 시인으로 불리는 라술 감자토프(1923년 ~ 2003년)가 아바르어로 쓴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8. 문학
아바르어의 문학 언어는 볼마츠(bolmacʼ)를 기반으로 한다. 볼마츠는 'bo'(군대 또는 국가)와 'macʼ'(언어)를 합친 말로, 서로 다른 방언이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공용어를 의미한다. 볼마츠는 주로 아바르 지역의 수도이자 문화 중심지인 훈자흐 방언에서 유래했으며, 남부 방언의 영향도 받았다. 오늘날 문학 언어는 여러 방언에 영향을 미치며 방언 간의 차이를 줄여나가고 있다.
현대 아바르 문학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은 다게스탄의 인민 시인인 라술 감자토프(2003년 11월 3일 사망)이다. 그의 작품은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구 소련 전역에서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았다.
9. 예시 문장
''kiwe hit'inaw was unew wugew''
"작은 소년은 어디에 있어요?"
''wacas šiša bekana''
"병이 깨졌다."
''hez nux habuleb bugo''
"그들은 길에 위치한 빌딩에 있다."
Vurchami안녕하세요!
Chib hal bugeb?어떻게 느꼈어요?
Dur tsar chib?이름은 뭐에요?
Chan son due bugeb?몇살이에요?
Kiwe mun inev vigev?어디에 가세요?
영어 | 아바르어 | 음역 | IPA |
---|---|---|---|
안녕! | Ворчӏами! | Worch’ami! | /wort͡ʃ’ami/ |
잘 지내세요? | Щиб хӏaл бугеб? | Shchib hal bugeb? | /ʃːib ʜal bugeb/ |
당신은 어떠십니까? | Иш кин бугеб? | Ish kin bugeb? | /iʃ kin bugeb/ |
이름이 무엇입니까? | Дуда цӏар щиб? | Duda c’ar shchib? | /duda t͡s’ar ʃːib/ |
당신은 몇 살입니까? | Дур чан сон бугеб? | Dur chan son bugeb? | /dur t͡ʃan son bugeb/ |
어디 가세요? | Mун киве ина вугев? | Mun kiwe ina wugew? | /mun kiwe ina wugew/ |
죄송합니다! | Тӏаса лъугьа! | T’asa łuḩa! | /t’asa ɬuha/ |
어머니 | Эбель | A'bel | / A'bel/ |
아버지 | Эмен | A'men | / A'men/ |
어린 소년은 어디로 가고 있습니까? | Киве гьитӏинав вас унев вугев? | Kiwe ḩit’inaw was unew wugew? | /kiwe hit’inaw was unew wugew/ |
그 소년은 병을 깼다. | Васас шиша бекана. | Wasas shisha bekana. | /wasas ʃiʃa bekana/ |
그들은 길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 Гьез нух бале (гьабулеб) буго. | Ḩez nux́ bale (ḩabuleb) bugo. | /hez nuχ bale (habuleb) bugo/ |
참조
[1]
웹사이트
Avar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6-22
[2]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ava
https://www.loc.gov/[...]
ISO 639-2 Registration Authority - Library of Congress
2017-07-05
[3]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ava
http://www-01.sil.or[...]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 SIL International
2017-07-05
[4]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5-04-19
[5]
웹사이트
Consonant Systems of the North-East Caucasian Languages on TITUS DIDACTICA
http://titus.fkidg1.[...]
[6]
서적
Principles of Phonetics
1994
[7]
논문
Language Planning and the Orthography of Avar
1984
[8]
논문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iterary Avar
Mouton de Gruyter
1985
[9]
서적
Аварскій языкъ.
https://www.runivers[...]
1889
[10]
웹사이트
Omniglot on the Avar alphabet, language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11]
간행물
Возникновение письменности у аварцев
[12]
간행물
Новый алфавит для народностей Дагестана
https://viewer.rusne[...]
[13]
간행물
Аварский язык. —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соседних государств. — М.: Наука
[14]
논문
The Avâr Language
https://www.cambridg[...]
[15]
웹사이트
avar.me
http://avar.me/
[16]
웹사이트
Avar (Магӏарул мацӏ / Авар мацӏ)
https://www.omniglot[...]
2023-08-14
[17]
Ethnolog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