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은 아카데미상의 한 부문으로, 영화 연기에서 뛰어난 조연 여배우에게 수여된다. 1936년 제9회 시상식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전까지는 여우주연상 후보에 조연 배우도 포함되었다. 역대 수상자 중 셸리 윈터스와 다이앤 위스트가 2회로 최다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델마 리터는 6번의 후보 지명으로 최다 후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최연소 수상자는 10세의 태텀 오닐, 최고령 수상자는 77세의 페기 애슈크로프트이며, 흑인 배우 최초 수상자는 해티 맥대니얼, 아시아계 최초 수상자는 우메키 미요시, 한국 배우 최초 수상자는 윤여정이다. 후보는 배우 부문의 결선 투표제로 결정되며, 수상자는 아카데미 회원들의 투표로 선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 여우조연상 -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1946년부터 수여되어 칸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상 중 하나이며, 이자벨 위페르 등이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1979년부터 1981년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주연 또는 조연 역할에 대해 시상한다. - 영화 여우조연상 - 영국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영국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은 영화 연기에서 뛰어난 업적을 보여준 여성 배우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주디 덴치가 최다 수상을 기록했으며 윤여정이 한국 배우 최초로 수상했다.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작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작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 - 도나 리드
도나 리드는 미국의 배우이자 사회 운동가로, 1940년대와 1950년대 MGM에서 활동하며 ''멋진 인생'' 등의 영화에 출연, ''지상에서 영원으로''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고, 자체 제작 TV 시리즈 ''도나 리드 쇼''에서 주연을 맡아 인기를 얻었으며,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과 도나 리드 재단 설립 등 사회 활동에도 기여했다.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 - 잉그리드 버그먼
잉그리드 버그만은 스웨덴 출신의 배우로, 193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영화, 연극 등에서 활동하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2회 등을 수상했고, 20세기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배우로 자리매김했으며, 1982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수상 대상 | 조연에서 최고의 연기를 보인 여자 배우 |
수여 기관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AMPAS) |
국가 | 미국 |
첫 시상 년도 | 1937년 |
최근 수상자 | 다바인 조이 랜돌프, 호울드오우버즈 (2024) |
최다 수상자 | 다이앤 위스트, 셸리 윈터스 (2회) |
최다 후보 지명자 | 델마 리터 (6회) |
웹사이트 | 아카데미상 공식 웹사이트 |
수상 역사 | |
첫 시상 | 1937년 (제9회 아카데미상) |
최초 수상자 | 게일 손더가드, 앤서니 애드버스 |
최초 흑인 수상자 | 해티 맥대니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40년) |
2회 수상자 | 셸리 윈터스, 다이앤 위스트 |
추가 정보 | |
규칙 1 | 수상 정의 |
2. 역사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은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주연 배우를 보조하는 뛰어난 연기를 선보인 여자 배우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36년 제9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안소니 에드버즈》의 게일 손더그라드가 처음으로 수상한 이후, 2015년 제87회 아카데미상 시상식까지 77년간 총 75명의 배우가 이 상을 받았다.[6] 가장 최근 수상자는 《보이후드》의 퍼트리샤 아켓이다.
초기에는 검을 쥐고 필름 릴에 서 있는 금빛 기사 모양의 오스카 트로피가 수여되었으나, 제16회 아카데미상 시상식(1943년)부터는 명판이 수여되었다.[6]
아카데미 시상식의 연도는 일반적으로 영화가 로스앤젤레스 군에서 개봉된 연도를 따르며, 시상식은 그 다음 해에 열린다.[6] 초기 5회 시상식은 8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6회 시상식은 1932년 8월 1일부터 1933년 12월 31일까지, 7회 시상식부터는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자격 기간으로 한다.[7]
항목 | 기록 | 기록 보유자 | 비고 |
---|---|---|---|
최다 수상 | 2회 | 셸리 윈터스, 다이앤 위스트 | |
최다 후보 지명 | 6회 | 셀마 리터 | |
최연소 수상 | 10세 | 태텀 오닐 | 1973년 《페이퍼 문》 |
최연소 후보 지명 | 10세 | 태텀 오닐 | 1973년 《페이퍼 문》 |
최고령 수상 | 77세 | 페기 애슈크로프트 | 1984년 《인도로 가는 길》 |
최고령 후보 지명 | 87세 | 글로리아 스튜어트 | 1997년 《타이타닉》 |
기록 | 기록 보유자 | 비고 |
---|---|---|
흑인 최초 수상자 | 해티 맥대니얼 | 1939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아시아계 최초 수상자 | 낸시 우메키 | 1957년 《사요나라》 |
2. 1. 제정 배경
제8회 아카데미상 시상식(1935년)까지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주연, 조연 구분 없이 모든 여자 배우들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제9회 아카데미상 시상식(1936년)부터 여우주연상이 상영 시간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우들에게 유리하다는 불만이 제기됨에 따라,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여우조연상이 별도로 제정되었다.[6]메이 롭슨은 조연으로 출연했던 《하루 동안의 숙녀》(1933년)를 통해 여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하였다.[6]
2. 2. 초기 수상자
(제9회)(제10회)
(캐서린 오리어리)
(제11회)
(제12회)
(제13회)
(제14회)
(제15회)
(제16회)
(제17회)
(제18회)
(제19회)
(제20회)
(제21회)
(제22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