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프리카 수면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수면병은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주로 체체파리에 물려 감염된다. 이 질병은 서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에서 각각 *T. b. gambiense*와 *T. b. rhodesiense*라는 두 가지 아종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 초기에는 발열, 두통, 림프절 부종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중추 신경계 침범 후에는 수면-각성 주기 장애, 정신 질환, 혼수 상태를 유발한다. 진단은 혈액, 림프절 흡인물, 뇌척수액 등에서 기생충을 확인하는 것이며, 치료는 질병의 진행 단계에 따라 다르다. 1기에는 펜타미딘이나 수라민을 사용하며, 2기에는 에플로르니틴, 니푸르티목스, 멜라르소프롤 등을 사용한다. 2030년까지 감비아형 아프리카 수면병의 전염 근절을 목표로 국제적인 퇴치 노력이 진행 중이며, 체체파리 개체수 감소를 위한 불임 곤충 방사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병 - 트리파노소마증
    트리파노소마증은 크루지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트리파노소마 등의 기생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샤가스병, 아프리카 수면병 등이 있으며, 흡혈곤충이나 교미를 통해 전파되고 발열, 림프절 종창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체체파리 구제 등의 예방 조치와 펜타미딘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기생병 - 승저증
    승저증은 파리 유충이 살아있는 척추동물의 조직이나 체액 등을 섭취하며 기생하는 질병으로,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 가능하며 위생 환경이 열악하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발병 위험이 높고, 괴사 조직 제거에 구더기를 이용하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다.
  • 원충감염증 - 톡소플라스마증
    톡소플라스마증은 톡소플라스마 곤디 감염으로 발생하며, 면역 저하자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임신 중 감염은 태아에게 선천성 톡소플라스마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감염 경로는 덜 익힌 육류 섭취, 오염된 환경 접촉 등 다양하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 원충감염증 - 트리파노소마증
    트리파노소마증은 크루지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트리파노소마 등의 기생충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 샤가스병, 아프리카 수면병 등이 있으며, 흡혈곤충이나 교미를 통해 전파되고 발열, 림프절 종창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체체파리 구제 등의 예방 조치와 펜타미딘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소외질병 - 나병
    나병은 주로 피부, 말초 신경 등을 침범하는 만성 감염 질환으로, *M. leprae*와 *M. lepromatosis*에 의해 발생하며, 다제 병용 요법으로 치료하고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소외질병 - 승저증
    승저증은 파리 유충이 살아있는 척추동물의 조직이나 체액 등을 섭취하며 기생하는 질병으로,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 가능하며 위생 환경이 열악하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발병 위험이 높고, 괴사 조직 제거에 구더기를 이용하는 치료법이 주목받고 있다.
아프리카 수면병
질병 개요
혈액 도말 표본에서의 트리파노소마 형태
트리파노소마 형태 (혈액 도말 표본)
분야감염병
유형트리파노소마 브루cei 감비엔세 (TbG), 트리파노소마 브루cei 로데시엔세 (TbR)
원인트리파노소마 브루cei, 체체파리에 의해 전파됨
발병 시기노출 후 1~3주
예후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임
증상
1단계발열, 두통, 가려움증, 관절통
2단계불면증, 혼란 상태, 운동 실조
진단
방법혈액 도말 검사, 요추 천자
치료
약물펙시니다졸, 펜타미딘, 수라민, 멜라르소프롤, 에플로르니틴, 니푸르티목스
통계
발생 건수 (2018년)977건
사망자 수 (2015년)3,500명

2. 역사

아프리카 수면병은 수천 년 동안 아프리카에 존재해 온 질병이다.[48] 토착민들의 이동이 적었기 때문에 고립된 지역에 국한되었으나, 아랍 노예 무역상들이 콩고강을 따라 중앙 아프리카로 들어오면서 기생충을 옮겨 감비아 수면병이 동쪽으로 퍼져나갔다.[49]

14세기 아랍 작가는 말리 왕국 술탄의 경우를 예로 들며 "그의 최후는 수면병(''illat an-nawm'')에 의해 찾아왔는데, 이는 특히 그들의 추장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병이다. 잠은 그들 중 한 사람을 덮쳐서 그를 깨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라고 설명했다.[49]

1734년, 영국 해군 외과 의사 존 앳킨스는 서아프리카에서 돌아와 이 질병에 대해 "졸음병(흑인들에게 흔함)은 식욕 부진 외에는 2~3일 전에 아무런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중략) ...가끔 그들 중 한 명이 회복되면, 그는 확실히 자신이 가지고 있던 작은 이성을 잃고 바보가 된다..."라고 묘사했다.[49] 1803년에는 영국의 의사 토마스 윈터보텀이 목 주위 림프절 종창(제1기 징후)을 보고하고, 아랍 노예 상인들이 이 징후를 보이는 노예를 피했다는 점을 언급했다.[87]

1860년대 후반, 프랑스 해군 외과 의사 마리-테오필 그리폰 뒤 벨레이는 가봉병원선 ''카라반''에서 환자를 치료하고 묘사했다.[50] 1901년, 우간다에서는 25만 명 이상을 사망케 한 치명적인 유행병이 발생했으며,[51] 이는 영향을 받은 호반 지역 인구의 약 3분의 2에 해당한다. ''케임브리지 아프리카 역사''에 따르면, "콩고강 하류 양쪽 강둑의 토지에서 수면병과 천연두로 인해 인구의 절반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52]

이슬람 제국을 건설한 아랍인들이 사하라 사막 이남을 정복하지 못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이 질병 때문이었다고 한다. 카메룬사헬 지대 국가들은 역사적으로 남부 해안가보다 북부 사하라 사막 주변부에서 발전했는데, 이 역시 가축을 중남부로 데려갈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88]


  • -|]]
  • -|]]
  • -|]]
  • -|]]
  • -|]]
  • -|]]
  • -|]]
  • -|]]
  • -|]]
  • -|]]
  • -|]]

2. 1. 20세기 초의 발견과 대응

1903년, 데이비드 브루스는 체체파리가 아프리카 수면병을 옮기는 매개체임을 확인했다.[49] 1910년에는 원생생물아종을 구별해냈다. 브루스는 이전에 ''T. brucei''가 체체파리(''Glossina morsitans'')에 의해 전염되는 말과 소의 유사한 질병(나가나병)의 원인임을 밝혀낸 바 있다.[49]

최초의 효과적인 치료제는 아톡실로, 1910년 파울 에를리히시가 기요시가 개발한 비소 기반 약물이었다. 그러나 아톡실은 실명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다.[53]

수라민은 1916년 바이엘을 위해 오스카 드레셀과 리하르트 코테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다. 이 약물은 질병의 첫 번째 단계를 치료하기 위해 1920년에 도입되었다. 1922년까지 수라민은 일반적으로 트리파르사미드와 결합되었는데, 트리파르사미드는 신경계에 작용하여 감비엔스 형태의 2단계 수면병 치료에 효과적인 최초의 약물이었다. 트리파르사미드는 1919년 ''실험 의학 저널''에 발표되었으며, 1920년 록펠러 연구소의 루이스 페어스에 의해 벨기에령 콩고에서 테스트되었다. 이 약물은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대유행 기간 동안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사용되었으며 1960년대까지 치료의 주류였다.[53] 미국 의료 선교사 아서 루이스 파이퍼는 1925년 벨기에령 콩고에서 수면병 치료에 트리파르사미드를 사용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54]

아프리카 수면병 치료제[87]
도입 연도약물개발자제2기 적용비고
1905년아톡실(atoxyl)토마스 & 브레인불가유기 비소
1915년트리파르사마이드(tryparsamide)제이콥스 & 하이델버거유기 비소
1916년수라민(suramin)바이엘불가
1937년펜타미딘(pentamidine)메이 앤 베이커(현 사노피 아벤티스)불가
1949년멜라르소프롤(melarsoprol)프리드하임유기 비소
1990년에플로르니틴(eflornithine)메렐 다우(현 사노피 아벤티스)오르니틴 탈탄산 효소의 억제제


2. 2. 20세기 중후반의 정체와 재확산

1950년대에 펜타미딘이 예방 약물로 널리 사용되면서 아프리카 수면병 감염률이 급격히 감소했다. 이 때문에 당시에는 질병 근절이 임박한 것으로 여겨졌다.[53] 그러나 1960년대 중반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정정이 불안정해지고 경제가 황폐해져 보건 체제가 붕괴되었다. 아프리카 수면병 억제 프로그램은 중단되었고, 조직적인 스크리닝도 극히 소규모로 후퇴했다. 그 결과 1970년대 후반부터 환자 수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고, 이 유행은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71][87] 1990년대 후반부터 조직적인 스크리닝이 재개되었고, 1998년을 정점으로 환자 수는 감소세로 돌아섰다.[71][87]

2. 3. 현대의 퇴치 노력과 과제

1990년대 후반부터 국제적인 퇴치 노력이 재개되어 환자 수가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다.[71][87] 1999년 에플로르니틴의 제조사인 아벤티스가 제조를 중단했으나, 2001년 국경없는 의사회와 세계 보건 기구(WHO)의 협력으로 제조 및 기증 계약이 성립되었다.

2001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현 아프리카 연합)는 범아프리카 체체파리 및 트리파노소마증 박멸 캠페인(PATTEC)을 시작했다.[87] 이 캠페인은 유인 트랩, 극미량 살충제 살포 등으로 체체파리 수를 줄이고, 불임충 방사를 통해 특정 종을 멸종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불임충 방사는 1997년 잔지바르에서 체체파리 및 트리파노소마증 박멸에 성공한 방법이다. 그러나 잔지바르와 달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서 여러 종을 멸종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며, 관련 국가 대부분이 최빈국이라 막대한 비용 조달 문제도 존재한다.[87]

3. 원인

아프리카 수면병은 원생생물의 일종인 브루스 트리파노소마(Trypanosoma brucei)라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한다.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아종은 두 가지가 있다.


  • 감비아 트리파노소마(T. b. gambiense): 사람이 주된 숙주이며, 아프리카 중서부에 분포한다.
  •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T. b. rhodesiense): 야생 동물과 소가 주된 숙주이며, 아프리카 남동부에 분포한다.


이 기생충들은 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체체파리를 통해 전파된다. 트리파노소마는 변이 표면 당단백질(VSG)로 구성된 외피에 둘러싸여 있는데, 이 단백질은 인간 혈장에 존재하는 용해 인자로부터 기생충을 보호한다. 숙주의 면역 체계는 다양한 항체를 생성하지만, VSG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면역 체계가 기생충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여 감염이 발생한다.[16]

샤가스병은 크루스 트리파노소마(Trypanosoma cruzi)라는 다른 종에 의해 발생하며, 같은 트리파노소마 속에 속하지만 성상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3. 1. 감비아 트리파노소마 (T. b. gambiense)

주로 아프리카의 중앙부 및 서부(빅토리아 호보다 서쪽)에 분포하며, 주요 보균 숙주는 사람이지만 돼지나 기타 동물에게서도 발견된다. 물가에 많은 ''Glossina palpalis'' 그룹이 매개한다. 발병하기까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친 만성적인 경과를 거치며, 그 시점에서는 이미 중추 신경이 침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보고되는 사례의 9할 정도는 이 원충에 의한 것이다.[16]

3. 2.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 (T. b. rhodesiense)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T. b. rhodesiense'')는 아프리카 남부 및 동부(빅토리아 호보다 동쪽)에 분포하며, 주요 보균 숙주는 사냥 동물이나 가축이다.[20] 사바나에 많이 서식하는 ''Glossina morsitans'' 그룹의 체체파리가 매개한다.[16] 감염 후 수 주 내에 발병하며 급성 질환적인 경과를 보인다. ''T. b. gambiense''보다 독성이 강하고 빠르게 진행되어 수개월 내에 사망할 수 있다.[16]

3. 3. 생활사

''Trypanosoma brucei''의 생활환


감염된 체체파리가 흡혈할 때 메타사이클릭 형태의 트리파노소마가 피부에 주입된다.[21][22] 원충은 숙주 내에서 혈류형으로 변태하여, 림프계를 거쳐 혈류로 흘러 들어가 온몸으로 운반된다.[22] 이후 세포 외에서(혈액, 림프액, 뇌척수액 등의 체액) 이분열로 증식한다.[21]

체체파리는 흡혈 시 혈액 속 혈류형 원충을 섭취해 감염된다. 체체파리의 중장에서는 프로사이클릭 형태로 변태하여 이분열로 증식한다.[23] 중장에서 탈출하면 에피마스티고트(상편모형)로 변태하고, 침샘에 도달하여 증식을 계속하며, 일부는 메타사이클릭 형태로 변태한다.[23]

체체파리에서의 발육에는 약 3주가 소요된다.[23]

3. 4. 감염 경로

1880년의 체체파리 그림


아프리카 수면병은 주로 체체파리(속: ''Glossina'')에 물려서 감염된다. 체체파리는 트리파노소마 기생충의 숙주이자 매개체 역할을 하는 크고 갈색의 흡혈 파리이다. 감염된 체체파리가 포유류 숙주의 피를 빨아먹는 동안 피부 조직에 메타사이클릭 트리포마스티고트를 주입한다. 물린 부위에서 기생충은 먼저 림프계를 거쳐 혈류로 들어간다. 포유류 숙주 내에서 혈류 트리포마스티고트로 변환되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동하여 다른 체액(예: 림프, 척수액)에 도달하여 이분법으로 계속 복제된다.[21][22]

체체파리의 물림 외에도 드물게 다음과 같은 경로로 감염될 수 있다.

  • 모자 감염: 트리파노소마는 때때로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를 감염시킬 수 있다.[24][77]
  • 실험실 사고: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취급하거나 장기 이식 등을 통해 우발적인 감염이 발생할 수 있지만 흔하지 않다.
  • 수혈
  • 성행위[25][78]


말파리(등에과) 및 고려파리(집파리과)는 나가나(수면병의 동물 형태)와 인간 질병 형태의 전파에 역할을 할 수 있다.[26]

4. 증상

아프리카 수면병의 증상은 크게 혈액림프 단계와 신경학적 단계로 나뉜다. 신경학적 단계는 중추신경계에 기생충이 침투하면서 나타나는데, 초기 증상 외에 추가적인 증상이 나타나지만, 임상적인 특징만으로는 두 단계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9]

잠복기는 로데시아 수면병 원충(''T. b. rhodesiense'')의 경우 1~3주이며, 감비아 수면병 원충(T. b. gambiense) 감염의 경우 더 길다.[9]

이 질병은 비유행 지역 출신 감염자(예: 여행자)에게서 비정형적인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원인은 불분명하며 유전적 요인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림프절병증이 드물게 발생하는 발열과 위장 증상(예: 설사황달)으로 나타난다고 한다.[10]

질병의 실제 단계를 결정하는 것은 뇌척수액에서 기생충의 존재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9] 진단의 표준은 현미경 검사를 통해 표본에서 트리파노소마를 식별하는 것이다.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표본에는 궤양액, 림프절 흡인물, 혈액, 골수, 뇌척수액이 있다.

아프리카 수면병 환자의 혈액 도말 표본, 김자 염색으로 염색: 후방 키네토플라스트, 중앙 핵, 파동막, 전방 편모가 있는 트리파노소마 형태. 인간 트리파노소마증을 유발하는 ''T. b. gambiense''와 ''T. b. rhodesiense''는 형태학적으로 구별 불가. 트리파노소마의 길이는 14~33 μm. 출처: CDC.

4. 1. 트리파노소마 궤양

감염된 체체파리에 물린 부위에서 때때로 트리파노소마 궤양이 발생하며, 이는 감염 후 2일 이내에 나타날 수 있다. 궤양은 로데시아형(''T. b. rhodesiense'') 감염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며, 감비아형(''T. b. gambiense'') 감염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그러나 감비아형 감염의 경우, 비유행 지역 출신자에게서 궤양이 더 흔하게 나타난다.[1]

4. 2. 혈액림프 단계 (1기)

감비아형은 수개월에서 수년, 로데시아형은 수주에서 수개월의 잠복기를 거친다.[9] 혈림프 단계로 알려진 첫 번째 단계는 발열(간헐적), 심한 두통,[11] 관절 통증, 가려움증,[12][9] 쇠약, 권태감, 피로, 체중 감소, 림프절병증, 간비종대와 같은 비특이적이고 일반적인 증상으로 특징지어진다.[9]

초기 증상이 모호하여 진단이 지연될 수 있으며, 말라리아로 오인될 수도 있다(실제로 동시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음).[10] 발열은 간헐적으로 나타나며, 발열 기간은 하루에서 일주일 정도이고 며칠에서 한 달 이상 간격으로 발생한다.[12][9] 발열 에피소드는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빈도가 줄어든다.[9]

기생충이 순환계와 림프계를 침범하면 심한 림프절 부종이 나타나며, 종종 림프절이 엄청나게 커지기도 한다.[12] 후경부 림프절이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지만, 겨드랑이, 사타구니, 상완골 림프절도 침범될 수 있다.[9] 목 뒤를 따라 림프절이 부어오르는 특징적인 징후인 윈터보텀 징후가 나타날 수 있는데,[12] 이는 감비아형 감염에서 흔하게 나타난다.[9]

병이 방치되면, 차츰 감염자의 생체 방어 기전을 뚫고 빈혈, 내분비계, 심장, 신장의 질환을 보이게 된다. 병원체가 감비아 트리파노소마인 경우에는 증상을 알아채지 못한 채 지나치는 경우도 많다.

4. 3. 신경학적 단계 (2기)

혈액-뇌 장벽을 통과한 기생충이 중추 신경계를 침범하면서 신경학적 단계가 시작된다.[12] 로데시아 수면병 원충(T. b. rhodesiense) 감염은 약 21~60일, 감비아 수면병 원충(T. b. gambiense) 감염은 300~500일 후에 신경학적 단계로 진행된다.[9] 뇌척수액 검사를 통해 기생충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질병 단계를 정확히 판단한다.[9]

수면-각성 장애는 신경학적 단계의 주요 특징으로,[12][15] 이 때문에 "수면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2][9][15] 감염자는 수면-각성 주기가 불규칙하고 단편적으로 변한다.[12] 수면 반전이 나타나 낮에는 졸음과 수면을 취하고,[12][9] 밤에는 각성 상태와 불면증을 겪는다.[9][12] 갑작스러운 졸음이 발생하기도 한다.[9]

신경학적 증상으로는 진전, 전반적인 근력 약화, 반신불완전마비, 사지 마비,[16] 비정상적인 근육 긴장, 보행 장애, 운동실조, 언어 장애, 이상감각, 과민증, 무감각, 시각 장애, 비정상적인 반사, 발작, 혼수 등이 있다.[9] 파킨슨증과 유사한 운동 및 언어 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16]

정신과적 증상으로는 공격성, 무관심,[9][16] 과민성, 정신병적 반응,[16] 환각, 불안, 감정 둔마, 혼란, 조증, 주의력 결핍, 섬망 등이 나타날 수 있다.[9]

치료하지 않으면 점진적인 정신적 쇠퇴를 거쳐 혼수상태, 전신 장기 부전, 사망으로 이어진다.[17][18] 로데시아 수면병 원충 감염은 수개월 내, 감비아 수면병 원충 감염은 수년 후에 사망에 이른다.[17][18] 신경학적 단계의 손상은 회복 불가능하다.[19]

5. 진단

현미경 검사를 통해 궤양액, 림프절 흡인물, 혈액, 골수, 뇌척수액 등에서 트리파노소마를 확인하는 것이 표준 진단법이다.[28] 김자 염색이나 필드 염색 기술을 사용하여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젖은 제제를 사용하여 운동성 트리파노소마를 찾을 수도 있다.

기생충 수가 적을 경우 원심 분리 후 버피 코트 검사, 미니 음이온 교환/원심 분리, 정량적 버피 코트(QBC) 기술 등의 농축법을 사용한다. 척수액의 경우 원심 분리 후 침전물을 검사한다. 쥐나 생쥐에 접종하여 원충을 분리하는 것은 감도가 좋은 방법이지만,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에 한정된다.

미세-CATT(트리파노소마증에 대한 카드 응집 검사), wb-CATT, wb-LATEX와 같은 혈청학적 검사도 기생충 검출에 사용된다.[28]

6. 역학

아프리카 수면병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37개국에서 발생하며, 콩고민주공화국이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다.[20] 2010년 기준 약 9,000명이 사망했으며,[7] 2014년에는 보고된 환자 수가 3,797명으로 감소했다.[44] 2018년 이후 연간 1,000건 미만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45] 세계보건기구(WHO)는 2030년까지 감비아형 전염 근절을 목표로 하고 있다.[44][46]

국가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 감비엔스[47]
앙골라149820942406179612742441672682756610535145464577362131152280172711056485172472111547069363519187930331744452
베냉00210000020000000000000000000000000
부르키나파소2727201718131211515000000000000000100000000
카메룬86692132021171054322714323317315713241615767665717211711
중앙아프리카 공화국308197362262368676492730106886998871857253973866646065411941054395132381591941471247657863944110104
차드2022114965214315178122134187153138715222483190276971965102322761971959567532812161715187
콩고580703727829418475474142201911118941005717873398300189182878761392021361815241715181014
코트디부아르36534945626020632624018512110418892976874422913148810976303210100
콩고 민주 공화국75155825775711384190211818219342250942631818684169511730013816114591033910249801381557318717856245590596856473205235117691110660604395425516394
적도 기니633645308537466762281617322322171315117812300344313137
가봉804533806120321163845302626495331302414221791710910916811182112
가나36160001000100000000000010000000000
기니522924272633388899685272132130959448699079685770783329107140746936283024
말리0002717110000000000000000000000000000
나이지리아240000000027141426311021300023200010000000
남수단6758286269561577371726131218011919312130611742185378946962337319927231711763451712171115103050
토고200003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우간다2066132820421764146910629811123971103694831060451737831129012019899101442099440121000
합계12756109871408816607232662367128736365853738527862258412609523799199411710015624113721046610380968069736632709162283679273321311420953864565747799675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 로디지엔스
에티오피아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62
케냐9184210251422151011000100100200000000000
말라위22819514353311587101135384370484158504939292318353230377159189492416
모잠비크37241016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1자료 없음1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
우간다141783260650334249717821728328330042632933833547326111913812911284714370281013452200
탄자니아187177366262319422400354299288350277228113159186127126591451411233031111
잠비아7자료 없음41113자료 없음자료 없음1594515976101348366128235156375
짐바브웨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1자료 없음자료 없음9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자료 없음3자료 없음자료 없음0324913311020000
합계193312191147831710935591583606619709755617536552707453305259187154111101851156852272411698553824


6. 1. 역학적 요인

체체파리는 트리파노소마 기생충의 숙주이자 매개체이므로, 체체파리의 서식지가 아프리카 수면병 유행 지역이 되기 쉽다. 그러나 체체파리가 서식해도 유행이 나타나지 않는 지역도 있는데, 그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71] 농촌 지역에서 농업, 어업, 목축, 수렵 등을 하는 사람들은 체체파리에 물릴 기회가 많아 감염 위험이 높다. 아프리카 수면병 유행지는 대개 의료 접근성이 낮은 외딴 지역이며, 마을 단위로 유행이 발생하거나 지역 전체로 확산되기도 한다.[71] 집단 이주, 전쟁, 빈곤 등은 아프리카 수면병 전염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71]

2010년에는 약 9,000명이 아프리카 수면병으로 사망했으며, 이는 1990년의 34,000명에 비해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7]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약 5,500만 명이 감비아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600만 명 이상이 로데시아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의 위험에 노출되었다.[44] 2014년에는 3,797건의 아프리카 수면병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이는 2000년에 비해 86% 감소한 것이다.[44]

이 질병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37개국에서 발생하며, 콩고 민주 공화국이 전 세계 감비아 수면병 트리파노소마 사례의 75%를 차지하여 가장 큰 피해를 입고 있다.[20] 2009년에는 약 6,900만 명이 감염 위험에 처한 것으로 추산되었으나,[4] 2018년부터는 연간 보고 사례가 1,000건 미만으로 감소하였다.[45] 세계보건기구(WHO)는 2030년까지 감비아 수면병 전염 근절을 목표로 하고 있다.[44][46]

아프리카 수면병을 억제하기 위한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의학적, 수의학적 감시, 예방, 치료, 조사를 통해 감염된 환자 및 환축의 수를 줄이는 것이다. 둘째, 위생동물학적으로 체체파리의 수를 줄여 전파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특히 체체파리 불임 곤충 방사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정기적인 진단과 치료를 위한 능동적인 검사 활동도 중요하다. 고도로 만연된 지역에서는 이동 진료소나 검사 센터를 설치하여 체계적인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감비아 트리파노소마증의 경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너무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체계적인 검사를 통해 초기 단계에서 환자를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86]

7. 예방

현재까지 아프리카 수면병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체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16] 긴 소매 옷을 착용하고, 방충제를 사용하며, 체체파리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은 피하는 것이 좋다.

아프리카에서 해안과 배에서 포획된 체체파리. 수면병 예방 노력.


위험 지역 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31] 체계적인 선별 검사는 이동 진료소나 고정 선별 검사 센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선별 검사는 조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거나, 감비아 수면병에 걸린 사람들이 의료 도움을 요청할 만큼 심각하지 않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질병 진단이 어렵고 의료진이 일반적인 증상을 트리파노소마증과 연관시키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선별 검사를 통해 질병이 진행되기 전에 조기에 감지하고 치료하여 잠재적인 인간 숙주를 제거할 수 있다.[31]

2000년 7월에는 범아프리카 체체파리 및 트리파노소마증 근절 캠페인(PATTEC)을 결성하기 위한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이 캠페인은 살충제 처리 표적, 파리 트랩, 살충제 처리 가축, 체체파리 휴식 장소의 초저용량 항공/지상 살포(SAT) 및 불임 곤충 기술(SIT)을 사용하여 체체파리 매개체 개체군과 원생동물 질병을 근절하기 위해 노력한다.[32] 잔지바르에서 SIT를 사용한 결과 체체파리의 전체 개체군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비용이 많이 들어 아프리카 수면병으로 고통받는 많은 국가에서 사용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33] 세네갈의 파일럿 프로그램에서는 감마선에 노출시켜 불임 처리된 수컷 파리를 도입하여 체체파리 개체수를 99%나 감소시켰다.[34][35]

8. 치료

아프리카 수면병의 치료는 질병의 단계(1기 또는 2기)에 따라 달라진다. 2단계 치료는 약물이 혈액-뇌 장벽을 통과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3]

8. 1. 1기 치료

감비아 트리파노소마(''T. b. gambiense'') 감염 1기에는 펙시니다졸 경구 투여 또는 펜타미딘 주사 투여가 사용된다.[3]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T. b. rhodesiense'') 감염에는 수라민 주사가 사용된다.[3]

표준적인 첫 번째 치료법은 감비아 트리파노소마에는 펜타미딘 정맥 주사 또는 근육 주사,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에는 수라민 정맥 주사이다. 이 약물들은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2기에는 효과가 없다.

8. 2. 2기 치료

감비아형 트리파노소마 감염의 경우, 질병이 심각하지 않으면 펙시니다졸을 경구 투여할 수 있다.[36][3]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니푸르티목스와 에플로르니틴을 함께 사용하는 니푸르티목스-에플로르니틴 병용 치료(NECT)나 에플로르니틴 단독 요법이 더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다.[37] NECT는 에플로르니틴 주사 횟수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37] 에플로르니틴은 오르니틴 탈탄산 효소 억제제로, 감비아 트리파노소마에만 효과가 있지만 멜라르소프롤보다 부작용이 적어[80] 첫 번째 선택 약물이 될 수 있다.[81] 에플로르니틴과 니푸르티목스를 병용하면 에플로르니틴 단독 사용보다 안전하고 간단하며 효과적이다.[82]

로데시아형 트리파노소마 감염의 경우, 멜라르소프롤이 유일한 치료법이지만, 복용자의 5%에서 사망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다.[2] 멜라르소프롤은 3가 비소를 포함하는 유기 비소 화합물로, 투여받은 환자의 3~10%가 부작용으로 비소성 뇌증(경련, 진행성 혼수, 정신병적 반응)을 일으키고, 그 10~70%가 사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멜라르소프롤에 대한 내성이 커지고 있다. 에플로르니틴이 효과가 없는 경우 및 로데시아 트리파노소마에 대해서는 멜라르소프롤과 니푸르티목스 병용 요법을 실시한다.[83]

멜라르소프롤은 이전에는 제2기(신경학적 단계) 질병의 표준 치료법이었으며 두 가지 유형 모두에 효과적이었다.[2]

8. 3. 약물 개발 현황

주요 과제는 혈액뇌장벽을 쉽게 통과하는 약물을 찾는 것이었다. 임상에서 사용된 최신 약물은 페시니다졸이지만, 벤족사보롤 약물인 아코지보롤(SCYX-7158)에서도 유망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 약물은 현재 사용되는 약물에 비해 큰 장점인 1회 투여 경구 치료법으로 평가되고 있다.[38] ''Trypanosoma brucei''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된 또 다른 연구 분야는 뉴클레오티드 대사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다.[38] 뉴클레오티드 대사 연구는 동물 실험에서 유망한 아데노신 유사체의 개발과, P2 아데노신 수송체의 하향 조절이 멜라미노페닐 비소 화합물 및 디아미딘 약물 계열(각각 멜라르소프롤 및 펜타미딘 포함)에 대한 부분적인 약물 내성을 획득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밝혀냈다.[38] 약물 흡수 및 분해는 약물 내성 발생을 피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주요 문제이다.[38]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의 경우, P1 뉴클레오시드 수송체(P2 대신)에 의해 흡수되어야 하며, 기생충 내에서 분해에 저항해야 한다.[39][40]

트리파노소마의 게놈이 해독되어 치료제의 표적이 될 수 있는 단백질이 몇 가지 발견되었다. 또한 게놈 정보를 통해 이 질병에 대한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도 밝혀졌는데, 면역계의 감지를 피하기 위해 800개가 넘는 유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이다.[84]

최초의 경구 치료제로서 파푸라미딘(pafuramidine, DB289)이 개발되었지만, 임상 3상에 들어간 2008년에 안전성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었다.[85]

9. 기타 동물 및 보균소

''로데시엔세'' 및 ''감비엔세'' 형 트리파노소마는 소와 야생 동물 등 다른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 아프리카 수면병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걸리는 질병으로 여겨져 왔으며, 따라서 통제 프로그램도 주로 환자를 치료하고 매개체를 제거하여 전파를 막는 데 집중해 왔다. 그러나 동물 보균체가 아프리카 수면병의 풍토성과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역사적 발병지에서 재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68][69]

10. 연구

기생충의 게놈은 염기 서열 분석되었으며, 약물 치료의 잠재적 표적으로 여러 단백질이 확인되었다. 게놈 분석 결과, ''T. brucei''는 면역 체계의 탐지를 피하기 위해 "섞고 맞추는" 단백질을 만드는 800개 이상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이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 밝혀졌다.[59]

체체파리의 장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세균의 유전자 변형 형태를 사용하여 질병을 통제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60]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생충은 편모 없이 혈류에서 생존할 수 없다. 이는 연구자들에게 기생충을 공격할 새로운 각도를 제시한다.[61]

트리파노소마증 백신 연구가 진행 중이다.

소외된 질병 치료 이니셔티브(DNDi)는 펙시니다졸이라는 화합물을 개발하여 아프리카 수면병 연구에 기여했다. 2007년 4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콩고 민주 공화국(DRC)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에서 749명을 등록하여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질병의 두 단계 모두에서 성인과 6세 이상, 체중 20kg 이상인 어린이 모두에게 효능과 안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2] 유럽 의약품청은 2018년 11월 유럽 외 지역에서 1단계 및 2단계 질병에 대해 이 약물을 승인했으며,[63] 2018년 12월 DRC에서 승인되었다.[64]

최초의 경구 치료제로 파푸라미딘(pafuramidine, DB289)이 개발되었지만, 2008년 임상 3상에서 안전성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었다.[85]

10. 1. 연구 자금 지원

키네토플라스트 감염(아프리카 수면병, 샤가스병, 리슈만편모충증) 연구는 공공 부문, 자선 재단, 제약 회사 등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다.[65] 2012년 기준 키네토플라스트 감염 연구 개발에 대한 전 세계 총 자금은 약 1.3630000000000002억달러였다. 이 중 아프리카 수면병 연구에는 약 3679.9999999999995만달러가 지원되었다.[65]

2012년 키네토플라스트 감염 연구 개발 자금 지원 현황[65]
질병지원 금액 (USD)
아프리카 수면병3679.9999999999995만달러
샤가스병3870.0000000000005만달러
리슈만편모충증3170만달러



자금은 기초 연구, 약물 발견, 백신, 진단 등으로 나뉘어 사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질병의 기초 연구에 투입되었다(약 2160만달러). 치료제 개발에는 약 1090만달러가 투자되었다.[65]

키네토플라스트 감염 연구 개발의 주요 자금 지원자는 공공 부문으로, 고소득 국가에서 62%,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9%의 자금을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 고소득 국가의 지원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이를 자선 재단 및 민간 제약 회사가 메우고 있다.[65]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은 소외된 질병 연구의 주요 후원자 중 하나로, 2012년에만 소외된 질병 연구에 4.441억달러를 제공했다.[66] 이들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키네토플라스트 감염 연구에 연평균 2815만달러를 기부했다.[65]

제약 산업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며, 2012년에는 키네토플라스트 연구 개발 노력에 총 13.1%를 기여했다. 이들은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및 제품 개발 파트너십(PDP)을 통해 연구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65]

참조

[1] 간행물 Fact sheet N°259: Trypanosomiasis, Human African (sleeping sicknes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3
[2] 논문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sleeping sickness) 2013-02
[3] 웹사이트 Trypanosomiasis, human African (sleeping sicknes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5-14
[4] 논문 Estimating and mapping the population at risk of sleeping sickness
[5]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10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6]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2016-10
[7] 논문 Global and regional mortality from 235 causes of death for 20 age groups in 1990 and 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2012-12
[8] 웹사이트 Neglected Tropical Diseas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06-06
[9] 웹사이트 CDC – African Trypanosomiasis – Disease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04-28
[10] 논문 Clinical and Neuropathogenetic Aspects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2019-01-25
[11] 웹사이트 CDC – African Trypanosomiasis – General Information – East African Trypanosomiasis FAQ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04-22
[12] 논문 Why trypanosomes cause sleeping sickness 2004-08
[13] 논문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in a Spanish traveler returning from Tanzania 2017-03
[14] 논문 Outcome of acute East African trypanosomiasis in a Polish traveller treated with pentamidine 2014-02
[15]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0
[16] 논문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2010-01
[17] 웹사이트 East African Trypanosomiasis FAQ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8-29
[18] 웹사이트 West African Trypanosomiasis FAQ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08-29
[19] 웹사이트 Uganda: Sleeping Sickness Reaching Alarming Levels http://allafrica.com[...] 2008-05-11
[20] 논문 Epidemiology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2014
[21] 논문 Tackling Sleeping Sickness: Current and Promising Therapeutics and Treatment Strategies 2023-08
[22] 논문 Tsetse Flies (Glossina) as Vectors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A Review 2016
[23] 웹사이트 Trypanosomiasis, African https://www.cdc.gov/[...] 2018-06-08
[24] 논문 A case of congenital trypanosomiasis in Lagos
[25] 논문 Possible cases of sexual and congenital transmission of sleeping sickness 2004-01
[26] 논문 Seasonal prevalence of bovine trypanosomosis in a tsetse-infested zone and a tsetse-free zone of the Amhara Region, north-west Ethiopia 2004-12
[27] 논문 Rapid distribution of tryptophol (3-indole ethanol) to the brain and other tissues 1979-06
[28] 논문 Evaluation of the micro-CATT, CATT/Trypanosoma brucei gambiense, and LATEX/T b gambiense methods for serodiagnosis and surveillance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in West and Central Africa http://www.scielosp.[...]
[29] 논문 Baited-boats: an innovative way to control riverine tsetse, vectors of sleeping sickness in West Africa 2015-04
[30] 논문 The elimination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Monitoring progress towards the 2021–2030 WHO road map targets 2024-04-16
[31] 웹사이트 Strategic Direction for African Trypanosomiasis Research https://www.who.int/[...]
[32] 논문 Trypanosomiasis vector control in Africa and Latin America 2008-08
[33] 논문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https://fieldresearc[...] 2010-01
[34] 뉴스 A U.S.-funded nuclear project to zap a killer fly into extinction is saving West Africa's cows https://www.washingt[...] 2019-05-31
[35] 웹사이트 The Tsetse Fly Eradication Project in Senegal Wins Award for Best Sustainable Development Practices http://www.iaea.org/[...] 2015-07-23
[36] 웹사이트 Fexinidazole, the first all-oral treatment for sleeping sickness, approved in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DNDi https://www.dndi.org[...] 2019-01-29
[37] 논문 Chemotherapy for second-stage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2013-06
[38] 논문 Targeting the nucleotide metabolism of Trypanosoma brucei and other trypanosomatids. 2022
[39] 논문 Methylthioadenosine Phosphorylase Protects the Parasite from the Antitrypanosomal Effect of Deoxyadenosine: implications for the pharmacology of adenosine antimetabolites 2016
[40] 논문 9-(2'-Deoxy-2'-Fluoro-β-d-Arabinofuranosyl) Adenine Is a Potent Antitrypanosomal Adenosine Analogue That Circumvents Transport-Related Drug Resistance 2016
[41] 웹사이트 Trypanosomiasis, human African (sleeping sicknes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3
[42] 간행물 WHO mortality and health data and statistics https://web.archive.[...] 2013-01-16
[43] 보고서 World Health Report 2000: Health Systems Improving Performance https://www.who.int/[...]
[44] 논문 Monitoring the elimination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Update to 2014 2017-05
[45] 논문 The elimination of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Monitoring progress towards the 2021–2030 WHO road map targets 2024-04-16
[46] 간행물 Report of the third WHO stakeholders meeting on gambiense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elimination: Geneva, 18–20 April 2018.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47] 웹사이트 The Global Health Observatory – Human African trypanosomiasis (sleeping sicknes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4-08-19
[48] 논문 The history of African trypanosomiasis 2008-02
[49] 서적 Stitt'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ropical Diseases The Blakiston company 1944
[50] 웹사이트 Médecin http://ecole.nav.tra[...]
[51] 논문 Reanalyzing the 1900-1920 sleeping sickness epidemic in Uganda 2004-04
[5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the earliest times to c. 500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09-05
[53] 논문 The development of drugs for treatment of sleeping sickness: a historical review 2010-03
[54] 논문 Arthur Lewis Piper, M.D.: a medical missionary in the Belgian Congo 1994-04
[55] 서적 Hunter's Tropical Medicine and Emerging Infectious Diseas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56] 서적 Handbook of Drugs for Tropical Parasitic Infections CRC Press 2003-05-20
[57] 서적 African Lethargy, Sleeping Sickness, or Congo trypanosomiasis; Trypanosoma gambiense
[58] 서적 Stitt's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ropical Diseases The Blakiston company 1944
[59] 논문 The genome of the African trypanosome Trypanosoma brucei 2005-07
[60] 논문 Tsetse-Wolbachia symbiosis: comes of age and has great potential for pest and disease control 2013-03
[61] 웹사이트 African Sleeping Sickness Breakthrough http://domino.lancs.[...] 2006-04-07
[62] 논문 Oral fexinidazole for late-stage African Trypanosoma brucei gambiense trypanosomiasis: a pivotal multicentre, randomised, non-inferiority trial 2018-01
[63] 웹사이트 CHMP Summary of Opinion – Fexinidazole Winthrop https://www.ema.euro[...] 2018-11-19
[64] 웹사이트 Fexinidazole, the first all-oral treatment for sleeping sickness, approved in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DNDi https://www.dndi.org[...] 2019-01-29
[65] 웹사이트 Neglected Disease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ublic Divide. http://www.policycur[...] Global Funding of Innovation for Neglected Disease 2016-10-30
[66] 웹사이트 Strategy Overview http://www.gatesfoun[...] Bill and Melinda Gates Foundation 2013
[67] 서적 Priority Medicines for Europe and the World Update Repor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68] 논문 Do Cryptic Reservoirs Threaten Gambiense-Sleeping Sickness Elimination? 2018-03
[69] 논문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rypanosoma brucei gambiense in naturally infected pigs, dogs and small ruminants confirms domestic animals as potential reservoirs for sleeping sickness in Chad
[70] 웹사이트 Fact sheet N°259: Trypanosomiasis, Human African (sleeping sickness) http://www.who.int/m[...] 2014-03
[71] 간행물 WHO Media centre 2006
[72] 웹사이트 Neglected Tropical Diseases https://www.cdc.gov/[...] 2011-06-06
[73] 간행물 WHO mortality and health data and statistics 2004
[74] 간행물 WHO Expert Committee on Control and Surveillance of African trypanosomiasis 1998
[75] 간행물 WHO 2000
[76] 논문 Rapid distribution of tryptophol (3-indole ethanol) to the brain and other tissues
[77] 문서 Olowe SA
[78] 문서 Rocha et al.
[79] 문서 Nieuwenhove et al.
[80] 문서 Chappuis et al.
[81] 문서 Priotto et al. 2008
[82] 문서 Priotto et al. 2009
[83] 문서 Bisser et al.
[84] 문서 Berriman et al.
[85] 문서 Immtech Pharmaceuticals, Inc.
[86] 문서 Strategic Direction for African Trypanosomiasis Research
[87] 문서 Steverding
[88] 문서 嶋田
[89] 논문 The function of zebra stripes https://www.nature.c[...] 2014-04-01
[90] MedlinePlusEncyclopedia Sleeping sickness
[91] 웹인용 Fact sheet N°259: Trypanosomiasis, Human African (sleeping sickness) http://www.who.int/m[...] 201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