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개의 세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홉 개의 세계는 게르만 신화에 등장하는 개념으로, 세계수 위그드라실을 중심으로 아홉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는 믿음을 나타낸다. 이 개념은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으며, 신화적 에다와 산문 에다에서 그 존재가 드러난다. 아홉 개의 세계는 아스가르드, 미드가르드, 요툰헤임 등 다양한 종족과 장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그드라실의 뿌리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세계관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고대 노르드인들의 이해를 반영하며, 우주의 생성과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특히 라그나로크는 이 세계관의 종말론적 사건으로, 신들과 세계의 파멸을 예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우주론 - 세계수
세계수는 여러 문화권 신화에서 하늘, 땅, 지하 세계를 잇는 우주의 축이자 세계의 중심으로 여겨지는 보편적인 상징이며, 특히 북유럽 신화의 유그드라실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신화우주론 - 세계축
세계축은 천상과 지상을 잇는 상징적인 축으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우주의 중심이나 세계의 근원으로 간주되며, 질서와 혼돈, 신성함과 세속됨, 인간과 초월적 존재 사이의 연결을 상징하고 심리적 안정, 사회적 질서 유지, 영적인 깨달음 추구 등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홉 개의 세계 | |
---|---|
아홉 개의 세계 | |
유형 | 우주론 |
개요 | |
설명 | 고대 북게르만족의 우주와 법칙에 대한 설명 |
구성 | |
세계 목록 | 아스가르드 미드가르드 요툰헤임 바나헤임 알프헤임 스바르트알프헤임 니플헤임 무스펠스헤임 헬헤임 |
연결 | 위그드라실 (세계수) |
신화적 의미 | |
상징 | 삶, 죽음, 그리고 존재의 순환 |
2. 문헌상 출전
북유럽 신화의 원전인 《에다》에는 아홉 개의 세계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12]
《시의 에다》에는 아홉 개의 세계에 대한 언급이 2번, 《산문 에다》에는 1번 나타난다. 이 중 전 세계·전 우주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은 《시의 에다》 중 〈무녀의 예언〉에 있는 한 곳뿐이다.[37]
> 아홉 개의 세계, 아홉 개의 뿌리를 땅 아래에 뻗은 이름난, 저 세계수를, 나는 기억한다. (〈무녀의 예언〉 2절)
나머지 2회는 전 세계가 아니라, 지하에 있는 명계를 언급하고 있다.
> 인간이 죽어 명부에서 내려가니/니플헬 아래에 있는 세계의/아홉 곳을 나는 방문했다. (〈바프스루드니르의 노래〉 43절)[15]
> 오딘은 헬을 니플헤임으로 던져 넣고, 아홉 개의 세계를 지배하는 힘을 그녀에게 주어, 그녀에게 보내지는 모든 자들에게 거처를 할당할 수 있도록 했다. (〈길피의 속임수〉 34장)[17]
이와 같이, "아홉 개의 세계"가 아스가르드를 비롯한 천상 및 지상의 세계를 포함한 전 우주의 총칭이라고 해석할 근거는 의외로 적다. 게다가, 유일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첫 번째 예시에 대해서도 나머지 2예시와 마찬가지로 지하 세계를 의미하는 문맥에 있다고 읽을 수도 있다. 위에 인용한 〈무녀의 예언〉 2절 후반부에 대해, 헤르만 파울슨은 "'흙 속에'라는 표현은, 종래 해석되어 온 바와 같이, '이름난 측정 나무[=세계수]'가 아니라 오히려 '아홉 개의 세계'를 형용하고 있다는 점은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한다. 이것이 옳다면, 양 에다에서 "아홉 개의 세계"라는 어구는 항상 지하 세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셈이다.
일부 학자들은 아홉 개의 세계를 아스가르드, 바나헤임, 알브헤임, 미드가르드, 요툰헤임, 무스펠스헤임, 스바르탈파헤임, 니플헤임 (때로는 헬)과 아마도 니다벨리르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18]
2. 1. 고 에다
무녀의 예언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서는 아홉 세계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특히 〈무녀의 예언〉 제2절에서는 위그드라실과 관련된 아홉 세계를 언급하며, 이는 세계의 기원과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37]노르드어 원문 | 영어 중역 |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제43절에서는 지혜로운 거인 바프스루드니르가 자신이 아홉 세계를 모두 방문했다고 자랑하며, 이는 니플헬을 포함한 다양한 세계의 존재를 시사한다.[15]
노르드어 원문 | 영어 중역 |
---|---|
일부 학자들은 아홉 개의 세계를 아스가르드, 바나헤임, 알브헤임, 미드가르드, 요툰헤임, 무스펠스헤임, 스바르탈파헤임, 니플헤임 (때로는 헬)과 아마도 니다벨리르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하기도 한다.[18]
2. 2. 신 에다
길피의 속임수 제34장에서는 오딘이 헬에게 아홉 세계에 대한 지배권을 부여하는 내용이 나오며,[17] 이는 헬이 다스리는 지하 세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3. 신화 해석
에다의 기록을 종합하면, 인간, 신, 거인, 난쟁이, 요정, 망자 등 다양한 종족들이 사는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에다에 등장하는 지명들을 통해 여섯 개의 세계를 추정할 수 있다.[38][39][40]
- 미드가르드(중간계): 인간들이 사는 곳
- 아스가르드: 아스들이 사는 곳
- 바나헤임: 반들의 고향
- 요툰헤임/우트가르드: 요툰(거인)들의 고향
- 알프헤임/료살프헤임: 알파(요정들)의 고향
- 헬헤임: 나이르(시체들)의 고향
드베르그(난쟁이)가 어디에 사는지에 대한 기록은 여러 부분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알비스가 말하기를과 시어법에서는 스바르트알파헤임에, 무녀의 예언에서는 니다벨리르에 산다고 한다. 스바르트알프는 "검은 알프"라는 뜻으로, 드베르그를 가리키는 말로 여겨진다.
나머지 두 세계는 태초에 긴눙가가프를 사이에 두고 존재한 극한과 극열의 세계인 니플헤임(안개의 고향)과 무스펠스헤임(말세의 고향)으로 추정된다.
3. 1. 아홉 세계 목록 (추정)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아홉 세계는 다음과 같다.- 에시르의 나라 아스가르드
- 바니르의 나라 바나헤임 (바나란드)
- 엘프의 나라 알브헤임
- 인간의 나라 미드가르드
- 거인의 나라 요툰헤임 (우트가르드)
- 드워프의 나라 니드아벨리르
- 검은 요정의 나라 스바르트알브헤임
- 안개의 나라 니플헤임
- 불꽃의 나라 무스펠헤임
- 죽은 자의 나라 헬헤임
스바르트알브헤임과 니드아벨리르는 동일시되기도 한다.[25] 헬은 니플헬이라고도 불리며,[26] 니플헤임과의 구별이 모호한 경우가 있다.[27]
스바르트알프는 드베르그를 가리키며, 소인도 마찬가지로 드베르그를 가리키기 때문에 니드아벨리르와 스바르트알브헤임은 동일시된다.
아홉 개의 세계를 세 층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지만,[28] 이러한 구분은 원전에는 없는 최근의 것이다.
3. 2. 불확실성 및 혼란
헬은 니플헤임에 산다고 하며[37], 오딘이 헬을 니플헤임에 던진 후 그곳에 높은 벽과 단단한 성문으로 둘러싸인 왕국을 세웠다. 이 때문에 망자들이 사는 곳인 헬헤임은 니플헤임과 동일시되기도 한다.혹자는 헬헤임 중에서도 악인들이 고통받는 밑바닥이 니플헬(바프스루드니르가 다녀왔다고 오딘에게 자랑한 곳)이며, 니플헤임은 얼음과 안개가 지배하는 태고의 공간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오늘날 사람들뿐만 아니라 신화가 구전되던 당대부터 혼용되었음을 보여주는 필사본들이 있다.[39] 《신 에다》에 따르면 아스가르드의 방벽을 지은 석공(스바딜파리의 주인)이 토르의 망치에 맞아 죽는데, 주요 필사본 네 점 중 두 점은 토르가 “그를 니플헤임으로 보냈다”고 하고, 다른 두 점은 “니플헬로 보냈다”고 한다.[40]
드베르그가 사는 곳은 여러 부분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알비스가 말하기를 제14절을 보면 드베르그는 알파와 구분되며, 드베르그가 사는 스바르트알파헤임이 따로 언급되어 알파와 드베르그는 사는 곳이 다르다고 분명히 한다. "검은 알프"라는 뜻의 스바르트알프는 드베르그를 가리키는 동의어로 생각되고 있다. 〈시어법〉 제46장에서는 블로크라는 드베르그의 고향이 스바르트알파헤임이라고 한다. 반면, 〈무녀의 예언〉 제37장에서는 드베르그의 고향이 니다벨리르라고 한다. 흐레이드마르가 드베르그의 왕이라고 하는데, 〈시어법〉 제39장에서는 로키가 안드바리를 붙잡은 곳이 스바르트알프헤임이라고 한다.[38] 니다벨리르와 스바르트알파헤임이 동일한 곳이라면 일곱 번째 세계는 드베르그의 세계가 된다.
4. 시간과 공간
고대 노르드어 문헌에서 시간과 공간 개념은 북유럽 신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노르드 신화의 사건들은 대체로 시간 순서대로 진행되지만, 일부 학자들은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에서 순환적 시간에 대한 믿음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존 린도우는 "코스모스는 솟아오르는 바다에 의해 여러 번 형성되고 재형성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1]
4. 1. 우주 생성론 (Cosmogony)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우주의 발전과 창조에 대한 이야기가 상세히 묘사된다. 지구가 생기기 훨씬 전, 밝고 불타는 무스펠과 안개가 자욱한 니플헤임이 존재했다. 니플헤임에는 흐베르겔미르라는 샘이 있었고, 거기에서 수많은 강들이 흘러나왔는데, 이 강들은 엘리바가르(Élivágar)라고 불렸다. 이 강물은 굳어져 얼음이 되었고, 얼음에서 독성 증기가 솟아올라 서리로 굳어져 긴눙가가프를 채웠다.[2]긴눙가가프의 북쪽은 얼음과 증기로 채워졌지만, 남쪽은 무스펠의 불꽃과 화염 때문에 맑았다. 얼음과 불이 만나 최초의 존재 이미르가 탄생했고, 그는 모든 요툰의 조상이었다. 이미르는 잠자는 동안 땀을 흘렸는데, 그의 왼쪽 팔에서 남성과 여성 요툰이 자라났고, 그의 다리에서도 자식들이 태어났다.[3]
이미르는 암소 아우둠블라의 젖을 먹고 살았다. 아우둠블라는 소금기 있는 서리 돌을 핥았는데, 사흘 동안 핥아 아름답고 강한 남자 부리를 탄생시켰다. 부리의 아들 보르는 베스틀라와 결혼하여 오딘, 빌리, 베 삼 형제를 낳았다. 삼 형제는 이미르를 죽였고, 이미르의 피가 쏟아져 대홍수가 일어나 베르겔미르와 그의 아내를 제외한 모든 요툰이 죽었다.[4]
오딘, 빌리, 베는 이미르의 시체로 세상을 만들었다. 그의 살로 땅을, 뼈로 바위를, 피로 바다와 호수를, 이빨과 뼈 조각으로 돌과 자갈을 만들었다. 이미르의 두개골로는 하늘을 만들고 네 드워프(노드리, 수드리, 오스트리, 베스트리)가 각 지점을 잡게 했다.[4]
무스펠의 불꽃을 가져와 하늘에 배치하여 별을 만들었는데, 일부는 고정시키고 일부는 정해진 코스를 따라 움직이게 했다. 요툰들을 위해 바닷가 땅을 제공하고, 이미르의 속눈썹으로 요새 미드가르드를 건설했다. 마지막으로, 이미르의 뇌로 구름을 형성했다.[5]
4. 2. 의인화 (Personifications)
북유럽 신화에서는 천문학적 대상, 시간, 수역 등 다양한 요소들이 의인화되어 나타난다. 태양은 여신 솔Sól|태양non로, 달은 남성 마니Máni|달non로 의인화된다. 대지 역시 요르드Jörð|대지non로 의인화된다.[8] 밤은 여성 요툰 노트Nótt|밤non로, 낮은 다그르Dagr|낮non로 의인화된다. 다그르의 아버지인 신 델링그르Dellingr|빛나는non는 새벽을 의인화하는 존재로 여겨진다.[9] 수역 또한 의인화되는데, 여신 란, 그녀의 남편 에기르, 그리고 그들의 아홉 딸들인 에기르와 란의 아홉 딸이 그 예시이다.[10]5. 위그드라실 (Yggdrasil)
위그드라실(Yggdrasil)은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에서 중심이 되는 거대한 물푸레나무이다. 이 나무의 가지는 여러 영역으로 뻗어 있으며, 다양한 생물들이 그 위와 주변에 서식한다. 신들은 매일 위그드라실로 가서 그들의 팅, 즉 전통적인 통치 회의를 연다.[11] 위그드라실의 가지는 하늘로 멀리 뻗어 있으며, 나무는 세 개의 뿌리에 의해 지탱되는데, 이 뿌리는 다른 장소로 멀리 뻗어 있다.
위그드라실, 또는 세계수(世界樹)는 북유럽 신화의 세계·우주를 상징하며, 아홉 개의 세계를 관통하며 존재한다. "그림니르의 노래" 31절과 "길피의 속임수" 15장에 기술되어 있지만, 약간의 불일치가 있다.[36]
위그드라실에는 니드호그라는 용, 이름 없는 독수리, 사슴 다인, 드발린, 두네이르, 두라스로르를 포함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11]
라그나로크 때 수르트의 불길에 의해 불타 없어진다.
위그드라실의 세 뿌리와 샘은 다음과 같다.
6. 인간 창조 (Anthropogeny)
신들은 해안에서 발견한 두 개의 나무(또는 통나무)로 최초의 인간을 창조했다. 인간을 창조한 신들은 문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시 에다의 시 볼루스파에 따르면, 그들은 호니르, 로두르, 오딘이며, 반면 산문 에다에서는 오딘, 빌리, 베이다.
7. 종말론 (Eschatology)
라그나로크는 거대한 전투를 포함한 일련의 미래 사건으로, 여러 주요 인물(다양한 신 포함)의 죽음, 여러 자연 재해의 발생, 그리고 세계가 물에 잠기는 것을 예언한다. 그 후, 세상은 새롭고 비옥하게 다시 나타나고, 살아남은 신들과 돌아온 신들이 만나며, 인류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에 의해 다시 번성하게 될 것이다. 이들은 위그드라실에서 나올 것이다.
참조
[1]
서적
Lindow (2001:42–43)
[2]
서적
Faulkes (1995 [1987]: 10)
[3]
서적
Faulkes (1995 [1987]: 10–11
[4]
서적
Faulkes (1995 [1987]: 11)
[5]
서적
Faulkes (1995 [1987]: 11–12)
[6]
서적
The Prose Edda
https://books.google[...]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7]
웹사이트
The Norse Creation Myth
https://sites.pitt.e[...]
2023-04-24
[8]
서적
Lindow (2001:278–280) and Simek (2007:297)
[9]
서적
Lindow (2001:246) and Simek (2007:238)
[10]
서적
Lindow (2001:258–259) and Simek (2007:260)
[11]
서적
Lindow (2001:319–322) and Simek (2007:375–376)
[12]
서적
Larrington (2014:4), Dodds (2014:26), and Bellows (2004 [1923]:3)
[13]
서적
Bellows (2004 [1923]:3)
[14]
서적
Dodds (2014:26)
[15]
서적
Bellows (2004:80)
[16]
서적
Dodds (2014:64)
[17]
서적
Faulkes (1995 [1985]:27)
[18]
인용구
[19]
서적
map of nine worlds
[20]
서적
Lindow 2001: 62–63 and Simek 2007: 21 & 74
[21]
서적
Lindow 2001: 209, 254 & 258, and Simek 2007: 189, 259–260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기타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서적
スノッリはヘル女神をニヴルヘイムに住んでいると考えていることと、アースガルズがミズガルズの内側にあるものとみなすとすれば、かならずしも矛盾ではないとされる
[37]
웹사이트
http://etext.old.no/[...]
[38]
서적
1995
[39]
서적
Norrøne guder og myter
2008
[40]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