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 리키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도 리키치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대장까지 진급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남지나 방면군 사령관, 타이완군 사령관, 제10방면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1945년에는 대만 총독을 겸임했으며, 중화민국에 항복한 후 전범 혐의로 체포되어 상하이 감옥에서 자결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을 독단적으로 감행하여 태평양 전쟁 발발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기현 센다이 제2고등학교 동문 - 아이치 기이치
아이치 기이치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관료로, 재무 관료 출신으로 통상산업대신, 외무대신, 대장대신 등을 역임하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과 변동 환율제 이행에 기여했다. - 1946년 자살 - 카를 하우스호퍼
카를 하우스호퍼는 독일의 지정학자이자 군인으로, 레벤스라움 확보를 주장하며 나치 독일의 팽창주의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으며, 뮌헨 대학교에서 지정학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키고 독·일 관계 강화에 기여했으나, 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살했다. - 1946년 자살 - 막스 쾨겔
막스 쾨겔은 나치 독일 친위대 장교로서 다하우, 라벤스브뤼크, 마이다네크, 플로센뷔르크 강제 수용소의 소장을 지내며 전쟁범죄에 관여했고, 특히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에서 가스실 설치,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관련자 군사 재판에 관여했으며, 종전 후 체포되어 수감 중 자살했다. - 대만 총독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대만 총독 - 노기 마레스케
노기 마레스케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활약한 일본 제국 육군 대장으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막대한 인명 피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메이지 천황 서거 후 아내와 함께 자결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군사적 능력과 자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인물이다.
안도 리키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安藤 利吉 |
원어 이름 (로마자) | Andō Rikichi |
출생일 | 1884년 4월 3일 |
사망일 | 1946년 4월 19일 |
출생지 | 미야기현, 일본 제국 |
사망 장소 | 티란차오 교도소, 상하이, 중화민국 |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04년 – 1945년 |
최종 계급 | 육군 대장 |
지휘 | 일본 제21군 남지나 방면군 타이완군 일본 제10방면군 |
참전 전투 | 중일 전쟁 남부 광시 전투 1939년-1940년 동계 공세 |
정치 경력 | |
직책 | 타이완 총독 |
재임 기간 | 1944년 12월 30일 – 1945년 10월 25일 |
국왕 | 쇼와 천황 |
이전 | 하세가와 기요시 |
이후 | 천이 (타이완성 행정장관) |
기타 정보 | |
별명 | (정보 없음) |
충성 | 일본 제국 |
상훈 | (정보 없음) |
묘소 | (정보 없음) |
2. 생애
미야기현 센다이 출신으로, 미야기현 제2중학교를 거쳐 일본 육군사관학교(16기)[4]와 일본 육군대학교(26기)를 졸업하고 은사의 군도를 받았다.[5] 육군 보병 장교로 임관하여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 보병 제1여단장 등을 역임하고 육군중장으로 진급하여 제5독립수비대 사령관, 교육총감부 본부장, 제5사단장, 제21군 사령관을 지냈다.
1940년 남지나 방면군 사령관에 취임하여 북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를 지휘했으나,[5] 이 과정에서의 책임 문제로 예비역에 편입되었다.[5] 1941년 현역으로 복귀하여 타이완군 사령관이 되었고, 1944년 육군대장으로 진급했다.[6] 같은 해 신설된 제10방면군 사령관과 타이완군 관구 사령관을 겸임했으며,[7] 12월에는 이례적으로 타이완 총독까지 겸하게 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한 후, 1945년 10월 25일 타이베이에서 중화민국 대표 천이에게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이후 미군 포로 처형 사건 등에 대한 전범 혐의로 중화민국 정부에 체포되어 상하이로 이송되었고, 1946년 4월 19일 상하이 감옥에서 청산가리를 먹고 자결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미야기현 센다이 출신으로,[4] 미야기현 제2중학교를 졸업했다.[4] 190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16기로 졸업하고[4] 같은 해 11월 육군소위로 임관하여 보병 제4연대에 배속되었다. 1914년에는 일본 육군대학교를 26기로 졸업했으며, 성적은 6위로 은사의 군도를 받았다.[5]초기에는 보병 제50연대 중대장(1915년), 육군기술심사부 부속(1916년) 등을 거쳤다.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영국에 주재했으며, 1920년 육군소좌로 진급했다. 1923년 귀국 후 참모본부에서 근무했고, 1924년에는 육군대학교 교관을 겸임하며 육군중좌로 진급했다. 1925년부터 1927년까지는 영국령 인도에 주재 무관으로 파견되었다.
귀국 후 다시 참모본부에서 근무하다가 1928년 육군대좌로 진급하며 제13보병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30년에는 제5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1931년 육군성 군무국 병무과장을 거쳐, 1932년 5월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으로 다시 파견되었고 같은 해 8월 육군소장으로 진급했다.
1934년 일본으로 돌아와 보병 제1여단장을 역임했고, 1935년 육군 도야마학교 교장이 되었다. 1936년 4월 육군중장으로 진급하며 제5독립수비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37년 8월에는 교육총감부 본부장을 맡았다.
'''주요 경력'''
연도 | 계급/직위 | 비고 |
---|---|---|
1901년 3월 | 미야기현 제2중학교 졸업 | |
1904년 10월 |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16기) | |
1904년 11월 | 육군소위 | 보병 제4연대 배속 |
1907년 12월 | 육군중위 | |
1913년 11월 | 육군대위 | |
1914년 11월 | 일본 육군대학교 졸업 (26기, 은사) | |
1915년 5월 | 보병 제50연대 중대장 | |
1916년 2월 | 육군기술심사부 부속 (군사조사위원) | |
1919년 1월 | 영국 주재 ( ~ 1921년 9월) | |
1920년 8월 | 육군소좌 | 평화조약실시위원 (유럽 주재) |
1923년 4월 | 참모본부 부원 | |
1924년 7월 | 겸 육군대학교 교관 | |
1924년 8월 | 육군중좌 | |
1925년 8월 | 영국령 인도 주재 무관 | |
1927년 4월 | 참모본부 부원 | |
1928년 3월 | 육군대좌 | 보병 제13연대장 |
1930년 3월 | 제5사단 참모장 | |
1931년 3월 | 육군성 군무국 병무과장 | |
1932년 5월 |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 | |
1932년 8월 | 육군소장 | |
1934년 5월 | 참모본부 부속 | |
1934년 12월 | 보병 제1여단장 | |
1935년 8월 | 육군 도야마학교장 | |
1936년 4월 | 육군중장 | 제5독립수비대 사령관 |
1937년 8월 | 교육총감부 본부장 |
2. 2. 제2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발발 후, 안도 리키치는 1938년 과거 지휘했던 제5사단의 사단장으로 현장 임무를 맡았다. 같은 해 말에는 중국에 주둔하던 제21군 사령관으로 승진했으며, 이 부대는 1939년 일본 남중국 지역군의 일부가 되었다. 일본 남중국 지역군은 주로 일본 제국이 점령한 광둥성과 광시성 지역의 주둔군이었다.1940년 2월 10일, 안도는 남지나 방면군 사령관에 임명되어 중국 최남단인 광시 성에 주둔했다.[5] 같은 해 6월, 유럽에서 나치 독일에 항복한 프랑스가 외부 문제에 신경 쓸 여력이 없는 틈을 타, 안도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북부 지역 진주를 지휘했다(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진주).[5] 일본 정부의 초기 방침은 무력 충돌 없는 진주였으나, 참모본부 제1부장 도미나가 교지(富永恭次) 소장의 독단적 무력 사용[5] 또는 안도 자신이 도쿄 정부의 사전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진격 명령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 무단 침략 행위는 미국과의 심각한 외교적 마찰을 야기했고, 미국은 일본에 대해 석유 금수 조치와 자산 동결 조치를 단행했다. 안도는 이 사건의 책임을 지고 1940년 10월 참모본부 부속으로 전보된 후, 1941년 1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5] 당시 일본의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 내각은 미국과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미국의 강경한 태도로 결렬되었고, 결국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내각 하에서 미국과의 전쟁을 결정하게 되었다.
예비역 편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태평양 전쟁 발발 직전인 1941년 11월 현역으로 복귀하여 타이완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5] 1944년 1월 7일에는 육군대장으로 진급했다.[6] 같은 해 9월 22일, 타이완군이 제10방면군으로 개편되자 초대 사령관으로 취임했으며, 기존의 타이완군 사령관 직책도 계속 겸임했다.[7] (타이완군 사령관은 1945년 2월 1일 "타이완군 관구 사령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7])
레이테만 전투에서 일본이 패배한 후 타이완 방면의 전황이 악화되자, 1944년 12월 30일 군 사령관인 안도가 타이완 총독을 겸임하게 되었다.[8] 이는 해군 대장 출신을 총독으로 임명하던 관례를 깬 이례적인 조치였다.[8]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한 후, 10월 25일 타이베이시의 타이베이 공회당에서 중화민국 국민정부 및 연합국 대표인 천이(陳儀)에게 타이완 총독 겸 제10방면군 사령관으로서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이후 타이완에서 포로가 된 미군기 탑승원 14명을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시킨 사건에 대한 책임으로 전범 혐의를 받아 중화민국 정부에 체포되었다. 상하이로 이송된 안도는 "모든 책임은 나에게 있다"고 진술했으며, 1946년 4월 19일 상하이 감옥에서 미리 소지하고 있던 청산가리를 먹고 자결했다.
2. 3. 타이완 총독 재임
1941년 1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대한 무단 침공의 책임을 지고 예비역으로 편입되었으나, 같은 해 11월 현역으로 복귀하여 타이완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2] 1944년 1월 7일에는 육군대장으로 진급하였다.[6]1944년 9월 22일, 타이완군이 개편되어 신설된 제10방면군 사령관에 취임하였고, 기존 타이완군 사령관직(1945년 2월 1일부로 ‘타이완군 관구 사령관’으로 개칭[7])도 계속 겸임했다.[7] 제10방면군은 추가적인 전투 병력 없이 섬의 주둔군 역할을 수행하는 사실상의 '타이완 군대'였다.[2]
레이테만 전투에서 일본이 패배하면서 타이완의 안보가 위태로워지자, 1944년 12월 30일 군 사령관인 안도가 타이완 총독을 겸임하게 되었다.[8] 이는 해군 대장 출신을 총독으로 임명해 온 기존 관례를 깨고 육군 대장이 총독을 겸하게 된 이례적인 인사였다.[8] 이로써 안도는 마지막 타이완 총독이 되었다.[2]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한 후, 제10방면군은 같은 해 9월 해산되었다.[3] 안도는 10월 25일 타이베이시 공회당(중산당)에서 중화민국 국민정부와 연합국 대표 천이에게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1] 이후 안도는 타이완에서 포로가 된 미군기 탑승원 14명을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시킨 사건 등으로 전범 혐의를 받아 중화민국 정부에 체포되었다. 상하이로 이송되어 재판을 기다리던 중, "책임은 모두 나에게 있다"는 말을 남기고 1946년 4월 19일 상하이 감옥에서 미리 숨겨둔 청산가리를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 4. 종전과 죽음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한 후, 타이완에서는 일본 통치의 종결 절차가 진행되었다. 1945년 9월 안도가 지휘하던 제10방면군이 해산되었고,[3] 같은 해 10월 24일 중화민국 정부는 천이를 대만성 행정장관 겸 경비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타이완으로 파견했다.1945년 10월 25일, 마지막 타이완 총독이었던 안도 리키치는 타이베이 공회당에서 중화민국 대표 천이에게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12][13] 이로써 일본의 타이완 식민 통치는 공식적으로 막을 내렸다.
항복 이후 안도는 타이완에서 포로가 된 미군 비행기 탑승원 14명을 재판에 회부하여 사형시킨 사건 등으로 인해 전쟁 범죄 혐의로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체포되었다. 그는 상하이로 압송되었으며, 조사 과정에서 "책임은 모두 내게 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1946년 4월 19일, 재판을 앞두고 상하이 감옥에서 미리 숨겨둔 청산가리를 먹고 자살했다.
3. 유산 및 평가
안도 리키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제국의 팽창 정책에 깊이 관여한 인물로 평가된다. 특히 그가 독단적으로 감행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은 태평양 전쟁 발발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타이완 총독으로 재임하며 일본 제국의 통치를 이어가려 했으나, 종전과 함께 그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그의 죽음은 일본 제국주의 몰락을 상징하는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연표
- 1901년 3월: 미야기현 제2중학교 졸업
- 1904년 10월: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16기)[4]
- 1904년 11월: 육군 보병 소위 임관, 보병 제4연대 배속
- 1907년 12월: 육군 보병 중위
- 1911년 12월: 일본 육군대학 입교
- 1913년 11월: 육군 보병 대위
- 1914년 11월: 일본 육군대학 졸업 (26기, 은사)[5]
- 1915년 5월: 보병 제50연대 중대장
- 1916년 2월: 육군기술심사부 부속(군사조사위원)
- 1919년 1월: 영국 주재 ( ~ 1921년 9월)
- 1920년 8월: 육군 보병 소좌, 평화조약실시위원 (유럽 주재)
- 1923년 4월: 참모본부 부원
- 1924년 7월: 겸 육군대학 교관
- 1924년 8월: 육군 보병 중좌
- 1925년 8월: 영국령 인도 주재 무관
- 1927년 4월: 참모본부 부원
- 1928년 3월: 육군 보병 대좌, 보병 제13연대장
- 1930년 3월: 제5사단 참모장
- 1931년 3월: 육군성 군무국 병무과장
- 1932년 5월: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
- 1932년 8월: 육군 소장
- 1934년 5월: 참모본부 부속
- 1934년 12월: 보병 제1여단장
- 1935년 8월: 육군 도야마학교장
- 1936년 4월: 제5독립수비대 사령관, 육군 중장
- 1937년 8월: 교육총감부 본부장 (1938년 2월 ~ 4월 교육총감 사무취급)
- 1938년 5월: 제5사단장
- 1938년 11월: 제21군 사령관
- 1940년 2월 10일: 남지나 방면군 사령관
- 1940년 6월: 북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침공 지휘. 도미나가 교지 소장의 독단적 무력 진주로 인해 책임을 지고 해임됨.
- 1940년 10월: 참모본부 부속
- 1940년 12월: 대기
- 1941년 1월: 예비역 편입
- 1941년 11월: 현역 소집, 타이완군 사령관
- 1944년 1월 7일: 육군 대장[6]
- 1944년 9월 22일: 신설된 제10방면군 사령관 취임, 타이완군 사령관 겸임[7] (타이완군 사령관은 1945년 2월 1일 "타이완군 관구 사령관"으로 개칭[7])
- 1944년 12월 30일: 타이완 총독 겸임[8]
- 1945년 10월 25일: 타이베이시 중산당에서 중화민국 대표 천이에게 항복 문서 조인
- 1946년 4월 19일: 전범 혐의로 상하이 감옥에 수감 중, 숨겨둔 청산가리를 먹고 자결
참조
[1]
웹사이트
中山堂受降檔案分析
http://www.drnh.gov.[...]
2014-12-07
[2]
서적
Axis History Factbook
[3]
웹사이트
Wendel, Axis History.com
http://www.axishisto[...]
[4]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2009
[5]
논문
陸軍大学校卒業生
2005
[6]
기록보관소
昭和19年1月11日 陸軍異動通報
[7]
논문
台湾軍司令官
2005
[8]
뉴스
安藤利吉台湾軍司令官が総督に
朝日新聞
1944-12-31
[9]
논문
安藤利吉
2005
[10]
간행물
官報
1904-12-17
[11]
기록보관소
長谷川清外三十一名外国勲章記章受領及佩用の件
[12]
웹인용
‘중산당’ 일본 항복문서 조인식 현장에서 문화공간으로
https://kr.rti.org.t[...]
2023-04-14
[13]
웹인용
사라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예금은 어디로 갔나
http://monthly.chosu[...]
2023-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