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산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와 마포구에 걸쳐 있는 산으로, 말의 안장과 같은 형세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무악, 기봉, 금화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활쏘기 놀이터로 이용되기도 했다. 1977년 안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안산도시자연공원으로 불리고 있다. 인왕산과 연결된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아까시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등 다양한 식생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지리 - 인왕산
인왕산은 서울 종로구와 서대문구에 걸쳐 있는 높이 342m의 산으로, 조선 시대 한양 도성의 일부이자 경복궁의 우백호였으며, 일제강점기와 1·21 사태를 거쳐 부분 개방되었고, 인왕사, 국사당, 선바위 등의 유적과 인왕제색도, 여러 속담, 영화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등 역사·문화적 상징성을 지닌다. - 서울 서대문구의 지리 - 북한산
북한산은 서울 북쪽에 위치하며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산으로, 백운대를 비롯한 봉우리와 계곡, 북한산성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수도권 시민들에게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북악산
북악산은 서울의 진산으로, 한양도성의 기점이자 청계천의 발원지이며 북악스카이웨이가 위치해 있고,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청와대 북쪽 구역 개방으로 인왕산, 북한산, 안산까지 등산이 가능하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서울특별시에 관한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안산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산 정보 | |
![]() | |
이름 | 안산 |
한글 | 안산 |
로마자 표기 | Ansan |
높이 (미터) | 295.5 |
위치 | 서울특별시 |
지리 | |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33번지 일대 |
좌표 | 37.5768° N, 126.9446° E |
면적 (제곱킬로미터) | 2.0887049 |
산맥 | 인왕산 줄기 |
경계 | 통일로 |
지형 | 화강암 잔구 |
암석 | 화강암, 편마암 |
명칭 | |
다른 이름 | 무악(毋岳), 기산(岐山), 봉화뚝 |
어원 | 안장(鞍裝) |
등반 정보 | |
가장 쉬운 등반로 | 독립문역 3번 출구 안산 자락길 |
기타 | |
특징 | 서울 시민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공간 안산 자락길이 조성되어 있음 |
2. 지명별 유래
2. 1. 안산
'안산'(鞍山)이라는 지명은 동봉과 서봉의 두 봉우리로 이루어져 그 형세가 마치 말의 안장(鞍裝)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다. 인왕산과 안산 사이를 넘는 고개인 무악재의 또 다른 이름들인 '안현'과 '길마재'는 모두 이 명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길마는 말의 안장을 부르는 우리말이다.[5] 서대문구 홍제동에 1936년 개교한 서울안산초등학교의 이름은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6]2. 2. 무악
안산의 다른 이름은 '무악'(毋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수도를 정하고자 할 때 한양(남경) 외에 '무악'이 후보지로 거론되었고[5], 종로구 무악동의 '무악'[7], 연세대학교 교가의 '무악'도 이 산을 가리킨다.[8]'무악' 지명의 유래는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의도적으로 붙여졌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지봉유설에 따르면 북한산 인수봉의 형세가 아이가 도망가는 모습과 같아 이를 막기 위해 '어머니의 산'이라는 뜻의 모악(母岳)으로 이름 붙였다고 하며[9], 모악(母岳)의 '어머니 모'(母)가 '아닐 무'(毋)로 읽히면서 '무악'(毋岳)이 되었다고 추정된다.[5]
다른 가설로는 이 산과 인왕산 사이의 고개가 맹수 출몰로 위험하여 사람들이 '모여서' 넘는다는 뜻의 '모아재'라는 이름이 먼저 붙여졌고[7], 이 '모아재'에서 모악이라는 산 이름이 유래되었다가 음운변화로 무악산이 되었다는 것이다.[5]
태조 이성계가 하륜의 추천으로 '무학'(無學) 대사와 함께 이곳을 방문하여 '무학'이라 부르던 것이 '무악'으로 바뀌었다는 가설도 있으나[5], 태조실록 등 초기 기록에는 확인되지 않고 조선 후기에 등장하는 민간전승으로[10], 한양의 풍수지리적 문제점을 거론하기 위해 만들어진 설화에 가깝다고 평가된다.[10]
2. 3. 그 밖의 이름들
기록상 가장 오래전에 확인되는 이 산의 이름은 고려사 및 동국여지비고에서 고려의 옛 남경(조선의 한양) 서쪽 경계를 언급할 때 부른 '기봉' 또는 '기산'(岐山)이라는 이름이다. 또한 이 산은 조선 시대에 봉화대를 두고 있었으므로 봉화뚝, 봉우재 등의 이름으로도 불렸다.한편으로 안산의 남쪽 봉우리 205m 고지에는 '금화산'(金華山)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데, 이는 독립문역사거리에서 서대문구 방향으로 이어지는 성산로의 '금화터널'과 인근의 '서울금화초등학교'의 명칭 유래가 되었다.
3. 역사
3. 1. 조선 시대
조선 전기의 문인 성현이 지은 용재총화에 의하면 안산의 무악재에서 모화관 및 영은문 방향으로 이어지는 의주로 주변에는 예로부터 밤나무와 소나무의 수목이 무성하여 활쏘기 놀이터로써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고 한다.[5]안산은 널리 알려진 옛 이름 '무악'으로도 조선 시대에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왔는데, 이는 북악산이 아닌 무악을 도읍(도성)의 주산(主山)으로 삼아야 한다는 하륜의 풍수지리적 관점이 당대에 적지만 지속적인 지지를 얻고 있었기 때문이다. 세종 때에 연희궁이라는 이궁을 오늘날의 연희동 주변에 두게 된 것은 이러한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5]
옛 역사 속에서 안산이 주된 지리적 공간으로 등장하는 또 다른 맥락은 1642년에 일어난 이괄의 난으로, 이괄이 진압된 길마재 전투는 이곳 안산과 그 무악재 고개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5]
3. 2. 현대 시대
안산은 1977년 7월 9일에 그 일대가 '''안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안산도시자연공원'''으로 불리고 있다.[4] 1990년부터는 남측 연희동 지역에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의 환경림을 조성하였으며,[4] 1994년에는 서울의 정도 역사 600년을 기념하여 무악산 동봉수대 터에 조선 시대의 옛 봉수대가 복원되었다.[11]4. 자연지리
안산은 인왕산 줄기로부터 연속되어 나온 산으로, 서울이 고려의 옛 남경이던 시절에도 인왕산이 아닌 안산을 서쪽 경계로 두고 있었던 것은 안산이 인왕산의 일부에 가까운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였음을 알 수 있다.[5] 안산의 동북측 사면은 화강암, 서남측 사면은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봉우리는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잔구 형태를 띄고 있다.[5]
안산의 식생 분포는 동남측에 분포한 대규모의 아까시나무 군락이 대종을 이루고 있지만, 그 밖에도 동북측 암반지역에는 소나무가, 서남측 사면에는 1990년도부터 조성된 자작, 산벚, 물푸레, 잣나무 등이 분포하며, 정상부에는 팥배, 상수리, 오리나무가 자라고 있다.[4]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Ansan Mountain
https://english.visi[...]
english.visitseoul.net
2022-07-17
[2]
웹사이트
Green trail of Ansan embracing Seoulites seeking quick getaway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22-07-17
[3]
웹사이트
The Trail to Health
https://annals.yonse[...]
Yonsei Annals
2022-07-17
[4]
서적
서울의 공원 100선
https://lib.seoul.go[...]
서울특별시청
2008-11
[5]
서적
서울의 산
https://lib.seoul.go[...]
서울특별시청
1997
[6]
뉴스
서울안산초등학교 총동문회 어린이날 '독도T셔츠' 선물 '화제'
https://www.ksdaily.[...]
2024-05-08
[7]
서적
동명연혁고Ⅰ 종로구편 (제2판)
https://lib.seoul.go[...]
서울특별시청
1992
[8]
간행물
[양조장 주변 산행지 : 안산] … 정상까지 한 시간, 누구나 거닐 수 있는 시민의 산
https://san.chosun.c[...]
조선뉴스프레스
2024-04-30
[9]
서적
서울의 고개
https://lib.seoul.go[...]
서울특별시청
1998
[10]
저널
무학 자초의 정치 활동에 대한 재검토 - 한양 천도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https://www.kci.go.k[...]
2021-11
[11]
서적
서울의 공원 (내고향서울 제11권)
https://history.seou[...]
서울역사편찬원
2023-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