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얀 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얀 후스는 14-15세기 종교 개혁가로, 체코의 사제이자 프라하 카렐 대학교 교수였다. 그는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교회의 타락을 비판하고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으며, 면죄부 판매를 반대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갈등을 겪었다. 1415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몰려 화형에 처해졌으며, 그의 죽음은 후스 전쟁으로 이어지는 등 체코 민족주의와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후스는 체코어 발전에 기여했으며, 오늘날에도 체코의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얀 후스 - 후스파
    후스파는 얀 후스의 사상을 바탕으로 15세기 초 보헤미아 왕국에서 시작된 종교 개혁 운동으로, 평민의 성찬 참여, 체코어 예배, 교회 부패 비판 등을 주장하며 체코 민족 의식 고취에 기여했고, 후스 전쟁을 거쳐 다양한 분파로 나뉘어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모라비아 교회와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를 통해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 사형된 체코 사람 - 제로님 프라슈스키
    제로님 프라슈스키는 1379년 프라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개혁을 주장하다가 이단으로 판결받아 화형에 처해진 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이다.
얀 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얀 후스, 1587년경 목판화
이름얀 후스
다른 이름존 후스, 존 허스
출생일1369년경
출생지보헤미아 왕국 후시네츠 (신성 로마 제국, 현재의 체코 지역)
사망일1415년 7월 6일
사망지콘스탄츠, 콘스탄츠 주교 관구, 신성 로마 제국 (현재의 독일 지역)
사망 원인화형
모교프라하 카렐 대학교
학파/전통후스파
주요 관심사신학
영향 받은 인물존 위클리프
영향을 준 인물존 웨슬리
프라하의 예로니모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마르틴 루터
헨리 8세
페트르 첼치츠키
장 칼뱅
로마자 표기Jan Hus
철학적 정보
지역서양 철학
시대르네상스 철학
기타
종교후스파

2. 생애

얀 후스는 남 보헤미아의 후시네츠에서 태어났다. 출생일은 1369년에서 1373년 사이로 추정된다. 부모와 가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프라하 카렐 대학교에서 공부해 1393년 학사, 1396년 인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400년부터 대학교수로 일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되었다. 프라하 성 미카엘 교회에서 설교를 시작했고, 1402년 3월 14일부터 베들레헴 성당에서 설교자로 활동했다. 1401년 철학부 학장, 1년 후 대학 총장이 되었다. 프라하 카렐 대학교의 체코인 교수로서, 라틴어체코어로 저술 활동을 했고, 체코어 철자법을 개혁했으며, 체코어 찬송가를 보급하였다. 그는 교회가 타락을 청산하고 초기 기독교 정신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프라하 카렐 대학교 교수, 왕실, 일부 귀족, 다수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고위 성직자들과 프라하의 독일인들은 반발하였고, 프라하 카렐 대학교에서 독일인 교수와 체코인 교수 간 갈등이 시작되었다. 1409년 바츨라프 4세의 쿠트나호라 칙령으로 대학 주도권이 체코인 교수에게 돌아갔고, 독일인 교수와 학생들은 라이프치히 대학교를 설립했다.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은 후스는 대중에게 설교하고, 교회의 재산권 박탈과 청빈한 교회를 주장하여 소귀족, 도시 민중의 지지를 받았다. 1412년 면죄부 판매를 공개 비난하여 프라하를 떠나 남부 체코 코지흐라데크에서 소귀족들의 보호를 받으며 농민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교회 개혁을 주장하였다.

1414년 10월 콘스탄츠 공의회에 지기스문트의 안전 보장을 받고 참석했으나, 도착 즉시 체포, 감옥에 갇히고 고문당했다. 1415년 7월 6일 화형에 처해졌고,[9] 1416년 5월 30일 프라하의 제롬도 처형당했다.[9]

화형당하는 후스(예나 약전, 15세기 후반)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얀 후스는 1369년에서 1373년 사이(1372년으로 추정) 남보헤미아의 후시네츠에서 가난한 체코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와 가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5]

후스는 프라하 카렐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393년 학사 학위를, 1396년 인문학 석사(mistr svobodných umění) 학위를 받았다.[5] 1400년부터 대학에서 교양 학부와 신학부 교수로 일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되었다.[6] 프라하의 성 미카엘 교회 (Kostel sv. Michala)에서 설교를 하기 시작했으며, 1402년 3월 14일부터 베들레헴 성당에서 설교자로 활동했다. 1401년에는 철학부 학장을, 1년 후에는 대학의 총장이 되었다.[5]

그는 프라하 카렐 대학교의 지도적인 체코인 교수로서, 라틴어 뿐만 아니라 체코어로도 저술 활동을 했고, 체코어를 개량하고 체코어 철자법을 개혁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게 하였다. 또한 체코어로 찬송가를 보급하였다. 그는 설교와 저술을 통해 교회가 타락을 청산하고 초기 기독교 정신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주장은 프라하 카렐 대학교 교수들과 왕실, 일부 귀족, 그리고 다수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2. 2. 종교 개혁 활동

존 위클리프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후스는 교회의 부패와 성직자들의 타락을 비판하고, 성경의 권위를 강조했다. 1402년부터 베들레헴 성당에서 설교하면서, 그는 교회가 타락을 청산하고 초기 기독교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6] 이러한 주장은 프라하 카렐 대학교 교수들과 왕실, 일부 귀족, 그리고 다수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고위 성직자들과 프라하의 독일인들은 이에 반발했다. 후스는 설교단에서 성직자, 주교, 심지어 교황의 도덕적 결함까지 비난했다.[7]

1408년, 프라하 카를 대학교는 서방 교회의 분열로 인해 분열되었다. 그레고리우스 12세와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모두 교황직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바츨라프 4세는 그레고리우스 12세를 비난하고 성직자들에게 중립을 지킬 것을 명령했다. 대학교 내에서는 후스를 지도자로 하는 보헤미아 학자들이 중립을 서약했다.

1409년, 바츨라프 4세는 쿠트나호라 칙령을 통해 대학의 투표권을 조정하여 체코인 교수들에게 주도권을 넘겨주었다. 이에 반발한 독일인 교수들과 학생들은 프라하를 떠나 라이프치히 대학교를 설립했다.

1409년, 피사 공의회에서 대립교황 알렉산데르 5세가 선출되자, 후스와 바츨라프 4세는 그에게 충성을 바쳤다. 그러나 알렉산데르 5세는 곧 교황령을 발표하여 프라하에서 위클리프의 가르침을 금지했다. 1410년, 알렉산데르 5세가 사망하고 요한 23세가 계승한 후, 1411년 요한 23세는 십자군 원정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면죄부 판매를 허가했다. 후스는 이를 교회의 부패를 보여주는 징후로 보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8]

1412년, 후스는 ''면죄부에 관한 질문''(Quaestio magistri Johannis Hus de indulgentiis)을 발표하여, 어떤 교황이나 주교도 교회의 이름으로 칼을 들 권리가 없으며, 진정한 회개를 통해서만 죄의 용서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후스의 추종자들은 교황령을 불태우며 교회보다 후스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바츨라프 4세는 대립하는 당사자들을 조정하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후스는 1412년 10월 18일, 최고의 기독교 권위자인 예수 그리스도에게 직접 호소하며 중세 교회의 권위에 도전했다.[9] 이는 보헤미아 종교 개혁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후스는 프라하를 떠나 시골로 간 후, 체코어로 설교와 저술 활동을 계속하며 농민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교회 개혁을 주장했다.

2. 3. 콘스탄츠 공의회와 죽음

서방교회 대분열을 종식시키고 교회 개혁을 목표로 1414년 11월 1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에 의해 '''콘스탄츠 공의회'''가 소집되었다.[9] 지기스문트는 후스에게 안전 보장을 약속하며 공의회 참석을 권유했다. 후스는 자신의 주장을 변호할 기회로 여겨 참석했으나, 도착 직후 체포되어 투옥되었다.[9]

콘스탄츠 공의회에 참석한 얀 후스. 카를 프리드리히 레싱(Karl Friedrich Lessing)의 19세기 그림


1414년 10월 11일 여정을 시작하여 11월 3일에 콘스탄츠에 도착했다. 후스는 안전 통행증에도 불구하고 11월 28일, 그의 반대자들에 의해 투옥되었다.[9] 지기스문트는 분노했지만, 고위 성직자들은 이단자와의 약속은 지킬 필요가 없다고 설득했다.[9]

1414년 12월 4일, 후스에 대한 예비 조사가 시작되었으나, 후스는 변호인을 선임할 수 없었다. 1415년 6월 5일, 첫 번째 재판이 열렸고, 후스는 자신의 오류가 성경으로 증명된다면 기꺼이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존 위클리프를 존경한다고 인정했지만, 성찬식에 대한 위클리프의 견해는 부인했다.[9]

1415년 6월 8일, 마지막 재판에서 후스는 다시 한번 철회 의사를 밝혔지만, 무조건적인 항복으로 간주되었다. 그는 자신이 가르치지 않은 내용을 철회할 수 없으며,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수 없다고 저항했다.[9]

1862년 콘스탄츠에 세워진, 종교 개혁가 얀 후스가 처형된 기념비


1415년 7월 6일, 콘스탄츠 대성당에서 후스에 대한 파문이 선고되었다. 후스는 성경으로 자신의 오류를 증명해 달라고 요청하며 항의했다. 그는 사제직에서 추락당하고, 세속 권력에 넘겨졌다.[10]

전설에 따르면 "이단의 지도자(Heresiarch)"라고 적힌 종이 모자를 쓴 채 화형대로 끌려갔다.[11][12] 그는 죽기 전 "약한 거위(후스는 체코어로 "거위"를 뜻함)를 죽일 수 있지만, 더 강력한 새, 독수리와 매들이 나를 따를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마르틴 루터는 후스가 백 년 후 나타날 백조에 대해 예언했다고 전했다.[13]

마르티니츠카 성경(1430년)에 나오는 가장 오래된 얀 후스의 모습


길이 20인치, 너비 30.5인치의 낡은 양피지 조각. 가운데는 흐릿한 라틴어 텍스트가 있고, 양쪽에는 100개의 서명과 그에 해당하는 밀랍 인장이 붙어 있다.
1415년 종교 개혁가 얀 후스의 화형에 반대하는 보헤미아 귀족들의 유명한 항의서 중 마지막으로 남은 사본


후스는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고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여, 우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외치며 죽음을 맞이했다. 그의 유해는 라인 강에 뿌려졌다.[9]

후스의 친구이자 동료였던 프라하의 제롬도 1416년 5월 30일 같은 장소에서 처형당했다.[9] 후스의 죽음은 체코 민족의 분노를 일으켜 후스 전쟁의 발발로 이어졌다.

3. 사상과 영향

알렉산데르 5세가 1410년에 사망하고 요한 23세가 그 뒤를 이었다. 1411년, 요한 23세는 나폴리 왕 라디슬라오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선포했고, 이 원정은 프라하에서도 선포되었다. 요한 23세는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면죄부 판매를 허가했다. 사제들은 백성들에게 헌금을 독려했고, 백성들은 교회로 몰려들었다. 이러한 면죄부 판매는 교회의 부패와 개혁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징후였다.[7]

후스는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6] 성직자, 주교, 심지어 교황의 도덕적 결함을 비난했다. 특히 면죄부에 반대했지만, 대학 교수들을 설득하지는 못했다. 1412년 논쟁에서 후스는 ''마스터 요한 후스의 면죄부에 관한 질문''(Quaestio magistri Johannis Hus de indulgentiis)을 발표했다. 그는 어떤 교황이나 주교도 교회의 이름으로 칼을 들 권리가 없으며, 진정한 회개를 통해 죄를 용서받는다고 주장했다.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후스가 화형당하자 체코인들은 크게 반발했고, 체코에는 혁명 분위기가 감돌았다. 1415년 가을, 여러 귀족들은 콘스탄츠 공의회의 결정을 거부하고 후스의 가르침을 따르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도전이었으며, 프라하 대학교 교수들과 체코 대중들의 환영을 받았다. 이들은 성만찬 때 포도주를 모두 나누었고, 포도주를 담은 성작은 후스파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1419년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으로 후스파는 보헤미아를 장악하게 된다.[17]

루터와 후스가 함께 두 가지 형태의 성찬을 집전하는 모습(16세기 작센 출신 그림). 루터교도와 후스파의 친밀함을 보여준다.


후스는 종교 개혁에 관한 글을 남기고 존 위클리프의 저서를 번역하고 가르쳤으며, 교회의 윤리적 악폐를 없애고자 노력했다. 후스 사후, 그의 추종자들인 후스파는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다.

얀 후스는 중세 체코어 정자법 개혁을 통해 체코어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특수 기호(특히 하체크(háček))를 사용하여 각 소리를 하나의 기호로 표현하고자 했다.

1915년에 건립된 프라하 구시가 광장의 얀 후스 기념비


후스 전쟁 이후, 체코 지역 주민의 90%가 후스파였다. 보헤미아는 가장 중요한 종교 개혁 이전 운동 중 하나의 중심지였으며,[17] 현대에도 여전히 프로테스탄트 신자가 남아 있다.[18][19] 그 이유로는 1620년 흰 산 전투 이후 가톨릭 합스부르크의 프로테스탄트 박해,[20] 공산주의 통치 기간의 제약,[17] 그리고 지속적인 세속화[17] 등이 제시된다.

얀 후스는 프로테스탄티즘에 중요하게 기여한 인물이며, 그의 가르침은 유럽 여러 국가와 마르틴 루터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후스 전쟁은 바젤 조약으로 이어졌고, 이 조약으로 보헤미아 왕국에 개혁된 교회가 허용되었다. 이는 루터 종교 개혁보다 거의 한 세기 앞선 일이다. 모라비아 형제단(Unitas Fratrum 또는 모라비아 교회)은 현대 후스 추종자들의 본거지이다.[22]

토마시 마사리크는 1915년 연설에서 후스의 이름을 사용했고,[23] 오늘날 얀 후스 기념비는 프라하 구시가 광장(Staroměstské náměstí|스타로메스트스케 나메스티cs)에 위치한다. 뉴욕시에는 얀 후스의 이름을 딴 교회와 극장이 있다.

후스는 원시 프로테스탄트로 인식되지만, 일부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그의 신학이 동방 정교회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 얀 후스는 일부 정교회 관할 구역에서 순교 성인으로 여겨진다.[24]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는 동방 정교회와 프로테스탄트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오늘날 그는 여러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여겨진다.[25]

후스는 2015년 체코 라디오의 설문조사에서 체코 국민의 가장 위대한 영웅으로 선정되었다.[26]

후스는 처형 직전 "진리는 승리한다(Pravda vítězí|프라우다 비테지cs)"라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지며, 이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가 모토가 되었다. 프라하 성 국장에 "진리는 승리한다"라는 모토가 새겨진 깃발이 게양되었다.

3. 1. 주요 사상

후스는 성직자들이 보여주는 삶의 모습에서 다음 네 가지에 해당된다면 교황에게 대항하라고 설교했다.[35]

  • 첫째, 교황이 하느님의 율법과 복음을 아는 사람들을 무시하고 인간적인 전통에만 눈을 돌린다면 교황을 거절해야 한다.
  • 둘째, 교황과 영적인 지위층들이 경건한 삶을 벗어나 세상적인 일에 얽매여 산다면 교황을 거절해야 한다.
  • 셋째, 교황이 그리스도를 섬기는 일에 세상의 장사꾼들을 내세우고 자신의 세속적인 삶에만 욕심을 내어 교회를 압박하는 경우.
  • 넷째, 교황이 자신의 명령서를 통하여 구원을 필요로 하는 영혼들에게서 하느님의 말씀을 탈취한다면 교황에게 대항해야 한다.


후스는 교회의 부와 사치스러움은 사악함과 신앙의 표징이라고 보았다. 그는 교회가 온갖 비싼 성화들과 성직자의 예전복, 성작과 종을 사용하여 행하는 의식들을 비판했다.[36] 그리고 교회가 갈취하는 헌금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후스는 존 위클리프의 저술의 영향을 받았으며,[6] 성직자, 주교, 심지어 교황의 도덕적 결함을 비난했다.

1382년 카를 4세의 아들이자 로마 왕 겸 보헤미아 왕 바츨라프 4세의 이복 여동생 안나가 잉글랜드 왕 리처드 2세와 결혼하면서, 위클리프의 철학 서적이 보헤미아에도 전파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위클리프의 철학 서적은 1401년 또는 1402년에 "프라하의 예로니무스"에 의해 전해졌다.

후스는 연구자로서 특히 위클리프의 철학적 현실주의에 강하게 매료되었다. 그의 신학 이론을 알게 된 것을 계기로, 교회 개혁을 향한 후스의 성향이 각성되었다. 이 때문에 후스는 성직자를 비판하는 일이 많아졌고, 대주교는 그에게 준 직책을 해임했다.

요한 23세(후에 반교황으로 선언됨)는 경쟁 교황인 교황 그레고리우스 12세의 보호자였던 나폴리의 왕 라디슬라우스에 대한 십자군 원정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면죄부를 허가했다. 이러한 면죄부 매매는 교회의 부패와 개혁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징후였다.[7]

후스는 면죄부에 반대했지만, 대학 교수들을 설득하지 못했다. 1412년에 논쟁이 벌어졌고, 이때 후스는 그의 저서 ''마스터 요한 후스의 면죄부에 관한 질문''(Quaestio magistri Johannis Hus de indulgentiis)을 발표했다. 이는 위클리프의 저서 ''교회에 관하여''(De ecclesia)의 마지막 장과 그의 논문 ''벌과 죄로부터의 해방에 관하여''(De absolutione a pena et culpa)에서 거의 그대로 가져온 것이었다. 후스는 어떤 교황이나 주교도 교회의 이름으로 칼을 들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적들을 위해 기도하고 저주하는 자들을 축복해야 하며, 사람은 돈이 아닌 진정한 회개를 통해 죄의 용서를 얻는다고 했다.

3. 2. 영향

콘스탄츠 공의회가 얀 후스를 화형에 처하자 체코인들은 강하게 반발했고, 체코에는 혁명의 기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1415년 가을, 여러 귀족들은 콘스탄츠 공의회의 결정을 거부하고 후스의 가르침을 따르겠다는 결의문을 발표했다. 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도전이자 봉기의 신호였으며, 프라하 대학교 교수들과 체코 대중들의 환영을 받았다. 이들은 성만찬 때 포도주를 모두 나누었고, 포도주를 담은 성작은 후스주의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결국 후스주의와 로마 가톨릭 사이의 갈등은 깊어졌고, 1419년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이 발생하면서 후스주의자들은 보헤미아를 장악하게 된다.[17]

후스는 종교 개혁에 관한 글을 남겼다. 그는 존 위클리프의 저서를 번역하고 가르쳤으며, 교회의 윤리적 악폐를 없애고자 노력했다. 후스와 위클리프의 글에는 종교 개혁의 씨앗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후스 사후, 그의 추종자들인 후스파는 여러 집단으로 분열되었다.

얀 후스는 중세 체코어 정자법 개혁을 통해 체코어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특수 기호(특히 하체크(háček))를 사용하여 각 소리를 하나의 기호로 나타내고자 했다.

후스 전쟁 이후, 체코 지역 주민의 90%가 후스파였다. 보헤미아가장 중요한 종교 개혁 이전 운동 중 하나의 중심지였으며,[17] 현대에도 여전히 프로테스탄트 신자가 남아 있지만,[18][19] 1620년 흰 산 전투 이후 가톨릭 합스부르크의 프로테스탄트 박해,[20] 공산주의 통치 기간의 제약,[17] 그리고 지속적인 세속화[17] 등이 그 이유로 제시된다.

얀 후스는 프로테스탄티즘에 중요하게 기여한 인물이며, 그의 가르침은 유럽 여러 국가와 마르틴 루터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후스 전쟁은 바젤 조약으로 이어졌고, 이 조약으로 보헤미아 왕국에 개혁된 교회가 허용되었다. 이는 루터 종교 개혁보다 거의 한 세기 앞선 일이다. 모라비아 형제단(Unitas Fratrum 또는 모라비아 교회)은 현대 후스 추종자들의 본거지이다.[22]

토마시 마사리크는 1915년 연설에서 후스의 이름을 사용했고,[23] 오늘날 얀 후스 기념비는 프라하 구시가 광장(Staroměstské náměstí|스타로메스트스케 나메스티cs)에 위치한다. 뉴욕시에는 얀 후스의 이름을 딴 교회와 극장이 있다.

후스는 원시 프로테스탄트로 인식되지만, 일부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그의 신학이 동방 정교회에 더 가깝다고 주장한다. 얀 후스는 일부 정교회 관할 구역에서 순교 성인으로 여겨진다.[24]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는 동방 정교회와 프로테스탄트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오늘날 그는 여러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여겨진다.[25]

후스는 2015년 체코 라디오의 설문조사에서 체코 국민의 가장 위대한 영웅으로 선정되었다.[26]

후스는 처형 직전 "진리는 승리한다(Pravda vítězí|프라우다 비테지cs)"라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지며, 이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국가 모토가 되었다. 프라하 성 국장에 "진리는 승리한다"라는 모토가 새겨진 깃발이 게양되었다.

4. 후스 전쟁과 후스파

콘스탄츠 공의회는 얀 후스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화형에 처했다. 후스는 공판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라는 압박을 받았으나, 양심에 반하는 행동을 할 수 없다며 거부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에서 교회론을 옹호하고, 존 위클리프를 존경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위클리프의 성찬론 등 일부 교리는 부인했다. 지기스문트는 후스에게 죄를 인정하고 자비를 구하라고 충고했지만, 후스는 끝까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후스는 화형되었고, 이는 후스 전쟁의 발발로 이어졌다.

4. 1. 후스 전쟁 (1419년 ~ 1434년)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얀 후스가 화형당하자, 체코인들은 강하게 반발했고 체코에는 혁명의 기운이 감돌았다. 1415년 가을, 여러 귀족들이 콘스탄츠 공의회의 결정을 거부하고 후스의 가르침을 따르겠다는 결의문을 발표했다.[14][15] 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도전이었으며, 프라하 대학교 교수들과 체코 대중들은 환영했다. 성만찬 때 포도주를 모두 나누는 것은 후스주의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1419년 7월 30일, 얀 젤리프스키가 주도하는 강경파 후스주의자들이 프라하 창밖 투척사건을 일으켰고, 며칠 뒤 바츨라프 4세가 죽자 후스주의자들은 보헤미아를 장악했다.

후스파 군대를 이끄는 얀 지슈카


가톨릭 지지 시민들에 의해 쿠트나호라 광산에 던져진 후스 추종자 약 2천 명


1415년 후스의 처형 후, 그의 가르침을 따르던 보헤미아인들이 로마 가톨릭 교회의 박해에 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농민과 하층 시민을 중심으로 한 타보르파얀 지슈카 등의 지도하에 황군(皇軍)과 싸웠다(1419).

교황 마르티노 5세는 십자군을 발동했으나, 얀 지슈카에게 크게 패했다. 1433년, 양측은 양형영성체 의식을 인정하되 교리상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타협안을 담은 프라하 계약(compactara)으로 휴전에 들어갔다.

그러나 타보르파는 이에 반발하여 전투를 계속했고, 교황청은 온건파인 양형영성체파와 연합하여 공격했다. 결국 타보르파는 1433년 리판(Lipan) 전투에서 대부분 참수당했고, 일부 생존자들은 게릴라성 전투를 이어갔다.

타보르파를 궤멸시킨 후, 교황청과 양형영성체파는 다시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 1436년 7월, 두 종류의 성찬식과 교회 토지의 사회 환원, 안 로키카나를 대주교로 하는 보헤미아 가톨릭 독립교회 설치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이글라우 협정을 맺었다.

이후 후스파가 세력을 거의 잃자, 교황 비오 2세는 양형론자의 의식(儀式)을 완전히 폐지하여 1620년경 로마 가톨릭에 흡수되었다.[40]

체코슬로바키아의 쿠트나 호라에는 이 전쟁 때 목숨을 잃은 개신교인 희생자들의 해골과 뼈로 장식된 '해골성당'이 있다.[41]

4. 2. 후스파의 분파

얀 후스가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화형당한 후, 그의 가르침을 따르던 후스파는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주요 분파로는 우트라크파(양형 영성체파)와 타보르파가 있었다.

  • '''우트라크파(Utraquists)''' 또는 양형영성체파(Calixtines): 온건파로, 성만찬 때 빵과 포도주를 모두 나누는 양형 영성체를 주장했지만, 로마 가톨릭 교회와의 완전한 결별은 원하지 않았다. 이들은 '프라하 4개조'를 통해 자신들의 요구를 제시했으며,[37] 1436년 바젤 공의회와의 타협을 통해 보헤미아에서 자체적인 기독교(후스파)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 '''타보르파(Taborites)''': 급진파로, 프라하 남쪽의 타보르를 거점으로 삼았다. 얀 젤리프스키, 얀 지슈카, 프로콥 대제 등이 이끌었으며,[38] 로마 가톨릭 교회에 강경하게 맞섰다. 1419년 후스 전쟁 발발 이후, 십자군을 여러 차례 격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433년 리판 전투에서 우트라크파와 교황청 연합군에 패배하여 궤멸되었다.[39] 이후 1436년 이글라우 협정을 통해 두 종류의 성찬식과 교회 토지의 사회 환원, 안 로키카나를 대주교로 삼는 보헤미아 가톨릭 독립 교회의 설치를 맺었다.

5. 유산



프라하에 있는 후스 동상을 멀리에서 바라본 모습


프라하 '종교개혁 광장' 중앙에는 후스의 사망 500주년을 맞은 1915년에 세워진 후스의 동상이 있다. 체코의 조각가 라디슬라프 샬로운(Ladislav Šaloun)이 제작했다. 동상 기단에는 "서로를 사랑하라. 모든 이들 앞에서 진실(혹은 정의)을 부정하지 마라."라는 글귀가 체코어로 적혀 있는데,[42] 이는 후스가 감옥에서 보낸 열 번째 편지의 마지막에 적었던 글이다.

얀 후스 기념비는 오늘날 프라하 구시가 광장()에 있으며, 체코 전역의 다른 도시들에도 많은 작은 기념비들이 있다. 1893년 뉴욕 지역 체코 이민자들에 의해 보헤미아(롱 아일랜드)의 유니온 묘지에 얀 후스 동상이 세워졌다.

뉴욕시에는 브루클린(153 Ocean Avenue)과 맨해튼(351 이스트 74번가)에 각각 얀 후스 모라비아 교회(John Hus Moravian Church)와 얀 후스 극장(Jan Hus Playhouse)이 있다. 맨해튼의 교회와 극장은 같은 건물과 경영진을 공유하지만, 극장 공연은 일반적으로 비종교적이거나 특정 종파에 속하지 않는다.

후스는 체코 문학,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다뤄지고 있다.

  • 1883년 체코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자크는 후스파 병사들이 사용했던 선율을 바탕으로 후스 서곡을 작곡했다. 이 곡은 독일 지휘자 한스 폰 뷔로에 의해 자주 연주되었다.
  • 작가 알로이스 지라섹의 ''메지 프루디'' 3부작에 등장한다.
  • 오타카르 바브라 감독의 "후스파 혁명 3부작"의 주요 인물이다. 1954년 영화 ''얀 후스''에서 즈데네크 슈테파네크가 연기했다.
  • 1977년 미국 영화 ''존 후스''에서 로드 콜빈이 연기했다.
  • 연극 ''체스케 네베''의 주요 인물이다.
  • 체코 텔레비전 영화 ''얀 후스''는 2015년에 개봉되었다. 이 영화에는 마테이 하덱이 출연했다.
  • 2018년 비디오 게임 ''킹덤 컴 딜리버런스''에 여러 번 언급된다.
  • 2022년 영화 ''중세''에 빅토르 크리슈토프가 연기한 역할로 등장한다.
  • 후스와 페트르 첼치츠키의 삶은 2014년 레나타 후치코바가 집필하고 삽화를 그린 어린이 대상 도서 ''후스 아 첼치츠키''의 주제이다. 이 책은 삽화로 체코 그래픽 예술가 협회 홀라르 상을 수상했다.[27]


후스는 2015년 체코 라디오 설문조사에서 체코 국민의 가장 위대한 영웅으로 선정되었다.[26]

체코 공화국에서는 매년 7월 6일을 '얀 후스의 날'(''Den upálení mistra Jana Husa'', 직역: 마스터 얀 후스의 화형일)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기념하고 있다.[28]

6. 평가

얀 후스는 중세 말 종교 개혁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사상은 마르틴 루터를 비롯한 후대 종교개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22] 루터는 후스를 자신의 사상적 선구자로 여겼다. 후스 전쟁은 바젤 조약으로 이어졌는데, 이 조약으로 보헤미아 왕국에 개혁된 교회가 허용되었다. 이는 루터 종교 개혁보다 거의 한 세기 앞선 일이었다.[22]

후스는 체코 민족주의의 상징적인 인물이기도 하다. 체코인들에게 그는 독립과 자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1915년 7월 6일 토마시 마사리크는 제네바 대학교에서의 연설에서 오스트리아에 대한 방어를 위해 후스의 이름을 사용했고, 1917년 7월 러시아에 있는 그의 군단의 첫 번째 군단 명칭으로도 사용했다.[23] 오늘날 프라하 구시가 광장(Staroměstské náměstí|스타로메스트스케 나메스티cs)에는 얀 후스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체코 전역의 다른 도시들에도 많은 작은 기념비들이 있다. 1893년 뉴욕 지역 체코 이민자들에 의해 보헤미아(롱 아일랜드)의 유니온 묘지에 얀 후스 동상이 세워졌다.

199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후스에게 가해진 "잔혹한 죽음에 대한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그의 "도덕적 용기"를 칭찬했다. 체코 공화국의 밀로슬라프 블크 추기경은 요한 바오로 2세의 성명서 작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6]

후스가 원시 프로테스탄트였다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일부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그의 신학이 동방 정교회에 훨씬 더 가까웠다고 주장하며, 일부 정교회 관할 구역에서 순교 성인으로 여기기도 한다.[24]

참조

[1] 서적 The Reformers on War, Peace, and Justice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2-01-21
[2] 서적 Hymns and Hymnody: Historical and Theological Introductions, Volume 2: From Catholic Europe to Protestant Europe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2-01-21
[3] 서적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Ravenio Books 2022-01-21
[4] 서적 Learning to Read across Languages and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1-21
[5] 서적 John Hus : a biography.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
[6]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Renaiss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7] 웹사이트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 Falling Away from the Pure Gospel of Jesus Christ http://www.supportin[...] 2020-12-11
[8] 서적 The New Schaff-Herzog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Embracing Biblical, Historical, Doctrinal, and Practical Theology and Biblical, Theological, and Ecclesiastical Biograph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Funk and Wagnalls Company 1909
[9] 서적 Když se rákos chvěje nad hladinou https://books.google[...] Karolinum Press 2009
[10] 웹사이트 Council of Constance 1414-18 Council Fathers https://www.papalenc[...] 1414-11-05
[11] 서적 The History of the Church Known as the Unitas Fratrum: Or the Unity of the Brethren, Founded by the Followers of John Hus, the Bohemian Reformer and Martyr Moravian Publication Office
[12] 웹사이트 Huss, John, Hussites https://www.ccel.org[...] 2024-05-11
[13] 학술지 Incombustible Luther: The Image of the Reformer in Early Modern Germany https://www.jstor.or[...] 1986
[14] 서적 The Protest Against the Burning of John Huss Alexander Moring Limited
[15] 웹사이트 Bohemian Protest, Recto https://images.is.ed[...] 2022-11-30
[16] 뉴스 The German shepherd bids farewell to a 'wolf in winter' http://ncronline.org[...] 2009-09-15
[17] 웹사이트 Protestantism in Bohemia and Moravia (Czech Republic) https://museeprotest[...]
[18] 웹사이트 Tab 7.1 Population by religious belief and by municipality size groups https://web.archive.[...] Czso.cz 2013-11-19
[19] 웹사이트 Tab 7.2 Population by religious belief and by regions https://web.archive.[...] Czso.cz 2013-11-19
[20] 서적 Frommer's Prague & the Best of the Czech Republic Wiley 2018-07
[21] 서적 Czech Perspective on Faith in a Secular Age: Czech Philosophical Studies, V https://www.crvp.org[...] Council for Research into Values and Philosophy 2023-09-24
[22] 웹사이트 The Origin & Growth https://web.archive.[...] 2011-09-17
[23] 서적 Masaryk a legie (Masaryk and legions) Paris Karviná
[24] 웹사이트 Jan Hus, Jerome of Prague and Orthodoxy in Czechia & Slovakia https://web.archive.[...] 2019-01-26
[25] 웹사이트 More and More People in Czechia and Slovakia Are Giving Preference to the Orthodox Church https://www.pravosla[...]
[26] 웹사이트 Anketa: Kdo Je Pro Vás hrdina.cz? http://www.rozhlas.c[...] 2017-06-20
[27] 웹사이트 Výsledky 2014 https://www.en.pamat[...] 2023-02-22
[28] 웹사이트 Český statistický úřad http://www.czso.cz/s[...]
[29] 웹사이트 Jan Kardinál z Rejnštejna http://www.phil.muni[...] Phil.muni.cz 2008-09-05
[30] 일반텍스트
[31] 일반텍스트
[32] 서적 プラハ迷宮の散歩道 百塔の都をさまよう愉しみ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33] 일반텍스트
[34] 웹사이트 http://www.radio.cz/[...]
[35] 간행물 후스의 종교개혁과 교회 갱신 도욱신학대학교
[36] 서적 후기 중세 시대의 얀 후스(Jan Hus) 종교개혁에 관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2006
[37] 블로그 전도욱 목사의 교회사이야기 63 http://m.blog.daum.n[...] 2016-03-08
[38] 웹사이트 후스파 http://premium.brita[...]
[39] 웹사이트 후스파 http://info.catholic[...]
[40] 웹사이트 후스파 http://premium.brita[...]
[41] 뉴스 4만명 인골로 장식한 해골성당 장관 국민일보 2014-10-02
[42] 뉴스인용 사라져가는 것들의 애잔한 증언 http://www.sisainliv[...] 시사in 2013-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