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성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성론은 예수 그리스도가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을 동시에 가진다는 기독교 교리이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을 배척하며 정식으로 채택되었으며, 이후에도 논쟁이 지속되었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양성론을 따르는 칼케돈파와 합성론을 주장하는 비 칼케돈파로 나뉘어 신학 논쟁이 이어졌다.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최종 확정되었으나, 비 칼케돈파의 분열을 야기했다. 현재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등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양성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양성론
그리스도론적 입장
유형그리스도론
관련 교리양성론
반대 교리단성론
단의론
네스토리우스주의
상세 정보
정의그리스도 안에는 신성과 인성의 두 본성이 완전히, 구별되어, 영원히 존재한다는 기독교 신학적 교리
그리스어 명칭Δυοφυσιτισμός (Dyo physitismos)
라틴어 명칭Dyophysitismus
영어 명칭Dyophysitism

2. 역사

양성론적 기독론의 발전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양성론 전통과 그 복잡한 용어들은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지속된 긴 기독론 논쟁의 결과로 최종 정립되었다.[14]

양성론은 예수가 하나의 신성만을 가진다고 보는 단성론과,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성을 가지지만 하나의 본성 안에 있다고 보는 합성론의 관점과 대립한다. 양성론자들은 두 본성이 예수 그리스도라는 한 인격(프로소폰)과 위격 안에서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으며,[14] 혼합되거나 혼동되거나 변화됨이 없이 서로 연합하여 공존한다고 믿는다.[15] 양성론의 중요성은 안티오키아 학파의 저명한 대표자들에 의해 자주 강조되었다.

합성론자들은 키릴로스의 가르침, 특히 그의 12개 비난문 중 4번째에 근거하여 그리스도 안의 한 본성이라는 개념을 지지했다.[16]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17]

> "만약 누군가가 복음서와 사도서의 글들, 또는 성인들이나 그리스도 자신이 그리스도에 관해 말한 표현들을 두 인격이나 본질로 나누어, 일부는 하나님의 말씀과 분리된 인간으로서의 그에게 적용하고, 다른 일부는 오직 성부 하나님의 말씀에게만 적용하여 그것들이 하나님께 걸맞다고 여긴다면, 그는 저주를 받을지어다."

양성론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립되었으며, 이 공의회는 칼케돈 신경을 작성했다.[18] 칼케돈 신경에서는 "우리는 한분이시며 동일하신 그리스도, 주님, 독생자를 혼동이나 변화, 분리나 단절이 없는 두 본성 안에서 인정해야 함을 고백한다. 본성들의 구별은 그들의 연합으로 인해 결코 폐지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각각의 두 본성의 고유한 특성이 하나의 인격(프로소폰)과 하나의 위격 안에서 결합될 때 보존되었다."라고 언급되어있다.

칼케돈적 의미에서의 본성(우시아)은 "한 존재를 구성하는 능력과 특질의 집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19] 반면 인격(프로소폰)은 "자신의 권리로 주체로서 행동하는 구체적 개인"을 가리킨다.[20]

신봉자들에게 있어 위격적 연합은 예수의 통일성의 중심이며(그의 신성과 인성은 본성으로 서술된다), 반면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한 이들은 그의 본성 자체를 통일성의 지점으로 보았다.

양성론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네스토리우스에게 귀속되는 교리인 네스토리우스파의 일부 측면을 설명하는 데도 사용되어 왔다. 현재는 그의 일부 사상이 결국 정통으로 확립된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점에 대체로 동의하고 있으나, 그가 정립한 그리스도 교리의 정통성은 여전히 교회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451년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을 배척하는 형태로 정식으로 채택되었지만, 이후에도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았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공의회의 선언한 양성론의 입장을 따르는 칼케돈파(그리스 정교회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모체)와, 합성론을 주장하는 비 칼케돈파로 나뉘어 신학 논쟁이 계속되었다. 칼케돈파는 합성론을 단성론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비 칼케돈파는 단성론을 에우티케스파에 한정하여 칼케돈 공의회의 재정은 오해·불복이라고 주장하며, 또한 양성론은 네스토리우스파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논했다.

이 문제는 681년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결착되어,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인정되게 된다. 그러나 불복하면서 이단으로 간주된 합성론파(비 칼케돈파 정교회)의 대규모 분열(시즘)을 일으키는 결과를 낳았다.

2. 1. 초기 기독론 논쟁

양성론적 기독론의 발전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양성론 전통과 그 복잡한 용어들은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지속된 긴 기독론 논쟁의 결과로 최종 정립되었다.

양성론은 예수가 하나의 신성만을 가진다고 보는 단성론과, 그리스도가 신성과 인성을 가지지만 하나의 본성 안에 있다고 보는 합성론의 관점과 대립한다. 양성론자들은 두 본성이 예수 그리스도라는 한 인격(프로소폰)과 위격 안에서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으며,[14] 혼합되거나 혼동되거나 변화됨이 없이 서로 연합하여 공존한다고 믿는다.[15] 양성론의 중요성은 안티오키아 학파의 저명한 대표자들에 의해 자주 강조되었다.

합성론자들은 키릴로스의 가르침, 특히 그의 12개 비난문 중 4번째에 근거하여 그리스도 안의 한 본성이라는 개념을 지지했다.[16]

양성론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립되었으며, 이 공의회는 칼케돈 신경을 작성했다.[18] 칼케돈 신경에서는 "우리는 한분이시며 동일하신 그리스도, 주님, 독생자를 혼동이나 변화, 분리나 단절이 없는 두 본성 안에서 인정해야 함을 고백한다. 본성들의 구별은 그들의 연합으로 인해 결코 폐지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각각의 두 본성의 고유한 특성이 하나의 인격(프로소폰)과 하나의 위격 안에서 결합될 때 보존되었다."라고 언급되어있다.

신봉자들에게 있어 위격적 연합은 예수의 통일성의 중심이며(그의 신성과 인성은 본성으로 서술된다), 반면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한 이들은 그의 본성 자체를 통일성의 지점으로 보았다.

양성론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네스토리우스에게 귀속되는 교리인 네스토리우스파의 일부 측면을 설명하는 데도 사용되어 왔다.

451년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을 배척하는 형태로 정식으로 채택되었지만, 이후에도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았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공의회의 선언한 양성론의 입장을 따르는 칼케돈파(그리스 정교회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모체)와, 합성론을 주장하는 비 칼케돈파로 나뉘어 신학 논쟁이 계속되었다. 칼케돈파는 합성론을 단성론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비 칼케돈파는 단성론을 에우티케스파에 한정하여 칼케돈 공의회의 재정은 오해·불복이라고 주장하며, 또한 양성론은 네스토리우스파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논했다.

이 문제는 681년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결착되어,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인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단으로 간주된 합성론파(비 칼케돈파 정교회)의 대규모 분열(시즘)을 일으키는 결과를 낳았다.

2. 2. 칼케돈 공의회 (451년)

양성론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립되었다.[18] 이 공의회는 단성론을 배격하고 양성론을 정통 교리로 확립했으며, 칼케돈 신경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8]

"우리는 한분이시며 동일하신 그리스도, 주님, 독생자를 혼동이나 변화, 분리나 단절이 없는 두 본성 안에서 인정해야 함을 고백한다. 본성들의 구별은 그들의 연합으로 인해 결코 폐지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각각의 두 본성의 고유한 특성이 하나의 인격(프로소폰)과 하나의 위격 안에서 결합될 때 보존되었다."[18]

칼케돈적 의미에서 본성(우시아)은 "한 존재를 구성하는 능력과 특질의 집합"을,[19] 인격(프로소폰)은 "자신의 권리로 주체로서 행동하는 구체적 개인"을 가리킨다.[20] 신봉자들에게 위격적 연합은 예수의 통일성의 중심이며(그의 신성과 인성은 본성으로 서술된다), 반면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한 이들은 그의 본성 자체를 통일성의 지점으로 보았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공의회의 선언을 따르는 칼케돈파(그리스 정교회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모체)와, 합성설을 주장하는 비 칼케돈파로 나뉘어 신학 논쟁이 계속되었다. 칼케돈파는 합성론을 단성론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비 칼케돈파는 양성론을 네스토리우스파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논했다.

2. 3. 칼케돈 공의회 이후의 논쟁

양성론은 예수 그리스도가 완전한 신인 동시에 완전한 인간이라는 생각이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을 배척하며 정식으로 채택되었지만, 이후에도 논의가 계속되었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양성론을 따르는 칼케돈파(그리스 정교회동방 정교회로마 가톨릭교회의 모체)와, 합성설을 주장하는 비 칼케돈파로 나뉘어 신학 논쟁이 계속되었다. 칼케돈파는 합성론을 단성론의 일종으로 간주했고, 비 칼케돈파는 양성론이 네스토리우스파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논쟁을 수습하기 위해 단의설이 제창되었지만, 오히려 더 큰 혼란을 야기했다. 결국 이 문제는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인정되며 일단락되었으나, 합성론파(비 칼케돈파 정교회)는 이에 불복하여 대규모 분열(시즘)을 일으켰다.

2. 4.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681년)

681년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양성론이 정통 교리로 최종 확정되었다. 그러나 이에 불복한 합성론파(비 칼케돈파 정교회)는 이단으로 간주되어 대규모 분열(시즘)을 일으켰다.

3. 양성론에 대한 다양한 입장

3. 1. 네스토리우스주의

3. 2. 수용

양성론은 칼케돈 공의회와 553년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공식적인 교리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현재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성공회, 구 가톨릭교회, 개혁교회, 루터교회 등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양성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고대 동방교회는 양성론적 기독론과 안티오키아 학파의 다른 전통들을 보존해왔다. 오리엔트 정교회와 같이 합성론적 입장을 유지하는 교회들도 여전히 존재한다.[21][11]

참조

[1] 논문 An Encaustic Icon of Christ at Sinai 1967
[2] 사전 dyophysitism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3] 웹사이트 What are miaphysitism and dyophysitism? https://www.gotquest[...] 2024-02-10
[4] 웹사이트 7. Doctrine of Christ Lecture 3 Antiochean Christology (Dyophysitism) https://www.reasonab[...] 2024-02-10
[5] 웹사이트 What are the Hypostatic Union, Dyophysitism, and Miaphysitism? https://apologetics.[...] 2024-02-10
[6] 웹사이트 The Dyophysite Christology of Cyril of Alexandria https://www.thegospe[...] 2024-02-10
[7] 웹사이트 "Cyril of Alexandria Twelve Anathemas" https://www.earlychu[...] 2024-02-10
[8]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24-02-10
[9]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A.D.) {{!}} Reformed Theology at Semper Reformanda https://www.semperre[...] 2024-02-10
[10] 웹사이트 Dyophysitism: An Introduction to Chalcedonian Christology https://www.christia[...] 2024-02-10
[11] 웹사이트 Oriental Orthodoxy « Western Prelacy https://westernprela[...] 2024-02-10
[12] 논문 An Encaustic Icon of Christ at Sinai 1967
[13] 웹인용 What are miaphysitism and dyophysitism? https://www.gotquest[...] 2024-02-10
[14] 웹인용 7. Doctrine of Christ Lecture 3 Antiochean Christology (Dyophysitism) https://www.reasonab[...] 2024-02-10
[15] 웹인용 What are the Hypostatic Union, Dyophysitism, and Miaphysitism? https://apologetics.[...] 2024-02-10
[16] 웹인용 The Dyophysite Christology of Cyril of Alexandria https://www.thegospe[...] 2024-02-10
[17] 웹인용 "Cyril of Alexandria Twelve Anathemas" https://www.earlychu[...] 2024-02-10
[18] 웹인용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24-02-10
[19] 웹인용 The Definition of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A.D.) {{!}} Reformed Theology at Semper Reformanda https://www.semperre[...] 2024-02-10
[20] 웹인용 Dyophysitism: An Introduction to Chalcedonian Christology https://www.christia[...] 2024-02-10
[21] 웹인용 Oriental Orthodoxy « Western Prelacy https://westernprela[...] 2024-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