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레반 방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레반 방언은 역사적으로 아라라트 평원에서 사용되어 '아라라트 방언'으로도 불렸으며, 현대 동아르메니아어의 기초가 되었다. 19세기에 현대 아르메니아어 문어를 만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예레반 방언이 사용되었으며, 하차투르 아보비안은 이 방언으로 소설 《아르메니아의 상처》를 완성했다. 예레반 방언은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의 수도가 예레반이 되면서 중요해졌고, 소비에트 시기에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오늘날 예레반 방언은 예레반 시민을 비롯하여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조지아의 삼츠헤자바헤티 주에서 사용되며, 교육 체계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방언은 고전 아르메니아어와 유사한 발음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어, 페르시아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된 어휘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어 - 아르메니아 문자
    405년경 메스로프 마슈토츠가 창제한 아르메니아 문자는 1문자 1음운 체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아르메니아어 표기 및 아르메니아인 통합에 기여,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
  • 아르메니아어 - 카린 방언
    카린 방언은 역사적으로 에르주룸, 카르스 등지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아르메니아 시라크주 등지에서 사용되는 아르메니아 방언 중 하나로, 흐라치아 아자리안은 그 발음을 "부드럽고 유쾌하다"고 묘사했다.
예레반 방언
개요
국가아르메니아
지역예레반
화자예레반 시민 및 주변 지역 거주민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아르메니아어파
아르메니아어
**예레반 방언**
역사 및 사회적 특징
형성 배경아라라트 평야 지역 방언과 바야제트 방언의 상호 작용
영향러시아어 어휘의 상당한 영향
특징표준 아르메니아어와 구별되는 독특한 음운 및 문법적 특징
고유한 어휘 및 표현
음운적 특징
특징특정 소리의 변화 및 다른 아르메니아어 방언과의 차이 존재
예시(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 참조)
문법적 특징
특징표준 아르메니아어와 구별되는 문법적 구조 및 활용
예시(자세한 내용은 해당 연구 참조)
어휘적 특징
특징고유한 어휘 및 표현 다수 존재
영향러시아어 차용어 다수 포함
예시(구체적인 예시는 추가 연구 필요)
사회언어학적 특징
사용일상 대화 및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
지위표준 아르메니아어에 비해 낮은 사회적 지위
보존 노력방언의 소멸 위기에 대한 우려와 보존 노력 필요

2. 역사

역사적으로 이 방언은 아라라트 평원에서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아라라트 방언'''(Արարատյան բարբառ|아라라티안 바르바르hy)으로 알려졌다. 19세기에 현대 아르메니아어 문어(文語)를 만들려는 노력이 일어났으며, 1841년 유명 아르메니아 작가 하차투르 아보비안은 예레반 방언으로 쓰인 소설 《아르메니아의 상처》를 완성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방언의 중요성은 1918년 예레반이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의 수도가 되면서 더욱 커졌다.

소비에트 시기(1920년~1991년) 동안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예레반 방언은 러시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특히 1980년대 말의 러시아화 정책은 아르메니아어의 미래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29]

현대 동아르메니아 문학어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하차투르 아보뱐.


오늘날 예레반 방언은 아르메니아어 구어(口語)의 모태가 되었으며[30][31], 수도 예레반에 거주하는 최소 1백만 명의 시민들이 사용한다. 또한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조지아의 삼츠헤자바헤티 주에 있는 다른 모든 아르메니아어 방언에도 교육 체계를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29] 1980년대 말 이후 해외로 이주한 아르메니아인 대부분도 예레반 방언 사용자이다.[32]

아르메니아 내에서 예레반 방언의 영향력은 점차 강해지고 있다. 특히 텔레비전 채널에서는 표준 아르메니아어 대신 예레반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연예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는 일부 언어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33]

2. 1. 초기 역사

예레반 방언은 13세기 바르단 바르자베르드치(Vardan Bardzraberdtsi)의 저술에서 처음으로 문헌상 등장한다.[7] 17세기 나히체반 출신 아르메니아 상인 자카리아 아굴레치(1630년경–1691년)[6]는 자신의 지역 방언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일기를 예레반 방언으로 작성했다.[7] 아라라트 방언으로 쓰인 초기 문헌 자료로는 1675년 마르세유에서 출판된 Arhest hamaroghut’yan|아르헤스트 하마로후티안hy (산술의 기술)과 1687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된 Parzabanut’yun|파르자바누티운hy (단순화) 등이 있다.[7]

역사적으로 예레반에서 사용되던 이 방언은 예레반이 위치한 아라라트 평원의 이름을 따 일반적으로 '''아라라트 방언'''(Արարատյան բարբառ|아라라티안 바르바르hy)으로 불렸다.[8] 아라라트 방언은 풍부한 어휘와 고전 아르메니아어와 유사한 발음을 가지고 있어 널리 퍼질 수 있었다.[8] 이러한 요인들은 훗날 아르메니아 수도가 될 도시의 방언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으며, 동아르메니아어 문어(文語)의 기초가 되는 배경이 되었다.[7][8] 언어학자 게보르크 자후키안에 따르면, 아라라트 방언은 지리적, 역사적, 언어학적 이점 덕분에 다른 방언 사용자들 사이의 소통 언어로 사용되며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고 한다.[8]

2. 2. 아라라트 방언과 현대 아르메니아어



역사적으로 예레반에서 사용된 방언은 예레반이 위치한 아라라트 평원의 이름을 따서 일반적으로 '''아라라트 방언'''(Արարատյան բարբառ|아라라트얀 바르바르hy)으로 불렸다. 아라라트 방언은 풍부한 어휘와 고전 아르메니아어와 유사한 발음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특징 덕분에 미래 아르메니아 수도의 방언으로서 특별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8] 이는 아라라트 방언이 동아르메니아 문학어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언어학자 게보르크 자후키안에 따르면, 아라라트 방언은 지리적, 역사적, 언어학적 이유로 다른 방언들에 비해 우위를 점했으며, 여러 방언 사용자들 사이의 의사소통에 사용되었다.[8]

19세기에 들어 현대 아르메니아어 문어(文語)를 만들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현대 동아르메니아 문학어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작가 하차투르 아보뱐은 예레반 근처의 마을인 카나케르(현재는 예레반 시의 한 구역) 출신이었기 때문에 아라라트 방언으로 글을 썼다.[9] 그가 1841년 완성한 소설 《아르메니아의 상처》는 현대 동아르메니아어로 쓰여진 최초의 인정받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0]

아보뱐 외에도 메스로프 타기디안(1803–1858),[11] 라자르 학교, 네르시시안 학교, 그리고 슈샤 학교 출신의 게보르크 아흐베르디안(1818-1861),[12] 케로브베(1833–1889)와 라파엘 파트카니안(1830–1892)[13] 등 여러 작가들이 아라라트 방언을 문학적인 공용어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아라라트 방언이 현대 동아르메니아 문학어로서 완성된 것은 하차투르 아보뱐의 공이 크다는 것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7]

2. 3. 소비에트 시기와 러시아어의 영향

소비에트 시기(1920년~1991년) 동안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예레반 방언은 러시아어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1980년대 말에 진행된 러시아화 정책은 아르메니아어의 미래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29]

2. 4. 현대

오늘날 예레반 방언은 표준 구어 동아르메니아어의 주요 구성 요소이자 모태가 되었다.[18][30][31] 수도 예레반에 거주하는 최소 1백만 명의 시민이 이 방언을 사용하며,[29]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그리고 조지아의 삼츠헤자바헤티 주에 있는 다른 모든 아르메니아어 방언에도 교육 체계를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29] 또한 1980년대 말 이후 해외로 이주한 아르메니아인 대부분이 예레반 방언 사용자이다.[32]

예레반 방언은 과거의 지리적 경계를 넘어 표준 동아르메니아어의 영향을 받으며 특정 지역 방언이라기보다는 사회 방언에 가까운 성격을 띠게 되었다.[19] 이 과정에서 원래의 아라라트 방언과는 약간의 차이가 생겨났으며, 특히 다른 방언이나 페르시아어, 아랍어, 튀르키예어, 러시아어 등 외래어 차용어로부터 "정리"되는 과정을 거쳤다.[7]

약 160년간 이어진 동아르메니아에 대한 러시아 및 소련의 통치(1828–1917, 1920–1991)는 구어 아르메니아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일상생활에서는 여전히 많은 러시아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아랍어 차용어가 사용된다. 소련 시대에는 모스크바 중앙 정부가 아랍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의 영향에서 아르메니아어를 벗어나게 하도록 권장하기도 했다. 소련 말기에는 러시아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러시아어 단어에 아르메니아어 접사를 붙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도 했으며, 러시아어는 유럽의 여러 용어가 아르메니아어로 들어오는 통로 역할을 하기도 했다.[20]

현대 아르메니아 사회에서 예레반 방언의 영향력은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텔레비전 방송, 그중에서도 연예 프로그램에서는 표준 아르메니아어 대신 예레반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일부 언어학자들은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22][33] 예레반 내에서는 지역 방언이 다른 지방 방언보다 우월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며, 지방 방언의 단어가 표준 동아르메니아어에 더 가깝다고 하더라도 "촌스러운 말"로 취급받기도 한다.[22]

3. 방언의 특징

예레반 방언은 고전 아르메니아어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33] 음운, 형태, 어휘 등 여러 면에서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구별되는 특징들이 나타나며, 이는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음운

예레반 방언의 발음은 고전 아르메니아어와 유사하며, 자음의 세 단계를 가지고 있다.

բ bպ pփ
դ dտ tթ
գ ɡկ kք
ձ dzծ tsց tsʰ
ջճչ tʃʰ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발음 차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아래 표는 단어 "이렇게", "그렇게", "다르게"를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 예레반 방언과 카린 방언 (귬리 방언)으로 표현한 것이다.[33]

방언이렇게그렇게다르게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այսպես ayspesայդպես aydpesայնպես aynpes
예레반 방언ըսենց əsentsըտենց ətentsընենց ənents
카린 방언 (귬리)ըսպես əspesըդպես ədpesընպես ənpes



또한, 표준 아르메니아어에서 'is|~이다영어'는 'է'이지만, 예레반 방언에서는 대부분 'ա'로 발음된다.[33]

: "이 집은 크다"

:: 표준: Այս տունը մեծ է ''ays tunə mets e''

:: 예레반: Էս տունը մեծ ա ''es tunə mets a''

'~이 아니다' 역시 표준 아르메니아어와 다르다. 표준어 'չէ'는 'չի'로 발음된다.[33]

: "이 집은 크지 않다"

:: 표준: Այս տունը մեծ չէ ''ays tunə mets če''

:: 예레반: Էս տունը մեծ չի ''es tunə mets či''

3. 2. 형태

아래 표는 "이렇게", "그렇게", "다르게"라는 단어를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 예레반 방언, 그리고 아르메니아 제2의 도시 귬리에서 사용되는 카린 방언으로 비교한 것이다.[33]

방언이렇게그렇게다르게
표준 동부 아르메니아어այսպես|ayspeshyայդպես|aydpeshyայնպես|aynpeshy
예레반 방언ըսենց|əsentshyըտենց|ətentshyընենց|ənentshy
카린 방언 (귬리)ըսպես|əspeshyըդպես|ədpeshyընպես|ənpeshy



표준 아르메니아어에서 '이다'를 뜻하는 'է'(e)는 예레반 방언에서 주로 'ա'(a)로 발음된다.[22] 예를 들어 "이 집은 크다"라는 문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표준: Այս տունը մեծ է|Ays tunə mets ehy
  • 예레반: Էս տունը մեծ ա|Es tunə mets ahy


또한, '아니다'를 뜻하는 표준어 'չէ'(č'ē)는 예레반 방언에서 'չի'(č'i)로 발음된다.[22] 예를 들어 "이 집은 크지 않다"라는 문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표준: Այս տունը մեծ չէ|Ays tunə mets č'ēhy
  • 예레반: Էս տունը մեծ չի|Es tunə mets č'ihy


표준 아르메니아어 문법에서 동시 공통 활용형(''համակատար դերբայ'')은 동사 원형 끝에 '-is'를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표준 아르메니아어에서 '춤추다'라는 뜻의 동사 Պարել|Parelhy의 동시 공통 활용형은 Պարելիս|Parelishy가 된다. 하지만 예레반 방언에서는 이 형태가 동사 원형의 탈격 형태와 같은 '-uts'로 바뀌는 경우가 흔하다 (의미는 다르다). 따라서 표준 아르메니아어로 "춤추면서 먹지 마"라는 뜻의 Մի՜ կեր պարելիս|Mi ker parelishy는 예레반 방언에서 Մի՜ կեր պարելուց|Mi ker pareluts'hy가 된다.

3. 3. 어휘

예레반 방언의 어휘는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수 세기 동안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영향으로 페르시아어 단어가 문어와 구어 모두에 상당수 남아있다. 특히 에리반 칸국이 예레반과 주변 지역을 통치했던 18세기부터 1828년까지 페르시아어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1828년 러시아 제국이 예레반을 점령한 이후에는 러시아어 단어가 일상 어휘에 대거 유입되었다.[23] 일부 러시아어 차용어는 기존 아르메니아어 단어를 대체하여 구어체에서 더 흔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아랍어, 터키어, 그루지야어, 아제르바이잔어 등 주변 지역 언어에서 유래한 어휘들이 사용된다. 현대에 들어서는 영어프랑스어 등 서구 언어의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 'merci'(고맙습니다)는 1946년부터 1948년 사이 아르메니아인의 귀환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이러한 다양한 외래어의 유입은 예레반 방언 어휘의 특징적인 모습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3. 3. 1. 외래어

;러시아어

1828년 예레반 점령으로 예레반이 러시아군에 점령된 이후, 동아르메니아어에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러시아어 단어가 많이 유입되었다.[23] 오늘날 일부 아르메니아어 단어는 구어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신 러시아어 단어가 쓰인다. 러시아어 단어는 종종 러시아어와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아르메니아어처럼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둔다.[24]

예레반 요새 1827년 러시아군의 공성전은 예레반의 페르시아 통치에서 러시아 통치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는 다음과 같다.

  • մարշուտկա|marshutkahy '미니버스'는 маршрутка|marshrutkaru에서 유래했으며, 아르메니아어 երթուղային|yertughayinhy과 함께 사용된다.
  • светофор|svetaforhy '신호등', 하지만 լուսացույց|lusatsuytshy가 더 자주 사용된다.
  • клубника|klubnikahy '딸기'. 최근 몇 년 동안 ելակ|yelakhy이 더 자주 사용된다.
  • голубой|galuboyhy '게이'는 원래 '하늘색'을 의미하는 러시아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23]
  • БОМЖ|bomzhhy ('''Б'''ез '''О'''пределённого '''М'''еста '''Ж'''ительства, '주거 불명')는 '노숙자'를 의미한다.
  • диван|divanhy '소파'
  • мент|menthy '경찰'을 비하하는 용어
  • привет|privetru 십대들이 자주 사용하는 인사말
  • план|planru '마리화나'
  • вообще|vabsheru '일반적으로'


;페르시아어

수세기 동안 현재 아르메니아 공화국 영토는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다. 18세기부터 1828년까지 에리반 칸국은 예레반 시와 주변 지역을 통치했다. 오랫동안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은 결과, 오늘날에도 페르시아어 단어는 문어와 구어 모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բարակ|barakhy (좁은, 얇은) 는 باریک|barikfa에서 유래
  • շիշ|šišhy (병)는 شیشه|šišehfa (유리)에서 유래
  • չաղ|čağhy (뚱뚱한) 는 چاق|čağfa에서 유래
  • քյաչալ|k'yačalhy (대머리)는 کچل|k'ačalfa에서 유래
  • հայաթ|hayathy (마당)는 حیاط|hayatfa에서 유래
  • դորջար|dordjarhy (4륜 구동)는 dhord jarhy (백개먼에서 4-2)에서 유래
  • քուչա|k'uchahy (마당)는 كوچه|kuchehfa (거리)에서 유래


;기타

다른 언어도 구어 아르메니아어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예레반에서 흔히 사용되는 외래어이다.

단어의미원어의미언어비고
արաղ|araghhy보드카عرق|ʿáraqar땀, 발한아랍어보드카라는 단어도 자주 사용된다.
բոզ|bozhy창녀, 갈보բոզի|bozika창녀그루지야어아르메니아어 욕설 참고
զիբիլ|zibilhy쓰레기, 폐기물زبل|ziblar똥, 거름, 폐기물아랍어페르시아어 및 아제르바이잔어에서도 사용된다.
ղզիկ|ghzikhy여성스러운 소년, 겁쟁이qızaz소녀아제르바이잔어
մերսի|mersihy고맙습니다merci프랑스어고맙습니다프랑스어1946–1948년 아르메니아인의 귀환으로 아르메니아로 유입[25]
միտինգ|mitinghy시위[26]meeting영어사람들의 모임영어러시아어 митингru를 통해
չենջ|chenjhy환전소change영어변환하다영어1990년대 예레반에 첫 번째 환전소가 등장한 이후 사용됨
ջեբ|jebhy주머니جيب|jaybar주머니아랍어이 지역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며, 알바니아어, 아제르바이잔어, 불가리아어, 그루지야어, 그리스어, 헝가리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페르시아어, 터키어에서도 사용된다.
սաղ|saghhy모든, 전체, 살아있는sağtr오른쪽 (방향), 살아있는터키어 또는 아제르바이잔어
քեշ փող|kesh poghhy현금cash영어통화의 실물 형태영어2000년대 이후 사용됨


4. 사용 지역

역사적으로 이 방언은 '''아라라트 방언'''(Արարատյան բարբառ|아라라트얀 바르바르hy)으로 알려졌는데, 주로 아라라트 평원에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저명한 아르메니아 언어학자 흐라치아 아자리아의 ''아르메니아 방언 분류''에 따르면, 20세기 초 예레반 방언은 주로 예레반, 노르크, 카나케르, 에치미아진, 오샤칸, 아시타라크 마을에서 사용되었다.[14] 아자리아는 예레반 방언이 트빌리시의 하블라바르 지구와 이란 도시 타브리즈에서도 사용되었다고 지적했다.

언어학자 아라라트 가리비얀에 따르면, 이 방언은 또한 바요츠 조르, 노르 바야제트, 로리 및 스피타크 지역에서도 사용되었으며, 과거에는 수르말리 및 카그즈반에서도 사용되었다.[15] 하이카누쉬 메스로피얀은 로리가 아라라트 방언이 사용되는 가장 큰 지역이라고 주장한다.[7]

아라라트 방언은 지역적으로 구별되는 하위 방언들을 가지고 있다.[7] 예를 들어, 예레반 하위 방언은 주로 카나케르, 아린지, 즈르베즈, 노르크 및 콘드 지역과 마을에서 사용되었다.[7] 특히 1920년대까지 별도의 마을이었던 예레반의 노르크 지구는 예레반 방언의 발상지로 여겨진다.[7]

오늘날 예레반 방언은 예레반에 거주하는 최소 1백만 명의 시민이 사용하며,[30][31] 현대 아르메니아어 구어의 기반이 되고 있다. 또한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조지아의 삼츠헤자바헤티 주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들 사이에서도 교육 체계를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29] 1980년대 말 이후 해외로 이주한 아르메니아인 대부분은 예레반 방언을 사용한다.[32]

아르메니아 내에서 예레반 방언의 영향력은 점차 강해지고 있으며, 특히 텔레비전의 연예 프로그램 등에서는 표준 아르메니아어 대신 예레반 방언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언어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33]

5. 유명한 화자

이름생몰년직업/주요 경력
하차투르 아보비안1809년~1848년소설가
카렌 데미르키안1932년~1999년정치가, 아르메니아 SSR 제1서기
바즈겐 사르키샨1959년~1999년군인, 정치가
레본 아로니안1982년~체스 선수
헨리크 미키타리안1989년~축구 선수


참조

[1] 학술지 OA Portal in Armenia http://hpj.asj-oa.am[...] Armeni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3-03-16
[2]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3] 서적 Middle East,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4] 서적 World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Edward Elgar Publishing
[5] 서적 Constructing Identities, Perceiving Lives: Armeni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Identity and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6] 서적 A Reference Guide to Modern Armenian Literature, 1500–1920 https://archive.org/[...]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http://hayeren.hayas[...] Armenian State Institute of Linguistics 2013-03-02
[8] 서적
[9] 서적 Writers of Disaster: Arm. Litera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Gomidas Institute
[10] 서적 Armenian: Modern Eastern Armenian John Benjamins Pub. Co.
[11] 서적 The reception of Byron in Europe Thoemmes Continuum
[12] 학술지 Modern history abstracts, 1775-1914 American Bibliographical Center
[13]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Modern Tim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4] 서적 Հայոց լեզվի պատմություն
[15] 서적
[16] 학술지 OA Portal in Armenia http://hpj.asj-oa.am[...] Armeni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3-03-16
[17] 학술지 OA Portal in Armenia http://hpj.asj-oa.am[...] Armeni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3-03-16
[18] 뉴스 http://www.azg.am/AM[...] 2013-02-26
[19] 서적 Yerevan State University
[20] 서적 Language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학술지 Ռազմիկ Մարկոսյան, Արարատյան բարբառ, Երևան, «Լույս» հրատ., 1989, 390 էջ https://arar.sci.am/[...] 2013-03-13
[22] 뉴스 http://www.azg.am/AM[...] 2013-03-14
[23]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Elsevier
[24] 서적 Armenian: Modern Eastern Armen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25] 뉴스 http://www.armtown.c[...] 2012-12-24
[26] 서적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Transnationalism and Diaspora Routledge
[27] 학술지 Արարատյան բարբառի մի խումբ խոսվածքների հնչյունական համակարգը http://hpj.asj-oa.am[...] Armeni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3-03-16
[28] 학술지 Արարատյան և Բայազետի բարբառների փոխհարաբերությունները http://hpj.asj-oa.am[...] Armeni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3-03-16
[29] 서적 Sociolinguistic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science of language and society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30] 서적 Middle East, western Asia, and northern Africa Marshall Cavendish
[31] 서적 World Encyclopedia of Entrepreneurship Edward Elgar Publishing
[32] 서적 Constructing Identities, Perceiving Lives: Armeni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Identity and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33] 뉴스 Անապահով տարածություն http://www.azg.am/AM[...] 2013-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