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다큐 전철 50000형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다큐 전철 50000형 전동차(VSE)는 오다큐 전철의 특급 로망스카 차량으로, 하코네 특급 운행을 위해 2005년에 도입되었다. 10량 1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전면 전망석, 카페테리아, 휠체어 공간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었다. 알루미늄 합금 차체와 넓은 측면 창, 실키 화이트 색상의 디자인이 특징이며, 2006년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 2021년 퇴역이 결정되어 2022년 3월 정기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2023년 12월 10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완전히 퇴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다큐 전철의 철도 차량 - 오다큐 로망스카
오다큐 로망스카는 오다큐 전철의 특급 열차로, '로맨스 시트'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1930년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하코네, 에노시마 등 관광지로 향하는 다양한 노선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오다큐 전철의 철도 차량 - 오다큐 전철 2000형 전동차
오다큐 전철 2000형 전동차는 1995년부터 2001년까지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로, 1000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좌석 정원 확보 및 승하차 시간 단축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20m급 8량 고정 편성으로 스테인리스강 차체, 1600mm 폭의 출입문, 롱시트 좌석, LED 행선 표시기 등을 갖추고 각역 정차 및 일부 급행으로 운행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오다큐 전철 50000형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다큐 50000형 |
별칭 | Vault Super Express (VSE) |
운영 | 2005년 3월 ~ 2023년 12월 (정기 운행은 2022년에 종료) |
제조사 | 일본차량제조 |
디자인 | 오카베 노리아키 |
소속 | 로망스카 |
수상 | 블루리본상 (2006년, 49회) |
운행 노선 | |
노선 | 오다큐 오다와라 선 오다큐 에노시마 선 하코네 등산 철도선 |
운영 주체 | 오다큐 전철 |
차량 정보 | |
차량 수 | 20량 (2편성) |
편성 | 10량 편성 (전동차) |
차체 재질 | 알루미늄 합금 |
차량 길이 | 14m |
축 배치 | 2′(Bo)′(Bo)′(Bo)′(Bo)′2′(Bo)′(Bo)′(Bo)′(Bo)′2′ |
전기 시스템 | 가공 전차선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제동 장치 | 회생 제동 |
신호 장치 | ATS (OM), D-ATS-P |
성능 | |
최고 속도 | 운행 시: 설계 시: |
감속도 | 상용: 비상: |
전기 장치 | |
견인 장치 | 도시바 2레벨 IGBT-VVVF |
2. 개발 배경
VSE는 오다큐 전철의 플래그십 모델로서, 하코네 방면 특급 로망스카에 사용되던 HiSE 차량의 교체와 더불어 하코네의 매력 향상 및 활성화, 나아가 오다큐 로망스카 브랜드의 부활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디자인과 설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여 최신 기술 등을 도입하는 동시에, 과거 오다큐에서 시험했으나 채용되지 않았던 기술도 채용되었으며, 여객 설비에 대해서도 최고의 것을 목표로 했다. 객실 내 양식에서 "Vault Super Express"(줄여서 "'''VSE'''")라는 애칭이 설정되었다.
VSE는 2005년에 조명 보급상 우수 시설상(조명 학회), 굿 디자인 상 (일본 산업 디자인 진흥회), 2006년에 제49회 블루리본상 (철도 벗의 회), 아시아 디자인 대상(홍콩 디자인 센터), 2007년에 iF 디자인 상 (독일·하노버 공업 디자인 협회)을 수상했다.
2. 1. 하코네 특급 이용객 감소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거품 붕괴 이후의 경기 침체와 여행 형태 변화, 레저 다양화 등으로 인해 하코네 특급 이용자 수는 연간 5% 정도 감소하는 추세가 지속되었다. 반면 관광객 이외의 일상 이용은 증가하여, 오다큐 로망스카의 승객층에 변화가 생겼다.1987년 1,100만 명이었던 특급 연간 이용자 수는 2003년 1,400만 명으로 증가했지만, 하코네 특급 이용자 수는 대폭 감소했다. 1991년 연간 2,250만 명을 정점으로 하코네 방문 관광객은 감소 추세였고, 2003년에는 연간 1,970만 명으로 정점 대비 약 15% 감소했다. 반면 하코네 특급 이용자 수는 1987년 연간 550만 명에서 2003년 연간 300만 명으로 약 45%나 감소하여, 하코네 방문 관광객 감소보다 하코네 특급 이용자 수 감소폭이 더 컸다.
2001년 시장 조사 결과, "로망스카 이용을 검토하고 싶다"고 응답한 사람 대부분은 전망석을 그 이유로 꼽았다. 1996년 도입된 EXE차에는 "오다큐 로망스카의 이미지"였던 전망석이 없어 자가용차 등 다른 교통 수단으로 전환했다고 추정된다. EXE 차량을 본 아이가 "이런 건 로망스카가 아니야"라고 말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20]
2001년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을 시작하고, 2004년부터 증편되면서 신주쿠에서 오다와라까지 소요 시간이 오다큐 로망스카와 비슷해졌다. 이에 따라 하코네 교통 수단으로 "반드시 로망스카가 아니어도 된다"는 상황이 되었다.
2. 2. HiSE 차량 교체 필요성
2000년에 제정된 고령자, 신체장애인 등의 공공교통기관을 이용한 이동의 원활화 촉진에 관한 법률(교통 배리어 프리)에서는 대규모 갱신 시 배리어 프리화를 의무화했다. 그러나 갱신 검토 시기가 된 HiSE차량은 높은 바닥 구조로 인해 배리어 프리 대응이 어렵다고 여겨졌다. 2001년부터 새로운 특급 차량 검토가 시작되었지만, HiSE차량은 갱신 개조를 하지 않고 신형 특급 차량으로 대체하는 방향이 2002년에 결정되었다.2. 3. 외부 디자이너 기용
1991년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고텐바선 직통 특급용으로 RSE차량을 운행하였으나, JR 도카이에서는 371계 전동차를 직통용으로 제조했다.。 전문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371계 전동차의 차체 디자인은 오다큐 관계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EXE차량 설계 당시에도 외부 그래픽 디자이너를 기용했지만, RSE 차량의 교훈으로 신형 특급 차량에서는 디자인 및 설계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여 사외 디자이너를 기용하기로 했다. "전철로 1시간 정도 거리의 1박 2일 여행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인밖에 없다"는 이유로 일본 외 디자이너 대신 일본인 디자이너에게 의뢰하게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 없었던 차량을 만들겠다"는 관점에서 철도 차량 디자인 경험이 없는 디자이너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오다큐는 외부 디자이너에게 "전면 전망석 설치", "연결식 채용", "설렘을 주는 차량"의 3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이에 "종합적인 디자인을 하고 싶다", "연선 풍경 속에서 어떤 존재가 될지 생각하고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해 모든 것을 디자인하고 싶다"고 응답한 사람이 오카베 노리아키였다.。
오다큐는 "차내 거주성에 대해 다른 디자이너보다 이해도가 높고, 연선의 경관도 디자인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신형 특급 차량 디자인을 오카베에게 의뢰했다. 오카베는 철도 차량 디자인은 처음이었지만, 건조물 외에도 피아트 컨셉트카 디자인이나 대형 여객선 설계 등 교통기관 디자인 경험이 있었기에, 오다큐가 오카베를 기용한 이유를 뒷받침했다.。
3. 차량 특징
VSE는 10량 고정 편성으로, 오다큐 전철의 플래그십 모델이자 특급 로망스카로 운용되었다. 과거 오다큐에서 시험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던 기술도 최신 기술과 함께 도입되었다.
객실 내 양식에서 "Vault Super Express"(줄여서 "'''VSE'''")라는 애칭이 붙여졌다. 2005년에는 조명 보급상 우수 시설상, 굿 디자인 상, 2006년에는 제49회 블루리본상, 아시아 디자인 대상, 2007년에는 iF 디자인 상을 수상했다.
1961년부터 오다큐 전철은 차체 경사 제어 시험을 세 차례 실시했다. 처음에는 공기 용수철식 자연 진자차 시험을 진행했으나 진자 늦어짐 문제가 있었고, 1962년에는 유압식 강제 진자차 시험을 실시했으나 페일세이프 문제가 있었다. 1970년에는 공기 용수철식 강제 진자차 시험을 통해 승차감 향상 효과를 확인했지만, 곡선 진입 감지 기술이 부족했다. 1967년에는 조향 대차 시험도 실시되었다.
당시에는 통근 수송력 증강에 집중해야 했기 때문에 기술 실용화는 보류되었다. 그러나 전자 기술 발전으로 문제가 해결되어, 신형 특급 차량에 차체 경사 제어와 조향 대차를 채용하게 되었다. 2003년에는 LSE 차량을 사용해 차체 경사 제어, 고위치 공기 용수철 대차, 조향 대차, 집전 장치 변위에 대한 검증을 실시했다.
VSE 차량은 2개 편성에 35.5억엔을 투입하여 오다큐의 새로운 플래그십 모델로 등장했다.
3. 1. 차체
50000형의 차체는 이중 외피 알루미늄 구조로 제작되었다.[3] 10차체 11대차의 연접 구조이며 전후 선두 부분에는 전망석이 있다. 편성 길이는 146.8m이다. 운전실은 전망석 위에 있어서 기관사는 객실 내에서 사다리로 운전실에 오른다.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전후 선두차에는 출입문 칸막이가 없고, 3호차에는 4인 가족실이 3실 있다. 내장재로는 난연처리 목재를 많이 사용하였다.3. 2. 실내

실내는 아치형 천장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이 열차의 애칭인 "VSE"(Vault Super Express)의 유래가 되었다.[2] 객실 좌석은 주로 2+2 배열로, 좌석 간 간격(시트 피치)은 선두차가 1010mm, 중간차는 1050mm이다. 모든 좌석은 창밖을 향해 5도 기울어져 있어 승객들이 바깥 경치를 감상하기 좋게 하였다.[4] 선두차 맨 앞 좌석은 라운지처럼 가로 배치가 가능했다. 3호차에는 '살롱'이라 불리는 4인용 칸막이 좌석이 3실 설치되어 있다.[4]
내장재로는 난연 처리된 목재를 많이 사용하였고, 조명은 백색 LED를 일부 사용하였다. 객실 칸막이에는 4개 국어를 지원하는 LCD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화장실은 휠체어 및 인공 방광 이용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 3. 주요 기기
궤간은 狭軌|협궤일본어인 1067mm이며 전차선 전압은 직류 1500V이다. 영업 최고 속도는 110km/h이다. 곡선에서의 승차감을 높이기 위해 강제 차체 경사 기능 (간이 진자)을 갖추었고 연접 대차의 공기 스프링은 좌우 1개씩 높은 위치에 있다. 견인 전동기는 출력 135kW의 완전 밀폐형 유도 전동기이며 총 16개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 하부 기기에는 방음 덮개가 있다. 플래그십 모델답게 최신 기술을 도입하고 과거 오다큐에서 시험했지만 채용되지 않았던 기술도 적용되었다.운전사가 승무하는 승무원실(운전실)은 NSE차, LSE차, HiSE차와 마찬가지로 2층에 위치하며, 전망실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운전석은 중앙에 배치했다. 오다큐에서는 처음으로 속도계 등의 계기류도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글래스 콕핏 방식"을 채택했다.
운전석 정면에는 TIOS(열차 정보 오다큐형 관리 장치) 화면과 백업용 2대의 화면을 배치했으며, 운전 정보 화면은 오른쪽에, 전방과 후방을 감시하는 카메라의 모니터 화면을 왼쪽에 설치했다. 기력 및 제동을 조작하는 마스터 컨트롤러 핸들은 왼쪽에 설치했으며, 데드맨 장치와 억속 스위치는 핸들 내에 수납했다.
운전실 출입은 격납식 사다리를 사용하며, 사다리는 자동으로 펼쳐지고 수납되도록 했다. 운전석의 좌석은 운전사가 탑승할 때는 뒤를 향하고 있으며, 올라가서 착석하면 먼저 회전하여 앞을 향하고, 다시 계기반을 향해 전진한다. 훈련 운전 등에서 동승이 필요한 경우에는 운전석 뒤에 1명이 더 탑승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운전실의 창문이 모두 고정화된 것으로 인해, 후부 2곳에 비상 탈출구를 설치했다.
차장이 승무하는 승무원실(차장실)은 1호차와 10호차의 연결부 쪽에 설치했다.
주전동기는 각 전동기의 출력 분담을 낮게 억제하고 수를 늘리는 방식을 채택하여 주전동기의 회전수를 낮게 억제하여 기계음 저감을 도모했다. 채용된 주전동기는 출력 135kW의 농형 삼상 유도 전동기인 미쓰비시 전기제 MB-5110-A형으로, 회전 시의 냉각 팬 소음 억제를 도모하기 위해 냉각 방식을 완전 밀폐 자기 통풍식으로 한 저소음형 주전동기로, 오다큐에서 완전 밀폐식 주전동기 채용은 처음이다.[22] 이 주전동기는 각 전동 대차에 2대씩 장착하여, 편성 전체로는 16대 탑재되었다. 치수비는 79:19 = 4.16으로 설정했다.
제어 장치는 센서리스 벡터 제어와 새로운 공전 재점착 제어를 적용한 도시바[23]제 IGBT 소자 2레벨 VVVF 인버터 제어 장치인 SVF073-A0형[19]을 채용하여, 2・4・7・9호차에 탑재했다. 1대로 4개의 전동기를 제어하는 방식(1C4M)이다. 구동 장치는 WN 드라이브가 채용되었다.
브레이크에 대해서는, 응하중 장치・전공기 연산 기능이 있는 지연 방식의 전기 지령식으로 했다. 브레이크 압력은 TIOS를 통해 각 차축마다 요구되는 브레이크 힘에 맞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며, 모든 차축에 활주 방지 밸브를 장비했다.
VSE 차량에서는 승차감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SE차부터 HiSE차까지 지속적으로 채용되었던 연접 구조를 부활시켰다.
대차는 전동 연접 대차가 ND-735, 부수 연접 대차가 ND-735T, 부수 선두 대차가 ND-736T이다. 모두 오다큐에서 처음 채용되는 일본차량제조제 적층 고무 차축 상자 편지지지식 볼스터리스 대차이다. 차륜 지름은 선두 대차만 전망실의 천장 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762mm, 연접 대차는 860mm이다. 편성 양 끝 및 중간(5호차와 6호차 사이)만 부수 대차로, 그 외는 전동 대차이다.

차체 지지 위치를 차량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로 하기 위해, VSE 차량에서는 연접 대차에 대해 에어스프링에 의한 차체 지지 위치를 통상보다 약 1m 높은 위치로 했다.
VSE 차량에서는 곡선 주행 시의 횡압과 끽음 감소를 도모한 후, 주행 안정성의 향상을 목표로, 대차 조타 제어가 채용되었다. 이는 대차째 조타 제어를 하는 구조로, 연접 대차에 차체 경사 제어용 액추에이터와 대차 조타 제어용 댐퍼를 장착하고, 차체의 변위에 맞춰 대차가 자기 조타하는 구조가 되었다.
또한, 선두차에서는 대차의 바깥쪽 오버행 부분에도 객석이 존재하기 때문에, 승차감 향상을 위해 선두 대차에 풀 액티브 제진용 댐퍼를 장착하여, 사행동의 대폭적인 억제를 도모했다.
집전 장치의 변위, 그리고 페일 세이프 문제가 있어, 종래에는 실용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이 그 후의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해결됨에 따라 공기 용수철식 차체 틸팅 제어가 VSE 차량에 채용되게 되었다.
VSE 차량에서는 모든 대차에 차체 틸팅 제어용 액추에이터를 장비하고, 연접 대차는 최대 2도, 선두 대차는 최대 1.8도의 기울기를 수행한다. 이 기구를 통해, 곡선 주행시의 원심력을 나타내는 좌우 정적 가속도는 종래의 차량에서는 0.08G였던 것이 VSE 차량에서는 0.046G까지 감소했다.
차체 틸팅 제어의 지상 위치 검출은, 차축 회전수에서 계산된 주행 거리를, 궤도 보수용으로 설치한 지상 설비로부터 지상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데포 장치에 의해 보정하는 것으로, 지상 설비는 쿠야31 "테크노 인스펙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을 채용했다. 실제 차체 틸팅에 대해서는, 곡선에 진입한 차량부터 순서대로 기울기 제어되지만, 1호차·2호차와 9호차·10호차는 동시에 제어된다.
냉방 장치에 관해서는 3호차와 8호차를 제외하고 26.74kW (23000kcal/h의 냉동 능력)를 갖는 세퍼레이트식 냉방 장치 CU231형을 채용했다. 실내기는 출입대 지붕 위 (1호차와 10호차는 차장실 위)에 탑재했으며, 실외기는 각 차량의 바닥에 설치하여 2550mm의 천장 높이를 확보했다. 실내기에는 출력 7.5kW의 전기 히터를 2대 내장하고 있으며, 공조 장치 내에 가습 장치도 설치했으며, 가습용 물탱크가 바닥에 설치되었다.
편성 양쪽 끝의 전망실에는 5.23kW (4500kcal/h)의 냉동 능력을 갖는 세퍼레이트식 냉방 장치 CU232형을 채용, 실내기를 전망석에, 실외기는 선두 바닥에 설치했다. 실내기에는 출력 4kW의 전기 히터를 1대 내장하고 있다.
3호차와 8호차에서는 세미 집중식 냉방 장치로 5kW (4300kcal/h)의 냉동 능력을 갖는 CU195G형을 각 차량 3대 탑재했다. 출력 2.5kW의 전기 히터를 2대 내장하고 있다.
환기 장치는 전 차량에 설치하고, TIOS에 의해 승차율에 따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했다. 또한, 3호차와 8호차에서는 흡연 코너 전용 환기 장치도 설치했다.
전망실 최전방과 운전석 바깥쪽 양 옆에는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전실에 설치된 기기에 표시함으로써 운전 시야의 사각을 커버하고자 했다.
집전 장치(팬터그래프)는 차체 틸팅에 대응하여 摺板의 길이를 기존 500mm에서 750mm로 확대한 PT7113-D형 싱글 암형 팬터그래프를 채용했으며, 3호차와 8호차의 지붕 위에 2기를 탑재했다. 보조 전원 장치는 새로운 변조 방식으로 기존보다 고효율화가 이루어졌으며, 출력 210kVA의 IGBT 소자식 정지형 인버터 (IGBT-SIV)를 5호차와 6호차에 탑재했다. 전동 공기 압축기 (CP)에 관해서는 교류 스크롤식 RC1500형을 1호차・5호차・10호차에 탑재했다.
경적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공기 경적과 2대 3000・4000형과 동일한 전자 경적 외에, SE차부터 RSE차까지 설치되어 있던 보조 경보음의 음색을 리뉴얼한 뮤직 혼이 채용되었다. 뮤직 혼은 3호차와 8호차의 지붕 위에 설치된 스피커에서도 흘러나온다.
4. 운용
2005년 3월부터 신주쿠역-하코네유모토 역 구간을 중심으로 운행되었다. 2010년 기준, 신주쿠역에서 오다큐 오다와라 선 오다와라 역을 경유해서 하코네 등산철도 하코네유모토 역까지 낮 시간대에는 30분마다 특급 로망스카가 운행되었으며, 그 중 평일 5왕복, 주말 및 공휴일 6왕복이 50000형 전동차로 고정 운용되었다. 다만, 50000형 2편성 중 1편성이 다른 차량으로 대체 운행될 수도 있었다. 곡선 통과 제한 속도는 다른 차량과 동일했다. 승차 시에는 승차권과 별도의 특급권이 필요하며, 입석은 없었다. 전망석은 일반석과 별도로 배정되었고, 모든 객실은 금연이었다.
일반 특급 로망스카에서는 객차 내 판매만 이루어졌지만, VSE 차량을 사용하는 하코네 특급에서는 '로망스카 카페'를 운영하며 과거 '달리는 찻집'과 같은 좌석 서비스를 실시했다.[24] 음료는 VSE 차량 전용 유리컵으로 제공되었다.
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VSE 차량 특화 서비스가 어려워져 좌석 서비스는 다른 형식과 같은 객차 내 판매 서비스로 변경되며 폐지되었다. 동시에 카페 카운터 영업도 중지되었고, 이후에는 객차 내 판매 기지로 사용되었다.[25]
VSE 차량 전담 운전사와 차장은 사내 필기 시험과 면접 시험 합격자 중 선발되었으며, 외부 강사에 의한 호스피탈리티 마인드 교육을 받은 후 VSE 차량에 승무했다. 제복 또한 VSE 차량 전용으로 준비되었으며, 좁은 운전실 안에서도 움직이기 쉽도록 조끼를 채용했다. 승무원의 머리 위 공간 확보를 위해 모자의 휘장을 떼어내 3cm 정도의 여유를 확보했다.
차내 시트 서비스를 담당하는 '로망스카 어텐던트'에게도 VSE 차량 전용 제복이 준비되었으며, 스카프는 계절에 따라 5가지 색상이 준비되었다.
5. 연혁
- 2004년 11월 23일, 첫 번째 편성(50001×10)이 오다큐선에 입선했다. 차체는 보호 씰로 덮여 갑종 수송되었고, 11월 29일 오노 종합 차량 사업소에서 공개 행사가 열렸다.
- 2004년 12월 24일부터 시운전을 시작했고, 정기 운행으로는 입선하지 않는 에노시마선과 다마선에서도 시운전이 이루어졌다.
- 2005년 2월 6일, 두 번째 편성(50002×10)이 입선했다.
- 2005년 3월 19일, 영업 운행을 시작하여 평일 5왕복, 토요일·공휴일 6왕복의 고정 운행에 투입되었다. "하코네", "슈퍼 하코네" 하코네 특급에 특화되어 운용되었으며, "사가미", "에노시마"에서는 원칙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 2006년 9월 10일, 블루리본상 수상 기념식이 거행되었다.
- 2007년 1월 1일, "뉴 이어 익스프레스"에 투입되어 영업 운전으로는 처음으로 에노시마선에 입선했다.
- 2007년 3월 18일, 특급 로맨스카가 차내 전면 금연이 되면서 흡연 코너는 사용이 중지되었고, 이후 팸플릿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 2008년 3월, 3호차에 자동 제세동기(AED)가 설치되었다.
- 2010년 1월 20일, "홈웨이 75호"에 사용되어 영업 운전으로는 처음으로 다마선에 입선했다.
- 2010년 9월, 제2편성이 일본차량에서 D-ATS-P 설치 개조를 받았다.
- 2011년 1월, 제1편성도 D-ATS-P 설치 개조를 받았다.
- 2016년 3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에노시마선 계통의 통근 특급 "홈웨이 85호"에 사용되면서 에노시마선에 정기 운행이 처음으로 설정되었다.[26]
- 2018년, GSE차량 등장 이후에도 유지 보수 계획을 검토했으나, 차체 수리의 어려움과 주요 기기 갱신의 어려움으로 인해 조기 은퇴가 결정되었다.[27][28][29]
- 2022년 1월 29일, 50002편성은 퇴역을 기념하는 장식이 부착되었다.[8]
- 2022년 3월 11일, 정기 운행이 종료되었다.[30]
- 2023년 9월 23일과 24일, 오다큐는 두 VSE 편성이 나란히 운행하며 서로 교차하는 특별 단체 투어를 개최했다.[11] 이 투어는 50002편성의 마지막 운행이었으며, 투어 직후 해당 편성은 퇴역했다.
- 2023년 12월 10일, 50001편성이 마지막 운행을 하여 50000형의 퇴역을 알렸다.[15]
6. 수상 경력
2005년에 조명 보급상 우수 시설상(조명 학회), 굿 디자인 상 (일본 산업 디자인 진흥회)을 수상하였다. 2006년에는 제49회 블루리본상 (철도 벗의 회), 아시아 디자인 대상(홍콩 디자인 센터), 2007년에 iF 디자인 상 (독일·하노버 공업 디자인 협회)을 수상하였다.
7. 편성표
VSE는 10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차량의 형식, 번호, 탑재 기기, 대차 형식, 자중, 차내 설비, 정원은 다음과 같다.[4]
차량 번호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
명칭 | 데하 50000 (M1c) | 데하 50100 (M2) | 데하 50200 (M3) | 데하 50300 (M4) | 데하 50400 (M5) | 데하 50500 (M6) | 데하 50600 (M7) | 데하 50700 (M8) | 데하 50800 (M9) | 데하 50900 (M10c) |
중량 () | 29.7ton | 24.7ton | 25.7ton | 25.7ton | 24.5ton | 24.3ton | 25.5ton | 25.6ton | 24.6ton | 29.9ton |
정원 | 48 | 40 | 10 | 40 | 40 | 40 | 40 | 12 | 40 | 48 |
3호차와 8호차에는 카페 카운터, 남녀 공용 화장실, 남성용 화장실, 여성용 화장실, 화장실, 흡연 코너 등의 차내 서비스 설비를 집중 배치했다. 과거에 행해졌던 '달리는 찻집'과 같은 시트 서비스를 실시하게 되어, 카페 카운터는 차내 판매의 시트 서비스 거점이 되었다. 카운터 내에는 폭넓은 주문 내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커피 머신, 전자레인지, 맥주 서버, 에스프레소 머신 등을 장비하였고, 카페에서의 판매 촉진을 위해 쇼케이스를 설치했다. 또한, 좌석에서의 주문부터 제공까지 신속하게 하기 위해 HiSE 차량 이후 주문 엔트리 시스템을 채용했다. 이는 카페 카운터에 설치된 오퍼레이션 머신과 각 차량을 무선 LAN으로 연결하여, 각 차량에서 판매원이 주문 내용을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해 전송하면 카페 카운터에 주문 내용이 전송되는 방식이다.
남녀 공용 화장실은 휠체어에도 대응하며, 오스토메이트 및 베이비 침대도 갖춘 "넉넉한 화장실"로 했으며, 세면소의 커튼은 시스루 커튼으로 했다. VSE 차량에서는 오다큐 로망스카 최초로 객실 내를 전면 금연으로 하고, 3호차와 8호차의 카페 카운터 맞은편에 흡연 코너를 설치했다.
3호차와 8호차의 출입구에는 터치 패널식 표시 장치를 설치하여 하코네 관광 안내 및 전면 전망 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했다. 8호차 출입구에는 휠체어용 가동식 스텝을 설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cecar Lineup | Ltd. Exp. Romancecar | Odakyu Electric Railway"
http://www.odakyu.jp[...]
2008-05-06
[2]
웹사이트
「ロマンスカーVSE」デザイナーが明かす誕生秘話 {{!}} 特急・観光列車
https://toyokeizai.n[...]
2022-05-03
[3]
웹사이트
小田急ロマンスカーで一番映える車両「VSE」が引退を余儀なくされた理由
https://www.news-pos[...]
2022-03-24
[4]
간행물
新車速報 小田急電鉄 50000形 「VSE」
Koyusha Co., Ltd.
2005-02
[5]
웹사이트
"Ltd. Exp. Romancecar | Odakyu Electric Railway"
http://www.odakyu.jp[...]
2008-05-23
[6]
간행물
2007 小田急ロマンスカーオールガイド
Kōtsū Shimbun
2007-05
[7]
웹사이트
小田急「白いロマンスカー」VSE、早すぎる引退理由
https://toyokeizai.n[...]
2022-03-24
[8]
웹사이트
小田急ロマンスカー「VSE」に記念装飾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3-24
[9]
웹사이트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3-12
[10]
웹사이트
小田急 特急ロマンスカー「VSE」 2022年3月定期運行終了 2023年秋ごろ引退へ
https://trafficnews.[...]
Mediavague Co., ltd.
2021-12-18
[11]
웹사이트
https://railf.jp/new[...]
2023-11-04
[12]
웹사이트
https://www.odakyu.j[...]
2023-11-04
[13]
웹사이트
VSE TOUR・EVENT
https://www.odakyu.j[...]
2023-11-04
[14]
웹사이트
https://www.odakyu-t[...]
2023-11-04
[15]
웹사이트
https://railf.jp/new[...]
2023-12-10
[16]
웹사이트
皆さまに、親しんでいただきました“白いロマンスカー”がその歴史に幕を下ろします 12月10日、特急ロマンスカー・VSE(50000形)が完全引退~最後の撮影会とラストランツアーを開催、部数限定の引退記念グッズも販売~
https://www.odakyu.j[...]
2023-12-24
[17]
웹사이트
白いロマンスカー 最後の雄姿/鉄道ファン 引退惜しむ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3-12-24
[18]
웹사이트
Technical Guide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2-07-29
[19]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2020年8月臨時増刊号【特集】小田急電鉄"
"[[電気車研究会]]"
2020-08-10
[20]
뉴스
小田急EXE「いちばん地味な」ロマンスカーの実力 子供に不人気?大人になればわかる"渋い存在"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3-12-24
[21]
뉴스
小田急電鉄株式会社殿の新型特急「小田急ロマンスカー・VSE」へLED照明を納入~鉄道車両室内照明で国内初の大規模採用~
https://web.archive.[...]
東芝ライテックのプレスリリース
2005-02-25
[22]
간행물
小田急電鉄向け全密閉形主電動機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2006-01
[23]
간행물
2005年の技術成果
https://www.global.t[...]
2005-03
[24]
문서
新宿駅改札内に、[[小田急レストランシステム]]により運営されている同名の店舗がある。
[25]
문서
日中の特急について、それまでの箱根特急30分ヘッドと小田原(・御殿場・江ノ島)特急60分ヘッドを組み合わせた体勢から、両者混合による20分ヘッドに変更された。
[26]
문서
2018年3月17日以降は、LSE車(同年7月10日の運用終了まで)およびGSE車と共に「展望席付き車両」として共通運用。
[27]
뉴스
小田急ロマンスカーで一番映える車両「VSE」が引退を余儀なくされた理由
https://www.news-pos[...]
2021-12-20
[28]
뉴스
小田急ロマンスカー50000形VSEよ、永遠に わずか19年で「引退」が決まった理由とは
https://dot.asahi.co[...]
2021-12-30
[29]
뉴스
小田急「白いロマンスカー」VSE、早すぎる引退理由
https://toyokeizai.n[...]
2021-12-21
[30]
간행물
2022年3月11日(金)、特急ロマンスカー・VSEの定期運行を終了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1-12-17
[31]
간행물
特急ロマンスカー・VSE(50000形)、全2編成のうち1編成(50002×10)が9月24日に引退します 〜2編成あるからこそ可能なツアーの開催や、ラストランに向けた特設サイトでの発信を充実〜
https://www.odakyu.j[...]
小田急電鉄
2023-08-07
[32]
웹사이트
さよなら白いロマンスカー 小田急「VSE」完全引退
https://www.sankei.c[...]
2023-12-11
[33]
웹사이트
小田急50000形ロマンスカー「VSE」がラストラン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3-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