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억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억령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이다. 1570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2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임진왜란 시기에는 선조를 호종하고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이후 대사간, 도승지,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황해도 관찰사로 백성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 1601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1614년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저서로는 《만취문집》이 있으며, 글씨에도 능했다. 시호는 문숙이다.

2. 생애

오억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전후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임진왜란 발발 이전에 일본 사신의 말에서 조선 침입의 낌새를 알아차리고 왕에게 보고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지만 그의 예견대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왕의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이후 대사간, 도승지, 대사헌, 이조참판, 황해도 관찰사, 부제학, 청백리, 병조참판, 부판윤, 형조판서, 우참찬, 개성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1등(衛聖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저서로는 《만취문집》이 있으며, 글씨에도 뛰어나 초서, 예서, 전서를 모두 잘 썼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1570년(선조 3)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2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생서참봉, 예문관 검열, 호조좌랑,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 이조정랑을 거쳐 경상도안무사로 있다가 내직으로 들어와 집의, 전한, 성균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사간원 전한으로 있을 때 일본 사신을 맞아 접대했는데, 일본 사신의 말에서 조선 침입의 낌새를 알아차리고 왕에게 아뢰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후에 그의 말이 그대로 들어맞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비로소 왕의 인정을 받았다.

2. 2. 임진왜란 시기의 활동

1591년 진주사(陳奏使)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하는 도중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개성에서 선조를 호종(扈從)하였다. 의주에서 직제학(直提學)에 임명되었고, 이후 이조참의, 우부승지, 대사성을 지냈다. 사간원 전한으로 있을 때 일본 사신을 맞아 접대했는데, 일본 사신의 말에서 조선 침입의 낌새를 알아차리고 왕에게 아뢰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훗날 그의 말이 사실로 드러나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비로소 왕의 인정을 받았다.

2. 3. 임진왜란 이후의 활동

1593년(선조 26) 환도한 뒤 대사간, 도승지, 대사헌, 이조참판을 두루 역임했다. 황해도 관찰사로 있을 때 해서에 머물던 의인왕후를 위한 물자 징수가 과도해 폐단이 심하므로 이를 해결하였다.

1601년(선조 34) 부제학으로 청백리에 뽑혔고, 병조참판, 부판윤, 대사헌, 형조판서, 우참찬, 개성유수를 역임하였다.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1등(衛聖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2. 4. 평가

저서로 《만취문집》이 있다. 글씨에도 뛰어나 초서, 예서, 전서를 고루 잘 썼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오세현(吳世賢)
어머니창녕 성씨(昌寧成氏)성근(成近)의 딸
배우자남양 홍씨(南陽洪氏)홍담(洪曇)의 딸
장남오익(吳翊)
차남오정(吳靖)
3남오전(吳竱)
한흥일(韓興一)에게 출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