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용설란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설란속(Agave)은 다육질 잎과 가시, 짧은 줄기를 가진 여러해살이 식물로, 플라보노이드 등 다양한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대부분 단자결실성이며,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은 후에는 죽지만, 근경에서 곁가지가 나와 번식하기도 한다. 멕시코와 미국 남서부 건조 지역이 원산지이며, 테킬라, 섬유, 식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일부 종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설란속 - 에네켄
    에네켄은 칼날 모양의 잎이 로제트 형태로 뻗어 나오는 아가베의 일종으로, 씨앗을 생산하지 못하는 불임 잡종이며 흡지를 통해 번식하고 메스칼 생산에도 사용된다.
  • 내건성 식물 - 선인장
    선인장은 아메리카 원산의 잎이 퇴화된 다육식물로, 줄기에서 광합성을 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 가시, 꽃을 가지고, 여러 환경에 적응하여 분포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내건성 식물 - 용과
    용과는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원산의 삼각주선인장속 선인장 열매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껍질과 과육의 색이 다양한 품종이 있고, 달콤하고 약간 신맛이 나는 젤리 같은 질감의 과육과 작은 검은 씨앗이 특징이며, 비타민 C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열대 및 아열대 과일이다.
  • 유독식물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유독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용설란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Agave L.
명명자L.
기준 종Agave americana
기준 종 명명자Linnaeus, 1753
하위 분류
본문 참조. 전체 목록 참조.
이명
Allibertia Marion ex Baker
Bonapartea Haw.
× Bravanthes Cif. & Giacom.
Coetocapnia Link & Otto
Cotocapnia Link & Otto
Delpinoa H.Ross
Ghiesbreghtia Roezl
Leichtlinia H.Ross
Littaea Tagl.
Pothos Adans.
Pseudobravoa Rose
Robynsia Drapiez
Runyonia Rose
Tuberosa Heist. ex Fabr.
Zetocapnia Link & Otto
일반 정보
영어 이름Agave, Century plant
일본어 이름류제쓰란 (竜舌蘭)
아가베
스페인어 이름maguey
분류 체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외떡잎식물군
비짜루목
비짜루과
아과용설란아과

2. 화학

플라보노이드, 호모이소플라보노이드, 페놀산 등을 포함한 페놀 화합물을 일부 용설란속 식물에서 볼 수 있다.

3. 특징

용설란속 식물은 대부분 두껍고 다육질인 로제트 형태로 자라며,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톱니나 매우 날카로운 끝 가시가 있다. 잎 내부는 섬유질이 많다. 대부분의 종은 줄기가 매우 짧아서 잎이 뿌리에서 바로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용설란의 뿌리 시스템은 얕은 지하경 네트워크로, 빗물, 응결, 이슬로부터 수분을 효과적으로 포착한다. 잎 표면은 코팅되어 있어 수분 증발을 막는다. 잎은 또한 날카롭고 가시가 있어 포식자가 식물을 먹거나 물을 얻는 것을 방지하고, 고대에는 바늘로 사용될 정도로 질겼다. 수액은 산성이다.

대부분의 용설란은 단자결실성(일생에 한 번 열매를 맺는 식물)이지만, 일부 종은 다자결실성이다. 개화 시 키 큰 줄기("마스트" 또는 "''quiote''")가 자라나 짧고 관 모양의 꽃을 많이 피운다. 수분/수정 및 과일 발달 후, 단자결실성 종의 경우 원래 로제트는 죽지만, 근경에서 곁가지가 자라 새로운 개체를 형성한다. 일부 품종은 개화하기까지 60년이 걸리기도 한다.

용설란은 선인장, 알로에, 돌나물과 혼동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다른 과에 속하며 수렴 진화의 결과로 비슷한 형태를 갖게 되었다.

개화기의 아오노류제츠란(포르투갈 포르투코부, 잎은 거의 말라 있다.)


일본에서 개화한 아오노류제츠란(지바현 이즈미시, 2016년 8월 촬영).


아오노류제츠란의 꽃(오사카부립 꽃의 문화원에서 2010년 8월 촬영).

4. 분류

칼 폰 린네가 1753년에 처음 기술한 용설란속(''Agave'')은 현재 아스파라거스과 용설란아과에 속한다. 속명 ''Agave''는 "뛰어난, 고귀한"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ἀγαυόςgrc에서 유래되었는데,[3] 이는 많은 종에서 발견되는 매우 키가 큰 총상꽃차례와 관련이 있다.[4]

용설란속은 종 간 교배가 쉽고 형태적 변이가 심하여 분류가 어렵다. 과거에는 백합과, 용설란과, 수선화과 등으로 분류되기도 했다.[31]

4. 1. 주요 종


  • 아메리카 용설란( ''A. americana''): 가장 잘 알려진 종 중 하나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멕시코에서는 '마게이(maguey)'라고도 불린다. 16세기 중반경 남유럽에 도입되었으며, 잎 가장자리나 중앙에 흰색 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는 품종도 있다.[5] 일본에서는 아오노류제츠란으로 불리며, 수십 년에 한 번 꽃을 피우고 죽는다.[23]
  • 테킬라 용설란( ''A. tequilana''): 테킬라 생산에 사용되는 종으로, '블루 아가베'라고도 불린다. 멕시코 할리스코 주 등지에서 재배되며, 과당 함량이 높아 다른 아가베 종보다 더 달콤하다. 아가베 시럽의 주요 원료이기도 하다.
  • 사이잘삼( ''A. sisalana''): 섬유 작물로 재배되는 종이다.
  • 아테누아타( ''A. attenuata''): 멕시코 중부가 원산지로, 잎에 가시가 없어 정원 식물로 인기가 많다. 굽은 꽃줄기를 가지고 있어 '여우꼬리 용설란'이라고도 불린다.
  • 빅토리아-레지나에( ''A. victoriae-reginae''): 한국에서 '사사노유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관상용 종이다.
  • 뇌신 (''A. potatorum'', verschaffeltii): 다육식물로 재배되는 대표적인 종이다.
  • 길상천 (''A. parryi'' ver. ''huachucensis''): 다육식물로 관상용으로 사용된다.
  • 오색만대 ''A. univittata'' f. ''variegata''
  • 불어올림 ''A. stricta''
  • 폭포의 흰 실 ''A. schidigera''

5. 용도

윌리엄 H. 프레스콧은 1843년에 아가베의 민족식물학을 묘사했는데,[10] 아가베는 멕시코 원주민들에게 고기, 음료, 의류, 글쓰기 재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이었다고 기록했다.

용설란의 주요 식용 부위는 꽃, 잎, 줄기, 그리고 수액(''아구아미엘'')이다. 일부 종의 수액은 비누로도 사용될 수 있다.

1917년 자바 섬에서 아가베 수확

5. 1. 식용

용설란의 꽃, 잎, 줄기, 수액은 식용 가능하다. 각 용설란은 마지막 생장기에 수 킬로그램의 식용 꽃을 생산한다. 꽃이 피기 전 여름에 수확하는 줄기는 각각 수 킬로그램의 무게가 나간다. 구워 먹으면 달콤하며, 사탕수수처럼 수액 또는 ''아구아미엘''을 짜서 씹을 수 있다. 잎은 식물이 수액이 풍부한 겨울과 봄에 채집하여 먹을 수 있다.

용설란속 식물은 개화기에 이르면 영양 성장으로 축적된 전분의 당화가 일어나, 다량의 분을 포함한 액체꽃줄기로 이동한다. 멕시코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어린 꽃줄기를 사탕수수처럼 먹거나, 꽃줄기를 잘라낸 후 절단면을 움푹하게 파서 이 액체를 모아 감미료로 사용했다. 이 수액을 조린 것은 아가베 시럽 또는 마게이 시럽이라는 이름으로 감미료로 이용된다.[29]

푸른 용설란이나 테킬라 용설란 등의 수액을 발효시킨 것은 풀케이며, 선 콜럼버스 시대부터 만들어졌다. 또한 푸른 용설란이나 테킬라 용설란 등으로부터 증류주도 만들어진다.[30] 수령 수 년에서 12년의 꽃줄기를 뻗기 전 단계에서 수확하여 잎을 잘라낸 후, 비대해진 줄기 부분(잎을 잘라낸 모습이 파인애플을 닮아 '피냐()'라고 불린다)을 쪄서 당화를 일으키고, 이것을 짜서 얻은 당액을 알코올 발효시켜 증류한 것이 메스칼이라는 증류주이다. 메스칼 중에서도 멕시코의 할리스코 주 테킬라에서 만들어지는 테킬라는 세계적으로 음용되고 있다.

5. 2. 주류

풀케는 푸른 용설란이나 테킬라 용설란 등의 수액을 발효시킨 술이며, 선 콜럼버스 시대부터 만들어졌다.[30] 증류를 통해 메스칼이라는 증류주를 만드는데,[30] 이 중 멕시코 할리스코 주 테킬라 지역에서 생산되는 테킬라는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Agave azul''(블루 아가베)는 테킬라 생산에 사용된다. 2001년 멕시코 정부와 유럽 연합은 테킬라 분류와 범주에 합의했는데, 100% 블루 아가베 테킬라는 'A. tequilana' 'Weber's Blue' 아가베 식물로만, 할리스코 주에서만 생산해야 한다는 엄격한 조건이 있다. 블루 아가베는 다른 종류의 아가베보다 과당 함량이 높아 더 달콤하다.

''A. angustifolia''는 ''메스칼''과 ''풀케'' 생산에 널리 사용되며, 이 외에도 최소 10종의 다른 용설란속 종이 사용된다.

5. 3. 섬유

사이잘삼 (''A. sisalana'') 등 일부 용설란속 식물의 잎에서는 섬유를 추출한다.[11] 이 섬유는 강인하여 로프, 직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 나일론 등의 화학 섬유가 발달하기 전까지 널리 활용되었다. 아오노 용설란(''A. americana'')과 에네켄 등도 잎에서 피타 섬유를 얻을 수 있어 섬유 작물로 재배되었다.

5. 4. 기타 용도

건조된 용설란 잎은 연료로 사용하거나, 일본의 초가집처럼 지붕을 덮는 데 사용된다.[10] 건조된 꽃대는 기둥과 같은 건축 자재로도 사용되었다. 인도에서는 철도 선로를 따라 울타리로 심어지고 있다.

건조하여 얇게 자른 꽃대는 면도칼의 가죽 숫돌 대용으로 사용된다. 꽃대는 관악기인 디저리두의 재료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잎에서 짜낸 액체는 거품이 나기 때문에 비누처럼 사용된다. 멕시코의 인디오는 용설란으로 , , 바늘, 바느질이나 직물에 사용하는 등을 만들었다.

6. 연구

용설란은 프락탄의 산업 생산 원료 및 프리바이오틱스 식이 섬유로 사용될 수 있다.[13] 용설란은 프룩토올리고당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땅콩 알레르기 환자의 알레르기 면역 요법에 안전하게 적용되는 것을 돕는 자연 발생 올리고당이다.[14]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의 자연적인 서식지로 인해, 용설란은 생물 종자원 보존과 생명공학 분야에서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의 경제적 영향을 더 잘 예측하기 위한 잠재적 사용에 대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바이오에탄올 또는 바이오에너지 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15]

7. 한국에서의 용설란

한국에서는 용설란속 식물이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특히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개화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일본의 사례를 보면, 호시 약과 대학 약용 식물원에서 2018년 7월에 용설란이 개화했고,[25] 2024년에는 일본 각지에서 개화 소식이 보도되었다.[26] 주부 대학의 호리베 타카노리 준교수는 NHK와의 인터뷰에서, 용설란은 낮 기온이 30도 이상, 밤 기온이 10도에서 30도가 되면 성장이 진행되기 때문에, 최근의 온난화 경향으로 인해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날이 늘어나 일본 각지에서 용설란의 개화가 잇따른 것이 아닌가 하고 분석했다.[26]

한편, 일부 용설란 종은 야생화되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환경성에서는 "중점 대책 외래종"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26]

참조

[1] 웹사이트 agave noun https://www.oxfordle[...]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3] 웹사이트 Etymology of agave https://www.etymonli[...] 2022-08-20
[4] 웹사이트 Agave americana https://www.missouri[...] Missouri Botanical Garden 2022-08-20
[5] 웹사이트 Types of Agave—How Many Are There? https://mezcalrosalu[...] 2023-04-18
[6] 웹사이트 Types Of Agave Plants For The Garden https://plantcaretod[...] 2019-12-29
[7] 웹사이트 Agave americana http://www.missourib[...] Missouri Botanical Garden
[8] 웹사이트 USDA Plant Hardiness Zone https://planthardine[...]
[9] 서적 Environment and history: The taming of nature in the USA and South Africa https://archive.org/[...] Routledge
[10] 문서
[11] 서적 The Marana Community in the Hohokam world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12-06-01
[12] 간행물 Dorset Cereals http://www.thegrocer[...] 2011-01-16
[13] 간행물 Chapter 8 – Nondigestible Fructans as Prebiotics Academic Press 2018-01-01
[14] 간행물 Non-digestible oligosaccharides scFOS/lcFOS facilitate safe subcutaneous immunotherapy for peanut allergy 2019-04-04
[15] 간행물 Life cycle energy and greenhouse gas analysis for agave-derived bioethanol
[16]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2-08-13
[17] 뉴스 México, país de magueyes http://www.jornada.u[...] La Jornada
[18] 문서
[19] 웹사이트 数十年に一度?リュウゼツラン開花 京都・金光寺 : 京都新聞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5-09-04
[20] 문서
[21] 서적 サボテンと多肉植物
[22] 뉴스 「世紀の植物」開花 江の島・植物園でアオノリュウゼツラン http://www.kanaloco.[...] 2016-05-28
[23] 웹사이트 「神秘の花 リュウゼツラン」 http://kaede.nara-ed[...] 奈良教育大学大学院 生命・地球科学
[24] 웹사이트 リュウゼツラン http://www.biology.t[...] 東北大学・理学部・生物学科 2012-08-30
[25] 웹사이트 (薬用植物園)アオノリュウゼツランの開花状況について(7月20日更新) http://www.hoshi.ac.[...] 星薬科大学 2018-08-06
[26] 웹사이트 リュウゼツラン 数十年に1度のはずが全国で相次ぎ開花 なぜ?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08-02
[27] 웹사이트 Cactus, Agave & Yucca http://www.sbnursery[...] Silverbell Nursery 2012-09-01
[28]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Yucca and and Agave? http://www.ehow.com/[...] eHow 2012-09-01
[29] 간행물 若年成人女性におけるマゲイシロップの食後高血糖抑制効果 https://doi.org/10.5[...]
[30] 문서
[31] 웹사이트 Family Amaryllidaceae http://www.mansfield[...] 2012-08-13
[32] 서적 Hortus third: 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acmillan, New York
[33] 간행물 A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expanded asparagalean families Amaryllidaceae, Asparagaceae, and Xanthorrhoeaceae
[34] 간행물 Timing and rate of speciation in Agave (Agavac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