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계 파키스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계 파키스탄인은 우즈베키스탄 출신 조상을 둔 파키스탄인을 지칭한다. 이들은 티무르 제국과 무굴 제국과 관련이 깊다. 티무르 제국은 투르크-몽골계 군벌 티무르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파키스탄의 여러 지역에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무굴 제국은 우즈베키스탄 출신 바부르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파키스탄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다. 우즈베키스탄계 파키스탄인 중에는 수피 시인 불레 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파키스탄 관계 -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은 1998년 결성된 무장 이슬람 반대 단체로, 우즈베키스탄 정권 타도와 이슬람 국가 수립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여러 파벌로 분열되어 각국으로부터 테러 단체로 지정되었다. - 우즈베키스탄-파키스탄 관계 - 경제 협력 기구
경제협력기구(ECO)는 1985년 이란, 파키스탄, 튀르키예가 설립한 사회·경제 발전 목표의 지역 정부기구로, 1992년 7개국 추가 가입 후 회원국 경제 개발 지원, 역내 무역 증진, 무역 장벽 철폐, 세계 경제 통합 등을 목표로 다양한 분야에서 회원국 간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 - 파키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파키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우즈베키스탄계 파키스탄인 | |
---|---|
기본 정보 | |
민족 | 우즈베크인 |
다른 이름 | 라슈카리(لشکری) |
거주 지역 | 카이베르파크툰크와주 (페샤와르) FATA 발루치스탄주 펀자브주 카라치 |
언어 | 우즈베크어 다리어 우르두어 영어 |
종교 | 이슬람교 |
관련 집단 | 위구르족 키르기스족 투르크멘족 타지크족 |
인구 | |
추정 | 약 279,000명 |
추가 정보 | |
관련 사건 | 아프가니스탄계 파키스탄인 이슬람 지하드 연합 |
2. 역사
우즈베키스탄계 파키스탄인의 역사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역사적 변동, 특히 티무르 제국과 무굴 제국의 형성과 발전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14세기 티무르가 세운 티무르 제국은 현재 파키스탄 영토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며 이 지역의 문화와 민족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16세기에는 티무르의 후손인 바부르가 인도 아대륙에 무굴 제국을 건설하였고, 이 제국 역시 장기간에 걸쳐 파키스탄 지역을 통치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2. 1. 티무르 제국 (1370-1507)

티무르 제국은 14세기 말,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지역에서 투르크-몽골 계통의 군벌이었던 티무르에 의해 세워졌다. 티무르는 1370년부터 사망하는 1405년까지 제국을 다스리며 광대한 영토를 정복했다. 그는 자신을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을 부활시키는 인물로 여겼다.
티무르 제국은 현재 파키스탄의 펀자브, 발루치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길기트-발티스탄, 카슈미르 등 넓은 지역을 포함했으며, 이 지역들의 문화와 민족 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남겼다. 제국은 명나라, 킵차크 칸국 등과 활발히 교류했으며, 수도 사마르칸트는 국제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특히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울루그 베그의 통치 아래에서는 학문과 예술이 크게 발전하여 티무르 르네상스 시대를 열기도 했다.
15세기 중반 이후 제국의 세력은 약화되어, 1467년경에는 페르시아 대부분을 아크 코윤루에게 빼앗겼다. 그러나 티무르 왕조의 후예들은 중앙아시아와 인도 일부에서 '티무르 토후국'이라는 이름으로 명맥을 유지했다. 16세기 초, 페르가나(현대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티무르 왕족 바부르는 카불리스타(현대 아프가니스탄)에 기반을 마련한 뒤, 인도의 델리 술탄국을 정복하고 무굴 제국을 세워 티무르 왕조의 역사를 이어갔다.
2. 1. 1. 티무르
티무르(티무르 랭크라고도 알려짐)는 현대 우즈베키스탄 지역에서 태어난 투르크-몽골 계통의 군벌이다. 그는 1370년부터 사망하는 1405년까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티무르 제국을 건설하고 통치했다. 티무르 제국은 현재 파키스탄의 펀자브, 발루치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길기트-발티스탄, 카슈미르 등 넓은 지역을 포함했으며, 이 지역들의 문화와 민족 구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티무르는 스스로를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을 재건하는 인물로 여겼으며, 칭기즈 칸의 정당한 후계자임을 내세웠다. 이를 위해 칭기즈 칸의 가문인 보르지긴 가문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그는 명나라 및 킵차크 칸국과 활발한 교역 관계를 유지했으며, 마환이나 진성과 같은 명나라의 외교관들이 상품 교역을 위해 제국의 수도인 사마르칸트를 정기적으로 방문하기도 했다. 티무르 제국 시대, 특히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울루그 베그의 통치 기간 동안에는 학문과 예술이 크게 발전한 티무르 르네상스가 꽃피기도 했다.
1467년경, 지배 왕조였던 티무르 왕조는 페르시아 대부분의 영토를 아크 코윤루 연맹에게 빼앗겼다. 그러나 티무르 왕조의 후예들은 중앙아시아와 인도 일부 지역에서 '티무르 토후국'으로 불리는 작은 국가들을 유지하며 명맥을 이어갔다. 16세기에는 페르가나(현대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티무르 왕족인 바부르가 카불리스타(현대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정복하여 소규모 왕국을 세웠다. 이후 20년 뒤, 바부르는 이 왕국을 발판 삼아 중세 인도의 델리 술탄국을 침공하여 무굴 제국을 건국했다.
2. 1. 2. 티무르 제국의 확장과 멸망
티무르 제국은 현재의 우즈베키스탄 지역에서 태어난 투르크-몽골 계통의 군벌 티무르(티무르 랭크라고도 알려짐)에 의해 건국되었다. 그는 1370년부터 1405년 사망할 때까지 제국을 확장해 나갔다. 티무르는 자신을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을 계승하는 인물로 여겼으며, 보르지긴 가문과의 연관성을 강조했다.
티무르 제국의 영토는 현재 파키스탄의 펀자브, 발루치스탄, 카이베르 파크툰크와, 길기트-발티스탄, 카슈미르 등 여러 지역을 포함했으며, 이 지역의 문화와 민족 구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제국은 명나라 및 킵차크 칸국과 활발한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 마환과 진성과 같은 중국 외교관들이 상품 교역을 위해 제국의 수도인 사마르칸트를 정기적으로 방문하기도 했다. 특히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울루그 베그의 통치 기간 동안에는 티무르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문화적 부흥기를 맞이했다.
그러나 1467년, 지배 왕조였던 티무르 왕조는 페르시아의 대부분 영토를 아크 코윤루 연맹에게 빼앗기며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후 티무르 왕조의 후예들은 중앙 아시아와 인도 일부 지역에서 '티무르 토후국'으로 불리는 소규모 국가들을 유지하며 명맥을 이어갔다. 16세기에는 페르가나(현재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티무르 왕족인 바부르가 카불리스타(현재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기반으로 세력을 키웠다. 그는 20년 후 이를 발판 삼아 중세 인도의 델리 술탄국을 정복하고 무굴 제국을 세웠다.
2. 2. 무굴 제국 (1526-1857)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티무르 후손인 바부르는 1526년 델리 술탄국을 정복하고 무굴 제국을 세웠다.[8] 무굴 제국 시기(1526년-1857년) 동안 오늘날 파키스탄의 대부분 지역이 제국의 영토에 속해 있었다. 제국은 아크바르 시대에 기틀이 잡히고 아우랑제브 치세에 최대 영토를 이루었으나, 이후 쇠퇴하여 1857년 인도 대반란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에 의해 해체되었다.[9][10][11]이 시기 우즈베키스탄 부하라에서 이주해 온 불레 샤는 펀자브 지역의 유명한 수피 시인으로 활동했다.
2. 2. 1. 바부르
무굴 제국은 오늘날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전사 부족장인 바부르가 1526년에 건국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인접한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8] 델리 술탄국의 이브라힘 로디를 제1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물리치고 무굴 제국을 세웠다.2. 2. 2. 무굴 제국의 발전과 쇠퇴

무굴 제국은 오늘날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전사 부족장인 바부르가 1526년에 건국했다. 그는 인접한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8] 델리 술탄국의 이브라힘 로디를 제1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물리쳤다. 오늘날 파키스탄의 대부분 지역은 무굴 제국에 속했으며, 제국이 붕괴될 때까지 그 상태가 유지되었다. 무굴 제국의 구조는 바부르의 손자인 아크바르의 통치 시기인 1600년경에 확립되었다.[9]
이 제국 구조는 마지막 주요 황제인 아우랑제브가 사망한 직후인 1720년까지 지속되었으며,[10][11] 그의 치세 동안 제국은 최대 영토를 달성했다. 1760년경에는 구 델리 주변 지역으로 축소되었으며, 제국은 인도 대반란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에 의해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무굴 제국은 자신들의 왕조를 구르카니(گورکانیان|구르카니얀fa, '사위'라는 뜻)라고 불렀다.[12] "무굴(Mughal)"과 "모굴(Moghul)"이라는 용어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에서 "몽골"을 변형한 것으로, 티무르 왕조의 몽골 기원을 강조했다.[13] 이 용어는 19세기에 통용되었지만, 인도학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14] 제국을 지칭하기 위해 "Mogul"과 "Moghul"을 포함하여 유사한 음역이 사용되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부르의 조상들은 그들이 투르크-몽골 문화보다는 페르시아 문화에 지향했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몽골인들과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무굴 제국은 스스로 몽골 제국의 창시자인 칭기즈 칸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16]
3. 주요 인물
3. 1. 불레 샤
불레 샤는 펀자브 출신의 수피 시인으로, 그의 조상은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출신의 이민자이다.참조
[1]
논문
Systematic review of spell-checkers for highly inflectional languages
Artificial Intelligence Review
[2]
뉴스
Pakistan's 'fanatical' Uzbek militants
https://www.bbc.com/[...]
2022-06-09
[3]
간행물
Afghan Refuge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http://www.fas.org/s[...]
[4]
서적
Long Years of Exile: Central Asian Refugee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5]
서적
Espace populations sociétés
https://books.google[...]
Université des sciences et techniques de Lille, U.E.R. de géographie
[6]
웹사이트
Islamist Uzbeks lead terrorists in Pakistan and Afghanistan – Generational Dynamics
https://web.archive.[...]
2010-05-16
[7]
간행물
"THE DEATH KNELL FOR FOREIGN FIGHTERS IN PAKISTAN?"
CTC Sentinel Journal, Combating Terrorism Center at Westpoint University
2014-11-12
[8]
서적
South A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0]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1]
서적
The Mughal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Baburnama: Memoirs of Babur, Prince and Emperor
Modern Library
[13]
서적
The Venture of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서적
Reading Asia: New Research in Asian Stud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God and Logic in Islam: The Caliphate of Reason
[16]
서적
Turko-Persia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간행물
Afghan Refuge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http://www.fas.org/s[...]
[18]
웹사이트
Islamist Uzbeks lead terrorists in Pakistan and Afghanistan - Generational Dynamics
http://www.generatio[...]
[19]
서적
Karlugh Turks
Jessie Russell, Ronald Cohn
[20]
웹인용
Karlugh Turks
https://www.ozon.ru/[...]
[21]
뉴스
Pakistan's 'fanatical' Uzbek militants
https://www.bbc.com/[...]
2022-06-09
[22]
간행물
Afghan Refuge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http://www.fas.org/s[...]
[23]
서적
Long Years of Exile: Central Asian Refugee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4]
서적
Espace populations sociétés
https://books.google[...]
Université des sciences et techniques de Lille, U.E.R. de géographie
[25]
웹인용
Islamist Uzbeks lead terrorists in Pakistan and Afghanistan - Generational Dynamics
https://web.archive.[...]
2010-05-16
[26]
간행물
"THE DEATH KNELL FOR FOREIGN FIGHTERS IN PAKISTAN?"
Combatting Terrorism Center at Westpoint University
2014-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