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의 비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상의 비교는 두 범주 사이의 함자를 통해 정의되는 엉성함과 섬세함의 개념을 다룬다. 특히 위상 함자의 경우, 집합 위의 위상을 비교하여, 한 위상이 다른 위상보다 엉성하거나 섬세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는 이산 위상과 비이산 위상, 그리고 열린 집합, 기저, 부분 기저, 덮개, 필터, 가측 공간 등 다양한 위상 구조에 적용된다. 위상들의 집합은 완비 격자를 이루며, 이산 위상과 자명 위상을 각각 최대 및 최소 원소로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위상의 비교 |
---|
2. 정의
두 범주 , 사이의 함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범주 를 생각할 수 있다.
- 의 대상은 인 대상 이다.
- 의 사상은 인 사상 이다.
가 충실한 함자라면, 는 얇은 범주이며, 이는 위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들의 범주로 생각할 수 있다.
는 얇은 범주이므로,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가 존재한다.
:
이 관계를 '''엉성함'''이라고 한다.[5] 즉, 만약 속에서 사상 가 존재한다면, 이 보다 더 '''엉성한'''(coarser영어) -구조이며, 반대로 는 보다 더 '''섬세한'''(finer영어) -구조이다.
이 정의는 특히 위상 함자 에 대하여 적용된다.
에서 만약 최대 원소(즉, 가장 엉성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비이산 -구조'''(indiscrete -structure영어)라고 한다. 반대로, 에서 만약 최소 원소(즉, 가장 섬세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이산 -구조'''(discrete -structure영어)라고 한다.
집합 위의 위상은 "열린" 것으로 간주되는 부분 집합들의 모음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정의는 "닫힌" 것으로 간주되는 부분 집합들의 모음이다. 이 두 가지 위상 정의 방법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왜냐하면 열린 집합의 여집합은 닫혀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정확성을 위해 위상을 위상 공간의 '''열린 집합'''의 집합으로 생각해야 한다.
2. 1. 엉성한 위상과 섬세한 위상
집합 X 위의 두 위상 τ₁과 τ₂에 대해, τ₁ ⊆ τ₂ 이면 τ₁은 τ₂보다 엉성한(coarser, weaker, smaller) 위상이고, τ₂는 τ₁보다 섬세한(finer, stronger, larger) 위상이라고 정의한다.[1]만약 추가적으로
:
이면, τ₁은 τ₂보다 엄격하게 엉성한 위상이고, τ₂는 τ₁보다 엄격하게 섬세한 위상이라고 한다.
이진 관계 ⊆는 X에 대한 모든 가능한 위상의 집합에 부분 순서 관계를 정의한다.
흔히 위상수학에서는 엉성한/섬세한 위상 대신 "약한/강한 위상"(weaker/stronger topology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반대로 해석학에서는 "강한/약한 위상"(stronger/weaker topology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6]
집합 위의 두 위상 (열린집합의 족)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6]
- 이 보다 더 엉성하다. 즉, 항등 함수 이 연속 함수이다.
- 이다. 즉, 항등 함수 가 열린 함수이다.
2. 2. 엄격하게 엉성한/섬세한 위상
집합 ''X''에 대한 두 위상 τ₁과 τ₂에 대하여, τ₁ ⊆ τ₂ 이면서 τ₁ ≠ τ₂ 이면, τ₁은 τ₂보다 엄격하게 엉성한 위상이고, τ₂는 τ₁보다 엄격하게 섬세한 위상이라고 한다.2. 3. 이산 위상과 비이산 위상
X에 대한 가장 섬세한 위상은 이산 위상이며, 이 위상은 모든 부분 집합을 열린 집합으로 만든다. X에 대한 가장 거친 위상은 자명 위상이며, 이 위상은 공집합과 전체 공간만을 열린 집합으로 허용한다.[6]3. 범주론적 정의
범주 , 사이의 함자 가 주어졌을 때,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범주 를 생각할 수 있다.
- 의 대상은 인 대상 이다.
- 의 사상은 인 사상 이다.
가 충실한 함자라면, 는 얇은 범주이며, 이는 위에 존재할 수 있는 -구조들의 범주로 생각할 수 있다.
는 얇은 범주이므로, 그 위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가 존재한다.
:
이 관계를 '''엉성함'''이라고 한다.[5] 만약 속에서 사상 가 존재한다면, 이 보다 더 '''엉성한'''(coarser영어) -구조이며, 반대로 는 보다 더 '''섬세한'''(finer영어) -구조이다.
이 정의는 특히 위상 함자 에 대하여 적용된다.
에서 최대 원소(가장 엉성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비이산 -구조'''(indiscrete -structure영어)라고 한다. 반대로, 최소 원소(가장 섬세한 -구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의 '''이산 -구조'''(discrete -structure영어)라고 한다.
3. 1. 위상 공간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에서 집합과 함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는 위상 함자이며 따라서 충실한 함자이다. 따라서 이 경우 더 '''엉성한 위상'''과 더 '''섬세한 위상'''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위상 (열린집합의 족)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6]
- 이 보다 더 엉성하다. 즉, 항등 함수 이 연속 함수이다.
- 이다. 즉, 항등 함수 가 열린 함수이다.
주어진 집합 위의 위상들은 완비 격자를 이룬다.
흔히, 위상수학에서는 엉성한/섬세한 위상 대신 "약한/강한 위상"(weaker/stronger topology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반대로 해석학에서는 "강한/약한 위상"(stronger/weaker topology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3. 2. 기저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하자.그렇다면 은 의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룬다.
집합 위의 두 기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이 보다 더 엉성하다.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은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3. 3. 부분 기저
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 범주 를 생각할 수 있다.그러면 위와 같이 섬세한/엉성한 부분 기저를 정의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부분 기저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이 보다 더 엉성하다.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인 자연수 및 가 존재한다.
-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은 에 의해 생성되는 위상 보다 더 엉성하다.
주어진 집합 위의 부분 기저들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
3. 4. 덮개와 유계형 집합
구체적 범주 \(\operatorname{Cove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operatorname{Cover}\)의 대상 \((X,\mathcal C)\)는 집합 \(X\)와 그 위의 덮개 \(\mathcal C\subseteq\mathcal P(X)\)의 순서쌍이다.
- \(\operatorname{Cover}\)의 사상 \(f\colon(X,\mathcal C_X)\to(Y,\mathcal C_Y)\)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 \(\forall C_X\in\mathcal C_X\exists C_Y\in\mathcal C_Y\colon f(C_X)\subseteq\mathcal C_Y\)
같은 집합 \(X\) 위의 두 덮개 \(\mathcal C\)와 \(\mathcal C'\) (\(\mathcal C,\mathcal C'\subseteq\mathcal P(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mathcal C'\)이 \(\mathcal C\)보다 더 엉성하다.
- \(\mathcal C'\)은 \(\mathcal C\)의 세분이다.
유계형 집합의 범주 \(\operatorname{BornSet}\)은 \(\operatorname{Cover}\)의 충만한 부분 범주를 이루며, 따라서 위와 같은 정의를 사용할 수 있다.
3. 5. 필터
집합 와 위의 필터 기저 로 이루어진 대상 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를 사상으로 갖는 범주 를 생각할 수 있다.:
집합 위의 두 필터 기저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이 보다 더 엉성하다.
- 이다. 여기서 는 필터 기저로 생성되는 필터(즉, 상폐포)를 뜻한다.
3. 6. 가측 공간
가측 공간과 가측 함수의 범주에서 집합과 함수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는 위상 함자이며, 따라서 이 경우 더 섬세한/엉성한 가측 공간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1]
4. 성질
집합 위의 두 위상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6]
- 이 보다 더 엉성하다. 즉, 항등 함수 이 연속 함수이다.
- 이다. 즉, 항등 함수 가 열린 함수이다.
주어진 집합 위의 위상들은 완비 격자를 이룬다.
흔히 위상수학에서는 "약한/강한 위상"(weaker/stronger topology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반대로 해석학에서는 "강한/약한 위상"(stronger/weaker topology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집합 ''X''에 두 개의 위상 ''τ''1과 ''τ''2가 있을 때, 다음 명제들은 서로 동치이다.
- ''τ''1 ⊆ ''τ''2
- 항등 사상 idX : (''X'', ''τ''2) → (''X'', ''τ''1)은 연속 사상이다.
- 항등 사상 idX : (''X'', ''τ''1) → (''X'', ''τ''2)는 강하게/상대적으로 열린 사상이다.
(항등 사상 idX는 전사이므로, 강하게 열린 사상인 것은 상대적으로 열린 사상인 것과 동치이다.)
위의 동치 명제에서 즉시 도출되는 따름 정리는 다음과 같다.
- 연속 사상 ''f'' : ''X'' → ''Y''는 ''Y''의 위상이 ''더 거칠어지거나'' ''X''의 위상이 ''더 미세해져도'' 연속성을 유지한다.
- 열린 (또는 닫힌) 사상 ''f'' : ''X'' → ''Y''는 ''Y''의 위상이 ''더 미세해지거나'' ''X''의 위상이 ''더 거칠어져도'' 열린 (또는 닫힌) 사상으로 남는다.
근방 기저를 사용하여 위상을 비교할 수도 있다. 집합 ''X''에 두 개의 위상 ''τ''1과 ''τ''2가 있고, ''B''''i''(''x'')가 ''x'' ∈ ''X''에 대한 위상 ''τ''''i''의 국소 기저라고 하자(''i'' = 1,2). 그러면 ''τ''1 ⊆ ''τ''2는 모든 ''x'' ∈ ''X''에 대해, ''B''1(''x'')의 각 열린 집합 ''U''1이 ''B''2(''x'')의 어떤 열린 집합 ''U''2를 포함하는 것과 동치이다. 직관적으로, 더 미세한 위상은 더 작은 근방을 가져야 한다.
5. 위상의 격자
위상 함자에서는 시작 구조와 끝 구조가 항상 존재한다. 이들의 존재로 인하여, 주어진 집합 위의 모든 위상들의 집합은 완비 원격자를 이룬다.[2] 즉, ''X''상의 위상들의 모든 모임은 ''만남''(또는 하한)과 ''결합''(또는 상한)을 갖는다. 위상들의 모임의 만남은 그러한 위상들의 교집합이다. 그러나 결합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위상들의 합집합은 아니며(두 위상의 합집합은 위상이 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합집합에 의해 생성된 위상이다.
모든 완비 격자는 유계 격자이기도 하며, 이는 최대 원소와 최소 원소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상의 경우, 최대 원소는 이산 위상이고 최소 원소는 자명 위상이다.
집합 상의 위상의 격자는 보수 격자이다. 즉, 상의 위상 가 주어지면, 교집합 이 자명 위상이고 합집합 에 의해 생성된 위상이 이산 위상이 되는 상의 위상 가 존재한다.[3][4]
집합 가 세 개 이상의 원소를 가지면, 상의 위상의 격자는 모듈러 격자가 아니며, 따라서 분배 격자도 아니다.
6. 한국의 정보 격차 해소와 위상수학
더불어민주당은 정보 격차 해소를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있으며, 다양한 계층의 국민들이 정보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상수학의 개념, 특히 엉성함과 섬세함은 정보의 구조화와 관련된 정책 수립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참조
[1]
문서
There are some authors, especially analysts, who use the terms ''weak'' and ''strong'' with opposite meaning (Munkres, p. 78).
[2]
논문
The lattice of topologies: A survey
1975
[3]
논문
The lattice of topologies: Structure and complementation
1966
[4]
논문
The Lattice of all Topologies is Complemented
1968
[5]
서적
Foundations of topology: an approach to convenient top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2
[6]
서적
Topology
http://www.pearsonhi[...]
Prentice Ha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