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치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치한은 벨라루스 출신의 해머던지기 선수이다.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03년 파리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지만, 도핑 재검사 결과로 메달이 박탈되었다.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으나 도핑 위반으로 금메달을 박탈당했다. 이후 200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 2007년 오사카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나, 여러 차례 도핑 위반으로 메달과 기록이 박탈되는 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흐로드나주 출신 - 잘만 샤자르
잘만 샤자르는 이스라엘의 정치인, 작가, 언론인으로서 이스라엘 독립 선언 초안 작성에 기여하고 교육부 장관을 지냈으며, 1963년부터 1973년까지 이스라엘의 제3대 대통령을 역임하면서 국제 사회와의 교류에 힘썼다. - 흐로드나주 출신 -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는 폴란드의 축구 감독으로, 폴란드 클럽 팀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하며 엑스트라클라사 우승과 2022년 FIFA 월드컵 토너먼트 진출을 이끌었다. - 벨라루스의 남자 해머던지기 선수 - 바실리 루덴코프
바실리 루덴코프는 벨라루스 출신의 해머던지기 선수로,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벨라루스의 남자 해머던지기 선수 - 로무알드 클림
벨라루스 출신 해머던지기 선수 로무알드 클림은 올림픽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2011년 사망했다. - 벨라루스의 유니버시아드 금메달리스트 - 멜리치나 스타뉴타
멜리치나 스타뉴타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리듬 체조 선수로, 2010년과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종합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가 2020년 시위 참여 후 망명했다. - 벨라루스의 유니버시아드 금메달리스트 - 비탈리 셰르보
벨라루스 체조 선수 비탈리 셰르보는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립 국가 연합 대표로 6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최다관왕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고, 2009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반 치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프로필 | |
![]() | |
본명 | 이반 그리고라비치 치한 |
원어 이름 | Іва́н Рыго́равіч Ці́хан (벨라루스어) |
로마자 표기 | Ivan Ryhoravich Tsikhan (벨라루스어) |
러시아어 표기 | Иван Тихон |
국적 | 벨라루스 |
출생일 | 1976년 7월 24일 |
출생지 | 흘로우세비치, 스우오님 지구, 소비에트 연방 |
신장 | 1.86m |
체중 | 110kg |
종목 | 해머 던지기 |
코치 | 세르게이 리트비노프 |
소속 클럽 | 디나모 흐로드나 |
개인 최고 기록 | 84.51m (2008년) |
올림픽 | |
2004 아테네 | 실격 |
2008 베이징 | 동메달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은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03 파리 | 금메달 |
2005 헬싱키 | 실격 |
2007 오사카 | 금메달 |
유럽 선수권 대회 | |
2006 예테보리 | 실격 |
2016 암스테르담 | 은메달 |
IAAF 월드컵 | |
2006 아테네 | 은메달 |
IAAF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 |
2003 모나코 | 동메달 |
2004 모나코 | 실격 |
2005 모나코 | 실격 |
2006 슈투트가르트 | 은메달 |
2007 슈투트가르트 | 금메달 |
유니버시아드 | |
2003 대구 | 금메달 |
2. 어린 시절
치한은 현재의 벨라루스 흐로드나주 슬로님구에 위치한 흘로우세비치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현재 흐로드나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의 아내인 볼하는 원반던지기 선수이다. 이들 부부 사이에는 이반이라는 아들이 있다. 치한은 전 올림픽 챔피언인 세르게이 리트비노프의 지도를 받았다.
벨라루스의 해머던지기 선수인 이반 치한은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3회 우승 등 화려한 경력을 가졌으나, 여러 차례의 도핑 위반으로 인해 주요 메달을 박탈당하는 등 논란이 많은 선수 생활을 보냈다.
3. 스포츠 경력
그는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를 시작으로 국제 무대에 등장했으며,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03년 파리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첫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후 2004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우승,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우승, 2008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 2005년 세계 선수권 금메달, 2006년 유럽 선수권 금메달,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동메달 등이 도핑 샘플 재검사 결과로 박탈되거나 번복되는 과정을 겪었다.[1][11][18][19]
도핑 논란에도 불구하고 선수 생활을 이어가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1][7]연도 최고 기록 장소 날짜 1992 55.91m 1992년 5월 6일 1993 61.32m 1993년 7월 13일 1994 62.66m 1994년 1월 1일 1995 66.84m 1995년 1월 1일 1996 75.32m 민스크 1996년 7월 13일 1997 77.46m 투르쿠 1997년 7월 11일 1998 78.03m 생드니 1998년 6월 4일 1999 70.37m 1999년 9월 4일 2000 79.85m 민스크 2000년 6월 27일 2001 78.73m 브레스트 2001년 6월 8일 2002 79.04m 민스크 2002년 6월 29일 2003 84.32m 민스크 2003년 8월 8일 2004 84.46m 민스크 2004년 5월 7일 2006 81.12m 슈투트가르트 2006년 9월 10일 2007 83.63m 오사카 2007년 8월 27일 2008 84.51m 그로드노 2008년 7월 9일 2012 82.81m 브레스트 2012년 5월 25일 2015 77.46m 예리노 2015년 7월 24일 2016 80.04m 그로드노 2016년 6월 24일 2018 75.79m 베를린 2018년 8월 7일
3. 1. 초기 경력
치한은 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했지만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결선에서는 같은 벨라루스 선수인 바딤 데뱌톱스키와 함께 공동 3위를 기록했으나, 예선 기록이 데뱌톱스키보다 저조하여 최종 순위는 4위로 결정되었다.[1] 이후 200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6위, 2002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9위를 기록했다.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지만 결선에는 오르지 못했다.
3. 2. 전성기
2003년은 치한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된 해였다. 그는 처음으로 해머던지기에서 80m의 벽을 넘었으며,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83.03m를 던져 생애 첫 세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같은 해 대한민국 대구에서 열린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도 우승했고, 헝가리 솜버트헤이에서 열린 초대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8월에는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84.32m라는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다.
200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79.81m를 기록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2012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그의 2004년 도핑 샘플을 재검사한 결과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을 확인하고 메달을 박탈했다.[1][11][15] 올림픽 이후 열린 2004년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에서는 은메달을 차지했으며, 8월 민스크에서 개인 최고 기록을 84.46m로 다시 경신했다.[1]
2005년, 그는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83.89m를 기록하며 대회 2연패를 달성했고,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05년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에서도 우승했다. 하지만 이후 도핑 위반 사실이 드러나면서 이 두 대회에서 획득한 금메달은 모두 박탈되었다.[18] 같은 해 7월, 벨라루스 브레스트에서 열린 벨라루스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는 86.73m를 기록하며 당시 유리 세디흐가 보유하고 있던 세계 기록(86.74m)에 불과 1cm 차이로 근접하기도 했으나,[1][5] 이 기록 역시 도핑으로 인한 기록 말소 기간(2004년 8월 22일 ~ 2006년 8월 21일)에 해당되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19]
2006년에는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열린 2006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이 금메달 역시 도핑 위반으로 박탈되었다. 2006년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과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6년 IAAF 월드컵에서는 각각 2위를 차지했다.[6] 이 해 그의 시즌 최고 기록은 81.12m였다.[6]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치한의 2004년 8월 22일부터 2006년 8월 21일까지의 모든 기록을 도핑 위반으로 말소 처리했다.[19]
2007년,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83.64m를 기록하며 통산 세 번째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 기록은 그의 2007년 시즌 최고 기록이기도 했다. 그는 같은 해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2007년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에서도 다시 한번 우승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6]
2008년 7월, 벨라루스 그로드노에서 84.51m의 개인 최고 기록을 세웠다.[19] 같은 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81.51m를 던져 3위를 기록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1][6] 그러나 경기 종료 후 실시된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이 나와 IOC로부터 메달 박탈 처분을 받았다. 치한은 이에 불복하여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고, 2010년 6월 10일 CAS는 IOC의 처분을 취소하여 치한은 동메달을 되찾게 되었다.[1]
하지만 도핑 논란은 계속되었다. 2012년 8월,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5년 대회에서 채취했던 그의 도핑 샘플을 새로운 기술로 재검사한 결과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이 다시 확인되어, 그는 2012년 런던 올림픽 출전이 금지되었다.[16] 이 재검사 결과에 따라 2012년 12월,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이 공식적으로 박탈되었다.[17] 또한 2013년 3월에는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샘플 재검사에서도 도핑 위반이 재확인되어 당시 획득했던 금메달마저 박탈당했다.[18]
여러 차례의 도핑 파문에도 불구하고 치한은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에 벨라루스 대표로 출전하여 77.79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1][7] 그는 이 대회의 폐막식에서 벨라루스 선수단의 기수를 맡기도 했다.[8]
3. 3. 후기 경력
2015년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71.88m를 기록하며 21위에 머물렀다. 2016년에는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된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78.84m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올림픽에 벨라루스 대표로 출전하여 77.79m를 던져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1][7] 그는 이 대회의 폐막식에서 벨라루스 선수단의 기수를 맡기도 했다.[8]
2018년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는 75.79m를 기록하여 6위를 차지했다. 2021년에 개최된 올림픽에서는 74.57m의 기록으로 18위에 올랐다.
4. 도핑 위반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해머던지기 종목에 출전하여 79.81m를 기록, 무로후시 코지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2012년 5월, 당시 채취했던 도핑 샘플을 재검사한 결과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11][16] 이로 인해 치한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으며,[11][16] 같은 해 12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그의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을 박탈했다.[1][11][12][15][17]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2013년 3월 당시 샘플 재검사 결과 도핑 위반이 다시 확인되어 금메달이 박탈되었다.[1][18] 2006년 예테보리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금메달 역시 도핑 위반으로 박탈되었다.
이러한 도핑 위반 적발에 따라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2014년 4월, 치한의 2004년 8월 22일부터 2006년 8월 21일까지의 모든 기록을 공식적으로 말소 처리했다.[19] 이 조치로 인해 그의 개인 최고 기록은 2008년 7월 9일에 기록한 84.51m가 되었다.[19]
한편,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81.51m를 기록하며 3위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경기 후 도핑 검사에서 같은 벨라루스 출신 은메달리스트 바딤 데뱌토프스키와 함께 비정상적인 수준의 테스토스테론 양성 반응을 보였다.[9] IOC는 두 선수의 메달을 박탈했으나, 이들은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다.[9] 2010년 6월, CAS는 도핑 검사 절차상의 불일치를 이유로 치한의 메달 박탈 결정을 취소하여 동메달을 되찾게 되었다.[10] 하지만 CAS는 이 판결이 "무죄 방면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며, 도핑 혐의 자체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님을 분명히 했다.[11]
5. 개인 최고 기록
개인 최고 기록은 2008년 7월 9일 벨라루스 흐로드나에서 세운 84.51m이다.[6] 이 기록은 당시 해머던지기 세계 역대 6위에 해당한다.
6. 주요 대회 성적
wikitext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비고 |
---|---|---|---|---|---|---|
1997 | 세계 선수권 대회 | 아테네 (그리스) | 해머던지기 | - (결선) | 기록 없음 | 결선 진출했으나 기록 없음 |
1997 | 유럽 U23 육상 선수권 대회 | 투르쿠 (핀란드) | 해머던지기 | 1위 | 77.46m | |
1998 | 유럽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해머던지기 | - (예선) | 결선 진출 실패 | |
2000 | 올림픽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해머던지기 | 4위 | 79.17m | [1] |
2001 | 세계 선수권 대회 | 에드먼턴 (캐나다) | 해머던지기 | 23위 (예선) | 74.43m | 결선 진출 실패 |
2001 | 유니버시아드 | 베이징 (중국) | 해머던지기 | 6위 | ||
2002 | 유럽 선수권 대회 | 뮌헨 (독일) | 해머던지기 | 9위 | 77.86m | |
2003 | 세계 선수권 대회 | 파리 (프랑스) | 해머던지기 | 1위 | 83.05m | |
2003 | 유니버시아드 | 대구 (대한민국) | 해머던지기 | 1위 | 82.77m | |
2003 |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 솜버트헤이 (헝가리) | 해머던지기 | 3위 | 80.84m | |
2004 |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해머던지기 | 실격 ( | 79.81m | 도핑으로 메달 박탈[1][11] |
2004 |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 모나코 | 해머던지기 | 2위 | ||
2005 | 세계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해머던지기 | 실격 ( | 83.89m | 도핑으로 메달 박탈[1][5] |
2005 |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 솜버트헤이 (헝가리) | 해머던지기 | 실격 ( | 도핑으로 메달 박탈[1][5] | |
2006 | 유럽 선수권 대회 | 예테보리 (스웨덴) | 해머던지기 | 1위 | ||
2006 |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해머던지기 | 2위 | 81.12m | [6] |
2006 | IAAF 월드컵 | 아테네 (그리스) | 해머던지기 | 2위 | 80m | |
2007 | 세계 선수권 대회 | 오사카 (일본) | 해머던지기 | 1위 | 83.63m | [6] |
2007 | 월드 애슬레틱스 파이널 | 슈투트가르트 (독일) | 해머던지기 | 1위 | 82.05m | [6] |
2008 |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해머던지기 | 3위 | 81.51m | [1][6] |
2015 | 세계 선수권 대회 | 베이징 (중국) | 해머던지기 | 21위 (예선) | 71.88m | |
2016 | 유럽 선수권 대회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해머던지기 | 2위 | 78.84m | |
2016 | 올림픽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해머던지기 | 2위 | 77.79m | [1][7] |
2018 | 유럽 선수권 대회 | 베를린 (독일) | 해머던지기 | 6위 | 75.79m | |
2021 | 올림픽 | 도쿄 (일본) | 해머던지기 | 18위 (예선) | 74.57m |
참조
[1]
웹사이트
Ivan Tikhon
https://web.archive.[...]
[2]
뉴스
86.74 is going to stand for a long time
http://www.espn.com/[...]
ESPN
2011-06-16
[3]
문서
Also spelled as Ivan Grigoryevich Tikhon, Іва́н Рыго́равіч Ці́хан, Łacinka: Ivan Ryhoravič Cichan
[4]
웹사이트
Tsikhan's 2003 World Championships win
https://www.cbc.ca/s[...]
[5]
웹사이트
Report of Tikhan's 86.73 throw
http://www.iaaf.org/[...]
[6]
웹사이트
Ivan Tsikhan
https://www.iaaf.org[...]
[7]
웹사이트
Men Hammer Throw – Standings
https://www.rio2016.[...]
2016-08-22
[8]
웹사이트
The Flagbearers for the Rio 2016 Closing Ceremony
https://www.olympic.[...]
2016-08-22
[9]
웹사이트
Belarusians appeal Olympic doping violations
https://www.espn.com[...]
2009-01-06
[10]
뉴스
CAS Reinstates Medals for Hammer Throwers
http://old.seattleti[...]
Seattle Times
2016-05-25
[11]
뉴스
Olympics 2012 drugs: Hammer thrower withdrawn over Athens test
https://www.bbc.co.u[...]
2012-08-05
[12]
웹사이트
IOC disqualifies four medallists from Athens 2004 following further analysis of stored samples
http://www.olympic.o[...]
2012-12-05
[13]
문서
Ivan Tsikhan
[14]
웹사이트
REVISION OF RESULTS FOLLOWING SANCTIONS OF TSIKHAN AND OSTAPCHUK
http://www.iaaf.org/[...]
2014-04-27
[15]
웹사이트
IOC、アテネ五輪4メダル剥奪 ドーピング再検査で
http://www.47news.jp[...]
2012-12-06
[16]
웹사이트
チホン、陽性反応で出場せず 男子ハンマー投げ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2-08-03
[17]
웹사이트
IOC、アテネ五輪の4メダル剥奪 ドーピング再検査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12-16
[18]
웹사이트
ハンマーのチホンら6人検体再検査で違反
https://www.nikkei.c[...]
日刊スポーツ
2013-03-08
[19]
웹사이트
ATHLETE PROFILE IVAN TSIKHAN
http://www.iaaf.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