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국유철도 C10형 증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국유철도 C10형 증기 기관차는 1930년 불황 속에서 경제성과 효율성을 중시하여 근교 여객 열차용으로 제작된 기관차이다. 23량이 가와사키 차량과 기샤세이조에서 제작되었으며, 2-6-4형 차륜 배치를 통해 대형 기관차에 가까운 성능을 발휘했다. 초기에는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운용되었으나, 전철화와 C11형 기관차의 등장으로 1960년부터 1962년 사이에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현재는 C10 8번 차량이 오이가와 철도에서 동태 보존되어 운행 중이며, 드라마, 게임, CM 등에도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증기 기관차 -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는 일본 최초의 퍼시픽형 축 배치를 채용한 여객용 증기 기관차로, 1919년부터 1928년까지 289량이 제작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일부는 중국으로 공출, 현재 4량이 철도 박물관 등에 보존되고 있다.
  • 일본의 증기 기관차 - 일본국유철도 D51형 증기 기관차
    일본국유철도 D51형 증기 기관차는 D50형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1936년부터 1945년까지 생산된 일본국유철도의 대표적인 간선 화물용 증기 기관차로, 생산 시기와 형태에 따라 초기형, 표준형, 전시형으로 나뉘며 1,115량이 제작되어 현재까지 일부 차량이 보존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는 일본 최초의 퍼시픽형 축 배치를 채용한 여객용 증기 기관차로, 1919년부터 1928년까지 289량이 제작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일부는 중국으로 공출, 현재 4량이 철도 박물관 등에 보존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는 국철에서 노후화된 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회생 제동 시스템 등을 채택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국철 민영화 이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서 운용되었고, JR 도카이에서는 315계 도입으로 퇴역 후 일부 차량이 산기 철도로 양도될 예정이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일본국유철도 C10형 증기 기관차
기본 정보
C10 8, 2001년 7월
C10 8, 2001년 7월
종류증기 기관차
축 배열2-6-4T
제작년도1930년
총 생산량23량
폐차년도1962년
보존 상태1대 보존, 나머지는 폐기
설계 및 제작
설계자시마 히데오
제작사가와사키
치수
무게
성능
보일러 압력14.0 kg/cm2 (≈1.373 MPa)
물탱크 용량7.0 m3
연료 탑재량3.00t
연료석탄
실린더450mm×610mm
실린더 수단식 2기통
밸브 장치발샤르트식
제동 장치자동 공기 브레이크

2. 탄생의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은 심각한 경기 불황에 빠졌다. 1920년대에는 메이지 시대에 제작된 노후 기관차를 교체해야 했지만, 경제 상황 때문에 경제성과 효율성을 우선시한 기관차를 만들어야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근교 여객 열차용으로 제조된 것이 C10형이다. 하지만 C10형은 축중이 다소 커서 지방 선구에서 사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이후에는 경량화된 C11형 증기 기관차를 생산했다.

2. 1. 시대적 요구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심각한 불황에 빠진 일본은 1920년대에 능력 부족과 노후화가 현저해진 메이지 시대제 탱크 기관차의 대체가 시급해졌지만, 불황으로 인해 경제성 및 효율성을 중시한 기관차를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그래서 도시 근교 여객 열차용으로 제조된 것이 C10형이다. 축중이 다소 커서 지방 선구에서의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기에, 이후 증기 기관차 생산은 경량화를 실시한 C11형으로 이행했다.

3. 제조

1930년에 23량이 모두 제조되었다. C10 1 ~ 15(15량)는 가와사키 차량에서, C10 16 ~ 23(8량)은 기샤세이조에서 만들어졌다.[1]

3. 1. 제조사

1930년 한 해에 23량이 모두 제조되었다. 제조소는 C10 1 ~ 15(15량)가 가와사키 차량이고, C10 16 ~ 23(8량)이 기샤세이조이다.[1]

제조사별 제조 번호
제조사제조 번호수량
가와사키 차량1356 - 137015량
기샤 제조1141 - 11488량


4. 구조

C10형 증기 기관차는 당시 일본 기관차의 주력이었던 텐더식 증기 기관차 기술을 적용하여 대형기에 가까운 성능을 발휘했다. 운전실 및 석탄고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종대차를 2축으로 하는 2-6-4형 차륜 배치를 채택하고, 종대차의 현가장치를 이코노미식으로 하여 석탄과 물의 적재량에 따라 동축 중량이 변동하는 것을 막았다.[15]

선대차는 콜로식 현가장치를 갖춘 LT122, 종대차는 이코노미식 현가장치를 갖춘 균형식 대차인 LT213을 사용했다. 동륜의 직경은 근교 지역에서의 고속 운전을 고려하여 C50형 증기 기관차의 1600mm에서 5% 축소한 1520mm으로, 하중이 가벼운 구간에서 열차를 견인할 때 최고 속도를 95km까지 낼 수 있었다.

기본적인 설계는 C50, C54형 등과 유사하며, C55형 이후 국철 근대형 증기 기관차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였다. 전기 용접이 일반화되기 전 시기에 설계되어 운전대와 측면 물탱크 등은 리벳 조립 구조로, 용접 구조를 채택한 후계 일본국유철도 C11형 증기 기관차에 비해 외관상 중후한 인상을 준다.

신조 시에는 보일러 어깨 부분에 중견식 온수 급수기를 장착했으나, 효율이 좋지 않아 후에 제거되었다.[16] C54형 제연판이 제식 채용되기 이전 설계라 제연판은 기본 장착되지 않았지만, 일부 차량은 후에 추가되었다.[17][18]

4. 1. 주요 특징

당시 일본 기관차의 주력이었던 텐더식 증기 기관차의 기술을 이 기관차에도 적용하여 대형기에 가까운 성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운전실 및 석탄고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종대차를 2축으로 하는 2-6-4형 차륜 배치를 채택했다. 게다가 종대차의 현가장치를 이코노미식으로 하여 석탄과 물의 적재량에 따라 동축 중량이 변동하는 것을 막았다.[15]

선대차는 콜로식 현가장치를 갖춘 LT122, 종대차는 이코노미식 현가장치를 갖춘 균형식 대차인 LT213이다.

동륜의 직경은 근교 지역에서의 고속 운전을 고려해서 C50형 증기 기관차 동륜의 1600mm에서 5% 축소한 1520mm이 되었는데, 이 덕분에 실제로도 하중이 가벼운 구간에서 열차를 견인할 때에는 최고 속도를 95km까지 올릴 수 있었다.

기본적인 설계는 같은 시기에 설계된 C50, C54형 등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며, C55형 이후(국철근대형 증기기관차)에 이르는 과도적인 것이 되고 있다. 전기 용접이 일반화되기 전의 시기에 설계되었기 때문에 운전대나 측면의 물탱크 등은 리벳 조립 구조로 되어 있어 용접 구조를 채택한 후계의 일본국유철도 C11형 증기 기관차와 비교해 외관상 중후한 인상을 준다.

신조시에는 보일러의 어깨 부분에 중견식 온수 급수기를 장착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효율이 좋지 않아 후일에 제거되었다[16].

C10형은 C54형 제연판이 제식 채용되기 이전의 설계이기 때문에 제연판은 장착 되지 않았지만 일부 차량은 후에 추가돼 있음을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17][18].

4. 2. 세부 부품

당시 이미 일본 기관차의 주력이었던 텐더식 증기 기관차의 기술을 이 기관차에도 적용시켜 대형기에 가까운 성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우선, 운전실 및 석탄고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종대차를 2축으로 하는 2-6-4형 차륜 배치를 채택했다. 게다가 종대차의 현가장치를 이코노미식으로 하여 석탄과 물의 적재량에 따라 동축 중량이 변동하는 것을 막았다.[15]

선대차는 콜로식 현가장치를 갖춘 LT122, 종대차는 앞서 서술한 대로 이코노미식 현가장치를 갖춘 균형식 대차인 LT213이다.

동륜의 직경은 근교 지역에서의 고속 운전을 고려해서 C50형 증기 기관차 동륜의 1600mm에서 5% 축소한 1520mm이 되었는데, 이 덕분에 실제로도 하중이 가벼운 구간에서 열차를 견인할 때에는 최고 속도를 95km까지 올릴 수 있었다.

기본적인 설계는 같은 시기에 설계된 C50·C54형 등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며, C55형 이후(국철근대형 증기기관차)에 이르는 과도적인 것이 되고 있다. 전기 용접이 일반화되기 전의 시기에 설계되었기 때문에 운전대나 측면의 물탱크 등은 리벳 조립 구조로 되어 있어 용접 구조를 채택한 후계의 일본국유철도 C11형 증기 기관차와 비교해 외관상 중후한 인상을 준다.

신조 시에는 보일러의 어깨 부분에 중견식 온수 급수기를 장착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효율이 좋지 않아 후일에 제거되었다.[16] C10형은 C54형 제연판이 제식 채용되기 이전의 설계이기 때문에 제연판은 장착되지 않았지만 일부 차량은 후에 추가돼 있음을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다.[17][18]

C10 19(제조 당시)
보일러 옆의 원통형이 시게미식 급수 가열기

5. 운용

C10형 증기 기관차는 초기에는 도쿄, 나고야, 오사카에 배치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근교 열차를 견인했다. 이후 구마모토, 나라 등에도 배치되었다. 이들 구간은 일찌감치 전철화되었기 때문에 각지에 분산 전속되어 야마다 선, 모카 선, 기신 선, 반탄선 등에서 일반 열차 및 화물 열차로 사용되었지만, 지방 노선의 기동차화(디젤 동차화)가 진행되면서 잉여 차량이 된 C11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5. 1. 특급 열차 견인

1935년 8월 10일 오사카부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도카이도 본선이 불통되자, 다음 날인 8월 11일에는 특급 쓰바메가 처음으로 간사이 본선을 경유하여 고베역까지 운행되었다. 이때 덴노지역에서는 역방향으로 편성해야 했기 때문에, 본 형식(C10형 증기 기관차)이 선두에서 견인하여 입선했다.[7]

5. 2. 퇴역

C10형 증기 기관차는 초기에는 도쿄, 나고야, 오사카에 배치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근교 열차를 견인했지만, 이후에는 구마모토, 나라 등에도 배치되었다. 이들 구간은 일찍이 전철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야마다 선, 모카 선, 기신 선, 반탄선 등에서 일반 열차 및 화물 열차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지방 노선의 기동차화(디젤 동차화)가 진행되면서 잉여 차량이 된 C11형으로 대체되기 시작했고, 1960년부터 1962년 사이에 모든 기관차가 폐차되었다.[1]

C10 8은 1962년 폐차 후 이와테현 미야코시의 라사 공업 미야코 공장에 양도되어 해당 공장에서 사용되었다. 이후 1994년오이가와 철도에 양도되어 동태 보존되고 있다. ([C10 8#C10 8|후술]]) 이 1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폐차 후 해체되었으며, 공원, 박물관, 학교 등에서 정태 보존된 것은 없다.[1]

6. 보존

오이가와 철도에서 동태 보존 중인 C10 8이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다.

6. 1. C10 8

1930년 7월 24일 가와사키 차량에서 제작되어 오미야 기관구에 배치되었고, 도호쿠 본선이나 다카사키선 등에서 여객 열차로 사용되었다.[8] 이후 1932년 9월 1일 다카사키 기관고로 전속된 후 여러 곳을 거쳤다.[8] 1949년 3월 1일부터는 모리오카 기관구에 소속되어 야마다선 여객 열차에 사용되었다. 1961년 3월 31일 아이즈와카마쓰 기관구에 소속되어 아이즈선 여객 및 화물 열차에 사용되다가 1962년 3월 31일 폐차되었다.

이후 이와테현 미야코시의 라사 공업에 양도되어 공장과 미야코역을 연결하는 전용선에서 화물 수송에 사용되었다. 국철의 무연화(증기기관차 폐지)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다가 디젤 기관차의 등장으로 예비기가 되었고, 1979년 4월 운용을 종료, 1986년 11월에 폐차되었다.

1987년 3월 미야코시에 양도되어 관광열차로 사용하기 위해 복구되었다. 같은 해 4월 17일 동태 부활하여 7월 19일부터 미야코역 부근과 미야코항 데사키 부두를 연결하는 (구)국철 린코선에서 "SL 시오카제호"로 운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린코선은 바닷가를 달리지만 실제로는 제방을 따라 달리기에 바다는 거의 볼 수 없었고, 1990년 1월 3일 운행을 종료하고 휴차되었다.

그 후 미야코 시는 양도할 곳을 찾다가 1994년 4월 17일, 적당한 증기 기관차를 찾던 오이가와 철도에게 양도했다.[10] 같은 해 4월 22일 오이가와 철도에 반입된 뒤 센즈역 전시회를 거쳐 1997년 9월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 오이가와 철도는 같은 달 14일에 C11 227과 중련 운행을 개시했다. 외관은 C11, C12형과 같은 탱크 기관차이지만, 리벳을 많이 사용하여 고전적인 분위기를 풍긴다.[13] 현존하는 C10형은 이 기종이 유일하며, 2021년 기준 객차 견인은 4량까지 가능하다.

6. 1. 1. 주요 제원

항목
전장12.65m
전고3.94m
전폭2.936m
중량69.7ton
공차 중량55.51ton


7. 등장 작품

오이가와 철도의 C10 8이 등장했다.

종류작품명
텔레비전 드라마
컴퓨터 게임SL로 가자 (1998년 12월 17일 발매)
CM다이하츠 캐스트


7. 1. 드라마



大井川鐵道의 C10 8이 등장했다.

7. 2. 컴퓨터 게임

SL로 가자(1998년 12월 17일 발매)에 오이가와 철도의 C10 8이 등장했다.

7. 3. CM

다이하츠 캐스트 CM에 오이가와 철도의 C10 8이 등장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10 Model 8 http://www.oigawa-ra[...] 2024-08-13
[2] 웹사이트 Preserved Steam in Japan, 2015: The Oigawa Railway https://www.internat[...] 2024-08-13
[3] 문서
[4] 문서
[5] 서적 昭和40年代の蒸気機関写真集 機関区と機関車シリーズ4 小型タンク機 株式会社タクト・ワン
[6] 서적 蒸気機関車写真集 株式会社タクト・ワン
[7] 뉴스 特急「つばめ」、関西線回りで天王寺着 大阪毎日新聞 1935-08-12
[8] 문서
[9]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4-08
[10] 문서
[11] 간행물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4-10
[12] 서적 大井川鐵道 蒸気機関車運転25周年記念 写真集 川根路の煙
[13] 문서
[14] 뉴스 クランクイン・レポート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20-05-15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昭和40年代の蒸気機関写真集 機関区と機関車シリーズ4 小型タンク機 주식회사 테크트 원
[18] 서적 蒸気機関車写真集 주식회사 테크트 원
[1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