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유 기념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 기념비는 라트비아 리가에 위치한 기념물로, 라트비아 독립 전쟁에서 전사한 병사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기념비는 조각가 칼리스 잘레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1931년에 건설되었으며, 1935년에 공개되었다. 기념비는 라트비아의 문화와 역사를 나타내는 13개의 조각상과 부조로 장식되어 있으며,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한 다양한 인물상과 상징물로 구성되어 있다. 소련 점령 기간 동안 상징성이 재해석되었으나,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에는 다양한 행사와 의식의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는 의장대가 배치되어 있으며, 주기적인 복원 작업을 통해 보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가의 건축물 - 리가 국제공항
    리가 국제공항은 1973년에 개항하여 라트비아 정부가 소유한 국영 주식회사이며, 에어발틱을 중심으로 유럽,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터키 등지로 운항하는 항공편을 제공하고, 22번 버스 등으로 접근 가능하다.
  • 리가의 건축물 - 라트비아 국립도서관
    라트비아 국립도서관은 1919년 독립 직후 설립되어 국가 문헌 수집 및 도서관 활동 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소련 시대를 거쳐 1991년 독립 회복 후 2014년 새로운 건물로 이전하여 리가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 라트비아의 상징 - 라트비아의 국기
    라트비아 국기는 가로로 배열된 빨간색-흰색-빨간색 삼색기로, 빨간색 줄무늬는 흰색 줄무늬의 두 배 너비이며, 중세 기록에 기원을 두고 1921년 공식 국기로 채택, 소련 점령기 사용 금지 후 1990년 다시 국기로 지정되어 라트비아 독립을 상징한다.
  • 라트비아의 상징 - 알락할미새
    알락할미새는 할미새과에 속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고 16.5~21cm의 몸길이와 흔들리는 꼬리를 가진 새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 1935년 완공된 건축물 - 부민관
    부민관은 1935년에 완공되어 다목적 강당으로 사용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의 장소로 이용되고 해방 후에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다가 2002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1935년 완공된 건축물 - 여의정
    여의정은 1935년 밀양 박씨 종중이 솔밭 안에 지은 팔작지붕 형태의 정자로, 일제강점기 민족의식 고취와 문중 결속력 강화 목적으로 건립되어 현재는 지역 문화 공간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된다.
자유 기념비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명칭자유 기념비
라트비아어 명칭Brīvības piemineklis 발음
종류기념물
위치리가, 라트비아
건립 목적라트비아 독립 전쟁 중 전사한 영웅들을 기리기 위해
비문"TĒVZEMEI UN BRĪVĪBAI" (조국과 자유를 위하여)
디자인 및 제작
설계자카를리스 잘레
주관리가 기념물 관리소 (Riga Monument Agency, Rīgas Pieminekļu aģentūra)
크기 및 구성
높이42m
조각상 높이19m
역사
건립일1935년 11월 18일

2. 디자인

자유 기념비의 디자인은 라트비아의 문화와 역사를 기리는 13개의 조각 그룹과 부조로 구성되어 있다.[8][41] 기념비는 여러 단의 기단 위에 위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사각형 기둥이 솟아 있는 형태이다. 기단부에는 라트비아의 역사적 사건과 민족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다양한 조각과 부조가 배치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라트비아 작가 카를리스 스칼베의 헌사인 "조국과 자유를 위하여"(Tēvzemei un Brīvībailav) 문구가 새겨져 있다.[12][45] 기념비의 가장 높은 곳에는 라트비아의 세 역사적 지역(비드제메, 라트갈레, 쿠르제메)을 상징하는 세 개의 금박 별을 들고 있는 구리 재질의 자유의 여신상이 위치한다.[5][38]

기념비의 상세한 구조와 각 조각 및 부조에 대한 설명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고 있다.

2. 1. 기념비의 구성

자유 기념비의 조각상과 부조는 총 13개의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라트비아의 문화와 역사를 묘사한다.[8][41] 기념비의 중심은 위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사각형 기둥 형태이다.

기념비의 가장 아랫부분에는 높이 1.8m의 붉은 화강암 계단 10개가 기념비 기단을 이루고 있다. 이 계단은 높이 1.7m, 폭 4.5m의 두 석회화 부조 사이로 이어진다. 기념비 측면에는 두께 3m의 부조인 '라트비아 저격병'(13; Latvju strēlniekilav)과 '라트비아인: 가수'(14; Latvju tauta – dziedātājalav)가 장식되어 있다.[12][45] 두 개의 추가 계단은 지름 28m의 둥근 플랫폼을 형성하며, 이 위에 기념비 전체가 서 있다. 기념비 앞쪽에서 이 플랫폼은 의례 등에 사용되는 직사각형 공간을 이룬다.

기념비의 기단 역시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두 개의 직사각형 블록으로 구성된다. 아래쪽 블록은 높이 3.5m, 너비 9.2m, 길이 11m의 일체형이다. 그 위의 작은 블록은 높이 3.5m, 너비 8.5m, 길이 10m이며, 각 모서리에는 세 개의 인물상으로 이루어진 조각 그룹이 있는 둥근 틈새가 있다. 측면은 석회화 판으로 마감되었다.[24][56]

조각 그룹 '조국의 수호자'


기념비 앞면에는 '노동'(10; Darbslav)과 '조국의 수호자'(9; Tēvzemes sargilav) 조각 그룹 사이에, 라트비아 작가 카를리스 스칼베의 헌사인 "조국과 자유를 위하여"(6; Tēvzemei un Brīvībailav)가 석회화 판에 새겨져 있다.[12][45] '노동' 그룹은 어부, 장인, 농부를 묘사하며, 중앙의 농부가 든 큰 낫은 힘과 남성성을 상징하는 참나무 잎과 도토리로 장식되어 있다. '조국의 수호자' 그룹은 고대 라트비아 전사가 중앙에 서 있고 현대 군인 두 명이 양옆에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이다.

측면의 석회화 판에는 두 개의 부조가 있다. 하나는 1905년 러시아 혁명을 나타내는 '1905년'(7; 1905.gadslav)이고, 다른 하나는 라트비아 독립 전쟁리가에서의 결정적인 전투를 묘사한 '철교에서 베르몬트군과의 전투'(8; Cīņa pret bermontiešiem uz Dzelzs tiltalav)이다. 기념비 뒷면에는 두 아이 사이에 서 있는 어머니를 묘사한 '가족'(12; Ģimenelav)과, 발트 '이교도' 사제가 현대 과학자 및 작가 사이에 서 있는 '학자'(11; Gara darbiniekilav) 조각 그룹이 있다.[12][45]

붉은 화강암 기단 위에는 높이와 너비가 각각 6m, 길이가 7.5m인 또 다른 직사각형 블록이 놓여 있다. 이 블록은 5.5m에서 6m 높이의 회색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네 개의 조각 그룹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들은 '라트비아'(2; Latvijalav), 라트비아의 서사시적 민간 영웅인 '라치플레시스'(3; Lāčplēsislav), 발트 이교도 사제인 '바이델로티스'(5; Vaidelotislav), 그리고 쇠사슬에서 벗어나려는 세 남자를 묘사한 '족쇄 파괴자'(또는 해방자)(4; Važu rāvējilav)이다.[24][56]

기둥 꼭대기의 자유의 여신상


가장 위쪽 블록은 높이 19m의 일체형 석회화 기둥의 기초 역할을 한다. 기둥의 밑면은 2.5m x 3m 크기이며, 앞면과 뒷면에는 기둥 중앙을 따라 유리 선이 세로로 나 있다.[24][56] 기둥 꼭대기에는 높이 9m의 구리로 만든 자유의 여신상(1)이 서 있다. 이 여신상은 금박을 입힌 별 세 개를 들고 있는데, 이는 라트비아의 역사적 헌법적 지역비제메, 라트갈레, 쿠르제메를 상징한다.[5][38]

기념비 전체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를 중심으로 건설되었으며, 처음에는 , 청동 케이블, 석회 모르타르로 고정되었다.[24][56] 그러나 복원 과정에서 일부 원래 재료는 폴리우레탄 충전재로 교체되었다.[14][47] 기념비 내부에는 뒷문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이 있으며, 이 방에는 전기 설비와 하수도 접근을 위한 계단이 위쪽으로 나 있다. 이 방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주로 창고로 사용되지만, 라트비아를 방문하는 외국 고위 인사들이 헌화식 후 기념비의 역사를 배울 수 있도록 작은 전시 공간으로 개조하자는 제안도 있다.[6][39]

2. 2. 조각군 및 부조

자유 기념비의 조각상과 부조는 총 13개의 그룹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라트비아의 문화와 역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8][41] 각 조각 그룹과 부조의 명칭 및 위치는 다음과 같다.

자유 기념비의 조각군 및 부조 목록
번호명칭 (라트비아어)한국어 명칭위치설명
1-자유기둥 꼭대기금박을 입힌 별 세 개(비드제메, 라트갈레, 쿠르제메)를 든 여성상
2Latvijalv라트비아중간 블록-
3Lāčplēsislv라치플레시스중간 블록라트비아 서사시 영웅
4Važu rāvējilv족쇄 파괴자중간 블록쇠사슬을 끊으려는 세 남자
5Vaidelotislv바이델로티스중간 블록발트족 이교도 사제
6Tēvzemei un Brīvībailv조국과 자유를 위하여정면 하단 패널카를리스 스칼베의 헌사 문구
71905.gadslv1905년측면 패널1905년 러시아 혁명 기념 부조
8Cīņa pret bermontiešiem uz Dzelzs tiltalv철교에서 베르몬트군과의 전투측면 패널라트비아 독립 전쟁리가 전투 기념 부조
9Tēvzemes sargilv조국의 수호자정면 하단고대 라트비아 전사와 현대 군인 조각
10Darbslv노동정면 하단어부, 장인, 농부 조각 (힘과 남성성 상징)
11Gara darbiniekilv학자후면 하단발트 사제, 현대 과학자, 작가 조각
12Ģimenelv가족후면 하단어머니와 두 자녀 조각
13Latvju strēlniekilv라트비아 저격병기단 측면 부조-
14Latvju tauta – dziedātājalv라트비아인: 가수기단 측면 부조-



기념비의 중심부는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각형 기둥 형태이다. 기념비 가장 아래에는 높이 1.8m의 붉은 화강암 계단 10개가 기단을 이룬다. 이 계단 사이에는 높이 1.7m, 폭 4.5m의 석회화 부조 두 개가 자리한다. 하나는 '라트비아 저격병'(13; Latvju strēlniekilv)이고 다른 하나는 '라트비아인: 가수'(14; Latvju tauta – dziedātājalv)이며, 이들은 두께 3m의 기념비 측면을 장식한다.[12][45] 두 개의 추가 계단은 지름 28m의 원형 플랫폼을 형성하며, 기념비 전체가 이 플랫폼 위에 서 있다. 기념비 앞쪽에서 이 플랫폼은 의례를 위한 직사각형 공간을 이룬다.

기념비의 기단 역시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두 개의 직사각형 블록으로 구성된다. 아래쪽 블록은 높이 3.5m, 너비 9.2m, 길이 11m의 일체형 구조물이다. 그 위에 놓인 작은 블록은 높이 3.5m, 너비 8.5m, 길이 10m이며, 각 모서리에는 세 인물상으로 이루어진 조각 그룹이 들어갈 둥근 틈새가 있다. 기단의 측면은 석회화 판으로 마감되었다.[24][56]

"조국과 자유를 위하여" 헌사(6)


기념비 정면 하단에는 두 개의 조각 그룹, '노동'(10)과 '조국의 수호자'(9)가 있다. '노동'은 강인함과 남성성을 상징하는 참나무 잎과 도토리로 장식된 낫을 든 어부, 장인, 농부를 묘사한다. '조국의 수호자'는 고대 라트비아 전사가 중앙에 서 있고 양옆에 현대 군인이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이다. 이 두 그룹 사이의 석회화 판에는 라트비아 작가 카를리스 스칼베의 헌사인 "조국과 자유를 위하여"(6; Tēvzemei un Brīvībailv)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12][45]

"1905년" 부조(7)


"철교에서 베르몬트군과의 전투" 부조(8)


측면의 석회화 판에는 두 개의 부조가 있다. '1905년'(7; 1905.gadslv)은 1905년 러시아 혁명을 기념하며, '철교에서 베르몬트군과의 전투'(8; Cīņa pret bermontiešiem uz Dzelzs tiltalv)는 라트비아 독립 전쟁 당시 리가에서 벌어진 결정적인 전투를 묘사한다. 기념비 뒷면에는 '가족'(12; Ģimenelv)(두 자녀 사이에 선 어머니)과 '학자'(11; Gara darbiniekilv)(굽은 지팡이를 든 발트 "이교도" 사제가 현대 과학자와 작가 사이에 서 있는 모습) 조각 그룹이 있다.[12][45]

"라트비아" 조각(2)


"라치플레시스" 조각(3)


"바이델로티스" 조각(5)


"족쇄 파괴자" 조각(4)


붉은 화강암 기단 위에는 높이와 너비가 6m, 길이가 7.5m인 또 다른 직사각형 블록이 놓여 있다. 이 블록은 높이 5.5m에서 6m 사이의 회색 화강암 조각 그룹 네 개로 둘러싸여 있다. 이들은 각각 '라트비아'(2; Latvijalv), 라트비아 서사시의 민간 영웅인 '라치플레시스'(3; Lāčplēsislv), 발트 "이교도" 사제인 '바이델로티스'(5; Vaidelotislv), 그리고 쇠사슬에서 벗어나려는 세 남자를 묘사한 '족쇄 파괴자'(4; Važu rāvējilv)이다.[24][56]

가장 위쪽 블록은 높이 19m의 일체형 석회화 기둥의 기초가 된다. 이 기둥의 밑면 크기는 2.5m x 3m이다. 기둥의 앞면과 뒷면 중앙에는 유리 선이 세로로 나 있다.[24][56] 기둥 꼭대기에는 높이 9m의 구리로 만든 '자유'의 여신상(1)이 서 있다. 이 여신상은 금박을 입힌 별 세 개를 들고 있는데, 이는 라트비아의 역사적 헌법적 지역인 비드제메, 라트갈레, 쿠르제메를 상징한다.[5][38]

기념비 전체는 철근 콘크리트 골조를 중심으로 세워졌으며, 처음에는 , 청동 케이블, 석회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각 부분을 고정했다.[24][56] 그러나 이후 복원 과정에서 일부 원래 재료는 폴리우레탄 충전재로 대체되었다.[14][47] 기념비 내부에는 뒷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방이 있다. 이 방에는 전기 설비와 하수도 접근을 위한 계단이 위쪽으로 나 있다. 이 공간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으며 주로 관리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라트비아를 방문하는 외국 고위 인사들이 헌화식 후 기념비의 역사를 배울 수 있도록 작은 전시 공간으로 개조하자는 제안도 있었다.[6][39]

3. 위치

자유 기념비는 리가 중심부의 브리비바스 불바리스 (자유 대로)에 있으며, 리가 구시가지와 가깝다.[5][38]

3. 1. 주변 환경

자유 기념비는 리가 중심부의 브리비바스 불바리스 (자유 대로)에 있으며, 리가 구시가지와 가깝다.[5][38] 1990년, 기념비 주변 약 200m 구간이 보행자 전용 구역으로 지정되어 라이니스 대로와 아스파지아 대로 사이에 광장이 형성되었다.[7][40] 이 광장에는 도시 운하 위에 놓인 다리도 포함되는데, 이 운하는 과거 도시의 요새 시스템의 일부였으나 19세기에 현대적인 대로 지구를 건설하면서 철거되었다.[7][40] 운하의 길이는 약 3.2km이며, 그중 절반은 공원으로 둘러싸여 있다.[8][41] 요새 철거 과정에서 나온 흙은 공원에 모아져 기념비 북쪽에 인공 언덕과 폭포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12][45]

공원 동쪽의 대로 지구에는 여러 대사관과 기관들이 위치한다. 자유 기념비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는 독일 및 프랑스 대사관, 라트비아 대학교, 그리고 리가 제1국립고등학교가 있다.[9][42]

기념비 남쪽 공원에는 국립 오페라 하우스가 있으며, 그 앞에는 꽃밭과 분수가 조성되어 있다.[10][43] 오페라 하우스 맞은편, 구시가지 근처 광장 서쪽에는 작은 카페와 Laima 시계가 있다. 이 시계는 1924년에 설치되었고, 1936년 라트비아의 제과 브랜드 "Laima"의 광고로 장식되면서 그 이름을 따왔으며,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이다.[11][44]

원래 계획에는 기념비 기단 주변에 타원형 광장을 만들고, 높이 1.6m의 화강암 벽으로 둘러싼 뒤 안쪽에는 벤치를 설치하고 바깥쪽에는 측백나무 울타리를 심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1930년대에 실행되지 않았고, 1980년대에 다시 논의되었으나 또다시 보류되었다.[12][45]

4. 건립

라트비아 독립 전쟁에서 전사한 이들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 건립 논의는 192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다.[12][45] 여러 차례의 디자인 공모전을 거친 끝에, 1929년 조각가 칼리스 잘레의 디자인이 최종 선정되었고, 건축가 에르네스트 슈탈베르그의 감독 아래 1931년 11월 18일 건설이 시작되었다.[12][45] 기념비는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자금을 마련하여[12][45] 리가 구시가지 입구에 세워졌는데, 이 자리는 과거 러시아 황제 표트르 1세의 기마상이 있던 곳이었다.[25][57] 4년간의 건설 끝에 1935년 완공되었으며, 건설에는 막대한 시간과 자재가 투입되었다.[24][56]

4. 1. 건립 과정

자유의 구리 조각상 클로즈업


라트비아 독립 전쟁 중 전사자를 기리는 기념비를 건립하려는 아이디어는 1920년대 초에 처음 등장했다. 1922년 7월 27일, 라트비아 총리 지그프리드 안나 메이에로비츠는 "기념비 기둥" 디자인 공모전을 위한 규칙 제정을 명령했다. 이 공모전의 우승작은 라트비아의 공식 상징을 묘사한 부조와 크리시야니스 바론스 및 아티스 크론발즈의 반 부조를 갖춘 27m 높이의 기둥을 제안하는 안이었다. 그러나 이 안은 57명의 예술가들의 항의를 받고 거부되었다.[12][45]

1923년 10월, "자유 기념비"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새로운 공모전이 발표되었다. 이 공모전에서는 두 명의 우승자가 나왔으나 최종 결정에는 이르지 못했고, 1925년 3월에 다시 비공개 공모전이 열렸지만 심사위원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성과 없이 끝났다.[12][45]

마침내 1929년 10월, 마지막 공모전이 발표되었다. 우승작은 이전 공모전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었던 조각가 칼리스 잘레의 "Mirdzi kā zvaigzne!"|미르지 카 즈바이그즈네!lv("별처럼 빛나라!")라는 디자인이었다. 잘레 본인과 감독 건축가 에르네스트 슈탈베르그가 약간의 수정을 거친 후, 1931년 11월 18일에 건설이 시작되었다.[12][45] 기념비는 민간 기부금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구시가지 입구에 세워졌는데, 이 자리는 본래 1910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러시아 차르 표트르 1세의 청동 기마상이 있던 곳이었다.[25][57]

기념비가 완공된 1935년에 계산한 바에 따르면, 4년간의 건설 기간 동안 돌 재료만 가공하는 데 308,000시간의 작업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는 당시 가장 진보된 장비를 사용하더라도 한 사람이 작업할 경우 130년이 걸리는 규모였다. 사용된 재료의 총 무게는 약 2500ton에 달했으며, 이는 철도로 운송했다면 약 200대의 화물 열차가 필요한 양이었다.[24][56]

4. 2. 건립 비용

자유 기념비 건립에 필요한 자금은 전적으로 민간 기부금을 통해 마련되었다.[12][45] 기념비는 리가 구시가지 입구에 세워졌는데, 이 장소는 본래 러시아 황제 표트르 1세의 기마상이 있던 곳이었다.[25][57]

1935년 기념비가 완공된 해의 기록에 따르면, 4년에 걸친 건설 기간 동안 석재를 가공하는 데에만 308,000시간의 노동력이 투입되었다. 이는 당시 가장 발전된 장비를 사용한다 해도 한 사람이 혼자 작업할 경우 130년이 걸리는 방대한 작업량이었다. 건설에 사용된 재료의 총 무게는 약 2500ton에 달했는데, 이는 철도로 운반할 경우 약 200대의 화물 열차가 필요한 분량이었다.[24][56] 이처럼 거대한 규모의 기념비 건립이 시민들의 자발적인 기부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5. 복원

자유 기념비는 건립 이후 기후 변화(산성비 등)와 대기 오염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어왔다.[13][46] 이에 따라 기념비의 보존을 위해 여러 차례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 소련 점령기였던 1962년과 1980–1981년에도 복원이 진행되었으며, 라트비아가 독립을 회복한 이후에는 민간 기부금을 포함한 재원으로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12][45] 이 과정에서 기념비의 주요 부분들이 세척, 수리되고 금박 처리되었다.[15][48] 그러나 복원 이후에도 재료의 특성과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어,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시행되고 있다.[14][47][17][50][18]

5. 1. 복원 역사

자유 기념비는 기후 조건(서리와 산성비)과 대기 오염으로 인해 손상될 위험에 처해 있다.[13][46] 1990년에 기념비 주변 지역이 보행자 전용 구역으로 지정되었지만, 여전히 3개의 도로가 기념비 주변을 지나고 있어[12][45] 차량 통행으로 인한 지속적인 진동에 노출되어 있다.[14][47] 기념비 근처에서는 높은 농도의 이산화질소와 이산화황이 측정되었는데, 이는 물과 결합하여 기념비의 재료를 부식시킨다.[13][46] 또한, 침투한 물은 철근 콘크리트 코어에 균열을 일으키고 강철 보강재와 고정 볼트에 을 발생시킨다.[14][47] 기념비의 주재료인 다공성 석회화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부서지고, 그 기공이 그을음과 모래 입자로 채워져 검게 변색되었다. 이는 이끼지의류 같은 작은 유기체의 서식지가 되기도 한다.[13][46] 불규칙한 유지보수와 미숙한 복원 작업 또한 기념비의 풍화에 영향을 미쳤다.[13][46]

기념비는 소련 점령기인 1962년과 1980–1981년에 두 차례 복원되었다. 라트비아의 독립 회복 이후에는 전통에 따라 복원 및 유지보수 비용의 일부를 민간 기부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12][45] 이 기간 동안 자유의 여신상과 별들이 청소되고 복원되었으며, 다시 금박을 입혔다.[15][48] 계단, 기둥, 받침대 및 기념비 내부가 복원되었고, 석재 재료는 세척 후 재봉인되었다. 또한 기념비의 지지대를 고정하여 침하를 방지했다. 추가적인 부식을 막기 위해 일부 고정 장치를 폴리우레탄 충전재로 교체하고 기념비에 발수제를 도포했으며, 2년마다 유지보수를 수행하기로 결정했다.[14][47] 기념비는 2001년 7월 24일에 공식적으로 재개관했다.[16][49]

당시 복원 담당자들은 기념비가 향후 100년 동안 큰 문제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몇 년 후 사용된 복원 기술의 문제로 별들의 금박이 손상된 것이 발견되었다. 이 때문에 별들은 2006년 유지보수 및 복원 과정에서 다시 복원되었으나, 이 작업은 급하게 이루어져 품질을 보장할 수 없었다.[17][50]

2016년 기준으로 기념비는 정기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있으며, 하단 부분은 5년마다 청소 및 보호 코팅 처리를 받는다. 2017년에는 기념비 전체에 대한 청소 및 복원 작업이 계획되었다.[18]

6. 정치적 의미

자유 기념비는 건립 이후 라트비아의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부여받으며 때로는 논쟁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기 동안, 기념비는 철거 위협에 직면하기도 했으며, 본래의 독립 기념 의미 대신 소련 체제를 선전하는 방식으로 상징성이 왜곡되기도 했다.[25][57][24] 예를 들어, 기념비 꼭대기의 세 별은 발트 3국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이를 받드는 여신은 어머니 러시아를 상징하며, 기념비 전체는 이오시프 스탈린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해석되었다.[24][25][56][57]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기념비는 라트비아 국민들에게 독립과 자유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1980년대 후반 라트비아 독립 운동 시기에는 중요한 구심점 역할을 했다. 1987년 인권 단체 헬싱키-86 주도로 기념비 앞에서 열린 소련 추방 희생자 추모 집회는 독립 운동의 중요한 기폭제가 되었다.[12][45][26][59]

1990년 라트비아가 독립을 회복한 이후, 자유 기념비는 다시 국가의 주권을 상징하는 장소가 되었으나, 동시에 새로운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특히 매년 3월 16일에 열리는 라트비아 군단 기념일 행사는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의 무장 친위대에 소속되어 소련과 싸웠던 라트비아 군단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것으로, 나치즘 미화 논란과 함께 국내외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29][63][31] 이 행사는 라트비아 내 민족 갈등을 부추기고 정치적 긴장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15][32][48][64]

6. 1. 소련 점령기의 수난

자유 기념비는 러시아 황제 표트르 대제의 동상을 대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당국이 기념비를 철거하려 했다는 계획이 있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공식 문서는 거의 남아있지 않아 주로 구두 증언에 의존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25][57] 1949년 9월 29일,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 위원회는 과거 그 자리에 있었던 러시아 차르 표트르 대제의 동상을 복원하자고 제안했다. 구두 증언에 따르면 이 문제는 이미 1944년 10월 초에 처음 제기되었다고 한다.[25][57] 이 제안이 기념비의 철거를 직접적으로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표트르 대제 동상을 원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념비를 철거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었다. 논의 결과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기념비가 현재까지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제안은 거부된 것으로 추정된다.[25][57]

소련의 유명 조각가 베라 무히나(1889–1953)는 기념비적인 조각 ''노동자와 콜호즈 여성''의 디자이너로 잘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자유 기념비를 철거 위기에서 구한 인물로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문서 증거는 없다.[23][55] 그녀의 아들에 따르면, 무히나는 기념비의 운명을 논의하는 회의에 참석했으며, 기념비의 예술적 가치가 매우 높고 철거 시 라트비아 국민의 신성한 감정을 해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전해진다.[25][57]

자유 기념비는 철거되지 않았지만, 그 상징성은 소련 당국에 의해 완전히 다르게 해석되었다. 꼭대기의 여인상이 들고 있는 세 개의 별은 소련에 병합된 발트 3국, 즉 라트비아 SSR, 리투아니아 SSR, 에스토니아 SSR을 상징하며, 이를 어머니 러시아가 받들고 있는 모습으로 설명되었다. 또한, 기념비 자체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들 국가를 "해방"시킨 소련 지도자 이오시프 스탈린에 대한 "인민의 감사 표시"로 세워졌다고 선전되었다.[24][25][56][57]

1963년 중반, 철거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으나, 라트비아 주민들의 기부로 건립된 이 기념비가 지닌 예술적, 역사적 가치를 파괴하는 것은 심각한 반발을 초래하고 사회적 긴장을 유발할 뿐이라는 결론이 내려져 철거는 무산되었다.[25][57] 시간이 흐르면서 상징성에 대한 왜곡된 해석도 다소 완화되었다. 1988년경에는 기념비가 ''"차르전제 정치독일 남작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는, 비교적 사실에 가까운 설명이 등장했다. 하지만 라트비아 독립 전쟁 당시 볼셰비키 적군과 적 라트비아 사격병 또한 라트비아의 적이었다는 사실은 여전히 숨겨졌다.[12][10][58][45]

소련 정부의 억압에도 불구하고, 1987년 6월 14일에는 약 5,000명의 사람들이 모여 소련 시대 강제 추방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집회를 열었다.[12][45] 인권 단체 헬싱키-86이 조직한 이 행사는 소련 점령 이후 처음으로 기념비에 꽃을 바치는 행사였으나, 소련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다.[12][26][45][59] 소련 당국은 집회가 예정된 시간에 기념비 앞에서 자전거 경주를 개최하며 방해하려 했다. 헬싱키-86은 같은 해 8월 23일,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체결일에 또 다른 헌화 행사를 조직했으나, 당국은 폭동 진압용 물대포를 사용하여 참가자들을 해산시켰다.[27][60]

논란이 많은 라트비아 군단 기념일의 일부 행사는 전통적으로 자유 기념비에서 열린다.


이러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독립 운동은 계속 확산되어, 일부 행사에는 라트비아 전체 인구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50만 명 이상이 참여하기도 했다. 결국 3년 후인 1990년 5월 4일, 라트비아는 독립 회복을 선언했다.[28][61]

독립 회복 이후, 자유 기념비는 다시 다양한 행사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 중 일부는 논란을 낳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매년 3월 16일에 열리는 라트비아 군단 기념일 행사이다. 이 행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 맞서 싸운 무장 친위대 소속 라트비아 군단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날이다.[29][63] 이 기념일은 본래 해외 망명 라트비아인들이 기념하던 것이 1990년 라트비아로 전해졌으며,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잠시 공식 기념일로 지정되기도 했다.[29][30][62]

1998년 이 행사가 외신에 보도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고, 이듬해 러시아 정부는 이 행사를 "나치즘 미화"라고 강력히 비난했다.[31][63] 이 행사는 라트비아 내 라트비아계와 러시아계 주민 간의 정치적 갈등으로 비화하며 공공 안전에 위협이 되기도 했다.[15][32][48][64]

라트비아 정부는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했다. 2006년에는 우익 단체가 계획한 행사를 불허하고, 기념비 주변에 복원을 명목으로 울타리를 설치했다.[15][34][48][66] 실제로 2006년에 기념비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정부의 발표는 여러 의혹을 낳았다. 정치인들이 울타리 설치에 대해 다른 이유를 언급하거나, 설치된 울타리 범위가 복원에 필요한 것보다 훨씬 넓었으며, 당시 날씨가 복원 작업에 부적합했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65] 라트비아 언론은 정부가 공공 안전과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지 못한다며 비판했고, 불허된 행사들은 금지에도 불구하고 강행되었다.[34][66] 2006년 11월 23일, 공공 집회 개최 시 당국의 허가를 받도록 한 법률이 라트비아 헌법에 위배된다는 위헌 결정이 내려졌다.[35][67] 이후 몇 년간 정부는 기념일 행사가 열릴 때 경찰력을 동원하여 기념비 주변을 경비했고, 행사는 비교적 평화롭게 진행되었다.[36][37][68][69]

6. 2. 독립 회복 이후



라트비아소련으로부터 독립을 회복한 이후, 자유 기념비는 다양한 행사의 중심지가 되었다.[61] 그중 하나로, 제2차 세계 대전소련과 싸운 무장 친위대의 라트비아 군단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3월 16일의 라트비아 군단 기념일 행사는 국내외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63][29] 이 기념일은 본래 망명 라트비아인 공동체에서 시작되었으며, 1990년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 국내로 도입되었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잠시 공식적인 국가 기념일로 지정되기도 했다.[63][62][29][30]

1998년 이 행사가 외신에 보도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이듬해 러시아 정부는 이 행사가 나치즘을 미화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63][31] 이 문제는 라트비아 내에서도 라트비아계와 러시아계 주민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정치적 대립으로 번져 공공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48][64][15][32]

라트비아 정부는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했다. 2006년에는 우익 단체가 계획한 기념 행사를 승인하지 않았고, 리가 시의회는 기념비 보수 공사를 이유로 주변에 울타리를 설치한다고 발표했다.[48][66][15][34] 실제로 기념비는 2006년에 보수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정부의 발표는 여러 의혹을 낳았다. 정치인들이 행사 일정 변경에 대해 다른 이유를 언급하거나, 설치된 울타리 범위가 실제 보수 작업에 필요한 것보다 훨씬 넓었으며, 당시 날씨가 공사에 적합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65] 이에 라트비아 언론은 정부가 공공 안전과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치적인 의도로 행사를 통제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정부의 불허에도 불구하고 일부 단체는 행사를 강행했다.[66][34] 같은 해 11월 23일, 라트비아 헌법재판소는 공공 집회를 열 때 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는 법률이 라트비아 헌법에 위배된다고 판결했다.[67][35] 이후 몇 년간 정부는 기념일 행사가 열릴 때마다 경찰력을 동원하여 기념비 주변을 경비했고, 행사는 이전보다 비교적 평화롭게 진행되었다.[68][69][36][37]

7. 의장대

자유 기념비 앞에는 라트비아의 의장대가 배치되어 기념비를 수호하고 있다.[12][45] 의장대는 기념비 제막식부터 존재했으나 소련 점령기에 잠시 폐지되었다가 1992년에 다시 복원되었다.[12][45] 이들은 라트비아 국군 참모대대 소속으로[21][53], 정해진 근무 조건과 절차에 따라 기념비 경비 임무를 수행한다.[22][19][54][51]

7. 1. 의장대 운영

근위병 교대


자유 기념비 근위병 사열


의장대는 기념비 제막식부터 존재했으나 1940년 라트비아 점령 직후 철거되었다.[12][45] 이후 1992년 11월 11일에 다시 운영되기 시작했다.[12][45] 근위병은 라트비아 국군 참모대대 소속 라트비아군 명예 경비대( Nacionālo Bruņoto spēku Štāba bataljona Goda sardzes rotalav )이다.[21][53]

의장대는 악천후 시나 기온이 -10°C 이하 또는 25°C 이상일 때는 근무하지 않는다.[22][19][54][51] 근무는 2주 간격으로 교대하며, 3~4개 조의 근위병들이 매 시간마다 경비대장의 지휘 아래 교대 의식을 거행한다.[22][19][54][51] 각 근무조에는 의장대의 안전을 살피는 2명의 감시병이 함께 배치된다.[19][51]

일반적으로 근위병 교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매 시간 이루어진다. 1시간의 근무 후 근위병은 국방부 내의 숙소에서 2시간 동안 휴식을 취한다.[19][51] 2004년 9월부터는 근무 시간 동안 30분마다 순찰을 실시한다. 순찰은 기념비 기단에서 출발하여 기념비의 양쪽을 두 번씩 행진한 다음 제자리로 돌아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20][52]

근위병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최소 1.82m 이상의 신장과 건강한 신체가 요구되며, 30분 동안 움직이지 않고 서 있을 수 있어야 한다.[21][22][53][54]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ore than just a monument http://www.baltictim[...] 2001-08-16
[2] 웹사이트 Tėvynė ir Laisvė http://alkas.lt/2011[...] Alkas.lt 2011-11-22
[3] 웹사이트 ARVĪDS JOZAITIS, Rīga - cita civilizācija (Ryga - niekieno civilizacija) https://www.zvaigzne[...]
[4]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lis – sadzīvisku sīkumu un nozīmīgu notikumu liecinieks jau 80 gadus http://www.a.aprinki[...] aprinkis.lv 2015-11-19
[5] 웹사이트 Statue of Liberty https://web.archive.[...] 2007-02-07
[6] 웹사이트 Iecere atvērt Brīvības pieminekļa iekštelpu http://www.tvnet.lv/[...] 2008-02-20
[7] 서적 Rīga 1860–1917 Rīga 1978 Zinātne
[8] 웹사이트 http://www.vecriga.i[...] 2007-05-30
[9] 웹사이트 Map at rigatourism.com http://www.rigatouri[...] 2007-06-03
[10] 서적 Enciklopēdija "Rīga" Rīga 1988 Galvenā enciklopēdiju redakcija
[11] 웹사이트 "Laimas" pulkstenim veiks kosmētisko remontu http://www.building.[...] 2007-04-20
[12] 서적 "Latvijas Enciklopēdija" (I sējums) Rīga 2002 SIA "Valērija Belokoņa izdevniecība"
[13] 웹사이트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ultural Heritage of Latvia http://www.arcchip.c[...] 2006-10-17
[14] 웹사이트 New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Stone Monuments in Latvia http://www.arcchip.c[...] 2006-10-18
[15]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ļa atjaunošanas darbus sāks pirmdien http://www.delfi.lv/[...] 2007-05-11
[16]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ļa atklāšanā skanēs Zigmara Liepiņa kantāte http://notikumi.delf[...] 2007-02-15
[17] 웹사이트 Apzeltī bez garantijas http://www.vietas.lv[...] 2007-05-11
[18] 뉴스 Kas noticis ar Brīvības pieminekļa Lāčplēsi? http://www.tvnet.lv/[...] tvnet 2016-12-03
[19] 웹사이트 Dienests kā atbildīgs un interesants darbs http://www.bdaugava.[...] 2007-03-09
[20] 웹사이트 Godasardze pie Brīvības pieminekļa veiks ceremoniālu patrulēšanu http://www.apollo.lv[...] 2007-03-09
[21] 웹사이트 Bruņoto spēku seja http://www.dialogi.l[...] 2007-03-09
[22] 웹사이트 Brīvības simbola sargs http://www.staburags[...] 2007-03-09
[23] 웹사이트 rigacase.com http://www.rigacase.[...] 2007-06-07
[24] 서적 Brīvības Piemineklis http://latvians.com/[...] Brīvības Pieminekļa Komitejas Izdevums 2007-02-07
[25]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li uzspridzināt, Pēteri I vietā ... http://www.apollo.lv[...] 2007-02-17
[26] 뉴스 George Bush: NATO will defend freedom worldwide http://www.regnum.ru[...] Regnum News Agency 2007-02-07
[27] 웹사이트 "Helsinki – 86" rīkotās akcijas 1987. gadā http://vip.latnet.lv[...] 2007-03-19
[28] 서적 Lūzums. No milicijas līdz policijai http://www.tapals.lv[...] Nordik 2007-03-21
[29] 웹사이트 16. marts Latviešu leģiona vēstures kontekstā http://vip.latnet.lv[...] 2006-03-16
[30] 웹사이트 Law "On holidays and remembrance days" with amendments http://www.likumi.lv[...] 2007-05-10
[31] 웹사이트 Appeal of the State Duma of the Federal Assembly of Russian Federation 'To the members of the Saeima of the Republic of Latvia in connection with the organisation in Riga of the march of the veterans of the Latvian legion of SS', N 3788-II GD http://pravo.gov.ru/[...] 1999-03-18
[32] 웹사이트 Provokācija pie Brīvības pieminekļa http://vip.latnet.lv[...] 2007-05-10
[33]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ļa koka mētelītis http://www.politika.[...] 2007-03-18
[34] 웹사이트 Latvijas jaunāko laiku vēsturē ierakstīta jauna 16. marta lappuse http://vip.latnet.lv[...] 2007-03-17
[35] 웹사이트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in case 2006-03-0106 http://www.satv.ties[...] Constitutional Court of the Republic of Latvia 2006-11-23
[36] 웹사이트 Policija Rīgas centrā gatavojas 16.marta pasākumiem http://www.delfi.lv/[...] 2007-03-19
[37] 웹사이트 Leģionāru piemiņas pasākums noritējis bez starpgadījumiem http://www.delfi.lv/[...] 2008-03-16
[38] 웹사이트 Statue of Liberty http://www.endex.com[...] 2010-01-05
[39] 방송 Iecere atvērt Brīvības pieminekļa iekštelpu http://www.tvnet.lv/[...] 2008-02-20
[40] 서적 Rīga 1860–1917 Zinātne
[41] 웹사이트 http://www.vecriga.i[...] 2007-05-30
[42] 웹사이트 Map at rigatourism.com http://www.rigatouri[...] 2007-06-03
[43] 서적 Enciklopēdija "Rīga" Galvenā enciklopēdiju redakcija
[44] 웹사이트 "Laimas" pulkstenim veiks kosmētisko remontu http://www.building.[...] 2007-04-20
[45] 서적 Latvijas Enciklopēdija (I sējums) SIA "Valērija Belokoņa izdevniecība"
[46] 논문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ultural Heritage of Latvia http://www.arcchip.c[...] Faculty of Materials Science and Applied Chemistry, Riga Technical University
[47] 논문 New Materials for Conservation of Stone Monuments in Latvia http://www.arcchip.c[...] Centre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Stone Materials, Institute of Silicate Materials, Riga Technical University
[48]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ļa atjaunošanas darbus sāks pirmdien http://www.delfi.lv/[...] 2007-05-11
[49]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ļa atklāšanā skanēs Zigmara Liepiņa kantāte http://notikumi.delf[...] 2007-02-15
[50] 웹사이트 Apzeltī bez garantijas http://www.vietas.lv[...] 2007-05-11
[51] 웹사이트 Dienests kā atbildīgs un interesants darbs http://www.bdaugava.[...] 2007-03-09
[52] 웹사이트 Godasardze pie Brīvības pieminekļa veiks ceremoniālu patrulēšanu http://www.apollo.lv[...] 2007-03-09
[53] 웹사이트 Bruņoto spēku seja http://www.dialogi.l[...] 2007-03-09
[54] 웹사이트 Brīvības simbola sargs http://www.staburags[...] 2007-03-09
[55] 웹사이트 rigacase.com http://www.rigacase.[...] 2007-06-07
[56] 서적 Brīvības Piemineklis Brīvības Pieminekļa Komitejas Izdevums 2007-02-07
[57]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li uzspridzināt, Pēteri I vietā… http://www.apollo.lv[...] 2007-02-17
[58] 서적 Enciklopēdija "Rīga" Galvenā enciklopēdiju redakcija
[59] 뉴스 George Bush: NATO will defend freedom worldwide http://www.regnum.ru[...] 2007-02-07
[60] 웹사이트 "Helsinki – 86" rīkotās akcijas 1987. gadā http://vip.latnet.lv[...] 2007-03-19
[61] 서적 Lūzums. No milicijas līdz policijai http://www.tapals.lv[...] Nordik
[62] 웹사이트 Law "On holidays and remembrance days" with amendments http://www.likumi.lv[...] 2007-05-10
[63] 웹사이트 16. marts Latviešu leģiona vēstures kontekstā http://vip.latnet.lv[...] 2006-03-16
[64] 웹사이트 Provokācija pie Brīvības pieminekļa http://vip.latnet.lv[...] 2007-05-10
[65] 웹사이트 Brīvības pieminekļa koka mētelītis http://www.politika.[...] 2007-03-18
[66] 웹사이트 Latvijas jaunāko laiku vēsturē ierakstīta jauna 16. marta lappuse http://vip.latnet.lv[...] 2007-03-17
[67] 웹사이트 Decree of Constitutional court http://www.satv.ties[...] 2007-06-04
[68] 웹사이트 Policija Rīgas centrā gatavojas 16.marta pasākumiem http://www.delfi.lv/[...] 2007-03-19
[69] 웹사이트 Leģionāru piemiņas pasākums noritējis bez starpgadījumiem http://www.delfi.lv/[...] 2008-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