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즈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즈크는 오이, 요구르트, 마늘 등을 넣어 만드는 음식으로, 터키, 이라크 등 다양한 지역에서 즐겨 먹는다. 터키어 "cacık"에서 유래되었으며, 허브 샐러드를 의미하기도 했다. 터키에서는 주요리에 곁들이는 부식이나 수프로 먹으며, 이라크에서는 자지크라고 불리며 메제나 술과 함께 낸다. 그리스의 자지키, 발칸 반도의 타라토르, 아제르바이잔의 오브두크, 이란의 아브 두그 히야르와 마스트 오 히야르, 남아시아의 라이타 등과 유사한 음식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이 요리 - 캘리포니아 롤
캘리포니아 롤은 아보카도와 게맛살 등을 주재료로 김으로 감싼 마키스시의 일종이며, 미국에서 시작되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오이 요리 - 오이 샌드위치
오이 샌드위치는 얇게 썬 오이를 빵에 넣어 만든 샌드위치로, 빅토리아 시대 영국 상류층의 애프터눈 티 문화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즐겨 먹는다. - 요구르트 요리 - 자지키
자지키는 그리스의 요거트 소스로, 오이, 마늘, 딜 등을 넣어 만들며 빵, 채소, 고기 요리 등에 곁들여 먹고, 튀르키예어에서 유래하여 발칸 반도와 이란 등지에도 유사한 요리가 존재한다. - 요구르트 요리 - 탄두리 치킨
탄두리 치킨은 탄두르라는 가마에서 구워낸 인도 및 파키스탄 요리로, 요구르트와 향신료에 재운 닭고기를 구워 특유의 붉은 색과 풍미를 지니며, 인도 분할 이후 펀자브인 이민자들에 의해 대중화되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 요리 - 셔벗
셔벗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디저트로, 과즙에 우유, 달걀 흰자 등을 섞어 만들며, 유지방 함유량이 낮고 입자가 굵은 형태를 띤다. - 아제르바이잔 요리 - 할림
할림은 10세기 바그다드에서 유래한 아랍 요리에서 발전하여 밀, 보리, 고기, 렌틸콩, 향신료를 오랜 시간 끓여 만든 음식으로,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라마단과 무하람 기간에 인기가 있으며 지역별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자즈크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자즈크 |
![]() | |
| 종류 | 수프, 딥 |
| 코스 | 메제, 전채, 부식 |
| 서빙 | 차게 |
| 기원 | |
| 나라 | 오스만 제국 |
| 나라별 요리 | 아제르바이잔 요리 오스만 요리 튀르키예 요리 |
| 상세 정보 | |
| 주 재료 | 요구르트, 오이 |
| 비슷한 음식 | 라이타, 마스트 오 히야르, 스네잔카, 아브두그 히야르, 오브두크, 자지키, 타라토르 |
| 기타 정보 | |
| 영양 정보 (추정치) | |
| 관련 명칭 | |
| 튀르키예어 | cacık |
| 아제르바이잔어 | cacıq |
| 아랍어 | جاجيك (자지크) |
2. 이름
튀르키예어 "자즈크(cacıktr)"는 오스만 터키어 "자즈그(جاجیگota)"에서 나온 말이며, 그 이상의 어원은 불명확하다. 지지포라속(''Ziziphora''la) 등에 속하는 여러 식용 허브를 가리키는 페르시아어 "자즈(ژاژfa)"가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동원어로 "캐러웨이"를 뜻하는 쿠르드어 "자지(jajku)"가 있다. 아르메니아어 "차처흐(ճաճըխhy)"는 터키어나 쿠르드어에서, 그리스어 "자지키(τζατζίκιel)"와 이라크 아랍어 "자지크(جاجيكar)"는 터키어에서 차용한 말이다.[2] 치즈 같은 음식을 뜻하는 아르메니아어 "자지크(ժաժիկhy)"도 동원어일 가능성이 있다.
에블리야 첼레비가 쓴 17세기 기행문 《세야하트나메》에서는 "자즈크(cacıχota)"를 식용 허브로 설명하며, 아흐메트 베피크 파샤가 쓴 1876년 오스만 터키어 사전에서는 "자즈크(cacıkota)"를 요구르트를 넣어 만든 허브 샐러드라 풀이했다.[1]
3. 지역별 자즈크
3. 1. 터키

오이와 요구르트, 마늘을 넣어 만들며, 때에 따라 민트, 양파, 백리향, 딜, 올리브유 등을 넣는다. 터키에서는 자즈크를 주요리에 곁들이는 부식으로 내며, 물을 타 묽은 수프처럼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다. 메제(전채)로 낼 때는 물을 타지 않으며, 구운 고기류와 함께 낼 때는 파프리카를 넣기도 한다. 드물게 오이 대신 당근이나 양상추를 넣어 만들기도 하며, 이 경우에 '''겨울 자즈크'''(kış cacığı|크슈 자즈으tr)라 불린다.
안탈리아 지방에서는 풋아몬드 열매를 뜻하는 "찰라(çağlatr)"를 넣어 '''풋아몬드 자즈크'''(çağla cacığı|찰라 자즈으tr)를 만든다. 여과 요구르트에 소금과 물을 타고, 잘게 썬 풋아몬드와 다진 마늘을 넣어 만들며, 올리브유를 뿌리고 민트 잎을 올려 낸다.
식초를 넣어 만든 '''식초 자즈크'''(sirkeli cacık|시르켈리 자즈크tr)는 요구르트에 잘게 썬 오이, 다진 마늘, 소금, 민트 잎을 넣은 다음 식초를 넣어 섞어 만든다.
3. 2. 이라크
이라크에서는 자즈크가 '''자지크'''(جاجيكar)로 알려져 있다. 주로 메제로 내며 아라크 등 술에 곁들이기도 한다.
3. 3. 기타 지역
4. 비슷한 음식
그리스의 자지키(차치키/τζατζίκιel)와 발칸반도의 타라토르(타라토르/тараторbg)가 자즈크와 비슷하다.
아제르바이잔의 오브두크(오브두흐/ovdukhaz)는 케피르나 요구르트 등 발효유로 만들고, 오이 외에도 고수, 딜, 바질 등 허브와 파를 넣어 만든다. 채소, 달걀, 햄 등을 섞은 것에 부어 먹기도 하며, 이것이 "캅카스 오크로시카"로 불리기도 한다.
이란의 아브 두그 히야르(아브 두그 히야르/آبدوغخیارfa)와 마스트 오 히야르(마스트 오 히야르/ماست و خیارfa)도 오이와 발효유로 만든 음식이다. 아브 두그 히야르는 두그를 넣어 묽은 수프처럼 만든 음식이고, 마스트 오 히야르는 여과 요구르트로 걸쭉하게 만든 딥이다.
다히로 만드는 소스인 남아시아의 라이타와도 유사성이 있다.
참조
[1]
웹인용
Cacık
https://www.etimoloj[...]
2020-11-22
[2]
웹인용
cacık
https://www.nisanyan[...]
2020-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