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작서의 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서의 변은 1527년(중종 22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중종의 후궁 경빈 박씨와 그의 아들 복성군을 왕세자 인종을 저주했다는 혐의로 몰아 폐서인한 사건이다. 쥐를 불에 태우고 세자의 침실에 매다는 등의 저주 행위가 발단이 되었으며, 경빈 박씨가 왕세자를 해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이 사건으로 경빈 박씨와 복성군은 폐서인되어 상주로 추방되었으나, 이후 진범이 따로 밝혀지면서 복성군은 복권되었다. 작서의 변은 중종 시대 정치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사관은 중종의 우유부단함과 경빈 박씨의 행실을 비판하며, 중종 치세의 한계를 지적했다.

2. 작서의 변 (1527년)

1527년(중종 22년) 2월 25일, 당시 왕세자였던 인종의 12번째 생일날, 누군가가 죽은 쥐를 사지를 찢고 불에 지져 세자의 침실 밖에 매달아 놓았다. 이 일은 세자의 생일 당시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사건 발생 한 달 뒤인 3월 말, 세자의 외조부 윤여필심정에게 이 사실을 말했고, 심정이 좌의정 이유청에게 알렸으며, 이유청이 최종적으로 중종에게 아뢰어 사건의 주모자에게 죄를 줄 것을 청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1]

의정부는 범인을 즉시 색출할 것을 청하였고, 사헌부사간원도 세자궁을 저주한 자를 찾아 죄를 줄 것을 청하였다.[4] 사건 현장을 처음 목격한 중종의 또 다른 후궁인 상궁 창빈 안씨의 여종 내은덕(內隱德)을 시작으로, 세자궁의 시녀 은금(銀今)과 중월(仲月) 및 무수리 현비(玄非) 등이 공사를 받았다.[5] 누군가가 쥐의 눈, 코, 입을 지지고 꼬리를 반쯤 자른 것을 세자궁뿐만 아니라 대전 근방에도 두었는데, 왕실을 저주하는 주술 행위는 역모죄에 해당하는 중죄였다. 이 사건은 옥사로 확대되었고, 중종의 총애를 받던 희빈 홍씨경빈 박씨 또한 용의선상에 오르며 궁인들에게 거론되었다.

정현왕후는 4월 14일에 언문(한글) 교지를 내려 이 사건에 대한 자신의 감정과 의구심이 드는 부분 등을 전했다. 교지에서 경빈 박씨가 자신이 의심받고 있는 상황에 불만을 품고 욕설을 했으며, 경빈의 둘째 딸 혜순옹주의 계집종들이 인형을 만들어 '쥐를 지진 일을 발설하면 이렇게 죽이겠다' 하며 인형을 참수하는 흉내를 내며 저주하였다는 얘기를 전했다.[6]

경빈 박씨혜순옹주의 계집종들을 붙잡아 6번이나 형신을 가했으나 모두 자복하지 않았다.[7] 대간과 삼사가 계속 경빈 박씨와 복성군에게 죄를 주고 내쫓으라고 주청하자,[8] 4월 21일 중종은 박씨를 폐서인하기로 결정했다. 승정원이 교지를 작성하기로 했는데, 박씨가 범인이라고 자복한 사람이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작성을 힘들어하여 중종에게 지침을 내려달라고 했다. 중종은 '대비께서 경빈이 의심스럽다는 글을 내리셨으니 그에 의지하라'며 슬쩍 책임을 대비에게 돌렸다. 4월 23일, 정현왕후는 중종에게 비망기를 내려 '내가 비록 경빈을 의심하긴 했어도 범인으로 확정지은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이날 대간이 합사하여 경빈을 내쫓을 것을 열한 번이나 아뢰었으나 중종은 경빈에게 죄를 줄 수 없다고 말하였다.[9] 4월 26일, 중종은 경빈 박씨와 아들 복성군을 폐하여 서인으로 강등하고 경상도 상주로 추방하였으며, 경빈의 아버지를 비롯한 인척들 역시 파직되었다.[10]

2. 1. 배경

'작서(灼鼠)'는 '불에 탄 쥐'를 뜻한다. 누군가가 불에 탄 의 시체를 세자(인종)의 동궁 북쪽 나무에 매달아 놓은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 사건이 시작되었다.[1]

중종의 후궁 경빈 박씨는 중종의 맏아들 복성군을 낳아 총애를 받았다. 당시 왕비였던 장경왕후가 원자(인종)를 낳고 1주일 만에 사망하자, 경빈은 왕의 가장 많은 총애를 받는 후궁으로서 왕비 후보로 거론되며 스스로도 왕비 자리에 오르기를 희망하였다.[2]

하지만 정광필은 경빈의 집안이 미천하고, 훗날 원자(인종)와 복성군 사이에 왕위 다툼이 벌어질 것을 염려하여 반대하였다. 결국 경빈의 뜻은 좌절되었고, 중종은 문정왕후를 새로운 왕비로 책봉하였다.

당시 중종의 총애를 받던 경빈 박씨희빈 홍씨는 왕의 총애를 믿고 사화에 관여하며 개입했는데, 사림들은 이들의 행동을 왕의 총애를 흐리는 행동이라 비난하였다. 사간원과 헌부의 대신들을 비롯하여 사관들 또한 이들의 성품을 노골적으로 비난하였다.[3]

중종실록》의 사관은 중종과 경빈 박씨, 작서의 변과 중종의 치세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경빈은 성품이 공손하지도 않고 만족할 줄도 몰라서 사랑을 얻으려는 술책만 힘썼다. 은총을 믿고 멋대로 방자하게 구는가 하면 분수에 넘친 마음을 품고 뇌물을 널리 긁어들였으므로 간청(干請)하는 사람이 구름처럼 몰려 들었다. 그러고도 전혀 경계할 줄을 모르다가 이런 화를 저지른 것이다. 그러나 시론(時論)은 박씨만의 죄가 아니라 역시 임금이 지나치게 총애한 소치라고 했다.중국어


|사신은 논한다. 미(嵋, 복성군)가 작서의 변이나 목패를 매단 모의에 간섭하고 참여하였다면 종묘 사직에 관계되는 죄이므로 드러내어 처형해도 애석할 것이 없겠다. 그러나 간흉의 무리들이 거짓 공론을 빙자하여 군부를 협박, 임금이 사랑하는 아들을 죽이면서도 조정으로 하여금 감히 입을 열지 못하게 했다.중국어


|사신은 논한다. 상(중종)은 인자하고 유순한 면은 남음이 있었으나 결단성이 부족하여 비록 일을 할 뜻은 있었으나 일을 한 실상이 없었다. 좋아하고 싫어함이 분명하지 않고 어진 사람과 간사한 무리를 뒤섞어 등용했기 때문에 재위 40년 동안에 다스려진 때는 적었고 혼란한 때가 많아 끝내 소강(小康)의 효과도 보지 못했으니 슬프다.
사신은 논한다. 인자하고 공검한 것은 천성에서 나왔으나 우유부단하여 아랫사람들에게 이끌려 견성군을 죽여 형제간의 우애가 이지러졌고, 신비(愼妃, 단경왕후)를 내치고 박빈(朴嬪, 경빈 박씨)을 죽여 부부의 정이 없어졌으며 복성군과 당성위를 죽여 부자간의 은의(恩義)가 어그러졌고, 대신을 많이 죽이고 주륙(誅戮)이 잇달아 군신의 은의가 야박해졌으니 애석하다.중국어

2. 2. 발단

작서(灼鼠)는 '불에 탄(灼) 쥐(鼠)'를 의미한다. 누군가가 불에 탄 시체를 세자(인종)의 동궁 북쪽 나무에 매달아 놓으면서 사건이 시작되었다.[1]

1527년 2월 25일, 당시 왕세자였던 인종의 12번째 생일날, 누군가가 죽은 쥐의 사지를 찢고 불에 지져 세자의 침실 밖에 매달아 놓았다. 이 일은 세자의 생일 당시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사건 발생 한 달 뒤인 3월 말, 세자의 외조부 윤여필심정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심정은 좌의정 이유청에게, 이유청은 최종적으로 중종에게 아뢰어 사건의 주모자에게 죄를 줄 것을 청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1]

의정부에서는 범인을 즉시 색출할 것을 청하였고, 사헌부사간원에서도 세자궁을 저주한 자를 찾아 죄를 줄 것을 청하였다.[4]

2. 3. 경과

사건 현장을 처음 목격한 중종의 또 다른 후궁인 상궁 창빈 안씨의 여종 내은덕(內隱德)을 시작으로, 세자궁의 시녀 은금(銀今)과 중월(仲月) 및 무수리 현비(玄非) 등이 공사를 받았다.[5] 누군가가 쥐의 눈, 코, 입을 지지고 꼬리를 반쯤 자른 것을 세자궁뿐만 아니라 대전 근방에도 두었는데, 왕실을 저주하는 주술 행위는 역모죄에 해당하는 중죄였다. 이 사건은 옥사로 확대되었고, 중종의 총애를 받던 귀인 희빈 홍씨경빈 박씨 또한 용의선상에 오르며 궁인들에게 거론되었다.

정현왕후(자순대비)는 1527년 4월 14일에 언문(한글) 교지를 내려 이 사건에 대한 자신의 감정과 의구심이 드는 부분 등을 전했다. 교지에서 경빈 박씨가 자신이 의심받고 있는 상황에 불만을 품고 욕설을 했으며, 경빈의 둘째 딸 혜순옹주의 계집종들이 인형을 만들어 '쥐를 지진 일을 발설하면 이렇게 죽이겠다' 하며 인형을 참수하는 흉내를 내며 저주하였다는 내용을 전했다.[6]

이에 경빈 박씨혜순옹주의 계집종들을 붙잡아 6번이나 형신을 가했으나 모두 자복하지 않았다.[7] 대간과 삼사가 계속 경빈 박씨와 복성군에게 죄를 주고 내쫓으라고 주청하자,[8] 1527년 4월 21일 중종은 박씨를 폐서인하기로 결정했다. 이때 승정원이 교지를 작성하기로 했는데, 박씨가 범인이라고 자복한 사람이 아무도 없었기 때문에 작성을 힘들어하여 중종에게 지침을 내려달라고 했다. 이때 중종은 '대비께서 경빈이 의심스럽다는 글을 내리셨으니 그에 의지하라'며 슬쩍 책임을 대비에게 돌렸다. 1527년 4월 23일, 정현왕후는 중종에게 비망기를 내려 '내가 비록 경빈을 의심하긴 했어도 범인으로 확정지은 것은 아니다'라고 하였다. 이날 대간이 합사하여 경빈을 내쫓을 것을 열한 번이나 아뢰었으나 중종은 경빈에게 죄를 줄 수 없다고 말하였다.[9]

2. 4. 결과

중종은 1527년(중종 22년) 4월 26일, 경빈 박씨와 아들 복성군을 서인으로 강등하고 경상도 상주로 추방하였으며, 경빈의 아버지를 비롯한 인척들 역시 파직되었다.[10] 작서의 변 사건 때 혜순옹주의 계집종들이 문초를 받았고,(『중종실록』 22년 4월 15일) 혜정옹주의 남편 홍려는 이 사건으로 신문을 받던 중 고문을 이기지 못하고 사망하였다.(『중종실록』 28년 5월 26일)

혜순옹주와 혜정옹주는 어머니 경빈 박씨와 오빠 복성군이 사사됨과 함께 폐서인되었으며, 혜순옹주의 남편 김인경 또한 이 사건에 연루되어 변방으로 유배되었다.(『중종실록』 28년 5월 26일)

하지만 이후 이 사건의 주모자가 경빈 박씨와 복성군이 아니었음이 밝혀지며 복성군은 1541년(중종 36) 복권되었다.(『중종실록』 36년 11월 9일) 사건의 주모자가 밝혀지면서 두 옹주와 김인경은 신원되었다.(『중종실록』 36년 11월 9일)

3. 가작인두의 변 (1533년)

1533년(중종 28년), 동궁(東宮) 빈청 남쪽에서 사람 머리 모양을 한 물건이 발견되었다. 이 물건에는 머리카락이 붙어 있고 이목구비 등이 새겨져 있었으며, 목패에는 '세자의 몸을 능지할 것', '세자 부주(父主)의 몸을 교살할 것', '중궁(中宮)을 참(斬)할 것'과 같은 저주하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11] 이 사건으로 6년 전 폐출된 복성군 모자와 혜정옹주의 남편 당성위(唐城尉) 홍려가 연루되었다.

중종은 복성군에게 사약을 내리면서 "미(嵋)가 어느 곳에서 죽느냐! 그가 죄 때문에 죽기는 하지만 바로 나의 골육이다. 시체나마 길에 버려지지 않게 거두어 주어야 하겠으니, 그의 관(棺)을 상주(尙州)로 실어보내도록 하라."라며 슬퍼하였다.[13]

3. 1. 배경

조선 중종의 후궁 경빈 박씨는 중종의 맏아들 복성군을 낳아 큰 총애를 받았다. 장경왕후가 원자(인종)를 낳고 1주일 만에 사망하자, 경빈은 왕의 가장 큰 총애를 받는 후궁으로서 중전의 자리에 오를 것을 기대했다.[2]

하지만 정광필은 경빈의 집안이 미천하고, 훗날 원자(인종)와 복성군 사이에 왕위 다툼이 벌어질 것을 염려하여 반대하였다. 결국 경빈의 뜻은 좌절되었고, 중종은 문정왕후를 새로운 왕비로 맞이하였다.

당시 중종의 총애를 받던 경빈 박씨희빈 홍씨는 왕의 총애를 믿고 사화에 개입하였다. 사림들은 이들의 행동을 왕의 총애를 흐리는 것이라 비난하였고, 사간원, 헌부, 사관들 또한 이들을 노골적으로 비난하였다.[3]

3. 2. 발단

1533년(중종 28년), 동궁(東宮)의 빈청 남쪽 바자(把子) 위에 사람의 머리 모양을 한 물건이 발견되었다. 이 형상에 누군가가 머리카락을 붙이고 이목구비 등을 새겨 목패에 단 다음, 목패에 '세자의 몸을 능지할 것', '세자 부주(父主)의 몸을 교살할 것', '중궁(中宮)을 참(斬)할 것' 과 같은 내용을 적어놓았다.[11] 이 저주 사건으로 인해 6년 전 폐출된 복성군 모자와 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唐城尉) 홍려(洪礪)가 연루되었다.

1533년 5월 23일, 대간의 탄핵을 받아 경빈 박씨가 마침내 사사되었다.[12]

이후 홍문관과 시강원, 대간의 대신들이 복성군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 홍려의 사사를 요구하였으나 중종은 강하게 거부하였다. 반복된 주청 끝에 복성군은 결국 사사되었으며, 혜순옹주혜정옹주는 옹주의 작호를 박탈당하고 폐서인되었다. 조선 역사상 재위 중의 국왕이 아들을 죽인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혜순옹주의 남편인 광천위 김인경은 유배되었고, 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 홍려는 모진 고문 끝에 사망하였다.[13]

가작인두의 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532년, 유생 이종익(李宗翼)은 작서의 변은 인종의 누나인 효혜공주의 남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와 김희의 아버지인 김안로가 꾸민 일이라고 주장했지만, 조정이 사실 여부를 확인하진 않았다. 이후 인종은 중종에게 '박씨가 범죄를 저질렀더라도 미(복성군)가 연루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복성군의 작호와 신분을 신원해달라고 청하였다.[14] 이후 복성군은 물론 폐출된 두 옹주의 신분도 신원되었으나, 경빈 박씨가 작서의 변의 진범이 아니라고 공적으로 확인하지는 않았다. 다만 억울하게 죽었다고 암묵적으로 수긍한 것 같다.

3. 3. 경과

1533년(중종 28년), 동궁(東宮)의 빈청 남쪽 바자(把子) 위에 사람의 머리 모양을 한 물건이 발견되었다. 이 형상에는 누군가가 머리카락을 붙이고 이목구비 등을 새겨 목패에 달았는데, 목패에는 '세자의 몸을 능지할 것', '세자 부주(父主)의 몸을 교살할 것', '중궁(中宮)을 참(斬)할 것'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었다.[11] 이 저주 사건으로 인해 6년 전 폐출된 복성군 모자와 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唐城尉) 홍려(洪礪)가 연루되었다.

5월 23일, 대간의 탄핵을 받아 경빈 박씨가 마침내 사사되었다.[12]

이후 홍문관과 시강원, 대간의 대신들이 복성군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 홍려의 사사를 요구하였으나, 중종은 강하게 거부하였다. 반복된 주청 끝에 복성군은 결국 사사되었으며, 두 옹주(혜순옹주, 혜정옹주) 역시 옹주의 작호를 박탈당하고 폐서인되었다. 조선 역사상 재위 중의 국왕이 아들을 죽인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혜순옹주의 남편인 광천위 김인경은 유배되었고, 혜정옹주의 남편인 당성위 홍려는 모진 고문 끝에 사망하였다.[13]

嵋|미중국어(복성군)에게 사약을 내릴 적에 중종이 슬픈 마음으로 정원에 전교하였는데, 이 전교를 들은 사람은 오열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 중종은 "미(복성군)가 어느 곳에서 죽느냐! 그가 죄 때문에 죽기는 하지만 바로 나의 골육이다. 시체나마 길에 버려지지 않게 거두어 주어야 하겠으니, 그의 관(棺)을 상주(尙州)로 실어보내도록 하라."라고 전교하였다.[13]

가작인두의 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532년, 유생 이종익(李宗翼)은 작서의 변은 인종의 누나인 효혜공주의 남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와 김희의 아버지인 김안로가 꾸민 일이라고 주장했지만, 조정이 사실 여부를 확인하진 않았다. 이후 인종은 중종에게 '박씨가 범죄를 저질렀더라도 미(복성군)가 연루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복성군의 작호와 신분을 신원해달라고 청하였다.[14] 이후 복성군은 물론 폐출된 두 옹주의 신분도 신원되었으나, 경빈 박씨가 작서의 변의 진범이 아니라고 공적으로 확인하지는 않았다. 다만 억울하게 죽었다고 암묵적으로 수긍한 것 같다.

3. 4. 결과

1533년(중종 28년), 대간의 탄핵을 받아 경빈 박씨가 사사되었다.[12] 홍문관, 시강원, 대간 대신들은 복성군혜정옹주의 남편 홍려의 사사를 요구했으나, 중종은 강하게 거부했다. 그러나 반복된 요청으로 복성군은 결국 사사되었고, 혜순옹주혜정옹주는 옹주 작호를 박탈당하고 폐서인되었다. 이는 조선 역사상 재위 중인 국왕이 아들을 죽인 최초의 사례였다. 혜순옹주의 남편 김인경은 유배되었고, 혜정옹주의 남편 홍려는 모진 고문 끝에 사망하였다.[13]

하지만 이후 이 사건의 주모자가 경빈 박씨와 복성군이 아니었음이 밝혀지면서, 복성군은 1541년(중종 36) 복권되었다.[10] 사건의 주모자가 밝혀지면서 두 옹주와 김인경은 신원되었다.[10]

4. 사건의 진상과 재조명

김안로와 효혜공주 부부의 연루설 등 작서의 변의 진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과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4. 1. 복성군 신원

중종 36년(1541년)에 이 사건의 주모자가 경빈 박씨복성군이 아니었음이 밝혀지면서 복성군은 복권되었다.(『중종실록』 36년 11월 9일)[10]

5. 역사적 평가 및 현대적 의의

중종실록》의 사관은 경빈 박씨가 만족할 줄 모르고 권력에 기대어 뇌물을 긁어모으는 등 경계심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는 경빈 박씨만의 죄가 아니라, 중종의 지나친 총애도 문제였다고 지적했다.[2]

사관은 중종에 대해 인자하지만 결단력이 부족하고, 선악 구분이 불분명하여 인재 등용에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재위 기간 동안 혼란이 잦았고, 단경왕후경빈 박씨, 복성군을 죽이는 등 가족 간의 불화와 잦은 숙청으로 군신의 의리마저 잃었다고 비판했다.[3]

이러한 역사적 평가는 현대 정치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권력 집중과 남용의 위험, 지도자의 결단력과 공정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게도 중요한 교훈이다. 권력자의 독단과 편협함은 비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균형 잡힌 인사와 정책 결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5. 1. 중종 시대 정치의 한계

경빈 박씨는 중종의 맏아들 복성군을 낳아 총애를 받았다. 장경왕후가 원자(인종)를 낳고 1주일 만에 사망하자, 경빈은 중전의 자리에 오르기를 희망하였다.[2] 하지만 정광필은 경빈의 집안이 미천하고, 원자와 복성군 간의 왕위 쟁탈을 염려하여 반대하였다. 결국 경빈의 뜻은 좌절되고, 중종은 문정왕후를 새로운 왕비로 책봉하였다.

당시 중종의 총애를 받던 경빈 박씨희빈 홍씨는 왕의 총애를 믿고 사화에 관여하였는데, 사림들은 이를 왕의 성총을 흐리는 행동이라며 비난하였다.[3]

중종실록》의 사관은 중종과 경빈 박씨, 작서의 변과 중종의 치세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중국어

경빈은 성품이 공손하지도 않고 만족할 줄도 몰라서 사랑을 얻으려는 술책만 힘썼다.|경빈은 성품이 공손하지도 않고 만족할 줄도 몰라서 사랑을 얻으려는 술책만 힘썼다.중국어

은총을 믿고 멋대로 방자하게 구는가 하면 분수에 넘친 마음을 품고|은총을 믿고 멋대로 방자하게 구는가 하면 분수에 넘친 마음을 품고중국어

뇌물을 널리 긁어들였으므로 간청(干請)하는 사람이 구름처럼 몰려 들었다.|뇌물을 널리 긁어들였으므로 간청하는 사람이 구름처럼 몰려 들었다.중국어

그러고도 전혀 경계할 줄을 모르다가 이런 화를 저지른 것이다.|그러고도 전혀 경계할 줄을 모르다가 이런 화를 저지른 것이다.중국어

그러나 시론(時論)은 박씨만의 죄가 아니라 역시 임금이 지나치게 총애한 소치라고 했다.|그러나 시론은 박씨만의 죄가 아니라 역시 임금이 지나치게 총애한 소치라고 했다.중국어

 |《중종실록》 58권, 중종 22년(1527년 명 가정(嘉靖) 6년) 4월 26일 (임신)중국어

사신은 논한다.|사신은 논한다.중국어

미(嵋, 복성군)가 작서의 변이나 목패를 매단 모의에 간섭하고 참여하였다면|미(복성군)가 작서의 변이나 목패를 매단 모의에 간섭하고 참여하였다면중국어

종묘 사직에 관계되는 죄이므로 드러내어 처형해도 애석할 것이 없겠다.|종묘 사직에 관계되는 죄이므로 드러내어 처형해도 애석할 것이 없겠다.중국어

그러나 간흉의 무리들이 거짓 공론을 빙자하여 군부를 협박,|그러나 간흉의 무리들이 거짓 공론을 빙자하여 군부를 협박,중국어

임금이 사랑하는 아들을 죽이면서도 조정으로 하여금 감히 입을 열지 못하게 했다.|임금이 사랑하는 아들을 죽이면서도 조정으로 하여금 감히 입을 열지 못하게 했다.중국어

 |《중종실록》 74권, 중종 28년(1533년 명 가정(嘉靖) 12년) 5월 26일(무진)중국어

사신은 논한다.|사신은 논한다.중국어

상(중종)은 인자하고 유순한 면은 남음이 있었으나 결단성이 부족하여|상(중종)은 인자하고 유순한 면은 남음이 있었으나 결단성이 부족하여중국어

비록 일을 할 뜻은 있었으나 일을 한 실상이 없었다.|비록 일을 할 뜻은 있었으나 일을 한 실상이 없었다.중국어

좋아하고 싫어함이 분명하지 않고|좋아하고 싫어함이 분명하지 않고중국어

어진 사람과 간사한 무리를 뒤섞어 등용했기 때문에|어진 사람과 간사한 무리를 뒤섞어 등용했기 때문에중국어

재위 40년 동안에 다스려진 때는 적었고 혼란한 때가 많아|재위 40년 동안에 다스려진 때는 적었고 혼란한 때가 많아중국어

끝내 소강(小康)의 효과도 보지 못했으니 슬프다.|끝내 소강의 효과도 보지 못했으니 슬프다.중국어

 중국어

사신은 논한다.|사신은 논한다.중국어

인자하고 공검한 것은 천성에서 나왔으나 우유부단하여 아랫사람들에게 이끌려|인자하고 공검한 것은 천성에서 나왔으나 우유부단하여 아랫사람들에게 이끌려중국어

견성군을 죽여 형제간의 우애가 이지러졌고,|견성군을 죽여 형제간의 우애가 이지러졌고,중국어

신비(愼妃, 단경왕후)를 내치고 박빈(朴嬪, 경빈 박씨)을 죽여 부부의 정이 없어졌으며|신비(단경왕후)를 내치고 박빈(경빈 박씨)을 죽여 부부의 정이 없어졌으며중국어

복성군과 당성위를 죽여 부자간의 은의(恩義)가 어그러졌고,|복성군과 당성위를 죽여 부자간의 은의가 어그러졌고,중국어

대신을 많이 죽이고 주륙(誅戮)이 잇달아 군신의 은의가 야박해졌으니 애석하다.|대신을 많이 죽이고 주륙이 잇달아 군신의 은의가 야박해졌으니 애석하다.중국어

 |《중종실록》 105권, 중종 39년(1544년) 11월 15일 (경술)중국어

참조

[1] 서적 중종실록 1527-03-22
[2] 서적 중종실록 1517-07-22
[3] 서적 중종실록 1522-06-08
[4] 서적 중종실록 1527-03-23
[5] 서적 중종실록 1527-03-24
[6] 서적 중종실록 1527-04-14
[7] 서적 중종실록 1527-04-15
[8] 서적 중종실록 1527-04-14
[9] 서적 중종실록 1527-04-23
[10] 서적 중종실록 1527-04-21
[11] 서적 중종실록 1533-05-17
[12] 서적 중종실록 1533-05-23
[13] 서적 중종실록 1533-05-26
[14] 서적 중종실록 1541-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