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경순 (192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경순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육군 장교, 정치인, 사업가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5·16 군사 정변에 참여하여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을 4선, 국회부의장을 역임했다. 1980년 신군부 등장 이후 정계를 은퇴하고 사업가로 활동하다가 2022년 10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 - 김재춘 (1927년)
    김재춘은 경상북도 영일군 출신의 김녕 김씨로, 경상공립중학교를 졸업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교육자이다.
  • 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조봉암
    조봉암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농림부 장관,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진보당 사건으로 사형당했으나 2011년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최규옥
    최규옥은 강원도 양구 출신으로 의료계와 정계에서 활동한 정치인이자 의사로, 신탁통치 반대 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강원도지사, 농림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 5·16 군사정변 관련자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5·16 군사정변 관련자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장경순 (1922년)
기본 정보
이름장경순
로마자 표기Jang Gyeong-sun
한자 표기張坰淳
출생일1922년 3월 2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사망일2022년 7월 18일
단원(丹原), 하원(霞原)
본관인동(仁同)
종교개신교
정치 경력
정당무소속
전임박제환
후임유병현
직책대한민국 제18대 농림부 장관
임기1961년 5월 20일~1963년 6월 24일
군사 경력
군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45년~1963년
계급중장
근무육군본부
국가재건최고회의
참전한국 전쟁
지휘육군본부 교육처 처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운영기획분과위원장
1970년 11월 10일 서독을 방문중인 대한민국 국회의원 6인 중 왼쪽에서 네번째가 장경순
주요 경력
경력한국독립당 당무위원(1945년)
무임소 장관
민주공화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자유수호운동본부 명예회장
자유수호운동본부 명예총재
자유민주연합 당무위원 겸 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자유한국당 전임고문 겸 당무위원
기타
관련 정보제8대 국회는 1971년 7월 1일에 4년의 임기를 시작하였으나, 1972년 10월 유신으로 해산되었다.
5.16 당시의 장경순

2. 생애

전라북도 김제에서 출생하였으며 익산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일제강점기 말에 일본군에 학도병으로 끌려갔으나 광복군에 투신하였다.[1][5] 해방 이후 육군사관학교(7기 특별반)[5]에 입학해 중위로 임관하였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동양대학교 전문부 척식과를 졸업하고 전북중고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했다.[1]

박정희, 장도영, 김종필 등과 함께 5·16 군사 정변에 가담하였으며[5]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다. 농림부 장관에 취임한 것은 5·16 군사 정변 당일, 출동을 주저하는 공수부대원들을 격려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5] 그 외에도 육군정보학교장, 육군본부 교육처장, 육군사관학교 참모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운영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4]

1963년에 중장으로 예편하였으며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제군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그 후 대한민국의 제6·7·8·9·1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63년 12월 17일부터 1972년 10월 17일까지 국회부의장을 지내며 최장기 국회부의장이라는 기록을 세웠다.[4] 또한 대한유도회 회장, 국제유도연맹 부회장, 공화당 중앙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

1980년 전두환, 노태우 등 신군부가 쿠데타를 일으키면서 신군부가 들어서자 정계를 은퇴하였으며[5]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자유수호운동본부 명예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신군부로부터의 공직 제안을 모두 거절하고, 부인과 함께 제주도로 이주했다.[5] 이후 실업가로 전향하여 코리아내추럴워터스 주식회사, 삼호실업 등을 경영했다.[1]

말년인 2016년 1월에 한국재향군인회 회장 선거 출마를 인터뷰에서 밝혔으나, 결국 출마하지 않았고, 같은 해 3월에 헌정회 원로회의 의장에 취임했다. 또한 같은 해 인터뷰에서 재향군인회가 회장의 부정선거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내분이 발생한 것에 대해, 감독기관인 국가보훈처의 책임이 크다고 비판했다.[5]

2022년 7월 18일, 10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3]

3. 학력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졸업(1941년)

도요 대학 척식산업학과 학사(1945년)

육군사관학교 6기(1948년)

육군보병학교 졸업(1949년)

육군포병학교 졸업(1950년)

육군공병학교 졸업(1952년)

대한민국 육군대학 졸업(1955년)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3기(1958년)

3. 1. 명예 박사 학위

4. 정치 활동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났다. 동양대학교 전문부 척식과를 졸업하고, 전북중고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한 후[1], 육군사관학교(7기 특별반)[5],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육군정보학교장, 육군본부 교육처장, 육군사관학교 참모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농림부 장관, 국가재건최고회의 운영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4] 특히 농림부 장관에 취임한 것은 5·16 군사 쿠데타 당일, 출동을 주저하는 공수부대원들을 격려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5]

제6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고, 이후 4선 의원을 지냈다. 1963년 12월 17일부터 1972년 10월 17일까지 제6, 7, 8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대한유도회 회장, 국제유도연맹 부회장, 공화당 중앙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 1980년대 이후에는 신군부로부터의 공직 제안을 모두 거절하고, 부인과 함께 제주도로 이주했다.[5] 이후 실업가로 전향하여 코리아내추럴워터스 주식회사, 삼호실업 등을 경영했다.[1]

말년인 2016년 1월에 한국재향군인회 회장 선거 출마를 인터뷰에서 밝혔으나, 결국 출마하지 않았고, 같은 해 3월에 헌정회 원로회의 의장에 취임했다. 또한 같은 해 인터뷰에서 재향군인회가 회장의 부정선거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내분이 발생한 것에 대해, 감독기관인 국가보훈처의 책임이 크다고 비판했다.[5]

2022년 7월 18일 별세. 향년 100세.[1][2][3]

4. 1. 5.16 군사정변 참여와 박정희 정권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났다. 동양대학교 전문부 척식과를 졸업하고, 전북중고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한 후[1], 육군사관학교(7기 특별반)[5],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육군정보학교장, 육군본부 교육처장, 육군사관학교 참모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농림부 장관, 국가재건최고회의 운영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4] 특히 농림부 장관에 취임한 것은 5·16 군사 쿠데타 당일, 출동을 주저하는 공수부대원들을 격려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5]

제6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고, 이후 4선 의원을 지냈다. 1963년 12월 17일부터 1972년 10월 17일까지 제6, 7, 8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대한유도회 회장, 국제유도연맹 부회장, 공화당 중앙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

4. 2. 국회의원 및 국회부의장 활동

장경순은 일제강점기 시대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났다. 동양대학교 전문부 척식과를 졸업하고, 전북중고등학교에서 체육 교사로 근무한 후[1], 육군사관학교(7기 특별반)[5],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육군정보학교장, 육군본부 교육처장, 육군사관학교 참모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농림부 장관, 국가재건최고회의 운영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4] 5·16 군사 쿠데타 당일, 출동을 주저하는 공수부대원들을 격려하여 농림부 장관에 취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제6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고, 이후 4선 의원을 지냈다. 1963년 12월 17일부터 1972년 10월 17일까지 제6, 7, 8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또한 대한유도회 회장, 국제유도연맹 부회장, 공화당 중앙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 1980년대 이후에는 신군부로부터의 공직 제안을 모두 거절하고, 부인과 함께 제주도로 이주했다.[5] 이후 실업가로 전향하여 코리아내추럴워터스 주식회사, 삼호실업 등을 경영했다.[1]

말년인 2016년 1월에 한국재향군인회 회장 선거 출마를 인터뷰에서 밝혔으나, 결국 출마하지 않았고, 같은 해 3월에 헌정회 원로회의 의장에 취임했다. 또한 같은 해 인터뷰에서 재향군인회가 회장의 부정선거 사건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내분이 발생한 것에 대해, 감독기관인 국가보훈처의 책임이 크다고 비판했다.[5]

2022년 7월 18일 별세. 향년 100세.[1][2][3]

5. 평가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6. 일화

10대에 유도를 시작하여 강도관(講道館)에서 三船久蔵(미후네 큐조)와 徳三宝(토쿠 산포)를 사사한 적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유도의 달인인 정치인 辛道煥과는 일본 유학 중 학교는 달랐지만 같은 하숙방에 살았던 사이이다.[5]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고향 경찰이 쓴 "아버지 위독을 알리는 편지"로 위장한 징집 명령서에 의해 蘇州市(소주시)에 본부가 있던 중지파견군의 제60사단(일본군)에 학도병으로 종군했다.[1][5] 현지에서는 국부군이 서민의 집에 강도질을 하는 한편, 팔로군은 서민의 재산을 침해하지 않는 것을 목격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민심이 毛沢東(마오쩌둥)에게 기울어 장제스는 타이완으로 쫓겨났다고 말했다.[5]

또한, 장제스가 타이완에서 실시한 부정부패 단속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月刊朝鮮(월간 조선)』의 인터뷰에서, 타이완으로 건너간 장제스는 국군의 부정부패를 조사하도록 했는데, 그 중심 인물이 차남(蔣緯國(장웨이궈))의 아내였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장제스는 그 여성을 식사 모임에 유인하여 "국가가 살아남기 위해 당신이 죽어야 한다"고 말하며 권총 1정이 들어있는 상자를 선물했다. 그 후, 차남의 아내는 그 권총으로 자결했고, 타이완 관료의 부정이 줄어들고 규율이 좋아졌다는 일화를 소개했다.[5]

7.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횟수
총선6대국회의원전북 김제군민주공화당48,795표66.50%1위당선초선
총선7대국회의원전북 김제군민주공화당65,952표69.67%1위당선재선
총선8대국회의원전북 김제군민주공화당48,140표57.81%1위당선3선
총선9대국회의원전북 정읍군·김제군민주공화당38,096표22.83%2위당선4선
총선10대국회의원전북 정읍군·김제군민주공화당51,632표28.02%1위당선5선


8. 장경순을 연기한 배우

8. 1. 텔레비전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발자취] 100세를 일기로 타계한 장경순 전 국회부의장 http://m.monthly.cho[...] 2022-07-21
[2] 웹사이트 장경순 前 국회부의장 별세 https://www.hankyung[...] 2022-07-18
[3] 웹사이트 5선·두차례 장관 지낸 만 100세 장경순 전 국회부의장 별세 https://www.yna.co.k[...] 2022-07-18
[4]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5] 웹사이트 헌정회 원로회의 신임 의장 장경순 "국가보훈처가 재향군인회 정상화 가로막아" http://monthly.chosu[...] 2016-05-28
[6] 문서 대한민국헌정회에는 호적상 생년월일인 1923년 3월 23일 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