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연은 4세기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족 모용부가 건국한 왕조이다. 모용외가 307년 선비 대선우를 자칭하며 자립한 후, 모용황이 337년 연왕을 칭하며 전연을 건국했다. 전연은 요동 지방을 장악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화북 동쪽 지역을 차지했으나, 모용준 사후 모용위가 즉위한 후 모용각의 섭정 시기에는 태평성대를 누렸지만, 모용각 사후 정치 부패로 국력이 쇠퇴했다. 결국 370년 전진의 침입으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연 - 모용준
    모용준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연의 2대 군주이자 초대 황제로, 아버지 모용황의 뒤를 이어 연왕에 즉위한 후 후조의 혼란을 틈타 중원 진출을 본격화하여 황제를 칭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전진, 동진과 대립했고 수도를 업으로 옮겼다.
  • 전연 - 모용황
    모용황은 333년부터 348년까지 전연을 통치한 인물로, 형제들과의 내분을 극복하고 전연을 건국하여 세력을 확장했으며, 고구려를 공격하고 한화 정책을 통해 국가 체제를 정비하다가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전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반 명칭전연
지위제국
존속 기간 시작337년
존속 기간 종료370년
성립 사건모용황의 왕 칭호 주장
성립 날짜337년 11월 23일
주요 사건 1모용준의 황제 칭호 주장
주요 날짜 1353년 1월 4일
주요 사건 2업성 함락
주요 날짜 2370년 12월 11일
이전 국가 1진나라 (266–420)
이전 국가 2염위
이전 국가 3후조
이전 국가 4단기
이후 국가 1전진
수도계성 (337–342)
수도 2용성 (342–350)
수도 3계성 (350–357)
수도 4업성 (357–370)
통치자
통치자 1모용황
통치자 2모용준
통치자 3모용위
통치 기간 1337–348
통치 기간 2348–360
통치 기간 3360–370
통치 직함황제
지도
338년의 16국
338년의 전연
369년의 16국
369년의 전연
현재 국가
현재 국가중국

2. 역사

선비족의 분파 모용부요서 일대를 근거지로 서진에 복종하며 다른 선비 부족들과 항쟁했다. 307년 모용부 수장 모용외선비대선우를 자칭하며 자립했다. 모용외는 서진 유민을 받아들여 세력을 강화했고, 319년 서진 동이교위(東夷校尉) 최비(崔毖)를 물리쳐 요동 지방 패권을 획득했다.

333년 모용외의 뒤를 이은 모용황은 내분을 진압하고 337년 연왕을 자칭, 전연을 건국했다. 338년 단부를 공격하고 후조 침입을 물리쳤으며, 이후 후조와 대립하며 고구려, 우문부 등을 공격했다. 341년 용성(요녕성 조양시)으로 수도를 옮겼다.

348년 모용황 뒤를 이은 모용준은 후조 멸망의 혼란을 틈타 350년 유주 일대를 점령하고 기주를 공격, 352년 염위를 멸망시키고 하북 지역 점령 후 황제에 즉위했다. 353년 으로 천도, 영토 확장에 주력해 화북 동쪽을 장악했다.

360년 모용준 뒤를 이은 모용위는 어려 모용각이 섭정, 선정으로 태평성대를 누렸다. 367년 모용각 사후 모용평이 실권을 잡고 부패 정치를 해 전연은 쇠퇴했다. 369년 동진 환온의 북벌군을 전진 구원군과 모용수 활약으로 물리쳤으나, 모용평의 시기로 모용수는 전진으로 망명했다. 370년 전진 부견 침입에 항복, 전연은 멸망했다.

2. 1. 건국 이전

선비족의 분파 중 하나인 모용부요서 일대를 근거지로 삼아 서진에 복종하면서, 선비의 다른 부족들과 항쟁을 벌였다. 307년 모용부의 수장 모용외선비대선우자칭하고 자립하였다.[11] 모용외는 혼란에 빠진 서진의 유민들을 받아들여 세력을 강화하였으며, 319년 서진의 동이교위(東夷校尉) 최비(崔毖)를 물리치면서 요동 지방패권을 획득하였다.

모용외는 요서에 정착하여 농경 생활을 진척시키고 서진의 제도를 도입하여 사회 안정에 힘썼다.[11] 311년 서진이 멸망하자, 한족 유민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중원 문화 도입, 농경 기술 발전, 인재 확보에 성공했다.[12] 모용외는 독자적인 정권 기구를 정비하는 등 실질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스스로 서진·동진(東晋)을 존중하여 동진에는 신하의 예를 갖추고, 동진과의 연계를 통해 요동과 요서 평정, 후조(後趙)와의 대항 등을 수행했다.[12]

333년 모용외가 죽고 뒤를 이은 모용황은 내분을 진압하고, 337년 연왕을 자칭하니, 이것이 전연의 건국이다.[13]

2. 2. 모용황의 통치와 전연 건국

333년 모용외의 뒤를 이어 모용황선비족 모용부의 수장이 되었다. 모용황은 내분을 진압하고 337년 연왕을 자칭했는데,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전연의 시작으로 본다.[13] 모용황은 338년 단부를 공격하고 후조의 침입을 물리쳤다. 이후 후조와 대립하는 한편, 고구려, 선비족의 다른 일파인 우문부 등을 공격했다. 341년 진(晉) 조정에 압력을 가하여 그의 황제 칭호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지만, 재위 기간 동안 명시적으로 독립을 선포하지는 않고 자신을 진의 봉신으로 여겼다. 이후 용성(龍城, 지금의 요녕성 조양시)으로 수도를 옮겼다.[13]

모용황은 아버지 모용외와 마찬가지로 동진(東晉)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341년 동진으로부터 공식적으로 왕위 수여를 받았다.[13]

342년 고구려를 침공하여 수도 환도를 함락시키고 고국원왕을 항복시켰다. 344년 우문부(宇文部)를 공격하여 그들의 세력 기반을 파괴했고, 346년 부여를 침공하여 부여왕 현을 사로잡았다.[8][9] 이러한 군사 원정으로 전연은 중국 동북부의 유일한 군사 강국이 되었다.

2. 3. 모용준의 통치와 전성기

348년 모용황이 죽고 모용준이 뒤를 이었다. 모용준후조가 멸망하며 생긴 혼란을 틈타 350년유주 일대를 점령하고 기주를 공격하였다.[14] 352년에는 염위를 멸망시키고 하북 지역을 점령하여 황제에 즉위하였다.[15][14] 353년에는 으로 수도를 옮겼다.[14] 이후 영토 확장에 주력하여 화북의 동쪽 지역을 장악하였다.

352년 11월, 모용준은 중산에서 황제를 칭하고 연호를 원씨라 하고, 동진에서 파견된 사신을 추방하여 동진으로부터 사실상 독립했다.[14] 이후 모용각의 지휘 아래 후조와 단부의 잔당을 평정하였고, 357년에는 (현재 하남성 임장현)으로 수도를 옮겼다.[14]

모용준은 전진동진과의 삼국 대립에 결판을 내고자 대규모 군비 확장을 실시하였으나, 360년 1월에 사망하여 좌절되었다.[14]

2. 4. 모용위의 통치와 멸망

360년, 모용준의 뒤를 이어 모용위가 즉위하였다. 모용위는 나이가 어려 백부인 모용각이 섭정하였는데, 모용각의 섭정 기간에는 선정을 베풀어 태평성대를 누렸다.[16] 모용각은 조카를 잘 보좌하면서 전연의 세력을 점차 남쪽으로 확장하였고, 364년 8월에는 동진으로부터 낙양을 빼앗았으며, 366년까지 회북을 거의 제압하여, 전연은 전성기를 맞이하였다.[16]

그러나 367년에 모용각이 죽자 모용평이 실권을 잡고 부패한 정치를 하면서 전연의 국력은 쇠퇴하였다.[16] 모용평은 뇌물 수수 정치를 행하여 전연을 부패시켰다. 전연의 급속한 쇠약화를 본 동진의 환온은 세 번째 북벌을 감행하여 전연을 침공하였다.[16] 약화된 전연군은 환온의 침공에 계속 패배하였고, 모용위는 용성(龍城)으로 환도하는 것을 고려할 정도였다.[17]

369년에 동진의 환온이 북벌군을 일으켜 연나라를 공격하였는데 전진의 구원군과 모용수의 활약으로 물리쳤다.[17] 모용수는 전진에 영토 할양을 조건으로 원군을 요청하여 대항하였다.[17] 모용수는 전진군이 도착하기 전에 환온을 격파하였고, 전연에서 새로운 실력자로 부상하기 시작하였지만, 그를 시기한 모용평에 의해 제거당할 위기에 처하자, 어쩔 수 없이 전진으로 망명하였다.[17] 모용평은 모용수의 전공을 두려워하여 모용수를 죽이려고 하였고, 모용수는 전진으로 망명하였다.

370년, 전진의 부견의 침입을 받아 항복함으로써 전연은 멸망하였다.[15][17] 전진은 6만의 군대를 동원하여 전연을 공격하였고, 전연도 40만의 군대를 모용평에게 주어 맞섰다.[17] 그러나 진양(晉陽)(현재 산서성(山西省) 태원시(太原市))과 상당(上黨)(현재 산서성 장치시(長治市)) 등 주요 도시들이 잇달아 함락되었고, 11월에는 부견이 직접 이끄는 10만의 침공을 받아 수도 (鄴)이 함락되고, 모용위는 포로로 잡혀 전진의 수도 장안(長安)으로 압송되었다.[15][17]

3. 역대 군주

성씨 및 이름생몰년묘호시호재위 기간혈연관계능묘
모용황(慕容廆)269년 - 333년고조[18]양공[19], 무선왕[20], 무선황제[18]285년 - 333년
1모용황(慕容皝)297년 - 348년태조[18]문명황제[18]333년 - 348년
2모용준(慕容儁)319년 - 360년열조[23]경조황제[23]348년 - 360년
3모용위(慕容暐)350년 - 384년-유황제[24]360년 - 370년


4. 전연의 건국 시점에 대한 이설

전연의 건국 연도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었지만, 아직 정설이 없는 상태이다. 주요 견해는 다음과 같다.

견해내용주요 근거
285년모용황이 모용부의 대인이 된 해십육국춘추
317년~318년경모용황이 동진으로부터 그 지위를 인정받고 스스로 관리를 배치하기 시작한 시기론전연의법제
337년모용황이 연왕에 즉위한 해통지, 소학감주, 중주명현문표 등
345년모용황이 동진의 연호를 사용하는 것을 그만두고 독자적인 기년법을 제정한 해[25]동진과의 종속 관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로 해석
352년모용준이 동진과의 종속 관계를 끝내고 황제에 즉위한 해어정편자류편, 독서기수략 등


5. 국가 체제

전연은 화북의 혼란으로 인해 발생한 한족 유민과 현지 한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관료 기구를 구축하고, 나아가 중원의 발전된 농업 기술과 문화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정권을 형성하였다.[12] 모용위 시대에는 태재, 태부, 태보, 태사, 태위, 대사마, 사도, 사공의 팔공을 정점으로 하는 중앙 통치 기구가 구축되었고,[16] 이후 명실상부한 중국 왕조화되어 갔다.

인구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통계가 있다. 중화 통일을 목표로 한 모용준은 150만 명의 보병을 징집하려 하였으나 급사로 중단되었다.[16] 전진이 전연을 멸망시켰을 때 확보한 전연의 호적에 따르면, 370년 전연의 인구는 998만 7935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7] 이러한 통계로 미루어 볼 때, 비록 왕조 말기의 혼란으로 많은 전쟁 희생자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전연의 전성기 인구는 천만 명을 훨씬 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6. 인구

전연은 화북의 혼란으로 인해 발생한 한족 유민과 현지 한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관료 기구를 구축하고, 나아가 중원의 발전된 농업 기술과 문화를 도입하여 독자적인 정권을 형성하였다.[12] 모용위 시대에는 태재, 태부, 태보, 태사, 태위, 대사마, 사도, 사공의 팔공을 정점으로 하는 중앙 통치 기구가 구축되었고,[16] 이후 명실상부한 중국 왕조화되어 갔다.

인구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통계가 있다. 중화 통일을 목표로 한 모용준은 150만 명의 보병을 징집하려 하였으나 모용준의 급사로 중단되었다.[16] 전진이 전연을 멸망시켰을 때 확보한 전연의 호적에 따르면, 370년 전연의 인구는 998만 7935명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7] 이러한 통계로 미루어 볼 때, 비록 왕조 말기의 혼란으로 많은 전쟁 희생자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전연의 전성기 인구는 천만 명을 훨씬 넘었을 것이라고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참조

[1] 문서
[2] 서적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095
[3] 문서
[4] 서적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099
[5] 문서
[6] 서적 Zizhi Tongjian :zh:s:資治通鑑/卷102
[7] 논문 The History of the Former Yen Dynasty
[8] 서적 Tracing Back the Radiance: Chinul's Korean Way of Z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4-04-22
[9] 서적 A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0-10
[10] 논문 Commencing the Dual System: the Yan Kingdom of Mu-rong Xianbei http://www.upkorea.n[...] 2005
[11]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12]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13]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14]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15] 서적 中国の歴史
[16]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17] 서적 五胡十六国、中国史上の民族大移動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