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바르바리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은 1815년 미국이 바르바리 국가들의 해적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벌인 군사적 충돌이다.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이후, 미국은 영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북아프리카 문제에 소홀해진 틈을 타 바르바리 해적들이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미국은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이 이끄는 함대를 파견하여 알제리와 교전, 협상을 통해 통행료 지불 면제와 지중해 항해권을 확보했다. 이후 영국 또한 알제리에 대한 군사적 공격을 감행하여 해적 행위를 종식시키고 기독교 노예를 석방시켰다. 이 사건들은 해상 무역의 안전과 국제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럽 열강의 북아프리카 식민 지배의 시작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바리 전쟁 - 제1차 바르바리 전쟁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은 1801년부터 1805년까지 미국과 바르바리 해안 국가들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미국은 해군력 강화를 통해 바르바리 해적에 대응하여 데르나 전투 승리 후 조약을 통해 종식되었고 미국의 해군력 강화에 기여했다.
  • 1815년 분쟁 - 제7차 대프랑스 동맹
    나폴레옹 전쟁 중 나폴레옹의 복귀에 대항하여 결성된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은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몰락시키고 프랑스 왕정 복고를 이끌었으며, 파리 조약으로 해체되고 프랑스는 국경 축소와 배상금 지불 조건으로 종전되었다.
  • 1815년 분쟁 - 영국-네팔 전쟁
    영국-네팔 전쟁은 1814년부터 1816년까지 영국 동인도 회사와 네팔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영토 분쟁과 경제적 이해관계 등으로 발발하여 수가울리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이 전쟁을 통해 영국군은 구르카 용병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 1815년 6월 - 워털루 전투
    워털루 전투는 1815년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영국-네덜란드 연합군과 프로이센군에게 벨기에 워털루에서 패배하며 나폴레옹의 몰락을 결정짓고 유럽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온 전투이다.
  • 1815년 6월 - 리니 전투
    리니 전투는 1815년 나폴레옹의 워털루 전역 중 벌어진 전투로, 나폴레옹이 프로이센군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프로이센군의 후퇴를 막지 못하여 워털루 전투에서 프랑스의 패배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바르바리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알제 앞바다의 디케이터 함대
디케이터의 알제 앞바다 함대
분쟁바르바리 전쟁의 일부
날짜1815년 6월 17일 – 1815년 6월 19일
장소지중해
결과미국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2[[파일:Flag of Algiers.jpg|border|25px]] 알제리 섭정
지휘관 및 지도자
미국제임스 매디슨
알제리 섭정[[파일:Flag of Algiers.jpg|border|25px]] 오마르 아가
전력
미국프리깃함 3척, 브리그함 3척, 스쿠너함 2척, 슬루프함 2척
알제리 섭정프리깃함 5척, 소형 군함 7척
사상자 및 피해
미국40명 사망 및 부상
알제리 섭정53명 사망, 다수 부상, 486명 포로, 함선 2척 나포, 함선 1척 침몰
관련 전투

2. 배경

제1차 바르바리 전쟁(1801년~1805년) 이후 미국과 북아프리카 바르바리 국가 사이에는 불안정한 휴전 상태가 이어졌다. 그러나 미국은 영국과의 1812년 전쟁(1812년~1815년)에 집중하게 되었고, 유럽의 주요 국가들 역시 나폴레옹 전쟁에 얽혀 있어 북아프리카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어려웠다.[8]

이러한 상황을 틈타 바르바리 해적들은 지중해에서 미국 상선을 다시 공격하고 선원들을 납치하여 몸값을 요구하는 행위를 재개했다.[7] 1812년 전쟁이 종결되자 미국은 다시 바르바리 해적 문제 해결에 나섰다. 1815년 3월 3일, 미국 의회는 알제리에 대한 해군력 사용을 승인했으며, 이에 따라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이 지휘하는 함대가 1815년 5월 20일 출항하면서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이 시작되었다.[9]

2. 1. 바르바리 국가

유럽인들은 북아프리카의 트리폴리, 튀니스, 알제리 세 나라를 통칭하여 바르바리 국가라고 불렀다. 이들 국가는 명목상으로는 오스만 제국에 속해 있었지만, 실제로는 독립적인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알제리에서는 1659년 반란 이후 오스만 제국이 파견한 파샤(총독)가 힘을 잃고, 군인 집단의 우두머리인 '데이'가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24] 데이의 지위는 세습되지 않았으며, 군인들 사이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자가 차지했다. 반면, 튀니스와 트리폴리에서는 권력을 장악한 군인 가문에 의해 각각 후세인 왕조와 카라만리 왕조가 세워졌다.[24] 이들 국가에서는 '베이'라는 칭호를 가진 통치자가 실권을 행사했으며, 그 지위는 각 왕조 내에서 세습되었다.

제1차 바르바리 전쟁(1801년~1805년) 이후 미국과 바르바리 국가 사이에는 불안정한 휴전 상태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영국과의 1812년 전쟁에 집중하게 되면서 북아프리카 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바르바리 해적들은 다시 지중해에서 미국 상선을 공격하고 선원들을 납치하여 미국 정부에 몸값을 요구하기 시작했다.[7] 당시 유럽의 주요 국가들 역시 1815년까지 계속된 나폴레옹 전쟁에 얽혀 있었기 때문에 바르바리 해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어려웠다.[8]

2. 2. 미국과 유럽의 상황

제1차 바르바리 전쟁(1801년~1805년) 이후 미국과 북아프리카 바르바리 국가들 사이에는 불안정한 휴전 상태가 유지되었으나, 미국은 이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기 어려웠다.[7] 당시 미국은 프랑스와의 무역 문제 등으로 영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이는 결국 미영 전쟁 (1812년~1815년)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이 북아프리카 해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여력을 빼앗았다.

한편, 유럽의 주요 열강들 역시 나폴레옹 전쟁 (1803년~1815년)에 깊이 휘말려 있었기 때문에 북아프리카의 해적 활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어려웠다.[8] 나폴레옹 전쟁은 나폴레옹의 백일천하가 끝난 1815년 6월에 이르러서야 완전히 종결되었다.

미국과 유럽 열강이 각자의 전쟁에 몰두하는 사이, 바르바리 해적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지중해에서 활동을 재개했다. 이들은 미국과 유럽의 상선을 공격하고 선원들을 납치하여 몸값을 요구하는 행위를 다시 시작했다.[7] 특히 영국은 미영 전쟁 기간 동안 알제리의 통치자(데이)에게 미국 상선에 대한 약탈을 부추기기도 했다.[25] 이러한 해적 활동은 바르바리 노예 무역과도 연관되어 있었다.

3. 미국의 대응 (제2차 바르바리 전쟁)

1812년 전쟁이 1815년 2월에 끝나면서 미국은 다시 북아프리카의 바르바리 해적 문제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7][8] 당시 알제리는 영국 편에 서서 미국과 적대 관계에 있었고, 지중해에서 미국 상선을 공격하고 선원들을 납치하는 행위를 재개했다.[7] 이에 제임스 매디슨 대통령은 의회에 "미국과 알제리의 데이(Dey)와 섭정 사이에 전쟁 상태가 존재함"을 선언할 것을 권고했다.[10]

1815년 3월 3일, 미국 의회는 공식적인 전쟁 선포 대신, 대통령에게 알제리에 대한 해군력 사용을 승인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미국 해군이 대서양, 지중해 및 인접 해역에서 미국의 상업과 선원을 보호하고, 알제리에 속한 모든 선박과 재화를 나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10] 또한 대통령이 같은 목적으로 사략선을 위임할 수도 있도록 했다.[10]

의회의 승인에 따라 두 개의 해군 전대가 편성되었다. 윌리엄 베인브리지 제독이 지휘하는 전대는 보스턴 항에, 스티븐 디케이터 제독이 지휘하는 전대는 뉴욕 항에 집결했다. 디케이터의 전대가 먼저 준비를 마치고 1815년 5월 20일에 출항했다.[9][11]

디케이터 함대는 총 10척의 군함으로 구성되었다.

함선 종류함선명무장함장
프리깃USS 게리에르대포 44문윌리엄 루이스
프리깃USS 컨스텔레이션대포 36문찰스 고든
프리깃HMS 마케도니아대포 38문제이콥 존스
슬루프에페리 (Epervier)대포 16문존 다운스
슬루프온타리오 (Ontario)대포 16문제시 D. 엘리엇
브리그파이어플라이 (Firefly)대포 14문조지 W. 코저스
브리그스파크 (Spark)대포 14문토머스 갬블
브리그플랑보 (Flambeau)대포 14문존 B. 니콜슨
스쿠너토치 (Torch)대포 12문월콧 숀시
스쿠너스핏파이어 (Spitfire)대포 12문알렉산더 J. 댈러스



베인브리지 제독의 전대는 준비가 늦어져 7월 1일에 출항했기 때문에, 전쟁의 초기 국면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3. 1. 주요 해전

미해군 사령관 스티븐 디케이터


1815년 5월 20일, 스티븐 디케이터가 지휘하는 10척의 미 해군 함대가 뉴욕 항을 출발했다.[11] 이 함대는 지브롤터를 통과하여 알제리로 향하던 중, 두 차례의 주요 해전을 치렀다.

첫 번째는 가타 곶 해전으로, 디케이터 함대는 알제리의 기함인 ''메슈다''(مشودة|미슈다ar)와 조우하여 이를 나포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파로스 곶 해전에서는 알제리의 브리그함 ''에스테디오''(Estedio|에스테디오es)를 포획했다. 이 두 해전에서의 승리는 이후 알제리와의 협상에서 미국 측에 유리한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4. 협상 및 조약 체결

디케이터와 알제의 파샤, 1881년 작품


스티븐 디케이터가 이끄는 미국 함대는 지브롤터를 떠나 알제로 향하던 중, 1815년 6월 가타 곶 해전에서 알제리 기함 '메슈다'(''Meshuda'')를 나포하고, 이어 파로스 곶 해전에서 알제리 브리그함 '에스테디오'(''Estedio'')도 나포했다.[12][19]

6월 마지막 주(또는 6월 29일[12]), 디케이터 함대는 알제 항에 도착하여 알제의 통치자인 데이와 협상을 시작했다. 미국 측은 알제리의 해적 행위로 인한 손해 배상을 끈질기게 요구하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도시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 결국 알제리 데이는 미국의 요구 조건을 수용했다.

1815년 7월 3일, 알제 만에 정박 중이던 미국 함대의 기함 게리에르(''Guerriere'') 함상에서 조약이 체결되었다. 조약에 따라 디케이터는 나포했던 알제리 함선 '메슈다'와 '에스테디오'를 돌려주었다. 알제리 측은 약 10명으로 추정되는 미국인 포로 전원을 석방하고, 압류된 미국 자산에 대해 1만달러를 지불했다.[12][19] 또한, 포로로 잡혀 있던 상당수의 유럽인들도 알제리인 포로 약 500명과 교환하는 형식으로 석방되었다.[26][12][19]

이 조약을 통해 알제리는 향후 미국 선박에 대해 통행세를 요구하지 않을 것을 보장했으며,[27][13][20] 지중해에서 미국의 완전한 항해권을 인정했다.[27][13][20]

5. 영국의 대응

1816년 초, 영국은 바르바리 국가들의 해적 행위를 중단시키고 기독교도 노예를 해방시키기 위해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 튀니스트리폴리는 요구에 동의했으나, 알제는 반항적인 태도를 보였다.[30] 외교적 해결이 실패하고 영국 보호 하의 어부들이 학살당하는 사건[31]이 발생하자, 영국은 군사적 대응을 결정했다. 엑스머스 자작 에드워드 펠류 제독이 이끄는 영국-네덜란드 연합 함대는 1816년 8월 27일 알제 시를 포격하여 알제의 저항을 꺾었다.[15] 결국 알제는 영국의 요구 조건을 수락했고, 1816년 9월 24일 조약을 통해 1,000명 이상의 기독교도 노예가 해방되고 영국 영사가 석방되었다.[16] 이 사건은 바르바리 해적 시대의 종식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5. 1. 1차 원정 (1816)

빈 체제 출범 이후 영국 정부는 새로 확보한 몰타 등의 안전을 위해 북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외교 교섭에 나섰다. 1816년 초, 영국은 소형 전열함으로 구성된 외교 사절단을 튀니스, 트리폴리, 알제리에 파견하여 해적 행위 중지와 기독교 노예 석방을 요구하는 교섭을 진행했다.[30] 튀니스트리폴리는 영국의 요구에 동의했지만, 알제리는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며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결국 외교 사절단의 단장이었던 엑스머스 제독은 알제리와의 협상에 실패한 채 귀국해야 했다. 그의 귀국 후, 영국 내에서는 신생 독립국인 미국의 바르바리 해적 소탕 활약과 비교하며 엑스머스 제독의 외교 성과에 대한 강한 비판이 제기되었다.[31]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원정대가 귀국한 직후, 알제리 영토인 안나바에서 조업 허가를 받고 산호 채취 작업을 하던 시칠리아 출신 어민 약 200명이 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1] 당시 시칠리아는 영국의 보호 아래 있었기 때문에, 이 사건은 영국과 다른 유럽 국가들의 큰 분노를 샀다.

5. 2. 2차 원정 (1816, 알제 포격)

1816년 알제 포격 당시 영국 해군


1816년 초, 영국튀니스, 트리폴리, 알제에 소규모 전열함 함대를 보내 외교 사절단을 파견했다. 목표는 각 지역의 통치자(데이 또는 파샤)들에게 해적 행위를 중단하고 유럽 기독교인 노예를 석방하도록 설득하는 것이었다. 튀니스트리폴리의 통치자들은 별다른 저항 없이 동의했지만, 알제의 데이는 비협조적이었고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외교 사절단을 이끌었던 에드워드 펠류 제독은 기독교인 노예 제도를 중단시키는 조약을 맺었다고 믿고 영국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조약 체결 직후, 알제리군은 영국의 보호 아래 있던 코르시카인, 시칠리아인, 사르데냐인 어부 200명을 학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영국과 유럽 전역에 큰 분노를 일으켰고, 펠류 제독의 협상은 실패로 돌아갔다.[14]

이에 영국 정부는 펠류 제독에게 임무를 완수하고 알제리를 응징하기 위해 다시 출항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펠류 제독은 5척의 전열함과 여러 척의 프리깃함으로 구성된 함대를 이끌었으며, 추가로 네덜란드 함선 6척의 지원을 받았다.[32] 알제에 도착한 후 가진 협상이 또다시 실패로 끝나자, 1816년 8월 27일, 영국-네덜란드 연합 함대는 알제 시에 대한 대대적인 함포 사격을 시작했다. 9시간 동안 밤낮으로 계속된 포격으로 알제리의 해적선과 해안 포대 대부분이 무력화되었다.[15]

결국 알제의 데이는 전날 거부했던 것과 동일한 조건의 평화 제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펠류 제독은 조건을 수락하지 않으면 공격을 계속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사실 연합 함대는 이미 모든 포탄을 소진한 상태여서 이는 허세였다.[15]

1816년 9월 24일에 조약이 정식으로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 따라 1,083명의 기독교인 노예와 영국 영사가 석방되었고, 이전에 미국이 지불했던 몸값도 반환되었다.[16] 이 2차 원정으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으나, 바르바리 해적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6. 유럽의 공동 대응 및 해적 근절 결의

1814년 8월, 전 영국 해군 중위 시드니 스미스는 유럽 각국의 지도자들에게 '바르바리 지역의 해적 근절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논문'을 보냈다.[28] 그는 이 논문을 통해 바르바리 해적의 근절과 북아프리카에 포로로 잡혀있는 기독교 노예의 석방을 호소했다. 지중해에서 근무하며 북아프리카 상황을 잘 알았던 스미스는 해적에게 잡혀 노예 생활을 하는 유럽인들의 실상을 고발하며, 이를 반인륜적이고 자유로운 상업 활동을 위협하는 반문명적 행위라고 비판했다. 또한, 유럽 국가들이 해적의 위협에 굴복하여 공물을 바치는 행위가 오히려 해적 세력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29] 그의 주장이 즉각적인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했지만, 유럽 사회가 바르바리 해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나폴레옹 몰락 이후 유럽 질서를 재편하기 위해 출범한 빈 체제 하에서 해적 문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1818년 11월에 열린 아헨 회의에서 러시아는 바르바리 해적 근절을 위한 유럽 국가들의 동맹 결성을 제안했다. 그러나 북아프리카 지역과 오랜 관계를 유지해 온 프랑스의 반대로 동맹 결성은 무산되었다. 대신 회의 참가국들은 바르바리 해적 문제에 대한 의정서를 작성하는 선에서 합의를 보았다.[33] 이 의정서에는 영국, 프랑스,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이 서명했다. 의정서는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해적 활동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유럽 국가들이 동맹을 결성하여 직접적인 군사 행동에 나설 것임을 경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 의정서를 오스만 제국과 북아프리카 국가들에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다.

1819년, 영국의 프리맨틀 중장과 프랑스의 줄리앙 준장이 지휘하는 8척의 영국-프랑스 연합 함대가 알제리, 튀니지, 트리폴리를 차례로 방문했다. 이들은 각 지역의 통치자들에게 아헨 회의 의정서를 전달하고 협상을 시도했다. 트리폴리와의 협상은 비교적 원만하게 진행되었으나, 알제리와 튀니지는 유럽 열강의 의도를 의심하며 강하게 반발했다.[34] 결국 영불 함대는 유럽의 결의 내용을 통보하는 수준에서 임무를 마쳐야 했다.

7. 바르바리 해적의 종말

제2차 바르바리 전쟁 이후 유럽 열강들은 상호 간 전쟁에서 벗어나 군사력을 증강시킬 여력을 확보했고, 이는 지중해에서 바르바리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는 배경이 되었다.

프랑스는 뒤페레 제독이 이끄는 37,000명의 군대로 1830년 6월 14일, 해적 기지 제압을 명분 삼아 알제리를 침공했다.[35] 같은 해 7월 5일 알제리가 프랑스에 항복하면서[36] 프랑스의 알제리 식민지 지배가 시작되었다. 현지 저항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1871년 카비리아 지방의 반프랑스 항쟁을 무력 진압하고 아틀라스산맥 북부 대부분을 장악했으며, 1881년에는 튀니스마저 정복하여 식민지로 만들었다.[37]

한편, 트리폴리는 1835년 오스만 제국의 통치 하로 잠시 복귀했으나,[38] 1911년 이탈리아-투르크 전쟁 이후 이탈리아가 점령하여 식민지로 삼았다.[38] 이는 쇠퇴하던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공백을 이용한 것이었다.

이처럼 유럽 열강은 20세기 중반까지 북아프리카 동부 지역을 지배했으며, 19세기의 장갑함 시대와 20세기 초 드레드노트급 전함 시대를 거치며 지중해 패권을 확립했다. 이 과정에서 수 세기 동안 지중해 무역의 위협이었던 바르바리 해적은 완전히 소탕되었다.

8. 국제법 제정

바르바리 해적이 종식된 19세기 이후, 국제법상 해적 행위를 금지하는 규정이 제정되기 시작했다. 1856년, 파리 선언 채택으로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사략 행위가 금지되었다. 민간 선박이 전쟁 행위에 가담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약은 1907년 헤이그 평화회의에서 제정되었다.[39] 이로써 국제법상 사략 행위, 즉 민간 선박에 의한 국가 공인 해적 행위는 금지되었다. 일반적인 해적 행위에 대해서는 1958년 제1회 국제연합 해양법 회의에서 공해에 관한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해상의 해적 정의와 처리 방법이 규정되었다. 1982년에 제정된 국제연합 해양법 협약은 이 조약을 계승하였다.[39]

9. 한국의 관점과 평가

바르바리 해적 문제는 당시 지중해를 중심으로 한 국제 사회의 주요 안보 위협 중 하나였으며, 이는 해상 무역로의 안전과 자유로운 통행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미국유럽 국가들의 군사적 대응은 해적 행위 근절에 기여했다. 제2차 바르바리 전쟁 이후에도 알제리의 해적 행위가 계속되자, 영국은 1816년 에드워드 펠류 제독을 파견하여 외교적 해결을 시도했으나, 알제리 데이의 비협조와 협상 중 발생한 코르시카·시칠리아·사르데냐 어부 학살 사건으로 인해 실패했다.[14]

이에 영국은 네덜란드 함대의 지원을 받아 알제에 대한 대대적인 포격을 감행했다. 9시간에 걸친 공격으로 알제리의 해군력과 해안 방어 시설이 무력화되자, 데이는 결국 영국의 요구 조건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15] 이어진 조약을 통해 1,000명이 넘는 기독교인 노예가 해방되었고, 미국이 지불했던 몸값도 반환되었다.[16]

이러한 서구 열강의 군사적 개입은 해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 측면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후 제국주의적 팽창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적 평가도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개입은 훗날 프랑스의 알제리 침공과 130여 년간 이어진 식민 지배의 배경이 되기도 했으며, 이는 알제리 민중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국제 해상 안보와 자유 무역 질서 유지는 중요하지만, 강대국의 군사적 개입이 약소국에 대한 억압이나 착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역시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국제 문제 해결에 있어 군사적 수단보다는 외교적 노력과 국제 협력을 우선시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Les Corsaires des Régences barbaresques - Page 6 http://skikda.boussa[...]
[2]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7-05-09
[3] 웹사이트 The Second Barbary War: The Algerine War https://clements.umi[...] 2024-05-07
[4] 웹사이트 Barbary Wars, 1801–1805 and 1815–1816 https://history.stat[...] 2024-01-14
[5] 서적 Commander: The Life and Exploits of Britain's Greatest Frigate Captain https://archive.org/[...] faber and faber
[6] 서적 The End of Barbary Terror, America's 1815 War against the Pirates of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Victory in Tripoli: How America's War with the Barbary Pirates Established the U.S. Navy and Shaped a Nation John Wiley & Sons, Inc.
[8] 서적 The Wars of the Barbary Pirates https://archive.org/[...] Osprey
[9] 서적 Our Navy and the Barbary Corsair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 Co.
[10] 간행물 Declarations of War and Authorizations for the Use of Military Force: Historical Background and Legal Implications https://sgp.fas.org/[...] 2014-04-18
[11] 웹사이트 The Second Barbary War: The Algerine War https://clements.umi[...]
[12]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Signed Algiers June 30 and July 3, 1815 https://avalon.law.y[...] 2022-02-04
[13]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Signed Algiers June 30 and July 3, 1815 https://avalon.law.y[...] 2022-02-04
[14] 서적 Commander: The Life and Exploits of Britain's Greatest Frigate Captain https://archive.org/[...] faber and faber
[15] 서적 Commander: The Life and Exploits of Britain's Greatest Frigate Captain https://archive.org/[...] faber and faber
[16] 서적 The Wars of the Barbary Pirates 2021-08
[17] 서적 The End of Barbary Terror, America's 1815 War against the Pirates of Nor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Our Navy and the Barbary Corsairs Houghton Mifflin & Co.
[19] 문서 Treaty of Peace, Article 3
[20] 문서 Treaty of Peace, Article 2
[21] 웹사이트 http://www.theatlant[...]
[22]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3]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4]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5]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6] 문서 Treaty of Peace, Article 3
[27] 문서 Treaty of Peace, Article 2
[28]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29]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0]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1]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2]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3]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4]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5] 백과사전 알제리의 역사 두산백과
[36]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37] 백과사전 튀니스 [Tunis] 두산백과
[38] 백과사전 트리폴리 [Tripoli] 두산백과
[39] 서적 해적의 세계사 AK커뮤니케이션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