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7차 대프랑스 동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은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형성된 여러 군사 동맹 중 마지막 동맹으로, 나폴레옹의 몰락과 유럽의 재편을 목표로 1815년에 결성되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실패 이후 유럽 각국은 제6차 대프랑스 동맹을 통해 나폴레옹을 몰아냈고, 나폴레옹이 엘바 섬에서 탈출하여 재집권하는 백일천하 기간 동안 제7차 동맹이 결성되었다. 이 동맹은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안겨 프랑스 제1 제정을 붕괴시켰으며, 빈 회의를 통해 유럽의 정치적 질서를 재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5년 분쟁 - 제2차 바르바리 전쟁
    1815년 미국이 알제리 등 바르바리 해안 국가를 상대로 벌인 제2차 바르바리 전쟁은 미영 전쟁 중 재개된 해적 활동을 제압하고 미국의 항해 권리를 확보한 미국의 승리로 끝났으나, 바르바리 해적 문제는 완전히 근절되지 못했다.
  • 1815년 분쟁 - 영국-네팔 전쟁
    영국-네팔 전쟁은 1814년부터 1816년까지 영국 동인도 회사와 네팔 사이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영토 분쟁과 경제적 이해관계 등으로 발발하여 수가울리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며, 이 전쟁을 통해 영국군은 구르카 용병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 제7차 대프랑스 동맹 - 빈 회의
    빈 회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정치 지형을 재편성하기 위해 1814년부터 1815년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 회의이며, 정통주의와 세력 균형을 통해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고자 했고,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의 영토를 조정하고 노예 무역 금지 등을 합의하여 빈 체제를 구축했다.
  • 제7차 대프랑스 동맹 - 부르봉 왕정복고
    부르봉 왕정복고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제국 이후 루이 16세의 형제들이 왕위에 복귀하여 1814년부터 1830년까지 프랑스를 통치한 시기로, 빈 회의를 통해 왕가의 지위를 회복했으나 입헌 군주제 하에서 제한된 권력을 행사하며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 위기를 겪다가 1830년 7월 혁명으로 막을 내렸다.
  • 1815년 프랑스 - 파리 조약 (1815년)
    파리 조약(1815년)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 오스트리아 제국, 러시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 간에 체결되어 프랑스에 가혹한 조건을 부과하고 빈 체제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성 동맹과 사국 동맹 체결의 계기가 되었다.
  • 1815년 프랑스 - 1815년 프랑스 국민투표
    1815년 프랑스 국민투표는 제국헌법부가법에 대한 찬반을 묻는 투표였으며, 99.67%의 압도적인 찬성률을 기록했다.
제7차 대프랑스 동맹 - [전쟁]에 관한 문서
전쟁 개요
분쟁제7차 대프랑스 동맹
전체나폴레옹 전쟁
워털루 전투, (윌리엄 새들러 2세 작)
워털루 전투, (윌리엄 새들러 2세 작)
날짜1815년 3월 20일 ~ 1815년 7월 8일
장소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결과대프랑스 동맹군의 승리
결과 상세파리 조약
부르봉 왕정복고
나폴레옹 전쟁의 종결
보나파르트 나폴레옹의 유배
교전 세력
교전국 1영국







스웨덴-노르웨이


네덜란드 연합왕국
부르봉 왕정복고




교전국 2프랑스 제국
지휘관
교전국 1 지휘관로버트 젱킨슨
아서 웰즐리
프리드리히 3세
게프하르트 블뤼허
프란츠 2세
카를 필리프
알렉산드르 1세
바클라이 드 톨리
페르난도 7세
요아힘 블레이크
루이 19세
교전국 2 지휘관나폴레옹 1세
니콜라 장드듀 술트
엠마누엘 그루시
외젠 드 보아르네
루이 가브리엘 쉬셰
기욤 마리 안 브륀
장 라마르크
루이 니콜라 다부
미셸 네
조아생 뮈라
병력 규모
동맹군80만–100만 명
프랑스군28만 명
관련 정보
참고군사 동원 (백일천하) 참고

2. 배경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이 등장하면서 유럽의 정치 지형은 크게 변화하였다. 초기 혁명 정권과의 갈등만큼이나 나폴레옹 정권과의 관계도 순탄치 않았다. 여러 유럽 국가들은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새로운 군사 동맹을 결성했지만, 나폴레옹의 군대는 유럽 정복을 계속했다. 그러나 1812년 러시아 원정 실패 이후 전쟁의 양상은 바뀌기 시작했다. 이듬해 제6차 대프랑스 동맹군과의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패배했다.

1814년 2월, 프로이센의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가 이끄는 군대가 파리로 진격했다. 나폴레옹에두아르 모르티에와 오퀴스트 마르몽에게 도시 방어를 맡겼지만, 병력 부족으로 블뤼허 군대를 저지하기는 어려웠다. 나폴레옹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지원에 나섰지만, 우르크강 전투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블뤼허 군대는 엔강을 건너 수아송에 도착했고, 증원군 합류로 병력이 10만에 달했다. 3월 7일, 나폴레옹은 슈멩데담을 따라 블뤼허 군대를 공격, 크라온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프로이센 군대는 으로 후퇴했다. 이후 랑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패배했다. 조아생 뮈라는 톨렌티노 전투를 일으켜 나폴레옹을 도우려 했으나, 이 역시 패배하고 뮈라는 처형당했다.

1814년 4월 6일 나폴레옹은 황제 자리에서 물러났고, 부르봉 왕가의 루이 18세가 즉위했다. 나폴레옹은 엘바섬으로 추방되었고, 승리한 동맹국들은 빈 회의에서 유럽의 새로운 질서를 모색했다.

2. 1. 프랑스 혁명과 유럽의 동요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가 1792년부터 프랑스에 대항하여 여러 차례 군사 동맹을 맺었다. 프랑스에서 일어난 왕정 전복과 루이 16세의 처형은 유럽 여러 나라의 지도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그들은 프랑스 공화국을 타도하려는 서약을 맺었으나, 오히려 프랑스에 패배하여 혁명 정부의 세력 확장과 종속국을 만드는 것을 허락하는 꼴이 되었다.

2. 2. 나폴레옹의 등장과 권력 장악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며, 1792년부터 프랑스에 대항하기 위해 유럽 국가들은 여러 차례 군사 동맹을 맺었다. 프랑스에서 왕정이 무너지고 루이 16세가 처형되자, 유럽 각국 지도자들은 큰 충격을 받고 프랑스 공화국을 타도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오히려 혁명 정부의 세력을 확장하고 종속국을 만들었다. 이러한 프랑스의 군사적 성공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영웅으로 만들었다. 1799년 나폴레옹은 쿠데타를 통해 프랑스의 제1집정에 올랐고, 5년 뒤 황제에 즉위하였다.

나폴레옹 정권은 초기 혁명 정권만큼이나 주변국들과 불편한 관계를 이어갔다. 나폴레옹에 반대하는 새로운 군사 동맹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의 군대는 계속해서 유럽을 정복해 나갔다.

3. 나폴레옹 전쟁의 전개

조제프 보메가 그린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떠나는 모습


타이데 선장이 지휘하는 브리건틴 ''잉콩스탕''이 나폴레옹을 프랑스로 수송하며, 앙드리외 선장이 지휘하는 브리건틴 ''제피르''의 항로를 가로지른다. ''잉콩스탕''은 제국의 삼색기를 게양하고, ''제피르''는 부르봉 왕가의 백색 기를 게양하고 있다.


빈 회의에서 동맹국들이 전후 유럽 질서를 논의하는 동안, 나폴레옹은 1815년 2월 26일 엘바 섬을 탈출했다. 그는 브리건틴 '잉콩스탕'을 포함한 소규모 함대를 이끌고 1,000여 명의 병력과 함께 1815년 3월 1일 앙티브 사이의 골프-주앙에 상륙했다.[4] 프로방스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나폴레옹 가도'로 알려진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는 경로를 택해 이동했다.

나폴레옹의 병력은 점차 불어났다. 3월 5일, 그르노블에 주둔하던 제5보병 연대가 나폴레옹에게 합류했다. 다음 날, 샤를 드 라 베도예르 대령이 이끄는 제7보병 연대도 합류했다. 라프레에서 왕당파 군대가 나폴레옹 군대를 막기 위해 배치되었을 때, 나폴레옹은 그들 앞에 나아가 코트를 찢고 "너희 중 황제를 쏘고 싶은 자가 있다면, 여기 내가 있다."라고 외쳤다. 병사들은 그의 대의에 합류했다.

3월 14일, 미셸 네 원수는 론르소니에에서 6,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나폴레옹에게 합류했다. 3월 15일, 나폴리 왕국의 조아생 뮈라는 자신의 왕좌를 지키기 위해 오스트리아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나폴리 전쟁이 시작되었다. 3월 19일, 나폴레옹은 군중들의 환호를 받으며 파리에 입성했고, 루이 18세는 도망쳤다.

앙굴렘 공작 루이-앙투안은 남부에서 소규모 왕당파 병력을 일으켰지만, 발랑스에서 엠마뉘엘 드 그루시가 이끄는 제국군에 의해 저지되었고, 1815년 4월 9일 항복했다. 방데의 왕당파들은 나중에 봉기를 일으켜 제국군에게 더 큰 어려움을 야기했다.

한편, 나폴레옹의 의붓동생인 조아생 뮈라는 3월 29일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하고 4월 4일 모데나를 점령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으로 안코나까지 후퇴했다. 5월 3일 트렌티노에서 패배하고 프랑스로 망명했으나,[28] 나폴레옹은 그를 만나주지 않았다. 코르시카 섬에서 군사를 모아 이탈리아 정복을 시도했지만 피초에서 체포되어 10월 13일 총살되었다.[29]

3. 1. 초기 전쟁과 프랑스의 승리

1815년 2월 26일, 나폴레옹은 영국과 프랑스 경비함이 없는 틈을 타 브리건틴 '잉콩스탕' 등 작은 함대를 이끌고 엘바 섬의 포르토페라요를 탈출했다. 1,000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3월 1일 앙티브 사이 골프-주앙에 상륙했다.[4] 왕당파가 강했던 프로방스를 제외하고는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는 '나폴레옹 가도'로 불리는 알프스 산맥을 통과하는 경로를 택해 프로방스 지역을 우회했다.

병력이 점차 불어나면서, 3월 5일 그르노블의 제5보병 연대가 나폴레옹에게 합류했다. 다음 날 샤를 드 라 베도예르 대령이 이끄는 제7보병 연대도 합류했다. 라프레에서는 왕당파 군대가 나폴레옹 군대를 저지하려 했으나, 나폴레옹이 "너희 중 황제를 쏘고 싶은 자가 있다면, 여기 내가 있다."라고 외치자 병사들은 나폴레옹 편에 섰다.

미셸 네 원수는 6,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3월 14일 론르소니에에서 나폴레옹에게 합류했다. 3월 15일, 나폴리 왕국의 조아생 뮈라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선전포고하며 나폴리 전쟁을 일으켰다. 3월 19일, 나폴레옹은 군중의 환호를 받으며 파리에 입성했고, 루이 18세는 도망쳤다.

앙굴렘 공작 루이-앙투안이 이끄는 왕당파 군대는 엠마뉘엘 드 그루시에게 저지당했고, 1815년 4월 9일 항복했다. 방데의 왕당파는 더 큰 저항을 일으켰다.

나폴레옹의 건강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카르노, 파스퀴에 등은 그가 늙고 쇠약해졌다고 봤다. 엘바 섬에서 닐 캠벨은 그가 활동적이지 않고 비대해졌다고 기록했다.[6] 엘바 섬에서 요폐 증상을 겪기도 했다. 치질로 인해 말을 타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워털루 전투에서 불리하게 작용했다. 반면, 몰리엔은 나폴레옹의 무기력함이 환경 변화에 따른 당혹감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한편, 조아생 뮈라는 3월 29일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하고 4월 4일 모데나를 점령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의 반격으로 안코나까지 후퇴했다. 5월 3일 트렌티노에서 패배하고 프랑스로 망명했으나,[28] 나폴레옹은 그를 만나주지 않았다. 코르시카 섬에서 군사를 모아 이탈리아 정복을 시도했지만 피초에서 체포되어 10월 13일 총살되었다.[29]

3. 2. 이베리아 반도 전쟁과 러시아 원정

이베리아 반도 전쟁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 제목에 부합하는 내용만을 작성합니다. 따라서 다음 내용만 출력합니다.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은 혹독한 추위와 러시아 군의 저항으로 참담한 실패로 끝났으며, 이는 프랑스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3. 3. 몰락과 백일천하



빈 회의에서 유럽 각국이 전후 처리를 논의하는 동안, 1815년 2월 26일 나폴레옹은 엘바 섬을 탈출하여 3월 1일 프랑스 골프-주앙에 상륙했다.[4] 프로방스를 제외하고는 열렬한 환영을 받았으며, 나폴레옹 가도를 통해 파리로 진격했다.

그르노블에서는 왕당파 군대가 나폴레옹을 저지하려 했으나, 나폴레옹은 병사들 앞에 나아가 "너희 중 황제를 쏘고 싶은 자가 있다면, 여기 내가 있다."라고 말했고, 병사들은 이에 감동하여 나폴레옹에게 합류했다. 미셸 네 원수도 6,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나폴레옹에게 귀순했다. 3월 20일, 나폴레옹은 파리에 입성하여 다시 황제 자리에 올랐고, 루이 18세는 도망쳤다.[17]

나폴레옹은 리옹에서 칙령을 발표하여 기존 의회를 해산하고, Champ de Mai라는 국민 대회를 소집하여 나폴레옹 제국의 헌법을 수정하도록 했다. 뱅자맹 콩스탕에게 새 헌법 작성을 맡겼는데, 이는 세습 상원과 제국의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된 하원을 부여하는 내용이었다. 이 헌법은 국민투표에 부쳐졌으나, 낮은 투표율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은 헌법적 승인을 얻었다고 생각했다.

1815년 서유럽의 전략적 상황: 25만 명의 프랑스군은 4개의 전선에서 약 85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연합군에 맞섰다. 게다가 나폴레옹은 왕당파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서부 프랑스에 2만 명의 병력을 남겨두어야 했다.


나폴레옹은 백일천하 동안 군대를 재건했으나, 루이 18세가 남긴 자원은 부족했다. 5월 말까지 동원 가능한 병력은 198,000명에 불과했다. 나폴레옹은 ''북부군''(L'Armée du Nord)을 이끌고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다.

프랑스 방어를 위해 나폴레옹은 병력을 다음과 같이 배치했다.

  • 제5군단 – ''라인군'' – 랍 지휘, 스트라스부르 근처 주둔.
  • 제7군단 – ''알프스군'' – 쉬셰 지휘, 리옹 주둔.
  • 관측 제1군단 – ''쥐라군'' – 르쿠르브 지휘, 벨포르 주둔.
  • 관측 제2군단 – ''바르군'' – 브룬 지휘, 툴롱 주둔.
  • 관측 제3군단 – 피레네 동부군 – 드케앵 지휘, 툴루즈 주둔.
  • 관측 제4군단 – 피레네 서부군 – 클로젤 지휘, 보르도 주둔.
  • 서부군 – ''서부군''(방데군과 루아르군으로도 알려짐) – 라마르크 지휘, 방데 지역 왕당파 봉기 진압.


이에 맞서는 연합군은 다음과 같았다.

  • 카를 대공은 오스트리아군과 동맹 독일 국가들을 모았고, 슈바르첸베르크 공작은 또 다른 오스트리아군을 편성했다.
  •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7세는 영국 장교들을 소환했다.
  •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는 25만 명의 병력을 라인강으로 진격시켰다.
  • 프로이센은 두 개의 군대를 소집했다. 블뤼허 휘하의 군대와 클라이스트 장군이 지휘하는 북독일 군단이었다.


나폴레옹은 벨기에로 진격하여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격파했지만, 워털루 전투에서 영국과 프로이센 연합군에 패배했다(1815년 프랑스 전역).

1815년 제7차 대프랑스 동맹군의 프랑스 침공


워털루 전투 패배 후, 나폴레옹은 파리로 돌아가 정치적 지지를 확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815년 6월 22일, 나폴레옹은 아들 나폴레옹 2세를 위해 퇴위했다.

말메종 성


나폴레옹은 말메종 성으로 물러났다가, 미국으로 탈출하기 위해 로슈포르로 이동했으나, 영국 해군에 의해 저지당했다.

군복과 정장을 입은 남성들이 왼쪽에 서서, 외투와 쌍각모를 쓴 한 남자가 배 난간에 서서 바다를 바라보는 모습을 보고 있다
윌리엄 퀼러 오처드슨 경의 1880년 전시작인 ''벨레로폰 호의 나폴레옹''. 오처드슨은 1815년 7월 23일 아침, 나폴레옹이 프랑스 해안선이 멀어지는 것을 바라보는 모습을 묘사했다.


결국 1815년 7월 15일, 나폴레옹은 호의 프레데릭 메이틀랜드 선장에게 항복하고 영국으로 이송되었다. 이후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되어 1821년 사망했다.

4. 빈 회의와 유럽의 재편

빈 회의에 참석한 전권 대사들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 대영 제국, 프로이센, 러시아 등 유럽 열강과 그 동맹국들은 나폴레옹을 무법자로 선언했다.[13] 1815년 3월 13일, 이 선언에 서명하면서 제7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 시작되었고, 나폴레옹의 평화에 대한 희망은 사라졌다.

3월 25일,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동맹 조약이 비준되었고, 유럽 열강들은 15만 명의 병력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14] 대영 제국은 1812년 전쟁으로 인해 병력이 부족하여 다른 유럽 국가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했다.[15]

동맹군은 1815년 7월 1일에 프랑스 침공을 개시하기로 합의했으나,[16] 이는 나폴레옹에게 방어력을 강화할 시간을 주었다. 나폴레옹은 적들이 집결하기 전에 선제 공격을 가하기로 결정하고, 벨기에를 공격하기로 했다. 이는 영국군과 프로이센군이 분산되어 있었고,[18] 벨기에 주둔 영국군이 주로 2선 병력이었으며,[19] 프랑스어 사용 지역에서 혁명을 촉발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18]

4. 1. 빈 체제의 성립

빈 회의 최종 의정서는 1815년 6월 9일에 서명되었고, 1815년 파리 조약을 통해 확정되었다.[13] 이 조약에 따라 프랑스는 1790년 국경선으로 축소되었고, 7억 프랑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으며,[13] 프랑스 동부 국경 지역에는 최대 5년간 15만 명의 연합군이 주둔하게 되었다.[13]

같은 날,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은 사국 동맹을 갱신했다. 오스만 제국을 제외한[14] 유럽 국가들은 이 조약에 동의하여, 유럽의 세력 균형 체제를 확립하는 공법의 일부가 되었다.[14]

4. 2. 빈 체제의 영향

빈 체제는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지만,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열망을 억누르면서 새로운 갈등의 씨앗을 뿌렸다. 이탈리아와 독일에서는 통일 운동이 전개되었고, 각지에서 자유주의 혁명이 일어나 빈 체제에 도전했다.

5. 나폴레옹 전쟁의 유산과 한국에 미친 영향

나폴레옹 전쟁은 유럽 중심의 국제 질서를 확립하고, 자유주의민족주의 확산에 기여했다.[1]

5. 1. 한국에 미친 간접적 영향

나폴레옹 전쟁은 직접적으로 한국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서구 열강의 팽창과 국제 질서 변화라는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일본메이지 유신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변화에 자극받은 측면이 있으며, 이는 이후 한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일본의 근대화와 제국주의 팽창은 조선의 개항과 식민지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5. 2.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역사 해석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제7차 대프랑스 동맹, 특히 워털루 전투는 민주주의와 평화, 민족 자결의 원칙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교훈을 제공한다. 나폴레옹 전쟁은 제국주의적 팽창과 침략 전쟁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많은 민중이 고통과 희생을 겪었다. 워털루 전투는 이러한 전쟁의 비극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워털루 전투에서 영국-연합군은 프로이센 군단의 도움을 받아 프랑스군을 격파했지만, 이 과정에서 수많은 병사와 민간인이 희생되었다. 와브르 전투에서 그루시가 전술적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센군이 워털루로 진격하는 것을 막지 못해 결국 프랑스의 패배에 기여한 것은 전쟁의 헛됨을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군사적 업적보다는 전쟁으로 인한 민중의 고통과 희생에 주목해야 함을 강조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의 제국주의 팽창과 한국 식민지배의 역사적 배경에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변화가 있었음을 지적하며, 역사적 교훈을 되새겨 평화와 민주주의를 지켜나가야 함을 강조한다.[1]

참조

[1] HDS Franche-Comté expedition 2007-05-08
[2] 웹사이트 Hundred Days https://www.britanni[...] 2021-10-11
[3] 백과사전 Honderd Dagen, De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01-01
[4] 웹사이트 Escape from Elba https://www.waterloo[...] The Waterloo Association 2022-08-14
[5] 뉴스 Le Journal de Paris and Journal des débats politiques et littéraires Le Journal de Paris, Journal des débats politiques et littéraires 1815-11-22
[6] 서적 Napoleon at Fontainebleau and Elba J. Murray 1869-01-01
[7] 서적 Gouvernements, ministères et constitutions de la France depuis cent ans Marchal et Billard 1891-01-01
[8] 웹사이트 CASALANZA, Convenzione di http://www.treccani.[...] Archive 2020-04-17
[9] 서적 History of the kingdom of Naples: 1734–1825, chapter III https://archive.org/[...] T. Constable and Co. 1858-01-01
[10] 웹사이트 The annual register, or, a view of the history, politicks, and literature for the year. Volume 57 (A new edition), 1815 – chapter VII https://archive.org/[...] Archive 2020-04-17
[11] 서적 A Glance at Revolutionized Italy a Visit to Messina and a Tour Through the Kingdom of Naples ... in the Summer of 1848 https://archive.org/[...] Smith, Elder and C. 1849-01-01
[12] 서적 Revolutionary Wars 1775–c. 1815 https://books.google[...] Amber Books Ltd 2013-01-01
[13] 문서 Article 5 of the Definitive Treaty s:Treaty of Paris (1[...]
[14] 문서 Article 119 of the Final Act of the Congress of Vienna s:Final Act of the C[...]
[15] 문서 Hundred Days
[16] 서적 2001-01-01
[17] 서적 2001-01-01
[18] 서적 2001-01-01
[19] 서적 2001-01-01
[20] 문서 Death of Berthier
[21] 서적 2001-01-01
[22] 서적 2001-01-01
[23] 문서 Exile to Saint Helena
[24] 서적 2001-01-01
[25] 서적 2001-01-01
[26] 웹사이트 Guillaume Marie Anne Brune, Marshal (1804)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2013-07-14
[27] 서적 2001-01-01
[28] 서적 2001-01-01
[29] 웹사이트 Joachim Murat, King of Naples, 1808-1815, Marshal (1804) http://www.napoleon-[...] napoleon-series.org 2013-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