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녹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녹스는 1505년에서 1515년 사이에 태어난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가이다. 그는 가톨릭 사제였다가 조지 위샤트를 만나 종교 개혁 사상을 받아들였다. 프랑스 갤리선에서 노예 생활을 하기도 했으며, 잉글랜드와 제네바에서 활동하다가 1559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종교 개혁을 주도했다. 녹스는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작성에 참여하고, 메리 여왕과 갈등을 겪었으며,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수립에 기여했다. 그는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평가받으며 장로교의 명목상 창시자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딩턴 출신 - 존 메이어 (철학자)
스코틀랜드의 철학자, 역사가, 신학자인 존 메이어는 파리 대학교 교수와 글래스고 대학교 및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의 학장을 지냈으며 유명론적 철학으로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과 아메리카 원주민 인권 옹호에 영향을 미쳤다. - 스코틀랜드의 성직자 - 데이비드 W. 토렌스
데이비드 W. 토렌스는 2024년 6월 22일에 100세가 되었으며, 노스 버윅에 거주하고, 스코틀랜드 교회 목사였던 아들을 두었다. - 스코틀랜드의 성직자 - 토머스 F. 토렌스
토머스 F. 토렌스는 스코틀랜드 출신 신학자로서,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을 통해 기독교 교리를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과학과 신학의 대화에 기여했으며, 에큐메니컬 운동에 헌신하여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기독교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05년 출생 - 마거릿 로퍼
- 1505년 출생 -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마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헝가리 왕비와 네덜란드 총독을 역임하며 가문의 이익을 옹호한 인물이다.
존 녹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존 녹스 |
존경 접두어 | 목사 |
출생지 | 해딩턴, 스코틀랜드 |
사망일 | 1572년 11월 24일 (향년 58세 또는 59세) |
사망지 |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
모교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
직업 | 목사 작가 개혁가 |
종교적 전통 및 운동 | 장로교 |
배우자 | |
자녀 | 마저리 보우스와의 사이에서: 마거릿 스튜어트와의 사이에서: |
기타 | |
로마자 표기 | John Knox |
2. 생애
녹스는 1505년에서 1515년 사이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03]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신부 서품을 받았다. 1545년까지 고향에서 공증인 일과 롱니드리의 더글라스 가문과 오미스턴의 코크번 가문의 가정교사 일을 하던 중 순회 설교자 조지 위샤트를 만나 종교개혁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 후 위샤트의 지지자가 되어 그가 설교할 때면 검을 들고 호위하곤 하였다.
위샤트가 순교한 뒤 시민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세인트앤드루스 성 수비대를 조직하여 왕실과 교회 당국에 항거하는 등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을 이끌었다. 프랑스에 원군을 요청하여, 녹스와 수비대원들은 세인트 앤드류스를 방어하였다. 1547년 7월 말경 세인트 앤드류스 성이 점령되었고 수비대원들은 모두 체포되었다. 녹스는 프랑스로 잡혀가 갤리선의 노예로 노를 젓는 형벌을 받았다.
루아르강의 갤리선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신부가 성모상을 갤리선의 노예들에게 보여주면서 “신을 모독한 이단자들, 성모에게 경배하라.”고 명령했을 때, 녹스는 "성모? 하나님의 어머니?"하며 냉소했고, 성모상을 강물에 던져버렸다.
녹스는 가장 암담했던 갤리선 노예 시절에도 동지들을 격려하며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1549년 초반, 에드워드 6세의 도움으로 극적으로 석방되었다.[106] 이후 1551년까지 뉴캐슬에서 타인에 이르는 지역을 돌보았고, 런던에서 궁정 설교자로 일했다.
에드워드 6세가 16세의 나이로 죽자 피의 메리가 잉글랜드의 왕이 되었다. 그는 다른 여러 사람과 함께 도망쳐 대륙으로 건너가 장 칼뱅 밑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 잉글랜드 피난민들의 목회자가 되었고, 여러 논란을 겪은 뒤 피난민들과 함께 제네바로 갔다. 1556년부터 1559년까지 잉글랜드인들의 목회자가 되었다.
조지 위샤트 등 초기 종교 개혁가들의 영향을 받아 스코틀랜드 교회 개혁에 착수했다. 1546년 교회와 정치에 관련된 사건, 캔들 비턴 살인 사건과 스코틀랜드 섭정의 개입에 휘말렸다. 이듬해 프랑스군에 붙잡혀 19개월 동안 프랑스 군함에서 노예로 일했으나, 1549년 포로 교환으로 석방되어 잉글랜드로 추방되었다.
잉글랜드에서 잉글랜드 국교회 목사로서 에드워드 6세를 섬기며 왕실 부속 목사가 되었다. 기도서 작성에 영향을 주었고, 잉글랜드에서 첫 번째 아내를 만나 결혼했다. 메리 튜더가 왕위에 오르면서 로마 가톨릭을 재건하자, 녹스는 대륙으로 망명하게 되었다.
제네바에서 장 칼뱅에게 배우면서 개혁파 신학과 장로교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얻었다. 새로운 예배식을 작성했고, 이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교회에서 채택되었다. 프랑크푸르트의 영국 망명자 교회로 향하지만, 예배관에 대한 차이로 인해 잉글랜드 국교회와 결별하게 된다.
스코틀랜드로 귀환하여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스코틀랜드의 프로테스탄트 귀족들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 녹스는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을 작성하고 개혁파 교회를 세웠다.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 스튜어트 치세하에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지도자로서의 활동을 계속했다. 녹스는 메리 스튜어트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갖고 로마 가톨릭의 관습을 버릴 것을 설득했다.
녹스는 마지막 날까지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했다.
2. 1. 초기 생애 (1505년경 ~ 1546년)
녹스는 1505년에서 1515년 사이에 이스트로디언의 주요 도시인 헤딩턴 또는 그 근처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 윌리엄 녹스는 상인이었다.[4] 그의 어머니에 대해 알려진 것은 신클레어라는 처녀 적 성과 존 녹스가 어릴 때 돌아가셨다는 것뿐이다.[5]녹스는 아마도 헤딩턴의 문법학교인 녹스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당시 사제는 학문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일한 진로였다.[6] 그는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또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추가적인 공부를 했다. 그는 당대 최고의 학자 중 한 명인 존 메이저 밑에서 공부했다.[7] 1536년 부활절 전야에 던블레인의 주교 윌리엄 칠섬에 의해 에든버러에서 가톨릭 사제로 서임되었다.[8]
녹스는 1540년에 사제이자 공증인으로서 처음으로 공문서에 등장한다. 1543년에도 여전히 이러한 직책을 수행했는데, 3월 27일자 공증 문서에서 자신을 "세인트앤드루스 교구의 성스러운 제단의 사제이자 사도적 권한에 의한 공증인"이라고 묘사했다.[9] 그는 교구에서 교구 사무를 맡는 대신 롱니드리의 휴 더글러스의 두 아들과 오르미스톤의 존 콕번의 아들을 가르치는 가정교사 일을 했다. 이 두 지주는 모두 종교 개혁의 새로운 종교 사상을 받아들였다.[10]
1545년경, 녹스는 순회 설교자 조지 위샤트를 만나 종교개혁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 후 위샤트의 지지자가 되어 그가 설교할 때면 검을 들고 호위하곤 하였다. 위샤트가 순교한 뒤, 녹스는 시민운동의 지도자가 되어 세인트앤드루스 성 수비대를 조직하여 왕실과 교회 당국에 항거하는 등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을 이끌었다.
2. 2. 종교 개혁에 투신 (1546년 ~ 1547년)
녹스는 자신이 언제 어떻게 프로테스탄트 신앙으로 개종했는지 기록으로 남기지 않았다.[12] 그러나 녹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인물은 아마도 패트릭 해밀턴과 조지 위셔트였을 것이다.[13] 위셔트는 1538년 이단 혐의로 처벌을 피하기 위해 스코틀랜드를 떠난 종교 개혁가였다. 그는 먼저 잉글랜드로 이동하여 브리스톨에서 마리아(성모 마리아) 숭배에 대해 설교했다. 그는 공개적으로 회개를 해야 했고, 그의 부인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세인트 니콜라스 교회에서 허수아비를 불태웠다. 그런 다음 독일과 스위스로 피신했다. 대륙에 있는 동안 그는 제1 헬베티쿠스 신앙 고백서를 영어로 번역했다.[14] 그는 1544년 스코틀랜드로 돌아왔지만, 그의 귀환 시기는 불운했다. 1543년 12월, 유아였던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의 섭정으로 임명된 샤텔로의 제임스 해밀턴 공작은 왕대비 기즈의 메리와 추기경 데이비드 비튼과 함께 스코틀랜드에 뿌리를 내린 프로테스탄트 종파를 박해하기로 결정했다.[15] 위셔트는 스코틀랜드 전역을 돌아다니며 종교 개혁을 옹호하는 설교를 했고, 이스트로디언에 도착했을 때 녹스는 그의 가장 가까운 동료 중 한 명이 되었다. 녹스는 그를 보호하기 위해 양손 검을 들고 경호원 역할을 했다.[16] 1545년 12월, 위셔트는 비튼의 명령으로 보스웰 백작에 의해 체포되어 세인트앤드루스 성으로 압송되었다.[17] 녹스는 위셔트가 체포된 밤에 그 자리에 있었고 감금당하는 그를 따라갈 준비가 되어 있었지만, 위셔트는 "아니오, 당신의 아이들[자녀들]에게 돌아가고, 하나님께서 당신을 축복하시길 바랍니다. 희생은 한 명으로 충분합니다."라고 말하며 그를 만류했다.[18] 그 후 위셔트는 비튼의 이단 고발관인 대사제 존 로더에 의해 기소되었다. 1546년 3월 1일, 그는 비튼 앞에서 화형되었다.녹스는 위셔트의 조언 덕분에 보스웰 경에게 체포되는 것을 피했다. 그는 롱니드리에서 더글라스와 함께 피신했다.[19] 몇 달 후에도 그는 여전히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었는데, 제자들은 추격을 피해 이곳저곳으로 옮겨 다니는 데 지쳐 있었다. 그는 제자들을 데리고 독일로 도망칠 생각을 했다. 녹스가 도망자로 남아 있는 동안, 비튼은 1546년 5월 29일 그의 거주지인 세인트앤드루스 성에서 위셔트의 처형에 대한 복수로 5명의 무리에 의해 살해되었다. 암살자들은 성을 점령했고, 결국 그들의 가족과 친구들 약 150명이 그들과 함께 피신했다. 그들의 친구 중에는 정부의 전 국무장관인 헨리 발나브스가 있었는데, 그는 반군의 재정적 지원을 위해 잉글랜드와 협상했다.[20] 더글라스와 콕번은 녹스에게 그들의 아들을 성으로 데려가 개혁된 교리 교육을 계속하라고 제안했고, 녹스는 1547년 4월 10일 성에 도착했다.[21]
녹스의 설교는 수비대의 사제인 존 러프의 눈에 띄었다. 러프는 교구 교회에서 목사의 대중적 선출이라는 프로테스탄트 원칙에 대해 설교하면서 회중에게 녹스를 그 직책에 제안했다. 녹스는 그 생각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그의 자신의 설명에 따르면, 그는 눈물을 터뜨리고 방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일주일 만에 그는 자신의 옛 스승인 존 메이저를 포함한 회중에게 첫 설교를 했다.[22] 그는 다니엘서 7장을 설명하면서 교황을 적그리스도와 비교했다. 그의 설교는 성경을 그의 유일한 권위로 여기고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 함을 받는다는 교리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었는데, 이 두 가지 요소는 그의 남은 생애 동안 그의 생각에 남아 있었다. 며칠 후, 논쟁이 벌어졌고, 그는 미사, 연옥, 그리고 죽은 자를 위한 기도를 거부하는 것을 포함한 추가 논제를 제시했다.[23]
2. 3. 프랑스 갤리선 노예 생활 (1547년 ~ 1549년)
녹스는 프랑스로 잡혀가 갤리선의 노예로 노를 젓는 형벌을 받았다. 루아르(Loire)강의 갤리선에서 어느 날 한 로마 가톨릭교회 신부가 성모상을 갤리선의 노예들에게 보여주면서 “신을 모독한 이단자들, 성모에게 경배하라.”고 명령했다. 녹스의 차례가 왔을 때 그는 "성모? 하나님의 어머니?"하며 냉소하며 성모상을 강물에 던져버렸다.녹스는 가장 암담했던 갤리선 노예 시절에도 동지들을 격려하며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1549년 초반 녹스 일행은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6세의 도움으로 극적으로 석방되었다. 이것은 가장 참기 힘든 경험으로, 그는 이런 삶의 처참함과 잔인함을 통해, 그 육체에 큰 타격을 입고, 평생동안 건강 문제로 고생을 하게 되었다.[106]
2. 4. 잉글랜드 망명과 활동 (1549년 ~ 1554년)
1549년 포로 교환으로 석방되어 잉글랜드로 추방되었다.[1]녹스는 잉글랜드에서 잉글랜드 국교회 목사로서 에드워드 6세를 섬기며 왕실 부속 목사가 되었다.[1] 잉글랜드 국교회 기도서 작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잉글랜드에서 첫 번째 아내를 만나 결혼했다.[1] 그러나 메리 튜더가 왕위에 오르면서 로마 가톨릭을 재건하자, 대륙으로 망명하게 되었다.[1]
처음 제네바에 머물렀다가 프랑크푸르트로 이주했다.[1] 제네바에서 장 칼뱅에게 배우면서 개혁파 신학과 장로교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얻었다.[1] 또한 새로운 예배식을 작성했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교회에서 채택되었다.[1] 이후 프랑크푸르트의 영국 망명자 교회로 향하지만, 결국 예배관에 대한 차이로 인해 잉글랜드 국교회와 결별하게 된다.[1]
2. 5. 제네바와 프랑크푸르트에서의 활동 (1554년 ~ 1559년)
장 칼뱅의 권위가 확립된 제네바로 향한 녹스는 도착했을 때 칼뱅이 어려운 입장에 처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칼뱅은 학자 미카엘 세르베투스에 대한 이단 혐의를 기소한 목사 연합회를 감독했지만, 세르베투스에 대한 민사 처벌에 찬성하거나 반대할 수는 없었다.[44] 녹스는 칼뱅에게 미성년자의 신권 통치 가능 여부, 여성 통치자의 주권 이양 가능 여부, 경건하지 않거나 우상숭배적인 통치자에 대한 복종 여부, 경건한 사람들의 우상숭배적 통치자에 대한 저항 시 가담해야 할 편 등에 대한 네 가지 어려운 정치적 질문을 던졌다.[45] 칼뱅은 신중한 답변을 했고, 취리히의 스위스 종교 개혁가 하인리히 불링거에게 소개했다. 불링거의 답변도 신중했지만, 녹스는 이미 마음을 정한 상태였다. 1554년 7월 20일, 녹스는 메리 튜더와 그녀를 왕위에 올린 주교들을 공격하고, 샤를 5세를 "네로 못지않은 그리스도의 적"이라고 비난하는 팸플릿을 발표했다.[46][47]1554년 9월 24일, 녹스는 프랑크푸르트의 영국 망명자 회중으로부터 목사 초청을 받고 칼뱅의 승인을 얻어 수락했다. 그러나 도착 직후, 예배 의식 적용에 대한 갈등에 휘말렸다. 기존 망명자들은 개혁된 예배 의식을 채택하고 수정된 ''공동기도서''를 사용했지만, 최근 도착한 망명자들은 ''공동기도서''의 엄격한 적용을 선호했다. 녹스와 동료 윌리엄 휘팅햄이 칼뱅에게 조언을 구하자, 다툼을 피하라는 말을 들었다. 녹스는 양측 타협에 기반한 임시 예배 순서에 동의했으나, ''공동기도서''의 주요 저자 중 한 명인 리처드 콕스를 포함한 새로운 망명자들이 도착하면서 균형이 깨졌다. 콕스는 녹스의 팸플릿을 프랑크푸르트 당국에 알렸고, 당국은 녹스에게 떠날 것을 권고했다. 1555년 3월 26일 프랑크푸르트를 떠난 것은 잉글랜드 교회와의 최종 결별 계기가 되었다.[48]
제네바로 돌아온 녹스는 칼뱅으로부터 청원받은 새로운 예배 장소의 목사로 선택되어 제네바와 프랑스에 망명한 프랑스 프로테스탄트에게 영향을 미쳤다.[49] 한편, 엘리자베스 보우스의 편지를 받고 8월 말 스코틀랜드로 돌아갔다.[50]
1555년 11월 1일, 제네바 교회는 녹스를 목사로 선출했고, 그는 그 직책을 수락하기로 결정했다.[53] 그는 지지자들에게 마지막 조언을 담은 편지를 쓰고 아내와 장모와 함께 스코틀랜드를 떠나 1556년 9월 13일에 제네바에 도착했다.[54]
이후 2년 동안 제네바에서 행복한 삶을 살며, 영국 친구들에게 제네바를 프로테스탄트들에게 가장 안전한 피난처라고 추천했다. 그는 "사도 시대 이후 지구상에 존재했던 가장 완벽한 그리스도의 학교"라고 썼다.[55]
녹스는 제네바에서 일주일에 세 번, 2시간 이상 설교했다. 예배는 칼뱅의 ''교회 기도문 양식(Formes des Prières Ecclésiastiques)''에서 유래한 예배 의식을 사용했다.[56] 그가 설교했던 교회, ''누벨 노트르담 교회(Église de Notre Dame la Neuve)''—현재 칼뱅 강당(Auditoire de Calvin)으로 알려짐—는 칼뱅의 요청에 따라 시 당국이 영국과 이탈리아 교회의 사용을 위해 허가한 곳이었다. 녹스의 두 아들, 나다니엘과 엘리아자는 제네바에서 태어났고, 휘팅햄과 마일즈 커버데일(Myles Coverdale)이 각각 대부였다.[57]
1558년 여름, 녹스는 ''여성의 괴물 같은 통치에 대한 최초의 나팔 소리(The first blast of the trumpet against the monstruous regiment of women)''를 출판했다. 여성의 지배를 "괴물 같은" 것이라고 부르면서, "비자연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녹스는 자신의 목적이 "악한 여성, 즉 반역자이자 사생아의 제국이나 통치가 하나님 앞에 얼마나 가증스러운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58] 녹스가 염두에 둔 여성 통치자는 잉글랜드의 메리 1세와 스코틀랜드의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을 대신하여 섭정이었던 메리 기즈(Mary of Guise)였다. 이러한 성경적 입장은 녹스 시대에는 드문 것이 아니었지만, 녹스 자신도 그 팸플릿이 위험하게 반역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59] 그래서 익명으로 출판했고, 출판 후 1년이 지나서야 그 사실을 알게 된 칼뱅에게는 자신이 썼다는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영국에서는 왕실 포고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팸플릿이 비난받았다. 이 문서의 영향은 그 해 말 프로테스탄트인 엘리자베스 튜더가 잉글랜드 여왕이 되면서 복잡해졌다. 녹스가 엘리자베스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녀를 크게 모욕했고, 그녀는 그를 결코 용서하지 않았다.
프로테스탄트가 왕위에 오르자 제네바의 영국 망명자들은 귀국 준비를 했다. 녹스 자신도 스코틀랜드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출발 전에 제네바 시민권을 포함한 다양한 영예가 그에게 수여되었다. 녹스는 1559년 1월에 출발했지만, 엘리자베스가 영국 통과 여권을 발급하지 않아 5월 2일까지 스코틀랜드에 도착하지 못했다.[60]
3.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1559년 ~ 1560년)
존 녹스는 조지 위샤트 등 초기 종교 개혁가들의 영향을 받아 스코틀랜드 교회 개혁에 착수했다. 1546년 교회와 정치에 관련된 사건, 캔들 비턴 살인 사건과 스코틀랜드 섭정의 개입에 휘말렸고, 이듬해 프랑스군에 붙잡혀 19개월 동안 프랑스 군함에서 노예 생활을 했다. 1549년 포로 교환으로 석방되어 잉글랜드로 추방되었다.
잉글랜드에서 잉글랜드 국교회 목사로서 에드워드 6세를 섬기며 왕실 부속 목사가 되었고, 기도서 작성에 영향을 주었다. 잉글랜드에서 첫 번째 아내와 결혼했으나, 메리 튜더가 왕위에 오르면서 로마 가톨릭을 재건하자, 대륙으로 망명하였다.
제네바에서 장 칼뱅에게 배우면서 개혁파 신학과 장로교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얻었다. 그는 새로운 예배식을 작성했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교회에서 채택되었다. 이후 프랑크푸르트의 영국 망명자 교회로 향했지만, 예배관에 대한 차이로 잉글랜드 국교회와 결별하게 된다.
스코틀랜드로 귀환한 녹스는 스코틀랜드의 프로테스탄트 귀족들과 협력하여 종교 개혁을 이끌었다. 메리 스튜어트 치세 하에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 지도자로서 활동을 계속했고, 메리 스튜어트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갖고 로마 가톨릭 관습을 버릴 것을 설득했다. 녹스는 마지막 날까지 설교했다.
3. 1.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작성과 장로교회 수립 (1560년 ~ 1561년)
1560년 7월 19일, 녹스는 세인트 자일스 교회당에서 프랑스군 퇴각 감사예배를 드렸다. 8월에는 왕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의회를 소집하여 종교개혁을 추진하였다. 의회는 가톨릭 교회의 모든 집회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프랑스와의 외교 단절을 선언하였다. 교황의 관할권을 폐기하였고 미사를 금지하고 이를 세 번 어기면 사형에 처하도록 하였다. 또한 계급구조적인 교회 제도의 악습과 오류를 비판하고 교육 개혁과 빈민 구제를 결의하였다. 존 윌록, 스포티스우드, 더글라스와 로우 등 6명의 존(John)으로 신조 작성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신조 작성위원회는 4일 만에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The Scots Confession)를 작성하였다. 25개 조항으로 구성된 신앙고백서는 의회의 승인을 얻어 스코틀랜드의 신앙고백으로 채택되었다.이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는 개신교를 그리스도의 흠이 없는 신부로, 로마 가톨릭교회를 지독한 음녀로 표현하였다(18장).
1560년 8월 1일, 스코틀랜드 의회가 종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녹스와 다른 다섯 명의 목사들은 새로운 신앙 고백을 작성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4일 만에 스코틀랜드 신앙 고백이 의회에 제출되어 표결을 거쳐 승인되었다. 일주일 후, 의회는 하루 만에 세 가지 법안을 통과시켰다. 첫 번째 법안은 스코틀랜드에서 교황의 관할권을 폐지했고, 두 번째 법안은 개혁된 신앙에 반하는 모든 교리와 관행을 규탄했으며, 세 번째 법안은 스코틀랜드에서 미사 거행을 금지했다. 의회 해산 전에 녹스와 다른 목사들은 새롭게 개혁된 교회 또는 교회(The Kirk)를 조직하는 임무를 받았다. 그들은 새로운 교회의 조직을 설명하는 문서인 ''교리서''를 몇 달 동안 작업했다. 이 기간 동안인 1560년 12월에 녹스의 아내 마저리가 사망하여 녹스는 세 살 반과 두 살 된 두 아들을 돌봐야 했다. 1549년에 자신의 아내를 잃었던 장 칼뱅은 조의 편지를 보냈다.[68]
의회는 1561년 1월 15일 ''교리서''를 심의하기 위해 다시 소집되었다. 교회는 민주적인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었다. 각 교회는 자체 목사를 선택하거나 거부할 수 있었지만, 일단 선택되면 해고될 수 없었다. 각 교구는 가능한 한 자급자족해야 했다. 주교들은 10~12명의 "감독"으로 대체되었다. 이 계획에는 보편성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국가 교육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었다. 특정 법률 분야는 교회 당국의 관할하에 있었다.[69] 그러나 의회는 주로 재정적인 이유로 이 계획을 승인하지 않았다. 교회는 스코틀랜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재산으로 운영될 예정이었다. 이 재산의 상당 부분은 이제 귀족들의 손에 있었고, 그들은 자신의 소유물을 포기하기를 꺼렸다. 메리 스튜어트의 귀환이 임박했기 때문에 계획에 대한 최종 결정은 연기되었다.[70]
4. 메리 여왕과의 갈등 (1561년 ~ 1564년)
녹스는 메리 여왕이 로마 가톨릭 신자였기 때문에 다섯 차례의 "대화"를 통해 갈등을 겪었다.[107] 1562년 메리 여왕이 종교개혁을 방해하고 교황 정치를 회복하려 하자, 녹스는 여왕의 정책을 비난하며 "한번의 미사는 1000만 명의 군대가 쳐들어오는 것보다 더 두렵다"고 설교했다. 또한 "왕이라도 법을 지키지 않으면 저항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08]
녹스는 세례 요한의 목을 벤 헤롯 왕을 예수가 여우라고 비난했음을 들어 왕으로서 처신을 바르게 하라고 맞섰다. 메리 여왕은 교황 비오 4세에게 잉글랜드에서 반종교개혁의 가능성을 알리는 편지를 보냈고, 글래스고 대주교가 종교개혁자들을 억압하는 등 스코틀랜드가 로마 가톨릭으로 복귀할 희망이 있음을 시사했다.[108]
1561년 8월 19일, 메리 여왕이 스코틀랜드에 도착하여 홀리루드 궁전에서 미사에 참석하자 항의가 일어났고, 녹스는 그 다음 주일 세인트 자일스 교회 강단에서 항의했다. 메리는 녹스를 소환하여 그가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반란을 선동하고 자신의 권위에 반대하는 책을 썼다고 비난했다. 녹스는 네로의 통치하에 사도 바울이 살았던 점을 지적하며 그녀의 통치를 받아들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메리가 신하들이 통치자에게 저항할 권리가 있는지 묻자, 녹스는 군주가 합법적인 한계를 넘어서면 무력으로라도 저항받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71]
1562년 12월 13일, 메리는 녹스가 종교 개혁을 희생하여 기뻐하는 것으로 해석한 특정 축하 행사를 비난하는 설교를 한 후 다시 녹스를 소환했다. 메리는 녹스가 여왕에 대해 불경하게 말하여 그녀를 신하들에게 경멸스럽게 보이도록 만들었다고 비난했다. 녹스가 설교에 대한 설명을 한 후, 메리는 앞으로 그가 자신에 대해 싫어하는 것을 들으면 직접 그녀에게 와달라고 요청했지만, 녹스는 설교에서 자신의 신념을 계속 표명할 것이며 그녀를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73]
1563년 부활절, 에어셔의 일부 사제들이 미사를 드려 법을 어기자, 일부 프로테스탄트들이 이 사제들을 체포하려 했다. 이로 인해 메리는 세 번째로 녹스를 소환했고, 녹스는 그들의 행동을 옹호하며 메리가 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메리는 사제들이 사법 처리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74]
1563년 6월 24일, 메리는 녹스가 스페인의 펠리페 2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와의 결혼을 제안한 것에 대해 설교했다는 말을 듣고 녹스를 홀리루드로 소환했다. 메리는 녹스를 꾸짖고 울음을 터뜨리며 "당신은 나의 결혼과 무슨 상관이 있소?"라고 물었다.[75],[76] 녹스는 자신이 귀족 출신은 아니지만 왕국에 대한 위험을 경고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메리가 다시 울자, 녹스는 자신의 아들의 눈물조차도 거의 참을 수 없지만, 침묵을 지키는 것보다 그녀의 눈물을 참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77] 이에 메리는 그를 방에서 내보냈다.[78]
녹스와 메리의 마지막 만남은 홀리루드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이루어졌다. 메리가 1563년 여름 순방으로 에든버러를 떠나 있는 동안, 군중이 미사가 거행되고 있는 그녀의 개인 예배당으로 난입했다. 언쟁 중에 사제의 목숨이 위협받았고, 에든버러의 시민 두 명이 재판을 받을 예정이었다. 녹스는 이 사람들을 변호하기 위해 귀족들에게 소집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고, 메리는 이것이 반역 행위가 아니냐고 물었다. 메이틀랜드는 녹스에게 잘못을 인정하고 문제를 조용히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녹스는 거부했고 비밀 의회 앞에서 자신을 변호했다. 그는 교회 목사로서의 의무의 일환으로 합법적인 집회를 소집했다고 주장했고, 의원들은 그를 반역죄로 기소하지 않기로 결정했다.[79]
4. 1. 말년과 죽음 (1564년 ~ 1572년)
1564년 3월 26일, 존 녹스는 앤드류 스튜어트의 딸인 마가렛 스튜어트와 결혼했다. 녹스는 50세의 홀아비였고 신부는 17세였기에 이 결혼은 논란을 일으켰다.[80] 이들 부부는 마사, 마가렛, 엘리자베스 세 딸을 두었다.[81]1564년 6월 총회에서 녹스는 메이틀랜드와 민정부의 권위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메이틀랜드는 녹스에게 메리가 미사를 드리는 것에 대한 감정 자극을 삼가라고 말하며,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의 세속 통치자에 대한 순종을 인용했다. 녹스는 성경에서 불충실한 왕을 따랐을 때 이스라엘이 벌을 받았다는 점과 대륙 개혁가들이 재침례파의 주장을 반박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논쟁은 녹스의 정치적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82]
1565년 7월 29일, 메리와 헨리 스튜어트, 던리 경의 결혼 이후, 제임스 스튜어트, 1대 모레이 백작을 포함한 일부 개신교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녹스는 1565년 8월 19일 설교에서 이 결혼에 반대했고, 불경건한 통치자를 언급하여 던리 경이 자리를 뜨게 했다. 녹스는 소환되어 에든버러에서 설교하는 것이 금지되었다.[83]
1566년 3월 9일, 메리의 비서 데이비드 리지오가 살해되었다. 메리는 에든버러에서 던바로 도망쳤다가 돌아왔다. 녹스는 카일로 피신하여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사''의 대부분을 완성했다.[84] 에든버러로 돌아온 그는 개신교 귀족들이 메리를 어떻게 처리할지 분열된 것을 보았다. 던리 경이 살해되고 메리가 보스웰 백작과 결혼하면서 살인 혐의를 받게 되자, 강제 퇴위되어 로클레번 성에 투옥되었다. 모레이 경이 제임스 6세의 섭정이 되었다. 녹스의 친구인 아가일 경과 윌리엄 커크컬디는 메리를 지지했다. 1567년 7월 29일, 녹스는 제임스 6세의 대관식 설교를 홀리루드 교회 스터링에서 했다. 그는 메리를 비난하며 죽음을 요구하기도 했지만, 메리는 1568년 5월 2일 탈출했다.[85]
스코틀랜드에서는 내전이 계속되었다. 모레이 경은 1570년 1월 23일에 암살당했고, 후임 섭정 렌녹스 백작도 희생되었다. 1571년 4월 30일, 커크컬디 오브 그랭지는 녹스에게 에든버러를 떠나거나 성에 갇혀있을 것을 요구했다. 녹스는 5월 5일 세인트앤드루스로 떠나 설교와 ''역사'' 작업을 계속했다. 1572년 7월 말 휴전 후 에든버러로 돌아와 성 길스에서 설교했다.[86]
11월 9일 애버딘의 제임스 로슨을 성 길스의 목사로 임명한 후, 녹스는 집으로 돌아왔다. 친구들과 귀족들이 그를 방문했고, 그는 성경을 읽어 달라고 요청했다. 1572년 11월 24일, 그의 젊은 아내는 바울의 고린도전서를 읽어주었다.[87] 모튼 백작은 그의 무덤에서 "여기에 어떤 육체도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이 잠들어 있습니다."라고 증언했다.[88] 1633년 묘지가 파괴되어 녹스의 무덤 위치는 알 수 없다.[89]

녹스는 유언에서 "나는 아무도 타락시키지 않았고, 아무도 속이지 않았으며, 상업에 종사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90] 섭정 모튼 경은 총회에 그의 미망인에게 1년간 봉급을 지급하고 가족을 지원하도록 요청했다.[90]
녹스는 다섯 자녀와 두 번째 부인과 함께 생을 마감했다. 두 아들 네사니얼과 엘리어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다녔다. 네사니얼은 1580년 초에 사망했고,[91] 엘리어저는 잉글랜드 교회 성직자로 1591년에 사망했다.[92][93] 녹스의 두 번째 부인 마가렛은 앤드류 커와 재혼했다. 세 딸 마사, 마가렛, 엘리자베스는 각각 알렉산더 페어리, 자카리 폰트, 존 웰시와 결혼했다.[94]
녹스의 사망은 당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장례식에는 스코틀랜드 귀족들이 참석했지만, 주요 정치인이나 외교관은 그의 죽음을 언급하지 않았다.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도 그를 간략하게 언급했을 뿐이다.[95] 그러나 지배자들이 두려워한 것은 녹스의 사상이었다. 그는 성공적인 개혁가였으며, 그의 철학은 청교도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한 인간의 자유를 위한 투쟁에 기여했다고 묘사된다.[95] 그의 묘비명에는 "여기에 하나님을 너무 두려워하여 어떤 사람의 얼굴도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이 잠들어 있다"라고 적혀 있다.[96]
녹스는 장로교 정치 체제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97] 이는 1689년에야 달성되었다. 그는 현상 유지를 받아들여 친구들이 주교와 대주교로 임명되는 것을 보았고, 1571년 존 더글러스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 취임식에서 설교하기도 했다.[98] 녹스는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신자를 거느린 장로교파의 명목상 창시자로 여겨진다.[99]
데이비드 왓슨 스티븐슨이 만든 녹스의 흉상은 스털링에 있는 월리스 기념탑의 영웅의 전당에 있다.[100]
5. 저서
- A History of the Reformation영어 (종교개혁사)
- 『세인트앤드루스 성 교회 신도들에게 보내는 서한; 신앙에 의한 의롭게 됨에 관한 발나브의 간략한 요약과 함께』 (1548)
- 『미사의 제사가 우상숭배라는 교리의 옹호』 (1550)
- 『런던, 뉴캐슬, 버윅의 충실한 신자들에게 보내는 경건한 경고 또는 권고의 편지』 (1554)
- 『합법적인 통치자에게 순종하는 것에 관한 특정 질문들; 헨리 불링거의 답변과 함께』 (1554)
- 『잉글랜드에서 하나님의 진리를 고백하는 자들에게 보내는 충실한 권고』 (1554)
- 『마인강 프랑크푸르트의 영국 교회의 절차와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1554–1555)
- 『스코틀랜드의 섭정이자 왕대비에게 보내는 편지』 (1556)
- 『스코틀랜드의 형제들에게 보내는 건전한 조언의 편지』 (1556)
- 『제네바의 영국 교회에서 사용되는 기도와 성례전 집행의 형식』 (1556)
- 『여성의 괴이한 통치에 대한 나팔의 첫 번째 소리』 (1558)
- 『스코틀랜드의 섭정이자 왕대비에게 보내는 편지: 저자에 의해 증강되고 설명됨』 (1558)
- 『주교와 성직자들이 선고한 판결에 대한 항소: 스코틀랜드의 귀족과 계급들에게 보냄』 (1558)
- 『스코틀랜드의 평민들에게 보내는 편지』 (1558)
- 『재침례파의 궤변에 대한 답변으로서의 예정론에 관하여』 (1560)
-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의 역사』 (1586–1587)
6. 평가와 유산
토머스 칼라일은 저서 《영웅숭배론》에서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진리를 추구하며 용기를 보여준 강직한 존 녹스의 성품을 높게 평가했다. 그는 녹스를 마르틴 루터와 함께 '성직자로 나타난 영웅'이라 칭하며, "그는 근대의 어떤 사람보다도 고대 히브리의 예언자를 닮았고, 불요불굴 굴관용, 신의 진리에 대한 엄격하고 편협한 애착, 진리를 저버리는 모든 것에 대해 신의 이름으로 하는 엄한 힐책, 실로 그는 16세기 에딘버러의 목사의 모습으로 태어난 히브리 예언자였다."라고 평가했다.[109] 스코틀랜드의 섭정이었던 제임스 더글러스는 녹스의 무덤에서 "사람의 얼굴을 두려워한 일이 없는 사람, 여기 잠들다."라고 말했다.[109] 마틴 로이드 존스는 토머스 칼라일의 말을 빌려 존 녹스를 청교도의 창시자로 주장했다.
녹스는 유언에서 "나는 아무도 타락시키지 않았고, 아무도 속이지 않았으며, 상업에 종사한 적도 없다."라고 주장했다.[90] 녹스가 가족에게 남긴 유산은 극빈에 처하게 할 정도로 적었는데, 이는 그가 교회에서 일하면서 사적인 이익을 취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섭정 모튼 경(Lord Morton)은 총회에 요청하여 그의 사망 후 1년 동안 미망인에게 그의 봉급을 계속 지급하도록 했고, 녹스의 부양가족들이 적절히 지원받도록 보장했다.[90]
녹스는 다섯 자녀와 두 번째 부인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첫 번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얻은 두 아들, 네사니얼(Nathaniel)과 엘리어저(Eleazar)는 케임브리지대학교 세인트 존스 칼리지(St John's College, Cambridge)에서 공부했다. 네사니얼은 세인트 존스 칼리지의 연구원이 되었지만 1580년 초에 사망했다.[91] 엘리어저는 잉글랜드 교회(Church of England)에서 성직자로 임명되어 그레이트 클랙턴(Great Clacton) 교구에서 봉직했다. 그 역시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1591년 세인트 존스 칼리지 예배당(St John's College, Cambridge#Chapel|chapel of St John's College)에 묻혔다.[92][93] 녹스의 두 번째 부인인 마가렛 녹스(Margaret Knox)는 데이비드 리지오(David Rizzio) 살해에 연루된 인물 중 한 명인 앤드류 커(Andrew Ker)와 재혼했다. 녹스의 세 딸도 결혼했는데, 마사(Martha)는 알렉산더 페어리(Alexander Fairlie)와, 마가렛(Margaret)은 로버트 폰트(Robert Pont (Scottish politician)|Robert Pont)의 아들이자 티모시 폰트(Timothy Pont)의 형제인 자카리 폰트(Zachary Pont)와, 엘리자베스(Elizabeth)는 교회 목사인 존 웰시 오브 에어(John Welsh of Ayr|John Welsh)와 결혼했다.[94]
녹스가 사망했을 당시에는 그의 죽음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장례식에는 스코틀랜드 귀족들이 참석했지만, 주요 정치인이나 외교관 중 그의 죽음을 언급한 사람은 없었다.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Mary, Queen of Scots)도 편지에서 그를 두 번 간략하게 언급했을 뿐이다.[95] 하지만 지배자들이 두려워한 것은 녹스 자신이 아니라 그의 사상이었다. 그는 성공적인 개혁가였으며, 그의 개혁 철학은 영국의 청교도(Puritans)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또한 불의한 정부에 저항하여 도덕적, 영적 변화를 가져오는 의무를 가르침으로써 진정한 인간의 자유를 위한 투쟁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95] 그의 묘비명에는 "여기에 하나님을 너무 두려워하여 어떤 사람의 얼굴도 두려워하지 않았던 사람이 잠들어 있다"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마태복음 10장 28절을 인용한 것이다.[96]
녹스는 스코틀랜드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를 무너뜨린 것보다 기존 기독교를 성공회(Anglicanism)가 아닌 장로교(Presbyterianism)로 대체하도록 한 것으로 유명하다. 녹스는 장로교 정치 체제를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97] 장로교 정치 체제가 완전히 확립된 것은 그가 사망하고 120년 후인 1689년이었다. 한편, 녹스는 현실적인 면모를 보여, 그의 친구들이 주교와 대주교로 임명되는 것을 기꺼이 보았으며, 심지어 1571년 존 더글러스(John Douglas (archbishop of St Andrews)|John Douglas) 세인트앤드루스 대주교(Archbishop of St Andrews)의 취임식에서 설교하기도 했다.[98] 이러한 점에서 녹스는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신자를 거느린 장로교파의 명목상 창시자로 여겨진다.[99]
데이비드 왓슨 스티븐슨(David Watson Stevenson)이 만든 녹스의 흉상은 스털링(Stirling)에 있는 월리스 기념탑(National Wallace Monument)의 영웅의 전당에 있다.[100]
참조
[1]
웹사이트
Foirm na nurrnuidheadh agas freasdal na sacramuinteadh, agas foirceadul an chreidimh Christuidhe andso sios : Mar ghnathuighear an eagluisibh alban doghradhuigh agas doghlac soisgel dileas dé tareis an fhuar chreidimh dochur ar goul ar na dtarraing as Laidin, & as Gaillbherla in Gaoidheilg le M. Seon Carusuel Ministir Eagluise dé agcriochaibh earragaoidheal darab comhainm easbug indseadh gall, ni héidir le henduine, fundamuint oile do tsuidhiughadh acht anfhundamuint ata ar na suighiughadh I. Iosa Criosd.
https://images.is.ed[...]
2022-11-30
[2]
문서
Tudor England: an Encyclopedia
2000
[2]
문서
Early Modern Europe, 1450–17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
문서
Calvin
Routledge
1989
[2]
논문
1957
[2]
논문
1968
[2]
논문
1957
[2]
논문
1974
[3]
논문
1974
[4]
논문
2015
[5]
논문
1957
[6]
논문
1957
[7]
논문
1957
[8]
논문
2015
[9]
논문
1968
[10]
논문
1974
[10]
논문
1968
[11]
논문
1968
[12]
논문
1974
[13]
논문
1974
[13]
논문
1968
[14]
논문
1974
[14]
논문
1968
[15]
논문
1974
[15]
논문
1968
[16]
논문
1974
[16]
논문
1968
[16]
논문
1957
[17]
논문
1957
[18]
논문
1968
[19]
논문
1974
[19]
논문
1968
[20]
논문
1974
[20]
논문
1968
[21]
논문
1974
[21]
논문
1968
[21]
논문
1957
[22]
논문
1957
[23]
논문
1974
[23]
논문
1968
[24]
논문
1974
[25]
논문
1974
[25]
논문
1968
[26]
논문
1957
[27]
논문
1974
[27]
논문
1968
[28]
논문
1974
[29]
논문
1957
[30]
논문
1968
[31]
논문
1974
[31]
논문
1968
[31]
논문
2004
[31]
논문
2000
[32]
서적
The Chronicle and Political Papers of Edward VI
London
1966
[32]
간행물
CSP Scotland
1898
[33]
논문
1957
[34]
논문
1974
[34]
논문
1968
[35]
논문
1974
[35]
논문
1968
[35]
논문
1957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서적
The register of the Company of Pastors of Geneva in the time of Calvin
Wipf & Stock Publishers
2004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서적
[57]
서적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웹사이트
gallery
https://web.archive.[...]
2016-06-11
[62]
논문
[63]
논문
[64]
간행물
Calendar State Papers Scotland
[65]
간행물
Calendar State Papers Scotland
[66]
논문
[67]
간행물
Register of Books, Engravings, Music &c.
https://books.google[...]
1841-04-10
[68]
논문
[69]
서적
The First Book of Discipline
[70]
논문
[71]
논문
[72]
문서
From Covenant Presbyterian Church, Long Beach, California, United States
[73]
논문
[74]
논문
[75]
논문
[76]
논문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서적
John Knox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8-01-31
[90]
논문
[91]
학술자료
[92]
논문
[93]
학술자료
[94]
논문
[95]
논문
[96]
서적
Believer's Bible Commentary
[97]
논문
[98]
논문
[99]
웹사이트
John Knox – Presbyterian with a sword
https://web.archive.[...]
2007-10-19
[100]
웹사이트
John Knox
https://www.national[...]
National Wallace Monument
2015
[101]
서적
[102]
문서
According to Brown 1895, p. 321, Vol. II, this picture is based on the portrait contained in Theodore Beza's Icones. According to Laing 1895, p. ix, Vol. 1, it may have been copied from an older painting at least a century after Knox's death.
[103]
논문
[104]
논문
[105]
서적
영웅숭배론
한길사
[106]
서적
청교도 신앙 그 기원과 계승자들
https://www.worldcat[...]
생명의말씀사
2002
[107]
문서
Covenant Presbyterian Church, Long Beach, 캘리포니아, 미국
[108]
서적
종교개혁사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109]
서적
위책
한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