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속주의는 예수 그리스도, 삼위일체 내 성자, 또는 성자의 본질이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을 포괄하는 신학적 개념이다. 이는 성육신적, 위치적/기능적, 존재론적 종속주의로 분류되며, 특히 존재론적 종속주의는 이단으로 간주된다. 역사적으로 니케아 공의회 이전의 신학자들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아리우스 논쟁을 거치며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현대에는 동방 정교회, 가톨릭 교회, 루터교, 새로운 칼빈주의 등 다양한 신학적 입장에서 종속주의에 대한 견해가 다르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삼위일체론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반삼위일체론 -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조셉 스미스가 1830년에 창립한 기독교 종교로, 성경과 몰몬경 등을 경전으로 사용하며 초대 기독교의 회복을 표방하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1,600만 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며 선교, 교육, 복지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신학 논쟁 - 근본주의자-현대주의자 논쟁
20세기 초 미국 장로교회 내에서 성경 해석과 교리 차이로 벌어진 근본주의자-현대주의 논쟁은 5대 근본 교리를 중심으로 대립하며 미국 개신교의 신학적 지형을 변화시킨 격렬한 신학적 논쟁이다. - 신학 논쟁 - 라이프치히 논쟁
라이프치히 논쟁은 1519년 라이프치히에서 마르틴 루터,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등 종교 개혁 진영과 요하네스 에크를 중심으로 한 로마 가톨릭 진영 간에 벌어진 공개 신학 논쟁으로, 교황의 권위, 성경의 권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종교 개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그리스도론 - 로고스
로고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비롯된 다의어로, 철학, 종교, 심리학 등 다양한 사상에서 이성, 논리, 세계의 원리, 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으로 사용된다. - 그리스도론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분류
종속주의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 성육신적 종속주의는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이다.
- 위치적/기능적 종속주의는 삼위일체에서 성자의 역할과 기능이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이다.
- 존재론적 종속주의는 성자의 본질 자체가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으로, 이단으로 간주된다.
2. 1. 성육신적 종속주의 (Incarnational Subordination)
성육신적 종속주의는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가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이다.2. 2. 위치적/기능적 종속주의 (Positional/Functional Subordination)
위치적/기능적 종속주의는 삼위일체에서 성자의 역할과 기능이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이다.2. 3. 존재론적 종속주의 (Ontological Subordination)
존재론적 종속주의는 성자의 본질 자체가 성부에게 종속된다는 주장으로, 이단으로 간주된다.3. 역사
3. 1. 니케아 공의회 이전
Badcock에 따르면, 4세기 후반 아리우스 논쟁 이전의 거의 모든 정통 신학자들은 어느 정도 종속주의를 따랐다.[6] 이는 이레네우스, 테르툴리아누스, 오리게네스,[7][8] 히폴리투스, 유스티누스 순교자 및 노바티아누스에게도 적용된다.[9][10][11] 이는 또한 이사야의 승천에서도 나타났다.[12]그러나 종속주의를 긍정하지 않은 몇몇 니케아 이전 기독교 저술가들이 있었을 수 있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아테나고라스 및 초기 솔로몬의 찬가는 삼위일체에 대한 비종속주의적 이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13][14][15] 또한, 에밀 메르쉬와 같은 신학자들은 이레네우스가 어떠한 형태의 종속주의도 가르쳤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16]
3. 2. 아리우스 논쟁과 니케아 공의회
아리우스(c. 250-336)는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성직자로, 알렉산데르가 아버지와 아들의 본질을 구별하는 것을 흐리게 하여 영원한 생성에 초점을 맞춘 것에 이의를 제기했다.[19] 콘스탄티노플의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아리우스는 "만약 아버지가 아들을 낳았다면, 낳은 자는 존재의 시작을 가졌고, 이것으로부터 아들이 존재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그는 [아들]은 필연적으로 무에서 그의 실체를 갖게 되었다."라고 주장했다.[20] 반면 알렉산데르는 아들이 아버지와 동등하다고 묘사했다.[21]이러한 아리우스와 알렉산데르 간의 분쟁은 아리우스 논쟁을 촉발했으며, 318년 또는 319년에 시작되었다.[17]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켈리에 따르면, 이 논쟁은 아들에게 시작이 있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21] 아리우스는 아들이 무에서 창조되었고, 따라서 시작이 있었다고 주장했다.[21]
콘스탄티누스 1세는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에게 의지하여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와 그 반대자들 사이의 평화를 이루려 했다.[22]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는 아들이 아버지와 "호모'''이'''우시우스", 즉 "'''유사한'''" 본질/본성을 갖는다고 제안했다.[22] 그러나 알렉산데르와 아타나시우스는 이러한 타협안이 아리우스파가 그들의 이단을 계속 가르치면서도 기술적으로 정통성을 유지하게 할 것이라고 보고 그 문구를 거부했다.[22]
"니케아 신앙 고백의 결정적인 핵심어, 즉 ''호모우시우스''는 ... 황제 자신에게서 나왔다.[23] 호모우시우스는 아버지와 "동일한 본질/본성"을 의미한다.[23] 많은 신학자들이 이 용어를 불편하게 여겼는데, "호모우시안이라는 용어에 대한 그들의 반대는 그것이 비성경적이고 의심스러우며 사벨리우스주의적 경향이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24][25] "그러나 황제는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결과적으로, 단 세 명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이 진술을 승인했다."[25][26][27]
3. 3. 니케아 공의회 이후
아타나시우스는 종속주의에 반대했으며 신적 존재의 계층적 순위에 매우 적대적이었다.[28] 아우구스티누스와 그레고리우스 또한 이에 반대했다.[29][30] 6세기에 오리게네스가 가르친 다른 교리와 함께 종속주의는 정죄되었다.[31] 에피파니우스는 오리게네스를 반대하며 종속주의에 대한 그의 견해를 공격했다.[32]3. 4. 종교개혁과 아르미니우스주의
존 칼뱅은 그의 저서 《기독교 강요》에서 성부를 "본질을 부여하는 자"로 칭하며 성자를 종속시키는 종교 개혁가들을 비판했다.[33] 리처드 뮬러는 칼뱅이 성부만이 진정으로 하나님이 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제2위와 제3위를 근본적으로 종속시키는 것을 인식했다고 말한다.[34]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는 성자의 잉태가 성자의 인격 생성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자기 존재성은 성부에게만 속한다고 주장했다.[35] 그의 제자인 시몬 에피스코피우스는 성자의 종속성을 공개적으로 주장했다.[36] 17세기 잉글랜드에서는 조지 불, 존 피어슨, 새뮤얼 클라크 등 주요 신학자들이 아르미니우스 종속주의를 지지했다.[34][37]
4. 현대의 관점
4. 1.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성자가 유일하게 원인이나 기원이 없는 성부로부터 유래한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자는 성부와 함께 영원하며, 성부와 성자가 공유하는 동등한 창조되지 않은 본성 안에 있다.[38][39] 이러한 관점은 때때로 서방 기독교인들에게 종속주의로 오해받기도 한다. '성부의 단독 통치'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아우구스티누스(어거스틴)와 같은 서방 신학자들 역시 이와 동일한 교리를 주장한다. 서방의 관점은 종종 동방 교회에 의해 양태론에 가깝다고 여겨진다.[38][39]4. 2. 가톨릭 교회
가톨릭 교회는 성자가 성부에게서 나셨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온다고 믿는다.[40] 가톨릭 신학자 존 하든은 종속주의가 성자와 성령의 신성을 부인하는 이단이라고 비판했다.[40] 국제 신학 위원회는 "많은 기독교 신학자들이 헬레니즘으로부터 이차적인 신(''deuteros theosgrc'') 또는 중간적인 신, 심지어 데미우르고스에 대한 개념을 빌려왔다"고 썼으며, 종속주의는 "일부 변증가들과 오리게네스에게 잠재되어 있었다"고 한다.[40] 아리우스는 종속주의를 "공식적인 이단으로 만들었으며", 성자는 "아버지와 피조물 사이의 중간적인 위치"에 있었다고 주장했다.[40]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성자가 아버지와 동일 본질(''homoousiosgrc'')임을 정의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회는 헬레니즘과의 아리우스적 타협을 거부하고 그리스, 특히 플라톤주의와 신플라톤주의 형이상학의 형태를 깊이 변화시켰다. 말하자면, 헬레니즘을 탈신화화하고 헬레니즘의 기독교적 정화를 이루었다. 중간 존재에 대한 개념을 기각하는 행위에서 교회는 두 가지 존재 방식만을 인정했다: 창조되지 않은 (만들어진 것이 아닌) 것과 창조된 것."[40]4. 3. 루터교
19세기 독일의 여러 루터교 신학자들은 종속주의를 지지했다. 슈톡하르트는 토마시우스, 프랑크, 델리치, 마르텐센, 폰 호프만, 죌클러 등이 성부만이 근본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이고, 성자와 성령은 이차적, 삼차적인 의미에서 하나님이라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그는 라이프치히의 신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투스 카니스(1814–1888)를 강하게 비판했다.[41]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 F. 파이퍼(1852–1931)는 이러한 가르침의 배후에는 ‘근대주의’, 즉 오늘날 우리가 신학적 ‘자유주의’라고 부르는 것이 있었다고 주장한다.[42]최근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루터교 대학의 존 클라이니히가 기능적 종속주의를 옹호했다. 그는 높여지신 그리스도가 부왕 직분과 예언자, 제사장, 왕으로서의 사역에서 성부에게 종속된다고 주장하며, 교회와 세상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현재 사역에서 하나님 아버지와 인류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43]
4. 4. 새로운 칼빈주의 (New Calvinists)
웨인 그루뎀은 그의 조직신학에서 그리스도께서 영원토록 성자 하나님에게 종속된다고 주장하였다.[44][45][46] 현대 복음주의 신학의 한 갈래인 새로운 칼빈주의는 삼위일체 내에 "경제적 종속"이 존재한다고 보며, 성자가 성부에게 기능적으로 종속된다고 주장한다. 1977년, 조지 W. 나이트 3세는 『남녀의 역할 관계에 대한 신약의 가르침』에서 아들이 본질적으로 종속된 것이 아니라 기능적으로 아버지에게 종속되어 있다고 썼으며, 따라서 영원한 기능적 종속이 반드시 존재론적 종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47] 이러한 교리는 다른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논쟁을 일으켰다.[48][49][50]4. 5. 비삼위일체론 (Nontrinitarians)
주류 기독교 교리인 삼위일체는 하나님이 하나의 존재 또는 본질(''우시아'') 안에서 영원하고, 동등하며, 불가분적으로 연합된 세 개의 뚜렷한 위격 또는 인격이라는 가르침으로 묘사될 수 있다.[51]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여호와의 증인, Iglesia ni Cristo는 삼위일체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51] 소시니안 또한 삼위일체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5. 학자들의 견해
5. 1. 옥스퍼드 백과사전
옥스퍼드 백과사전에 따르면 종속주의는 하나님의 아들인 그리스도를 아버지보다 열등한 존재로 간주하는 것을 의미한다.[52] 이러한 경향은 2세기와 3세기 신학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유스티누스 순교자, 테르툴리아누스, 오리게네스, 노바티아누스, 이레네우스와 같은 신학자들에게서 분명히 드러난다.[52] 예를 들어, 이레네우스는 "아버지는 나보다 크시다"(아버지는 나보다 크시다/The Father is greater than I영어)라는 요한복음 14장 28절[52]에 대해 그리스도를 아버지보다 열등한 존재로 간주하는 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었다.종속주의는 중기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아 그리스도를 그리스 철학의 신성한 로고스, 즉 높은 신과 변화와 쇠퇴의 이 세계 사이의 중재자로 설명하는 로고스 기독론에서 발전했다.[52]
오리게네스는 삼위일체의 개념을 확대하여 성령을 포함시켰을 때, 아들을 아버지보다 열등한 존재로, 성령을 아들보다 열등한 존재로 설명했다.[52]
종속주의는 예수께서 하신 말씀, 즉 (a) "아버지는 나보다 크시다"(요한복음 14:28)와 (b) 심판의 날이 언제 올지에 관해 "그 날과 그 시는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에 있는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느니라"(마가복음 13:32)와 그분께서 하나님을 다른 누군가로 말씀하신 것(마가복음 11:18)에 근거한다.[52]
5. 2. 옥스퍼드 기독교 교회 사전
《옥스퍼드 기독교 교회 사전》에 따르면, 종속주의는 "아들이 아버지에게 종속되거나,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 모두에게 종속된다고 본다. 이것은 처음 3세기의 많은 기독교 가르침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경향이며, 유스티노 순교자와 이레네오와 같이 그렇지 않으면 정통적인 교부들의 두드러진 특징이다."[53] 이러한 경향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리스 철학에 따르면, 신은 초월적(즉, 일반적 또는 물리적 수준을 넘어 존재)이며, 따라서 물리적 세계와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없다는 생각은 그리스도가 덜 중요한 존재임을 암시한다.
- 성경은 신을 하나(일신교)로 제시한다.
- 다른 사람들은 신약을 다르게 해석하지만, “아버지는 나보다 크시다”(요한복음 14:28)와 유사한 구절들은 그리스도를 종속적인 존재로 제시한다.
4세기의 아리우스 논쟁 동안, 아리우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아들을 신성하다고 여겼지만, 기독교가 존재한 처음 4세기 동안 theos 또는 deus라는 단어는 다양한 의미를 지녔다. 대중적인 사상과 종교에는 여러 종류와 등급의 신성이 존재했다.[53] 따라서 아리우스는 아들이 본성이 아닌 은혜로 신성하며, 아버지에 의해 창조되었지만, 시간 밖의 창조라고 주장했다.[54]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381년에 개정하여 삼위일체의 세 위격의 동등성을 확언한 니케아 신경은 종속주의를 단죄했다.[55] 4세기 중반까지 신학자들은 성령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53]
5. 3. 웨스트민스터 교부 신학 핸드북
웨스트민스터 교부 신학 핸드북은 종속주의를 "소급적"이고 "현대적 개념"으로 정의한다. 이는 4세기의 발전을 뒤돌아봐야만 이 용어를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56] 또한 이 용어는 니케아 이전 교사들의 신학을 명확하게 밝히지 못할 정도로 모호하다고 지적한다.[56]5. 4. 케빈 자일스 (Kevin Giles)
케빈 자일스는 니케아 이전 교부들이 종속주의자들이었다는 점이 일반적으로 인정된다고 주장한다.[57] 이는 2세기의 "변증가"들의 저작에서 명백히 드러나며, 이레네우스도 비슷한 길을 따랐다고 한다.[57] 변증가들과 이레네우스가 시작한 신학적 작업은 서방에서 히폴리투스와 터툴리안에 의해 이어졌다.[57] 니케아 이전 교부들은 한 분이신 하나님이 어떻게 삼위일체의 세 위격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으며, 그 과정에서 종속주의로 이어졌다고 자일스는 설명한다.[57] 그들은 아버지이신 한 분 하나님이 계시다는 전제에서 시작하여 아들과 성령이 어떻게 하나님이 될 수 있는지 설명하려 했으며, 4세기에 이르러 이러한 접근 방식이 삼위일체에 대한 적절한 신학을 만들어낼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다고 한다.[57]마크 배들리는 자일스가 존재론적 종속주의와 관계적 종속주의를 혼동하고, "니케아 이전 교부들이 종속주의자들이었다"는 그의 일반화 주장을 비판했다.[58]
참조
[1]
서적
Reading the Early Church Fathers: From the Didache to Nicaea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12
[2]
서적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Maintaining Orthodoxy in Trinitarian Theolog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2-05-07
[3]
서적
The New Evangelical Subordinationism?: Perspectives on the Equality of God the Father and God the S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2-08-16
[4]
서적
God in Three Perso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4-02-10
[5]
서적
T&T Clark Handbook of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12-16
[6]
서적
Light of Truth and Fire of Love: A Theology of the Holy Spirit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7
[7]
서적
The Trinity guide to the Trinity
Trinity Press International
2003
[8]
웹사이트
RPC Hanson - A lecture on the Arian Controversy
https://revelationby[...]
2021-11-26
[9]
서적
Founding the Fathers: Early Church History and Protestant Professors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04-12
[10]
서적
The Sacred Writings of Novatian
https://books.google[...]
Jazzybee Verlag
2012
[1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Tri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2]
서적
Christmas, The Original Story
https://books.google[...]
SPCK
2011-09-22
[13]
서적
The Spirit Is Moving: New Pathways in Pneumatology
https://books.google[...]
BRILL
2019-02-26
[14]
서적
The One and the Three: Nature, Person and Triadic Monarchy in the Greek and Irish Patrist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ISD LLC
2015-07-30
[15]
웹사이트
Church Fathers: The Other Greek Apologists
https://www.catholic[...]
2022-11-06
[16]
서적
The Whole Chris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the Mystical Body in Scripture and Tradi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08-04
[17]
웹사이트
A Chronology of the Arian Controversy
http://legalhistorys[...]
2021-12-16
[18]
웹사이트
RPC Hanson - A lecture on the Arian Controversy
https://revelationby[...]
2021-12-16
[19]
간행물
The Invention of 'Heresy' and 'Schism'
null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2015-11-30
[20]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I, Ch. 5.)
[21]
서적
Early Christian doctrines
1978
[22]
문서
On the so-called 'Arians' of the fourth century see Hanson, The Search, 3-59, 557-638, Ayres, Nicea, 105-132, and, D. Gwynn, The Eusebians': The Polemic of Athanasius of Alexandria and the Construction of the Arian Heresy (Oxford: OUP, 2007).
[23]
문서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Bernard Lohse, 1966, p51-53
[24]
문서
Select Treatises of St. Athanasius - In Controversy With the Arians - Freely Translated by John Henry Cardinal Newmann - Longmans, Green, and Co., 1911, footnote n.124
[25]
웹사이트
Millard J. Erickson, God in Three Persons - Nicene Creed
https://revelationby[...]
2021-12-14
[26]
문서
Cheryl Graham, University of Glasgow, Assess the role of Constantine at the council of Nicaea
[27]
웹사이트
Trinity: The role of Constantine in the Nicene creed
https://www.bible.ca[...]
2021-12-21
[28]
서적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Maintaining Orthodoxy in Trinitarian Theolog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2-05-07
[29]
서적
Delphi Collected Works of Saint Augustine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07-03
[30]
서적
T&T Clark Handbook of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12-16
[31]
서적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Books 1-5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10-04
[32]
서적
The Origenist Controversy: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n Early Christian Debat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7-14
[33]
서적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SCM
1960
[34]
서적
Post-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The Rise and Development of Reformed Orthodoxy, ca. 1520 to ca. 1725, Vol 4, The Triunity of God
Baker
2003
[35]
서적
Calvin, Classical Trinitarianism, and the Aseity of the S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6]
서적
Institutiones Theologicae, in Opera Theologica, 2nd ed., vol 1
"'s Gravenhage"
[37]
서적
Archetypal Heresy. Arianism through the Centuries
Clarendon
[38]
서적
The Orthodox Church: its past and its role in the world today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39]
서적
The Orthodox Church
Penguin Books
[40]
웹사이트
Select questions on Christology
https://www.vatican.[...]
2016-06-23
[41]
논문
'Der moderne Subordinatianismus im Licht der Schrift,'
1894
[42]
서적
Christian Dogmatics
Concordia
[43]
논문
The subordination of the exalted Son to the Father
https://brocku.ca/co[...]
2005–2006
[44]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and Womanhood: A Response to Evangelical Feminism
Crossways
[45]
서적
Systematic Theology
IVP
[46]
서적
Father, Son and Holy Spirit: Relationships, Roles and Relevance
Crossways
[47]
서적
The New Testament teaching on the role relationship of men and women
Baker Book House
[48]
간행물
The New Evangelical Subordinationism?: Perspectives on the Equality of God the Father and God the Son
Wipf and Stock Publishers
[49]
간행물
Classical trinitarianism and eternal functional subordination: some historical and dogmatic reflections.
[50]
간행물
A Defense of the Doctrine of the Eternal Subordination of the Son.
[51]
서적
British Social Trends since 1900: A Guide to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of Britain
Palgrave Macmillan UK
1988-10-13
[52]
백과사전
Oxford University Press
[53]
웹사이트
RPC Hanson - A lecture on the Arian Controversy
https://revelationby[...]
2021-12-15
[54]
웹사이트
The Letter of Arius to Eusebius, Bishop of Nicomedia
https://biblehub.com[...]
2021-12-15
[55]
백과사전
subordinationism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56]
백과사전
Subordinationism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57]
서적
The Trinity & subordinationism: the doctrine of God and the contemporary gender debate
InterVarsity Press
[58]
논문
The Trinity and Subordinationism
[59]
서적
The Holy Trinity : in scripture, history, theology, and worship
https://www.worldcat[...]
null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