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불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즈불룬은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야곱의 아들이자 12지파 중 하나이다. 이름은 'zbl' 어근에서 유래되었으며, 바알의 칭호, 개인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토라에서는 즈불룬의 이름에 대한 여러 어원을 제시하며, 세 아들 세렛, 엘론, 야흘르엘을 두었다. 즈불룬 지파는 가나안 정착 시 갈릴리 지방 남부에 상속지를 할당받았으나, 미개간지가 많았고 가나안인을 완전히 몰아내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사람 - 이스라엘인
이스라엘인은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으로 구성된 이스라엘 국가의 시민을 가리키는 용어로, 인구 대다수는 유대인이지만 아랍인 등 다양한 소수 민족도 거주하며, 이스라엘은 유대인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지닌다. - 이스라엘 사람 - 아비람
- 야곱의 자식 - 레위
레위는 야곱의 세 번째 아들이자 레위 지파의 시조이며, 디나 강간 사건 복수와 관련된 야곱의 저주에도 불구하고 그의 후손들은 이스라엘 제사장 직무를 맡았고, 모세와 아론이 그의 대표적인 후손이며, 이름은 '연합함' 또는 '사제'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는 해석이 있다. - 야곱의 자식 - 단 (야곱의 아들)
단은 야곱의 아들이자 이스라엘 12지파 중 하나의 시조이며, 그의 이름은 라헬이 하느님의 심판으로 아이를 얻었다고 믿은 데서 유래했고, 성경과 외경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외경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는 적그리스도와 연관되기도 하며 요한 묵시록에서는 이스라엘인 목록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호세아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는 앗시리아의 꼭두각시 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집트와 손잡고 독립을 추구하다가 사마리아 함락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며 통치를 마감했다.
즈불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히브리어) | זְבֻלוּן/זְבוּלֻן/זְבוּלוּן |
로마자 표기 | Zəvūlūn, Zeḇūlūn |
아버지 | 야곱 |
어머니 | 레아 |
배우자 | 메리샤 |
자녀 | 세렛 (아들) 엘론 (아들) 야흘르엘 (아들) |
친척 | 르우벤 (형) 시므온 (형) 레위 (형) 유다 (형) 단 (이복형) 납달리 (이복형) 갓 (이복형) 아셀 (이복형) 이싸갈 (형) 디나 (누이) 요셉 (이복동생) 베냐민 (이복동생) 라헬 (고모/계모) |
![]() | |
출생 장소 | 밧단아람 |
출생일 | 7 티슈레이 |
2. 어원
3음절 어근 zbl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기원전 2천년기 우가리트어 텍스트에서 신 바알의 칭호로, 그리고 페니키아어와 성경 히브리어에서 개인 이름으로 흔히 사용된다.[7]
{| class="wikitable"
토라에 따르면 즈불룬은 세렛, 엘론, 야흘르엘이라는 세 아들을 두었으며, 각 아들의 이름을 따서 씨족이 만들어졌다.[1]
זְבוּלֻן|즈불룬he 지파는 타볼 산에서 즈불룬 지파와 이스라엘인이 아닌 집단 간에 맺어진 상업 협정을 ''지베-체데크''라고 불렀으며, 이는 문자 그대로 ''정의에 대한 희생'' 또는 ''체데크에 대한 희생''을 의미한다.[9]
[1]
성경
Genesis 46:14
토라에는 '즈불룬'이라는 이름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어원이 제시되어 있는데, 문헌 비평 학자들은 이를 서로 다른 출처, 즉 야웨이스트와 엘로이스트에 기인한다고 본다.[8] 첫 번째는 레아가 여섯 아들을 얻은 것이 신의 선물이라고 여긴 데서 유래된, '선물'을 뜻하는 단어 '제베드'에서 유래된 것이며, 두 번째는 레아가 야곱이 여섯 아들을 낳은 자신에게 영예를 주기를 바랐던 데서 유래된 '영예'를 뜻하는 '이즈베레니'에서 유래된 것이다. 신명기 33장에서는 즈불룬 지파의 상업 활동과 관련하여 세 번째 잠재적 어원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9] 이는 문자 그대로 '희생'을 의미하는 '지베'와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이다. 타볼 산에서 즈불룬 지파와 이스라엘인이 아닌 집단 간에 맺어진 상업 협정은 문자 그대로 '정의에 대한 희생' 또는 '체데크에 대한 희생'을 의미하는 '지베-체데크'로 불렸다.[9]
3. 가계도
|-
! 아브라함의 가계도
|-
|
{| class="wikitable"
|-
! 데라
|-
| 아브라함
|-
| 사라[17], 하갈, 하란
|-
| 나홀
|-
| 이스마엘, 밀가, 롯, 이스가
|-
| 브두엘
|-
| 이스마엘 부족, 7 아들[18], 첫째 딸, 둘째 딸
|-
| 이삭, 리브가, 라반, 모압, 암몬인
|-
| 야곱, 라헬, 에서
|-
| 레아, 실바, 빌하
|-
| 에돔
|-
|
|}
|}
4. 성경 속 이야기
판관기 5장의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는 납달리와 함께 전장에서 목숨을 걸었던 즈불룬에 대해 "즈불룬은 죽음에 자기 영혼을 노출시킨 백성이며, 납달리 또한 들판의 높은 곳에서 그러했다."라고 묘사되어 있다.[2]
탈출기의 가나안 정착 시 즈불룬은 갈릴리 지방 남부에 상속지를 할당받았지만, 대부분 미개간지였고 큰 마을도 없었다.[3] 또한, 키테론과 나하랄의 가나안인을 몰아내지 못했다.[3]
5. 제불룬 지파
토라에 따르면 즈불룬은 세렛, 엘론, 야흘르엘이라는 세 아들을 두었으며, 각 아들은 씨족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판관기 5장의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서 납달리와 함께 전장에서 목숨을 걸었던 즈불룬은 "죽음에 자기 영혼을 노출시킨 백성"이라고 묘사되었으며, "납달리 또한 들판의 높은 곳에서 그러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탈출기의 가나안 정착 시, 즈불룬 지파는 갈릴리 지방 남부에 상속지를 할당받았지만, 대부분이 미개간지였고 큰 마을은 없었다. 또한, 키테론과 나하랄의 가나안인을 몰아내지 못했다.
참조
[2]
서적
The Tiberian Pronunciation Tradition of Biblical Hebrew, Volume 1.
Open Book Publishers
[3]
성경
Genesis 46:14
[4]
성경
Numbers 26:26
[5]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6]
백과사전
Tribe of Zebulun
Jewish Encyclopedia
[7]
웹사이트
Precarious Scholarship: Problems with Proposing that the Seal of Yzbl was Queen Jezebel's
http://www.asor.org/[...]
BASOR
2007
[8]
서적
Who wrote the Bible
[9]
백과사전
Jewish Encyclopedia
[10]
성경
創世記46章14節
[11]
성경
창세기 46:14
[12]
성경
민수기 26:26
[13]
서적
Who wrote the Bible
//en.wikipedia.org/w[...]
[14]
성경
신명기 33:19
[15]
백과사전
Jewish Encyclopedia
[16]
서적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17]
성경
창세기 20장 12절. 사라는 아브라함의 이복동생이다.
[18]
성경
창세기 22장 21~22절. 우스, 부즈, 부스, 그므엘, 게셋, 하소, 빌다스, 이들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