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롤터 바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브롤터 바위는 곶 형태로, 초기 쥐라기 시대의 석회암과 백운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바위는 지질학적으로 침식과 단층이 심하게 진행된 습곡의 일부이며, 다양한 해양 화석이 발견된다. 지브롤터 바위는 과거 무어인, 스페인, 영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특히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지브롤터의 약 40%는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바바리원숭이, 바바리영계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또한, 지브롤터 바위의 고람 동굴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적을 포함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브롤터의 지형 - 헤라클레스의 기둥
헤라클레스의 기둥은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관련된 상징으로, 지브롤터 해협, 아틀란티스, 항해의 한계, 스페인 국장, 예술 작품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 지브롤터의 지형 - 지브롤터 해협
지브롤터 해협은 스페인과 모로코 사이에 위치하여 지중해와 대서양을 연결하는 중요한 해상 통로이며, 고대에 '헤라클레스의 기둥'으로 불렸고 지질학적으로 잔클레안 홍수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문화 교류와 해저 터널 건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지브롤터의 상징 - 지브롤터의 기
지브롤터의 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성이 그려진 깃발과 빨간색 바탕에 금색 열쇠가 그려진 깃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니언 잭이 없고 지브롤터인들에게 민족주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지브롤터의 상징 - 지브롤터의 국가
지브롤터의 국가는 지브롤터의 공식적인 국가이며, 한국어와 영어 가사가 존재한다. - 천연 일매암 - 울루루
울루루는 호주 노던 준주에 위치한 6억 년 전 형성된 거대한 사암 지형으로, 아난구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며 2019년부터 등반이 금지되었다. - 천연 일매암 - 시기리야
시기리야는 5세기 카사파 1세가 건설한 스리랑카의 고대 암벽 요새이자 왕궁, 요새, 정원 등으로 구성된 복합 도시 유적으로, 암벽 정상의 궁궐, 프레스코화, 거울 벽 등으로 유명하며 불교 수도원으로 사용되다 19세기 재발견 후 스리랑카의 대표적인 역사 유적이 되었다.
지브롤터 바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위치 | 지브롤터 |
산맥 | 베티코 산맥 |
높이 | 426m |
융기 | 423m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영어: The Rock 라틴어: Calpe 아랍어: جبل طارق (자발 타리크, 타리크의 산) 스페인어: Peñón de Gibraltar (페뇬 데 히브랄타르) |
설명 | 지브롤터에 위치한 거대한 석회암 곶 |
지질학적 정보 | |
시대 | 쥐라기 |
접근 정보 | |
가장 쉬운 경로 | 지브롤터 케이블카 도로 하이킹 |
2. 지질
지브롤터 바위는 초기 쥐라기 시대의 석회암과 백운암으로 구성된 단일 암괴 형태의 곶이다. 지브롤터 바위는 심하게 침식되었고 단층이 발달한 뒤집힌 습곡의 한 부분으로, 퇴적암 지층은 뒤집혀 가장 오래된 지층이 가장 젊은 지층 위에 놓여 있다.[5][6]
지브롤터 바위의 지질학적 구성은 크게 네 가지 지층으로 나뉜다.
지층 이름 | 구성 | 특징 |
---|---|---|
카탈란 베이 셰일층 (가장 젊음) | 주로 셰일, 갈색 석회질 사암, 푸르스름한 검은색 석회암이 섞인 부드러운 셰일 사암, 녹색을 띤 회색 이회암과 짙은 회색 처트 | 정체를 알 수 없는 성게 가시와 부리화석 조각, 드물게 초기 쥐라기 (중기 라이아스) 시대의 암모나이트 발견 |
지브롤터 석회암 | 회백색 또는 옅은 회색의 조밀하고 때로는 미세 결정질이며 중간에서 두꺼운 층을 이룬 석회암과 국소적으로 처트 심(chert seam)을 포함하는 백운암 | 지브롤터 바위의 약 4분의 3을 차지. 다양한 해양 화석 발견 (보존 상태 좋지 않음). 완족류, 산호, 성게 조각, 복족류, 이매패류, 스트로마톨라이트 등. 초기 쥐라기 (하부 라이아스) 시대 퇴적.[6] |
리틀 베이 셰일층 (가장 오래됨) | 어두운 푸르스름한 회색의 무화석 셰일, 사력암, 이암, 석회암이 얇게 층을 이룸 | 지브롤터 석회암보다 먼저 형성 |
독야드 셰일층 (연령 미상) | 다채로운 셰일 | 지브롤터의 독야드와 해안 방어 구조물 아래에 묻혀 있음 |
이 지층들은 쥐라기 초기에 퇴적되었으나, 약 500만 년 전 아프리카 판과 유라시아 판의 충돌로 인해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이 충돌로 인해 지중해는 한때 호수가 되었고, 메시니안 염분 위기 동안 말라 버렸다가 대서양이 지브롤터 해협을 뚫고 들어오면서 다시 형성되었다. 지브롤터 바위는 베틱 산맥의 일부이다.[6]
2. 1. 카탈란 베이 셰일층
주로 셰일로 구성된 카탈란 베이 셰일층은 갈색 석회질 사암, 푸르스름한 검은색 석회암이 섞인 부드러운 셰일 사암, 그리고 겹겹이 쌓인 녹색을 띤 회색 이회암과 짙은 회색 처트로 구성된 두꺼운 층도 포함하고 있다. 카탈란 베이 셰일층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성게 가시와 부리화석 조각, 그리고 드물게 초기 쥐라기 (중기 라이아스) 시대의 암모나이트가 발견된다.2. 2. 지브롤터 석회암

더 록(The Rock)은 곶을 이루는 일괴암이며, 뒤집힌 습곡이 깊이 침식되어 각지에 단층이 생겼다. 더 록을 구성하는 퇴적암지층은 천지가 뒤집혀 거꾸로 되어 있어 오래된 지층이 새로운 지층 위에 놓여 있다. 이러한 지층은 Catalan Bay영어셰일층(최신), 지브롤터 석회암, 리틀 베이 셰일층(가장 오래됨), 독야드 셰일층(연대 불명)이다. 이러한 지층은 현저하게 단층이 생기고 변형되어 있다.[22]
카탈란 베이 셰일층은 대부분이 셰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갈색 석회질의 사암, 부드러운 셰일질의 사암과 짙은 감청색 석회암이 교대로 겹쳐진 층, 녹색을 띤 회색 이회암과 짙은 회색 처트가 교대로 겹쳐진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탈란 베이 셰일층에는, 식별은 할 수 없지만 성게의 가시, 베렘나이트류의 조각, 드물게 쥐라기 초기의 암모나이트도 발견된다.
지브롤터 석회암은 회색을 띤 흰색 또는 옅은 회색의, 입자가 치밀하고 때로는 깨끗하게 결정화된, 중간 또는 두꺼운 석회암과 백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는 처트의 얇은 층이 끼어 있다. 이 지층은 더 록의 약 3/4을 차지한다. 지질학자들은 여기에서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격렬하게 침식·변형된 다양한 해양 생물의 화석을 발견했다. 지브롤터 석회암에서 발견된 화석에는 다양한 완족동물, 산호, 성게 조각, (암모나이트를 포함한) 복족류, 이매패류,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있다. 이러한 화석은 지브롤터 석회암이 퇴적된 것이 쥐라기 초임을 나타낸다.[22]
리틀 베이 셰일층과 독야드 셰일층이 더 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작다. 리틀 베이 셰일층은 감청색을 띤 짙은 회색의, 화석을 포함하지 않는 셰일이며, 그리트, 이암, 석회암의 얇은 층과의 호층을 이룬다. 이것은 지브롤터 석회암에 의해 먼저 형성되었다. 독야드 셰일층은 연대 불명의 얼룩진 셰일로, 지브롤터의 조선소와 호안 구조물 아래에 놓여 있다.[22]
이러한 지층은 1억 7500만 년 ~ 2억 년 전의 쥐라기 초기에 퇴적된 것이지만, 이것이 현재와 같이 지표면에 나타난 것은 약 500만 년 전의 일이다. 아프리카 판이 유라시아 판과 격렬하게 충돌했을 때, 지중해는 호수가 되었고, 메시니안 염분 위기 동안 오랜 세월에 걸쳐 완전히 말라갔다. 그 후 대서양은 지브롤터 해협에서 흘러들어와 지중해를 형성했다. 더 록은 남동 이베리아를 특징짓는 산맥인 베틱 코르딜레라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22]

오늘날 더 록은 스페인 남해안에서 지브롤터 해협으로 뻗어 있는 반도를 형성하고 있다. 이 곶은 최고 3m의 사주로 본토와 연결된 육계사주이다.[23] 더 록의 북쪽 면은 해면 고도에서 해발 411.5m의 록 건 포대까지 수직으로 깎아지른 듯하다. 더 록의 최고 지점은 해협을 내려다보는 오하라 포대의 해발 426m이다. 더 록의 중심부에 있는 꼭대기는 시그널 힐이라고 하며, 해발 387m이다. 더 록의 동쪽 면은 거의 절벽이며, 그 아래의 바람이 부는 일련의 모래 경사지는 해수면이 지금보다 낮았던 빙하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더 록의 기저부에서 동쪽으로 모래 평지가 뻗어 있다. 지브롤터 타운이 있는 서쪽 면은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다.
석회암을 형성하는 방해석은 빗물에 의해 서서히 용해된다. 시간의 경과로 동굴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더 록에는 100개 이상의 동굴이 존재한다. 더 록의 서쪽 사면 중간에 있는 세인트 마이클 동굴은 그중 가장 유명한 것으로, 관광 명소가 되어 있다.
고람 동굴은 더 록의 험한 동쪽 사면의 해면 근처에 있다. 여기에는 암각화 등이 있으며, 고고학적 발굴 조사 결과 3만 년 전에 네안데르탈인이 살았던 증거가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또한 동굴 내(및 주변)에서 발견된 식물, 조류 및 해양 동물의 유물은[32] 네안데르탈인들이 매우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했다는 것을 보여준다.[24]
2. 3. 리틀 베이 셰일층과 독야드 셰일층
리틀 베이 셰일층과 독야드 셰일층은 지브롤터 바위에서 매우 작은 부분을 형성한다. 리틀 베이 셰일층은 감청색을 띤 짙은 회색의, 화석을 포함하지 않는 셰일이며, 그리트, 이암, 석회암의 얇은 층과 호층을 이룬다. 이것은 지브롤터 석회암보다 먼저 형성되었다. 독야드 셰일층은 지브롤터의 조선소와 호안 구조물 아래에 놓여 있는, 연대를 알 수 없는 얼룩진 셰일이다.[6]2. 4. 지형 형성
지브롤터 바위는 단일 암괴 형태의 곶이다. 주 능선은 해수면 위 400m 이상의 봉우리를 가진 날카로운 산등성이를 이루고 있으며, 초기 쥐라기 시대의 석회암과 백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5] 지브롤터 바위는 심하게 침식되었고 단층이 발달한 뒤집힌 습곡의 한 부분이다. 지브롤터 바위를 구성하는 퇴적암 지층은 뒤집혀 가장 오래된 지층이 가장 젊은 지층 위에 놓여 있다.
지층 이름 | 구성 | 특징 |
---|---|---|
카탈란 베이 셰일층 (가장 젊음) | 주로 셰일, 갈색 석회질 사암, 푸르스름한 검은색 석회암이 섞인 부드러운 셰일 사암, 녹색을 띤 회색 마르와 짙은 회색 처트 | 정체를 알 수 없는 성게 가시와 부리화석 조각, 드물게 초기 쥐라기 (중기 라이아스) 시대의 암모나이트 발견 |
지브롤터 석회암 | 회백색 또는 옅은 회색의 조밀하고 때로는 미세 결정질이며 중간에서 두꺼운 층을 이룬 석회암과 국소적으로 처트 심(chert seam)을 포함하는 백운암 | 지브롤터 바위의 약 4분의 3을 차지. 다양한 해양 화석 발견 (보존 상태 좋지 않음). 완족류, 산호, 성게 조각, 복족류, 이매패류, 스트로마톨라이트 등. 초기 쥐라기 (하부 라이아스) 시대 퇴적.[6] |
리틀 베이 셰일층 (가장 오래됨) | 어두운 푸르스름한 회색의 무화석 셰일, 사력암, 이암, 석회암이 얇게 층을 이룸 | 지브롤터 석회암보다 먼저 형성 |
독야드 셰일층 (연령 미상) | 다채로운 셰일 | 지브롤터의 독야드와 해안 방어 구조물 아래에 묻혀 있음 |
이 지층들은 눈에 띄게 단층이 발생하고 변형되었다.[6]
이러한 지질학적 지층들은 약 1억 7,500만~2억 년 전 쥐라기 기 초기에 퇴적되었지만, 현재의 모습은 약 500만 년 전 훨씬 더 최근의 사건에 기인한다. 아프리카 판이 유라시아 판과 밀접하게 충돌했을 때, 지중해는 호수가 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메시니안 염분 위기 동안 말라 버렸다. 그 후 대서양이 지브롤터 해협을 뚫고, 그 결과 발생한 홍수는 지중해를 만들었다. 지브롤터 바위는 이베리아 반도 남동부를 지배하는 베틱 산맥의 일부를 형성한다.[6] 이 지역의 지역 지질은 지난 20만 년 동안 바위를 연간 약 0.05mm씩 융기시켰고 (총 융기량 약 10m), 그 이전 최소 5만 년 동안 연간 0.33mm씩 융기되어 지난 25만 년 동안 총 약 26.5m가 융기되었다.[7]
오늘날 지브롤터 바위는 스페인 남부 해안에서 지브롤터 해협으로 돌출된 반도를 형성한다. 이 곶은 최대 고도 3m의 모래 육계사주로 대륙과 연결되어 있다.[8] 북쪽에서는 바위가 해수면에서 록 건 배터리까지 수직으로 솟아오르며 411.5m에 달한다. 바위의 가장 높은 지점은 해협 위 남쪽 끝 근처 오하라 배터리에서 426m이다. 바위의 중앙 봉우리인 시그널 힐과 지브롤터 케이블카의 상단 정류장은 해발 387m에 위치해 있다. 바위의 동쪽 면을 따라 있는 절벽은 해수면이 오늘날보다 낮았던 빙하기에 형성된 바람에 날린 모래 경사면으로 떨어지며, 바위 기저에서 동쪽으로 모래 평원이 뻗어 있었다. 지브롤터 시가 위치한 서쪽 면은 비교적 덜 가파르다.
방해석은 석회암을 구성하는 광물로 빗물에 서서히 용해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과정은 동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브롤터 바위에는 100개 이상의 동굴이 있다. 바위 서쪽 경사면 중간에 위치한 세인트 마이클 동굴은 가장 유명하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지브롤터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848년, 네안데르탈인 여성의 두개골이 바위 북쪽 면에 위치한 포브스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두개골의 중요성은 1856년 네안데르 계곡에서 표본이 발견된 후에야 인식되었다. 바위 동쪽 면의 해수면 근처에 위치한 고람 동굴에서의 발굴을 통해 네안데르탈인이 이 동굴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동굴 내 식물과 동물 유해는 네안데르탈인의 매우 다양한 식단을 입증했다.[9]
2. 5. 동굴
방해석은 석회암을 구성하는 광물로 빗물에 서서히 용해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과정은 동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브롤터 바위에는 100개 이상의 동굴이 있다. 바위 서쪽 경사면 중간에 위치한 세인트 마이클 동굴은 가장 유명하며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24]네안데르탈인의 화석이 지브롤터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1848년, 네안데르탈인 여성의 두개골이 바위 북쪽 면에 위치한 포브스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두개골의 중요성은 1856년 네안데르 계곡에서 표본이 발견된 후에야 인식되었다. 바위 동쪽 면의 해수면 근처에 위치한 고람 동굴에서의 발굴을 통해 네안데르탈인이 이 동굴을 사용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동굴 내 식물과 동물 유해는 네안데르탈인의 매우 다양한 식단을 입증했다.[9] 고람 동굴은 더 록의 험한 동쪽 사면의 해면 근처에 있으며, 암각화 등이 있고, 고고학적 발굴 조사 결과 3만 년 전에 네안데르탈인이 살았던 증거가 발견되었다.[24] 또한 동굴 내(및 주변)에서 발견된 식물, 조류 및 해양 동물의 유물은 네안데르탈인들이 매우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했다는 것을 보여준다.[32]
3. 역사
무어 성은 711년부터 1462년까지 710년 동안 무어인이 지브롤터를 지배했던 시기의 유물이다. 주요 건축물은 벽돌과 'tapia'라고 불리는 매우 단단한 콘크리트로 지어진 명예의 탑이다. 탑 상부에는 이전 거주자들의 거주지와 무어식 목욕탕이 있었다.
베르베르인 족장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711년 "더 록"(The Rock)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지브롤터 바위에 처음 발을 들였고, 이때 무어 성이 세워졌다. 17세기 틀렘센의 역사가 마카리에 따르면, 타리크는 상륙하면서 자신의 함대를 불태웠다고 한다.
3. 1. 무어인 지배 (711년 ~ 1462년)
무어 성은 711년부터 1462년까지 710년 동안 이어진 지브롤터에 대한 무어인 지배의 유물이다. 이 성은 711년 베르베르인 족장 타리크 이븐 지야드가 그의 이름을 딴 바위(지브롤터 바위)에 처음 상륙했을 때 건설되었다. 17세기 무슬림 역사가 알-마카리는 타리크가 상륙 후 배를 불태웠다고 기록했다.[1]남아있는 주요 건물은 벽돌과 매우 단단한 콘크리트인 ''타피아''로 지어진 거대한 건물인 명예의 탑이다. 탑의 상층부에는 이전 거주자의 생활 공간과 무어식 목욕탕이 있었다.[1]

3. 2. 스페인 지배 (1462년 ~ 1704년)
3. 3. 영국 지배 (1704년 ~ 현재)

더 록 특유의 볼거리 중 하나는 갤러리(지하도망) 또는 그레이트 시지 터널(대 포위전 터널)이라고 불리는 지하 터널망이다.
이 중 첫 번째 터널은 지브롤터 포위전(1779년 - 1783년) 말에 굴착되었다. 공성전을 통해 수비대를 지휘한 George Augustus Eliott, 1st Baron Heathfield|조지 오거스터스 엘리엇|label=엘리엇 장군영어(후 히스필드 경)은 더 록 북면 아래 평지에 있는 스페인군의 포열에 측면 포격을 할 수 없을까 고심했다. 그리고 Royal Engineers|왕립 공병영어의 인스 상사의 제안에 따라 윌리스 포대 위에서 북면에 있는 천연의 돌출부 "더 노치"까지 연결하기 위해 터널을 굴착했다. 그곳에 포대를 구축하려는 계획이었다. 처음에는 이 터널에 총안용 구멍을 뚫을 계획은 없었지만, 환기용 구멍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구멍이 뚫리자마자 그곳에 대포가 설치되었다. 포위전이 끝날 때까지 영국군은 이와 유사한 총안용 구멍을 6곳 뚫고 4문의 대포를 설치했다.[1]
관광객이 방문하는 지하도는 유사한 의도로 후대에 굴착되었으며, 1797년에 완성되었다. 이것들은 여러 개의 방, 총안, 통로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며, 총 연장은 거의 304m이다. 그곳에서 지브롤터 만, 지협, 스페인에 걸쳐 독특한 경관을 볼 수 있다.[1]
3. 4. 지브롤터 대공성 (1779년 ~ 1783년)
1779년부터 1783년까지 지속된 지브롤터 대공성 말에 최초의 지하 통로가 굴착되었다. 공성전 동안 주둔지를 지휘했던 엘리엇 장군은 바위 북쪽 면 아래 평원에 있는 스페인 포대에 측면 사격을 가하길 원했다. 왕립 공병대의 헨리 인스 상사의 제안에 따라 윌리스 포대 위 지점에서 노치(바위 북쪽 면의 자연적인 돌출부)와 연결되는 터널을 뚫고 그곳에 포대를 설치할 계획이었다. 처음에는 이 터널에 포구를 만들 의도가 없었지만, 환기를 위해 구멍이 필요했고, 구멍이 만들어지자마자 그 안에 대포가 설치되었다. 공성전이 끝날 무렵 영국군은 6개의 포구를 건설하고 4문의 대포를 설치했다.[1]관광객들이 방문할 수 있는 갤러리는 같은 아이디어로 1797년에 완공되었다. 이들은 전체 길이 거의 304m에 달하는 홀, 포구, 통로의 전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갤러리에서 지브롤터 만, 지협, 그리고 스페인의 독특한 풍경을 볼 수 있다.[1]
3. 5.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당국은 독일의 공격에 대비하여 군대가 지브롤터를 요새화할 수 있도록 민간인을 모로코, 영국, 자메이카, 마데이라로 대피시켰다.[1] 1942년까지 30,000명 이상의 영국 군인, 해군, 공군이 지브롤터 바위에 주둔했다.[1] 그들은 터널 시스템을 확장했고, 지중해로 향하는 해상 수송로 방어의 핵심으로 바위를 만들었다.[1]1997년 2월, 영국이 독일군 점령 시 바위 아래 터널에 군인을 숨기는 작전 추적이라는 비밀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 바위 안의 팀은 적의 움직임을 보고할 수 있는 무선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2] 6명의 팀은 2년 반 동안 지브롤터에서 잠복 근무했다.[2] 독일군은 바위 점령에 가까워지지 못했고, 그 결과 그들은 안에 갇히지 않았다.[2] 전쟁이 끝나자 팀은 해산되어 민간 생활로 복귀했다.[2]
3. 6. 트레이서 작전 (1997년)
1997년 2월, 영국은 작전 추적이라는 비밀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독일군이 지브롤터를 점령할 경우 바위 아래 터널에 병사들을 숨겨두는 계획이었다. 이 부대는 무선 설비를 사용하여 적의 움직임을 보고할 예정이었다. 6명으로 구성된 팀은 2년 반 동안 지브롤터에서 비밀리에 대기했다. 그러나 독일군은 이곳을 점령하지 않았고, 팀은 바위 안에 들어가지 않았다. 전쟁이 끝나자 팀은 해산되어 일반 시민으로 돌아갔다.[2]4. 자연 보호 구역
지브롤터 육지 면적의 약 40%는 1993년에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은 바바리원숭이, 바바리영계 등 다양한 동식물과 지브롤터 고유의 꽃들이 서식하는 곳으로, 보존 가치가 높아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11]
4. 1. 동식물
지브롤터 육지 면적의 약 40%는 1993년에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지브롤터 자연 보호 구역의 동식물은 보존 가치가 있으며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11] 이 지역에는 다양한 동물과 식물이 서식하지만, 특히 바바리원숭이(유명한 '바위 원숭이'), 바바리영계, 그리고 지브롤터 고유의 별꽃, 백리향, 지브롤터 갯갓냉이와 같은 꽃들이 대표적이다. 바바리원숭이는 북아프리카에서 스페인으로 운송된 동물이 탈출하여 유래되었을 수 있다. 또한, 지브롤터의 원래 원숭이들은 플라이오세 동안 남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알려진 개체군의 잔존 개체일 가능성도 있다. 이는 최대 550만 년 전이다.[12][13] 알라메다 야생동물 보호 공원은 세 마리의 바바리원숭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공원에서 바위의 일부 동물들을 재도입했다.
4. 2. 바바리원숭이
지브롤터 자연 보호 구역의 동식물은 보존 가치가 있으며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11] 이 지역에는 바바리원숭이(유명한 '바위 원숭이'), 바바리영계 등 다양한 동물과 식물이 서식한다. 바바리원숭이는 북아프리카에서 스페인으로 운송된 동물이 탈출하여 유래되었을 수 있다. 또한, 지브롤터의 원래 원숭이들은 플라이오세 (최대 550만 년 전) 동안 남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개체군의 잔존 개체일 가능성도 있다.[12][13] 알라메다 야생동물 보호 공원은 세 마리의 바바리원숭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공원에서 바위의 일부 동물들을 재도입했다.
4. 3. 조류
지브롤터 해협의 입구에 위치한 지브롤터 바위는 뚜렷한 곶으로, 이동 기간 동안 철새들이 모여든다. 이베리아 반도 남부에서 독특한 지브롤터 바위의 식생은 바다와 사막을 건너 계속 이동하기 전에 휴식을 취하고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 들르는 많은 철새 종들에게 임시 보금자리를 제공한다. 봄에는 서유럽으로의 여정을 계속하기 전에 다시 채워지며, 이 여정은 그린란드나 러시아까지 이어질 수 있다.[14]지브롤터 바위는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매년 해협을 건너는 약 25만 마리의 맹금류에게 병목 현상, 즉 통과 지점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바바리 자고와 황조롱이의 번식 개체군을 지원하기 때문이다.[15] [31]
5. 세계유산
더 록의 동쪽 경사면 해면 근처에 위치한 고럼 동굴(Gorham's Cave)은 네안데르탈인의 수렵, 장식용 깃털, 암각화 등 생활 흔적이 발견되어 2016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32]。
5. 1. 고람 동굴
더 록의 동쪽 경사면 해면 근처에 있는 고럼 동굴(Gorham's Cave)에서는 수렵 흔적, 장식용 깃털, 암각화 등 네안데르탈인이 살았던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2016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32]。5. 2. 등록 기준
고럼 동굴에는 수렵 흔적, 장식용 깃털, 암각화 등 네안데르탈인이 살았던 증거가 발견되어 2016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32]。참조
[1]
웹사이트
2014-08-02
[2]
웹사이트
Peak: Highest Point
https://www.google.c[...]
2018-03-05
[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ck of Gibraltar!
http://gibraltar.cos[...]
[4]
웹사이트
Pillars of Hercules
http://www.gib.gi/mu[...]
The Gibraltar Museum
2008-01-14
[5]
웹사이트
Neotectonics and shoreline history of the Rock of Gibraltar, southern Iberia
https://www.research[...]
Elsevier (2004)
2016-06-23
[6]
서적
A Field Guide to the Geology of Gibraltar
The Gilbraltar Museum
[7]
웹사이트
Neotectonics and shoreline history of the Rock of Gibraltar, southern Iberia
https://www.scienced[...]
2024-06-03
[8]
간행물
1El relieve kárstico de Gibraltar como registro morfosedimentario durante el Cuaternario (Mediterráneo occidental)
http://www.uhu.es/jr[...]
[9]
웹사이트
Physical Geology 2004: The Rock of Gibraltar and Surroundings
http://www.earlham.e[...]
2004-04-20
[10]
웹사이트
the Rock of Gibraltar
http://oald8.oxfordl[...]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28
[11]
웹사이트
A Guide to The Upper Rock Nature Reserve
http://www.gonhs.org[...]
The Gibraltar Ornithologicaland Natural History Society
2012-10-28
[12]
웹사이트
DNA solves mystery of Gibraltar's macaques
http://www.gibraltar[...]
Gibraltar News Online
2005-04-26
[13]
웹사이트
Barbary Macaque: Macaca sylvanus
http://globaltwitche[...]
Globaltwitcher
2012-10-28
[14]
웹사이트
What to see
http://www.gibraltar[...]
www.gibraltar.gov.uk
2012-10-28
[15]
웹사이트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Rock of Gibraltar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2-10-28
[16]
웹사이트
Alternate Names or Name Variants for Gibraltar
http://www.geonames.[...]
GeoNames
2012-10-18
[17]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ck of Gibraltar!
http://gibraltar.cos[...]
Costarsure.com
2012-10-18
[18]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12
[19]
웹사이트
Gibraltar, September 2001
http://www.scuba-add[...]
2012-10-25
[20]
웹사이트
Spanish smiles over invasion gaffe
http://news.bbc.co.u[...]
BBC News
2012-10-25
[21]
웹사이트
Pillars of Hercules
http://www.gib.gi/mu[...]
The Gibraltar Museum
2008-01-14
[22]
서적
A Field Guide to the Geology of Gibraltar
The Gilbraltar Museum
[23]
간행물
1El relieve kárstico de Gibraltar como registro morfosedimentario durante el Cuaternario (Mediterráneo occidental)
http://www.uhu.es/jr[...]
2012-10-27
[24]
웹사이트
Earlham College - Physical Geology 2004 - The Rock of Gibraltar and Surroundings
http://www.earlham.e[...]
2007-06-22
[25]
웹사이트
the Rock of Gibraltar
http://oald8.oxfordl[...]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28
[26]
웹사이트
プルデンシャル・ファイナンシャルについて
http://www.prudentia[...]
[27]
웹사이트
A Guide to The Upper Rock Nature Reserve
http://www.gonhs.org[...]
The Gibraltar Ornithologicaland Natural History Society
2012-10-28
[28]
웹사이트
DNA solves mystery of Gibraltar’s macaques
http://www.gibraltar[...]
Gibraltar News Online
2009-11-11
[29]
웹사이트
Barbary Macaque: Macaca sylvanus
http://globaltwitche[...]
Globaltwitcher
2012-10-28
[30]
웹사이트
What to see
http://www.gibraltar[...]
www.gibraltar.gov.uk
2012-10-28
[31]
웹사이트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Rock of Gibraltar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2-10-28
[32]
웹사이트
Gorham's Cave Complex
https://whc.unesco.o[...]
2023-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