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산호는 폴립이라는 작은 개체들이 모여 군체를 이루는 고착성 동물로, 생물학적 특징, 분류, 진화, 인간과의 관계, 보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생물이다. 산호는 경산호, 연산호, 히드로충류 산호로 분류되며, 탄산칼슘으로 골격을 형성하여 산호초를 만들고,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은 산호를 보석, 건축 자재, 의약품 등으로 활용하며, 어업과 관광에도 기여한다. 그러나 기후 변화, 오염 등으로 인해 산호초가 위협받고 있으며, 국제적, 국가적 차원에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호충강 - 사방산호
    사방산호는 고생대에 번성한 산호로, 방해석 껍데기와 겉표면의 가로 주름, 캘릭스 내 방사형 격벽 배열을 특징으로 하며, 격벽 배열을 통해 양측 대칭을 나타내고 대한민국 석탄기 지층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산호초 - 라자암팟 제도
    인도네시아 파푸아주에 위치한 라자암팟 제도는 세계적인 해양 생물 다양성과 유네스코 세계 지오파크로 지정된 해양 카르스트 지형, 그리고 5만 년 전부터 이어진 인류 거주 역사와 네덜란드 식민 지배, 이슬람 전파 등의 역사를 지닌 곳이다.
  • 산호초 - 보네르섬
    보네르섬은 카리브해의 네덜란드령 섬으로, 스페인 식민지배 후 네덜란드령이 되었으며, 아라와크족이 최초 거주했고, 풍부한 산호초와 해양 생물로 유명한 스쿠버 다이빙 명소이자 네덜란드 특별 자치시로 미국 달러를 사용하며, 국립공원 등 자연 보호 구역과 소금 생산 및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이다.
산호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스트레일리아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의 산호 노두
학명Anthozoa
명명자Ehrenberg, 1834
하위 분류군팔방산호아강
해양맨드라미목
공협목
육방산호아강
돌산호목
뿔산호목
주름산호목
판산호목
서식 깊이최대 172 깊이까지 서식 가능
최대 서식 깊이3300 까지 발견됨
생물 분류
동물계
자포동물문
산호충강
하위 분류군
바다맨드라미아강바다맨드라미목
공협목
말미잘아강뿔산호목
산호붙이말미잘목
돌산호목
말미잘목

2. 생물학적 특징

산호는 폴립이라고 불리는 작은 개체들이 모여 군체를 이루는 자포동물문 강에 속하는 동물이다.[12] 크게 탄산칼슘 기반의 단단한 골격을 형성하고 6개의 촉수를 가진 폴립으로 구성된 경산호(돌산호)와,[13] 유연하며 8개의 깃털 모양 촉수를 가진 폴립 군체로 구성된 연산호로 나뉜다.[13][14] 이 두 분류는 Hox, 헤지호그, Wnt 등 발생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12]

산호는 군체성 모듈 생물이며, 무성생식을 통해 생성된 유전적으로 동일한 폴립으로 구성된다. 폴립은 살아있는 조직으로 연결되어 완전한 개체를 형성하며, 이 조직은 모듈 간의 통신(각 폴립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12] 이는 산호가 생성하는 군체 형태에 나타나며, 산호 종을 구분하는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12]

경산호 중 ''Acropora''속(아크로포라속)은 120종 이상을 포함하며 연구 모델로 사용된다.[12] 이 속의 대부분 종은 이형성 폴립을 가지며, 축 폴립은 빠르게 성장하고 밝은 색을 띠는 반면, 방사 폴립은 작고 어두운 색을 띤다.[12][16] ''Acropora''속에서는 생식세포 합성과 광합성이 기저 폴립에서 일어나고,[17] 성장은 주로 방사 폴립에서 일어난다.[12]

연산호 종의 계통 연구는 분류학적 지식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9] 연구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율이 낮아 유사한 종을 확실하게 구분할 만큼 충분한 변이성을 찾지 못했다.[18]

해양 산성화와 수온 상승과 같은 환경 요인은 종 분화의 일부로 종 손실 형태로 산호에 영향을 미친다.[12] 여러 산호 종에는 종 간에 차등 발현(DE)에 속하는 열충격 단백질(HSP)이 있는데,[12] 이는 산호가 직면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단백질 변성, 성장 손실 및 궁극적으로 산호의 죽음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12]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멸종 위기종 목록에는 약 33%의 산호 종이 있으며 종 손실 위험에 처해 있다.[19]

2. 1. 폴립의 구조

산호충의 해부


산호는 대부분 유전적으로 동일한 폴립들의 군체를 이루는 고착성 동물이다. 각 폴립은 지름이 밀리미터에서 센티미터까지 다양하며, 군체는 수백만 개의 개별 폴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립의 몸체는 주머니와 비슷하며, 벽은 두 층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바깥층은 외배엽, 안쪽 층은 내배엽이다. 외배엽과 내배엽 사이에는 중교질이라는 젤라틴 물질의 지지층이 있으며, 이는 체벽의 세포층에 의해 분비된다.[22] 중교질은 외배엽에서 이동된 세포에서 유래된 골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산호에서 폴립 몸체는 단단한 표면에 부착되며, 골격의 컵 모양 함몰부인 산호석에 위치한다. 주머니 상단 중앙에는 입이 있고, 원형의 촉수로 둘러싸여 있다. 촉수는 촉각 감각과 먹이 포획에 사용되는 기관이다.[22] 폴립은 특히 야간에 촉수를 뻗는데, 종종 감긴 자포를 포함하여 살아있는 먹이를 꿰뚫고, 독을 주입하여 마비시키거나 죽인다. 폴립의 먹이에는 copepods와 어류 유생과 같은 플랑크톤이 포함된다. 외배엽 세포로 형성된 종주근 섬유는 촉수가 수축하여 먹이를 입으로 운반하며, 내배엽으로 형성된 환상 근육 섬유는 촉수가 수축된 후 뻗거나 내밀 수 있게 한다.[22]

돌산호 폴립은 유기체를 강화하고 보호하기 위해 탄산칼슘 골격을 생성한다. 이는 폴립과 폴립들을 연결하는 살아있는 조직인 공육에 의해 침착된다. 폴립은 산호석으로 알려진 골격의 컵 모양 함몰부에 자리 잡고 있다. 돌산호 군체는 얇게 덮는 형태, 판 모양, 덤불 모양, 기둥 모양, 거대한 고체 구조 등 외관이 다양하며, 이는 서식지 유형, 광량, 수류 변화와 관련이 있다.[21]

경산호와 연산호 모두 폴립은 근육 섬유를 수축하여 움츠릴 수 있으며, 경산호는 단단한 골격과 자포를 방어에 의존한다. 연산호는 포식자를 막기 위해 테르페노이드 독소를 분비한다.[21]

대부분의 산호에서 촉수는 낮에는 움츠리고 밤에는 플랑크톤 등을 잡기 위해 펼쳐진다. 경산호와 연산호 모두의 천해종은 주황색편모조류일 수 있으며, 산호는 이러한 공생체가 생산하는 광합성 산물을 플랑크톤 식단에 보충한다.[21] 폴립은 복잡하고 잘 발달된 위장관 관 시스템으로 상호 연결되어 영양소와 공생체를 공유한다.[23]

폴립의 외부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기둥은 길고 가늘거나, 축 방향으로 짧아 원반 모양일 수 있다. 촉수는 수백 개 또는 매우 적을 수 있으며, 드물게 하나 또는 두 개만 있는 경우도 있다. 단순하고 가지가 없거나, 깃털 모양일 수 있다. 입은 주변부 표면과 같거나, 돌출되어 나팔 모양일 수 있다.[22]

2. 2. 공생 관계

많은 산호는 체내에 갈충조(zooxanthellae)라는 조류(algae)를 공생시켜 광합성 산물을 얻는다.[34][35][36] 주황색편모조류일 수 있는 이 공생체는 산호충 조직의 최대 30%를 차지할 수 있다.[31] 일반적으로 각 산호충은 한 종의 조류를 보유하며,[32] 어린 산호는 주변 환경에서 조류를 획득한다.[33]

갈충조는 광합성을 통해 포도당, 글리세롤, 아미노산 등을 산호에 공급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한다.[34] 또한 산호 골격의 석회화와 노폐물 제거에도 도움을 준다.[35][36] 한편, 갈충조는 산호충으로부터 이산화탄소, 인산염, 질소성 폐기물을 받아 안전한 서식지에서 살아간다.

산호 백화는 스트레스를 받은 산호가 갈충조를 배출하면서 발생하는데, 이는 상승하는 해양 온도로 인해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38] 갈충조가 산호의 색깔에 기여하기 때문에 백화 현상이 일어나면 산호는 하얗게 변한다. 하지만 일부 색깔은 녹색 형광 단백질(GFPs)과 같은 숙주 산호 색소 때문일 수도 있다. 산호는 단기 스트레스 상황에서 갈충조를 배출하여 생존 가능성을 높이며, 스트레스가 감소하면 나중에 다른 종의 조류를 다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결국 산호는 죽게 된다.[38]

갈충조는 산호 세포질 내에 위치하며, 조류의 광합성 활동으로 인해 산호의 내부 pH가 상승할 수 있다.[39] 이는 갈충조가 숙주 산호의 신진대사에 어느 정도 관여함을 나타낸다.






2. 3. 번식

산호는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을 모두 할 수 있으며, 생식은 화학적 의사소통에 의해 조정된다.

방출형과 난태생 산호의 생활사


산호는 주로 유성 생식을 통해 번식한다. 초산호(초산호)의 약 25%는 단성(웅성 또는 자성) 군체를 형성하는 반면, 나머지는 자웅동체이다. 산호의 67% 이상이 동시 자웅동체로 추정된다.[42]

대략 75%의 석회질 산호는 생식세포—정자—를 물속으로 방출하는 “방출 산란”을 하여 자손을 퍼뜨린다. 산호는 산란 시기를 동시에 맞추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생식 동시성은 수컷과 암컷 생식세포가 만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산란은 종종 저녁이나 밤에 일어나며, 1년에 한 번처럼 드물게 발생할 수도 있고, 10~30분 이내의 짧은 시간대에 일어난다.[50][45] 동시 산란은 산호초에서 매우 전형적이며, 여러 이 존재하더라도 모든 산호가 같은 밤에 산란하는 경우가 많다.[44] 동시 산란은 잡종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산호 종 분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43]

수컷 큰별산호(''Montastraea cavernosa'')가 정자를 물속으로 방출하는 모습.


생식세포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단서는 종마다 다르다. 이러한 단서에는 온도 변화, 달의 주기, 일장, 그리고 아마도 화학적 신호가 포함된다.[44] 해양 서식지의 유기체 리듬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염분, 기계적 힘, 압력 또는 자기장 변화가 있다.[45]

대규모 산호 산란은 종종 보름달 다음 날 밤에 일어난다.[50][47] 보름달은 4~6시간의 지속적인 희미한 빛 노출과 같으며, 이는 단백질의 광의존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50][45] 산호는 빛에 민감한 크립토크롬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빛을 흡수하는 플라빈 구조가 다양한 유형의 빛에 민감한 단백질이다. 이를 통해 ''Dipsastraea speciosa''와 같은 산호는 태양광과 달빛의 변화를 감지하고 반응할 수 있다.[50][45][46]

달빛 자체가 산호 산란을 억제할 수도 있다. 산란을 유발하는 가장 직접적인 단서는 일몰과 월출 사이의 어두운 시간대인 것으로 보인다. 월주기 동안 월출은 점진적으로 늦어지며, 보름달에 일몰 후에 발생한다. 일광과 야광 사이의 어두운 기간으로 인해 달빛의 억제 효과가 제거되고 산호가 산란할 수 있게 된다.[50][47]

산란 현상은 시각적으로 극적일 수 있으며, 보통 맑은 물을 생식세포로 흐릿하게 만든다. 일단 방출되면 생식세포는 수면에서 수정되어 유생이라고 하는 현미경적인 플라눌라를 형성하는데, 일반적으로 분홍색이고 타원형이다. 일반적인 산호 군체는 새로운 군체 형성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매년 수천 개의 유생을 방출해야 한다.[48][49]

연구에 따르면 광공해는 일부 산호 종의 산란 동시성을 깨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해와 같은 지역에서는 30년 전과 비교하여 50종 중 최대 10종이 산란 비동시성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새로운 산호의 정착이 감소했고, 어떤 경우에는 중단되었다. 이 지역은 이전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대규모 표백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산호의 피난처로 여겨졌다.[50][51] 산호초 관리를 위한 산호 복원 기술이 수정률, 유생 발달 및 새로운 산호의 정착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52]

난산성 산호류는 대부분 무리산호(초산호가 아닌)이며, 해류나 파도의 영향이 큰 지역에서 서식한다. 난산성 산호는 부력이 없는 정자만을 방출하며, 정자는 (수주일 동안 수정되지 않은 알을 보관하고 있는) 알을 가진 산호에 가라앉는다. 이러한 종에서도 때때로 동시 산란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44] 수정 후, 산호는 착생할 준비가 된 플라눌라 유생을 방출한다.[35]

산호의 일반적인 유성생식 생활사: 군체는 무리를 지어 배우자를 방출(1)하고, 배우자는 수면으로 떠오른 후(2) 흩어져 수정(3)된다. 배아는 플라눌라 유생이 되고(4) 표면에 착생(5)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유생은 어린 폴립으로 변태(6)하고, 무성생식을 통해 군체를 형성(7, 8)하여 성숙한다.


산란부터 유생이 착생할 때까지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2~3일이지만, 즉시 발생하거나 최대 2개월까지 걸릴 수 있다.[53] 방출 산란된 플라눌라 유생은 수면에서 발달한 후 저서(benthos)의 단단한 표면을 찾아 내려가 부착하여 새로운 군체를 형성하기 시작한다.[54] 유생은 종종 특정 석회질 홍조류 종 또는 미생물 생물막과 같은 착생을 유도하는 생물학적 신호가 필요하다.[55][56] 이 과정의 많은 단계에서 높은 실패율이 발생하며, 각 군체에서 수천 개의 알이 방출되더라도 새로운 군체가 형성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착생하는 동안 유생은 퇴적물과 같은 물리적 장벽[57]뿐만 아니라 화학적(타감작용) 장벽에 의해서도 억제된다.[58] 유생은 단일 폴립으로 변태하여 결국 무성 출아와 성장을 통해 어린 개체와 성체로 발달한다.

'''Orbicella annularis'''의 기저판(calices)은 출아(작은 중앙판)와 분열(큰 이중판)을 통해 증식하는 것을 보여준다.


산호 군체 내에서 유전적으로 동일한 폴립들은 무성생식을 통해 번식하는데, 이는 출아(발아) 또는 종방향/횡방향 분열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출아는 성체 폴립에서 작은 폴립이 분리되는 것을 포함한다.[48] 새로운 폴립이 성장함에 따라 자신의 신체 부위를 형성한다. 새 폴립과 성체 폴립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공육(군체의 공통된 몸체)도 함께 성장한다. 출아는 입반(구강원반)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 촉수 고리 안에 같은 크기의 폴립을 생성하는 입내 출아 또는 기저부에서 일어나 더 작은 폴립을 생성하는 입외 출아가 있다.

분열은 각각 원래 크기만큼 커지는 두 개의 폴립을 형성한다. 종방향 분열은 폴립이 넓어진 후 체강(몸체)을 분할하여 길이를 따라 분열할 때 시작된다. 입이 분열되고 새로운 촉수가 형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두 개의 폴립은 그 후 부족한 신체 부위와 외골격을 생성한다. 횡방향 분열은 폴립과 외골격이 횡으로 두 부분으로 나뉠 때 발생한다. 즉, 하나는 기저반(바닥)을, 다른 하나는 구강반(상단)을 가지게 되며, 새로운 폴립은 부족한 부분을 따로 생성해야 한다.

무성생식은 높은 번식률, 노화 지연, 죽은 모듈 대체, 그리고 지리적 분포라는 이점을 제공한다.[59] 군체 전체가 무성생식을 통해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능한 메커니즘에는 분열, 이탈 및 파편화가 있다. 분열은 특히 폴립산호과 산호에서 발생하는데, 초기 발달 단계에서 군체가 두 개 이상의 군체로 분리된다. 이탈은 단일 폴립이 군체를 떠나 다른 기질에 정착하여 새로운 군체를 만드는 경우 발생한다. 파편화는 폭풍이나 기타 교란으로 군체에서 개체가 분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분리된 개체는 새로운 군체를 시작할 수 있다.[60]

3. 생태

건강한 산호초는 다양한 해양 생물 다양성을 보여준다.


산호는 폴립이라 불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단독으로 생활하는 폴립은 "단체산호"라고 부르며, 유성생식으로 생긴 하나의 폴립이 분열이나 출아를 반복하여 생긴 클론이 분리되지 않고 모여 생활하는 것을 "군체산호"라고 부른다.

산호 중에는 체내에 갈충조라는 조류를 공생시키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산호를 조형성산호라고 부른다. 조형성산호는 갈충조로부터 광합성 산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성장이 비교적 빠르며, 산호초를 형성한다. 조형성산호는 광합성을 통해 많은 에너지를 얻기 때문에, 광량이 많은 얕은 바다에 서식한다.

갈충조와 공생하지 않는 산호는 비조형성산호라고 부른다. 비조형성산호는 광합성에 의한 에너지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심해에 서식하기도 한다.

폴립은 미세한 동물플랑크톤부터 작은 물고기까지 다양한 작은 생물을 먹이로 삼는다. 폴립의 촉수는 자포(nematocysts)라고 불리는 독세포를 이용하여 먹이를 무력화하거나 죽인다.[31] 자포는 다른 생물과 접촉했을 때 독(venom)을 빠르게 방출한다. 휴지 상태의 자포는 근처 먹이가 방아쇠(Cnidocil)를 건드리면 덮개(Operculum (animal)|덮개)가 열리고 독침이 발사된다. 독은 속이 빈 필라멘트를 통해 주입되어 먹이를 무력화시키고, 촉수가 먹이를 위로 이동시킨다. 먹이가 소화되면 위가 다시 열리고 노폐물을 배출하며 다음 사냥 주기가 시작된다.[31]

자포(nematocyst)의 발사 메커니즘

3. 1. 산호초

세계의 산호초 위치


석산호목에 속하는 많은 산호는 수초형이며, 이는 암초를 만드는 데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이러한 산호는 ''심비오디니움''속의 주황색편모조류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이들은 공생하는 광합성 디노플라젤라류이며 햇빛이 필요하다. 따라서 암초를 형성하는 산호는 주로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탄산칼슘을 분비하여 단단한 골격을 형성하고, 이것이 암초의 기반이 된다. 그러나 얕은 물에 있는 모든 암초 형성 산호가 주황색편모조류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빛이 도달하지 않는 깊은 곳에 사는 일부 심해 종은 암초를 형성하지만 공생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80]

엘크혼 산호(''Acropora cervicornis'')는 카리브해의 중요한 수초형 산호이다


얕은 물 산호초에는 가장자리 암초, 석호 암초, 환초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대부분 열대 및 아열대 바다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매우 느리게 자라며, 매년 높이가 약 1cm 정도 증가한다.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는 약 20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호는 파편화되고 죽고, 모래와 자갈이 산호 사이에 축적되며, 조개류와 다른 연체동물의 껍질이 분해되어 점진적으로 진화하는 탄산칼슘 구조를 형성한다.[81] 산호초는 4,000종이 넘는 어류, 수많은 자포동물, 연체동물, 갑각류 및 기타 많은 동물을 보유한 매우 다양한 해양 생태계이다.[82] 건강한 산호초는 파도 에너지의 97%를 흡수하여 해안선을 해류, 파도 및 폭풍으로부터 보호하고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산호초로 보호되는 해안선은 산호초가 없는 해안선보다 침식 측면에서 더 안정적이다.[140]

3. 2. 위협 요인

산호초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위협을 받고 있다. 산호 채굴, 농업 및 도시 유출, 오염(유기적, 무기적), 남획, 폭파 낚시, 질병, 운하 굴착 등은 산호 생태계에 국지적인 위협이다.[156] 광범위한 위협으로는 온실 가스 배출과 관련된 해수 온도 상승, 해수면 상승, 해양 산성화에 따른 pH 변화가 있다.[156] 1998년에는 수온 상승으로 인해 전 세계 산호초의 16%가 죽었다.[156]

전 세계 산호초의 약 10%가 죽었고,[157] 약 60%는 인간 관련 활동으로 인해 위험에 처해 있다.[158]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산호초의 80%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어 산호초 건강에 대한 위협이 심각하다.[158]

세계 산호초의 50% 이상이 2030년까지 멸종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환경법을 통해 산호초를 보호하고 있다.

카리브해와 열대 태평양에서는 일반적인 해조류와 산호의 약 40-70%가 직접 접촉하면 지질 용해성 대사물의 전달을 통해 산호에 표백과 사망을 일으킨다.[159] 해초와 해조류는 적절한 영양소와 파랑비늘돔과 같은 초식동물에 의한 제한된 풀 뜯기를 통해 증식한다.

1°C 이상의 수온 변화 또는 염도 변화는 산호의 일부 종을 죽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 압박 아래에서, 산호는 Symbiodinium을 방출한다. Symbiodinium이 없으면 산호 조직은 흰색 골격을 드러내는데, 이를 산호 백화라고 한다.

멕시코 유카탄 반도 해안의 해저 원천은 자연적으로 낮은 pH(상대적으로 높은 산도)의 물을 생성하며, 이는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에 따라 널리 퍼질 것으로 예상되는 조건과 유사하다.[160] 조사에서 산성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살아있는 산호의 여러 종을 발견했다. 그 식민지는 작고 어수선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근처의 메소아메리칸 배리어 리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암초와 같이 구조적으로 복잡한 암초를 형성하지 않았다.

지난 세기 동안 열대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주요 산호 백화 현상, 폐사가 발생하여 산호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산호는 적응하고 순응할 수 있지만, 이러한 진화 과정이 산호 개체 수의 심각한 감소를 막을 만큼 충분히 빠르게 일어날지는 불확실하다.[108] 기후 변화로 인해 산호초를 파괴할 수 있는 더 빈번하고 더 심각한 폭풍이 발생한다.[109]

4. 분류

산호는 동물계 자포동물문에 속하는 동물로, 크게 경산호(돌산호), 연산호, 히드로충류 산호로 분류된다.

산호 분류는 식물과 동물 모두와 비슷하여 수천 년 동안 논의되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인 테오프라스토스는 산호를 광물이나 심해 식물로 묘사했고, 플리니우스는 산호가 동물도 식물도 아닌 제3의 성질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페르시아의 박식가 알 비루니는 산호가 만지면 반응한다는 점을 들어 동물로 분류했다. 18세기 윌리엄 허셜이 현미경으로 산호 세포막을 관찰하고 나서야 산호가 동물로 확실히 밝혀졌다.

현재 산호는 육방산호아강과 팔방산호아강으로 나뉜다.


  • 육방산호아강: 돌산호를 포함하며, 6회 대칭을 가진 폴립을 가지고 있다. 말미잘도 육방산호아강에 속한다.
  • 팔방산호아강: 푸른 산호와 연산호를 포함하며, 8회 대칭을 가진 폴립을 가지고 있다. 각 폴립은 8개의 촉수와 8개의 중격을 가지고 있다.


산호 종 구분은 형태적 특징과 분자 계통수 기반 가설이 서로 달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0년 기준으로 2175종의 산호가 확인되었으며, 그중 237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산호는 크게 경산호와 연산호로 분류할 수 있다.

  • 경산호(석산호, 돌산호): 탄산칼슘 기반으로 산호초를 형성하고, 여섯 개의 단단한 촉수를 가진 폴립을 가진다.[13]
  • 연산호(해송류 및 무초형 산호): 유연하며 여덟 개의 깃털 모양 촉수를 가진 폴립 군체로 구성된다.[13][14]


이 두 가지 분류는 Hox, 헤지호그, Wnt 등의 발생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 차이에서 비롯된다.

과학자들은 다양한 속인 ''Acropora''속(아크로포라속)을 연구 모델로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120종 이상이 있다.[12] 이 속의 대부분 종은 이형성 폴립을 가지고 있다.[15] 축 폴립은 빠르게 성장하고 밝은 색을 띠며, 방사 폴립은 작고 어두운 색을 띤다.[12][16]

산호는 폴립이라는 구조를 가지며, 폴립이 단독 생활을 하는 경우 "단체산호", 무성 생식을 통해 생성된 유전적으로 동일한 폴립들이 모여 생활하는 경우 "군체산호"라고 한다.

체내에 갈충조라는 조류를 공생시키는 산호는 조형성산호라고 하며, 광합성 산물을 공급받아 성장이 빠르고 산호초를 형성한다. 갈충조와 공생하지 않는 산호는 비조형성산호라고 하며, 심해에 서식하는 경우도 있다.

4. 1. 경산호 (Scleractinia)

돌산호목 컵산호과의 "뇌산호"


육방산호아강 돌산호목 생물은 말미잘과 유사한 폴립 구조를 가지지만, 격막 사이에 석회질 골격을 발달시킨다. 군체를 이루는 종이 많지만, 단체인 종도 있다. 산호초를 만드는 산호의 대부분이 여기에 포함되지만, 공생 조류를 갖지 않는 비산호초 산호 종도 있다.

석산호의 폴립은 6방향 대칭을 이룬다. 석산호에서 촉수는 원통형이며 점점 가늘어지는 모양이지만, 연산호에서는 깃털 모양이며 측면 가지(핀눌)가 있다. 어떤 열대 종에서는 이것이 흔적만 남고, 어떤 종에서는 합쳐져 노처럼 생긴 모양을 한다.[26]

산호 골격은 방해석 또는 아라고나이트 형태의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생체복합재(광물 + 유기물)이다. 석산호류에서 "석회화 중심"과 섬유는 형태와 결정 단위의 화학적 조성 모두에서 명확하게 구별되는 구조이다.[27][28] 다양한 종에서 추출된 유기 기질은 산성이며 단백질, 황산화 당, 지질로 구성되며 종 특이적이다.[29] 골격의 가용성 유기 기질을 통해 주산호충류와 비주산호충류 표본을 구별할 수 있다.[30]

아크로포라속 산호, 벌집산호, 디스크 산호, 컵 산호, 켄드리아속 산호 등이 사육되고 있다.

4. 2. 연산호 (Alcyonacea)

연산호는 팔방산호아강에 속하며, 부드러운 육질 또는 유연한 골격을 가진다. 해송, 해변말미잘 등이 여기에 속한다.

연산호는 단단한 외골격이 없다. 하지만,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작은 지지 요소인 골편에 의해 조직이 강화되는 경우가 많다. 연산호의 폴립은 8방향 대칭을 가지는데, 이는 팔산호아강(Octocorallia)의 ''Octo''에 반영되어 있다.[24]

연산호는 형태가 매우 다양하며, 대부분 군체를 이룹니다. 일부 연산호는 섬유상체를 형성하지만, 대부분의 폴립은 공육(coenosarc)이라고 하는 조직의 막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어떤 종에서는 이 막이 두껍고 폴립이 깊게 박혀 있다. 일부 연산호는 다른 해양 생물체를 피복하거나 엽상체를 형성한다. 다른 연산호는 나무 모양이나 채찍 모양이며, 기저부에 지지 가지의 기질에 묻혀 있는 중심 축 골격이 있다.[25] 이 가지들은 고르고닌(gorgonin)이라고 하는 섬유성 단백질 또는 석회화된 물질로 구성된다.

연산호 종의 계통 연구는 분류학적 지식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9] 연구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의 돌연변이율이 낮아 유사한 종을 확실하게 구분할 만큼 충분한 변이성을 찾지 못했다.[18]

큰 군체를 만들고 골격을 가지지만, 미세한 골격이 제멋대로 들어 있는 것 같은, 부드러운 군체를 만드는 것을 연질산호 또는 영어 그대로 소프트코랄(soft coral)이라고 부른다.

연질산호에는 세 가지 그룹이 있다.

  • 해양목(ヤギ目) 산호는 골질의 골격을 가지고, 가지 모양의 군체를 만들며, 해변류(ヤギ類)라고 불린다. 비교적 깊은 곳에 서식하며, 빨강이나 노랑 등 선명한 색을 띠는 것이 많다. 채취하여 건조시키면 표면이 쉽게 무너진다.
  • 해계두목(ウミトサカ目)은 미세한 석회질의 골편을 가지며, 덩어리 모양의 군체를 만든다. 우미토사카, 토게토사카, 우미키노코 등이 있다. 자루가 있으며, 그 끝에 주름 모양 또는 약간 나무 모양의 부분이 있고, 여기에 개충이 나란히 늘어선다. 산호초 해역에도 많이 서식한다.
  • 해계두목(ウミエラ目) 산호는 모래나 진흙 바닥에 뿌리를 내리고 바닥에서 솟아올라 많은 폴립을 나란히 배열한다.

4. 3. 히드로충류 산호 (Hydrozoa)

히드로충강에 속하며, 일부 종은 석회질 골격을 형성한다. 산호모도키(サンゴモドキ) 또는 위산호(僞珊瑚)라고도 한다. 산호모도키목과 해면산호모도키목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다. 특히 해면산호모도키류에는 큰 골격을 만들어 산호초를 형성하는 조초산호로 여겨지는 것도 있다.

5. 진화

산호는 약 캄브리아기에 처음 등장했다.[85] 그러나 화석은 오르도비스기까지 매우 드물었는데, 이 시기에 사방산호와 방산산호가 널리 퍼졌다. 고생대 산호는 종종 수많은 내생 공생 생물을 포함하고 있었다.[86][87]

300px


방산산호는 오르도비스기의 석회암과 석회질 셰일에서 발견되지만, 오르도비스기 말의 멸종 사건으로 인해 화석 기록에 공백이 있다. 이후 실루리아기에 다시 나타난 방산산호는 사방산호와 함께 낮은 쿠션이나 가지 모양의 방해석 덩어리를 형성했지만, 실루리아기 중반부터 그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88]

사방산호(뿔산호)는 실루리아기 중반부터 우세해졌고, 데본기에는 200속이 넘는 산호가 번성했다. 사방산호는 단독형과 군체형 모두 존재했으며, 방해석으로 구성되었다.[89] 사방산호와 방산산호는 모두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사건(해양 생물의 85%와 함께)에 멸종했고, 새로운 형태의 산호가 트라이아스기에 진화할 때까지 수천만 년의 공백이 있었다.

석산호아강 (Scleractinia)(돌산호류)은 중 트라이아스세에 출현하여 멸종한 사방산호류와 판산호류가 남긴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으며, 이전 형태와는 가까운 관계가 아니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사건 이전에 흔했던 산호들은 방해석 형태의 탄산 칼슘으로 골격을 형성했지만, 현대의 돌산호류는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된 골격을 형성한다.[91] 돌산호류의 화석은 트라이아스기 암석에서 소량 발견되며, 쥐라기 이후 시대에는 흔하게 나타난다.[92] 판산호류와 사방산호류보다 지질학적으로는 더 젊지만, 골격을 이루는 아라고나이트는 쉽게 보존되지 않아 화석 기록이 상대적으로 불완전하다.

일부 산호는 유용한 표준화석이 된다.[84] 산호 화석은 암초 잔해뿐만 아니라, 영국의 골트 점토 지층에서 발견되는 ''Cyclocyathus''와 같이 많은 단독 화석이 다른 곳에서도 발견된다.

5. 1. 고생대 산호

캄브리아기에 산호가 처음 등장했지만, 오르도비스기가 되어서야 방산산호와 사방산호가 널리 퍼지면서 화석 기록이 많아졌다.[85] 고생대 산호는 종종 수많은 내생 공생 생물을 포함하고 있었다.[86][87]

방산산호는 오르도비스기의 석회암과 석회질 셰일에서 발견되지만, 오르도비스기 말의 멸종 사건으로 인해 화석 기록에 공백이 있다. 이후 실루리아기에 다시 나타난 방산산호는 사방산호와 함께 낮은 쿠션이나 가지 모양의 방해석 덩어리를 형성했지만, 실루리아기 중반부터 그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88]

사방산호는 실루리아기 중반부터 우세해졌고, 데본기에는 200속이 넘는 산호가 번성했다. 사방산호는 단독형과 군체형 모두 존재했으며, 방산산호와 마찬가지로 방해석으로 구성되었다.[89]

방산산호(Syringoporid); 아칸소주 Hiwasse 근처 Boone 석회암(하부 석탄기), 눈금 막대는 2.0cm


데본기의 방산산호 ''Aulopora''


세 가지 모습의 단독형 사방산호(''Grewingkia''); 오르도비스기, 인디애나 남동부


방산산호와 사방산호는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사건 때 멸종하였다.[89]

5. 2. 중생대 이후 산호

석산호아강 (Scleractinia)인 돌산호류는 중 트라이아스세에 출현하여 멸종한 사방산호류와 판산호류가 남긴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으며, 이전 형태와는 가까운 관계가 아니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멸종 사건 이전에 흔했던 산호들과 달리, 방해석 형태의 탄산 칼슘으로 골격을 형성했던 것과 달리, 현대의 돌산호류는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된 골격을 형성한다.[91] 이들의 화석은 트라이아스기 암석에서 소량 발견되며, 쥐라기 이후 시대에는 흔하게 나타난다.[92] 판산호류와 사방산호류보다 지질학적으로는 더 젊지만, 골격을 이루는 아라고나이트는 쉽게 보존되지 않아 화석 기록이 상대적으로 불완전하다.

6억 5천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주요 산호 화석 기록 및 발전 연표[93][94]
colspan="2" |



육방산호는 오르도비스기부터 존재가 확인되고 있으며, 사방산호와 판상산호의 멸종 후 그 틈새를 메우는 형태로 번성했다. 판상산호와 사방산호의 골격은 방해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육방산호의 골격은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육방산호가 더 새로운 시대에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화석 기록은 판상산호와 사방산호가 더 풍부하다.

6. 인간과의 관계

산호는 인간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산호초는 어업과 관광 산업에 기여한다.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여 어업에 중요하며, 아름다운 경관으로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된다.[128] 전 세계적으로 5억 명 이상이 산호초에 의존하여 식량, 소득을 얻고 연안을 보호받는다.[141]

보석 및 장식품으로도 인기가 높다. 특히 붉은 산호는 그 색상 때문에 귀하게 여겨지지만, 과도한 채취로 희귀해졌다.[129] 청나라에서는 황제 전용 보석이나 장식용 펜징(분재)으로 사용되었다.[131]

의학 분야에서는 산호 추출 화합물을 암, 신경 질환, 관절염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133][134]

산호 양식은 상업적 목적이나 산호초 복원을 위해 산호를 배양하는 것으로, '산호 농장' 또는 '산호 정원'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산호초 복원에 효과적인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146][147][148]

동아프리카 해안 등지에서는 건축 자재로 사용되기도 한다.[138]

6. 1. 어업 및 관광

산호초는 다양한 어류 및 해양 생물의 서식지 역할을 하여 어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산호초 인근 지역 경제는 풍부한 어류와 기타 해양 생물을 식량으로 이용하며 혜택을 받는다.[128] 전 세계적으로 5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식량, 소득, 연안 보호 등을 위해 산호초에 의존하고 있다.[141]

아름다운 산호초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어 지역 경제에도 기여한다.[128] 산호초는 레크리에이션 스쿠버 다이빙스노클링 관광을 제공한다.[128] 이러한 활동은 산호를 손상시킬 수 있지만, 그린 핀스와 같은 국제 프로젝트는 다이빙 및 스노클링 센터가 행동 강령을 따르도록 장려하여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128] 미국에서 어업, 관광, 연안 보호를 포함한 산호초 서비스의 총 경제적 가치는 연간 34억달러가 넘는다.

최근 몇 년 동안 해수어 취미는 리프 수조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리프 수조는 산호가 자라고 퍼질 수 있도록 많은 양의 라이브 락을 포함하는 어항이다.[142]

산호 양식은 '산호 농장' 또는 '산호 정원'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 목적이나 산호초 복원을 위해 산호를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전 세계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산호초의 복원을 위한 잠재적으로 효과적인 도구로서 양식이 주목받고 있다.[146][147][148]

인공 해수를 사용한 수족관에서 사육되고 있는 산호 (교토 수족관)


관상용, 연구용 등의 목적으로 산호를 사육하는 경우가 있다. 깨끗한 바다를 재현하기 위해, 인공 해수와 필터 장치를 이용한 수족관에서 사육된다.

6. 2. 보석 및 장식품

산호의 골격


중화민국 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된 청대 후기 산호 조각품. 녹옥 오어 위에 산호로 만든 규두성군이 있다.


나바호족의 6줄 산호 목걸이 (1920년대, 브루클린 박물관)


산호는 아름다운 색상 덕분에 보석과 장식품으로 인기가 높다. 특히 붉은 산호는 강렬한 색상 때문에 높이 평가받지만, 과도한 채취로 인해 매우 희귀해졌다.[129] 청나라 시대에는 황제 전용으로 사용될 정도로 귀하게 여겨졌으며, 궁중 보석이나 장식용 펜징(분재)으로 사용되었다.[131]

일본 보석 협회는 산호를 3월의 탄생석으로 지정했으며, 결혼 35주년을 기념하는 산호 결혼식도 있다. 불교에서는 칠보 중 하나로 여겨진다. 하지만 산호는 서식 해역이 한정되어 있고 성장이 느려 보석 수요 증가로 인해 자원 보호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워싱턴 조약)에 따라 일부 산호 종의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153]

그리스 신화에서는 영웅 페르세우스메두사의 목을 베었을 때 흘러나온 피에서 산호가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로마 시대부터 부적으로 애용되었으며, 12세기 카스티야알폰소 10세의 『보석지』에는 금성과 달에 관련된 보석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붉은 산호(''C. rubrum'') 공예가 발달하여 선원이나 임산부의 액막이로 사용되었다. 붉은 산호로 만든 뿔 모양 부적 “콜노”는 현재도 액막이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부터 실크로드를 통해 들어온 지중해산 산호를 귀하게 여겼다. 19세기에 도사 앞바다에서 붉은 산호, 분홍 산호가 발견되면서 일본산 산호가 유럽에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 중국, 대만에서는 붉은 산호, 그 중에서도 깊이 있는 붉은색을 띠는 혈적 산호(미국에서는 “옥스 블러드”, 유럽에서는 “토사” 등으로 불림)가 최고급으로 여겨지며 인기가 높다. 분홍 산호는 주황색부터 분홍색까지 색조가 다양하며, 붉은 산호보다 큰 경우가 많아 널리 사용된다. 옅은 분홍색 산호는 “엔젤 스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6. 3. 의학적 이용

의학에서 산호에서 추출한 화합물은 암, 신경 질환, 관절염을 포함한 염증, 통증, 골 손실, 고혈압 등의 치료에 잠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133][134] 예를 들어, 이시디과와 같은 산호 골격은 인간의 골이식에 대한 미래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 중이다.[135]

산스크리트어로 프라발 바스마(Praval Bhasma)로 알려진 산호 칼크(Coral Calx)는 칼슘 결핍과 관련된 다양한 골 대사 장애 치료의 보조제로 인도 의학의 전통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된다.[136] 고대에는 주로 약한 염기인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분쇄된 산호의 섭취가 갈레누스와 디오스코리데스에 의해 위궤양 진정에 효과적이라고 권장되었다.[137]

6. 4. 건축 자재

동아프리카 해안 등지의 산호초는 건축 자재로 사용된다.[138] 특히 옥스퍼드(영국) 주변 언덕의 산호 자갈층을 포함한 고대(화석) 산호 석회암은 건축용 돌로 사용되었으며, 노스게이트의 성 미카엘 교회의 색슨식 탑, 옥스퍼드 성의 세인트 조지 탑, 도시의 중세 성벽 등 옥스퍼드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들 중 일부에서 볼 수 있다.[139]

7. 산호와 한국

울릉도의 옛 이름 중 하나인 우산국(于山國)은 '산호섬'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53] 신라 시대에는 산호가 귀한 보석으로 여겨져 왕실 장신구 등에 사용되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등 연구기관에서는 한국 해역의 산호 군락 분포와 생태를 연구하고 있다.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변화가 한국 산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7. 1. 역사 속 산호



산호는 아름다운 외관 덕분에 고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보석으로 사용, 거래되었다. 일본 보석 협회에서는 산호를 3월의 탄생석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결혼 35주년을 산호 결혼식이라고도 한다. 또한, 산호는 불교에서 칠보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영웅 페르세우스가 괴물 메두사의 목을 베었을 때 흘러나온 피에서 페가수스가, 지중해에 떨어진 피방울에서 산호가 태어났다고 한다. 로마 시대부터 부적으로 애용되었다.

12세기 카스티야알폰소 10세가 정리한 『보석지』에는 "산호는 금성과 달에 결부된 보석"이라고 쓰여 있다. 이탈리아 농촌 여성들 사이에서는 "소유자 여성의 월경 기간에는 산호의 색이 바랜다"는 속설이 있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예로부터 지중해 산호 ''C. rubrum''(붉은 산호)을 사용한 공예가 발달했으며, 붉은색 때문에 임산부의 액막이로 귀하게 여겨져 온 역사가 있다. 붉은 산호로 뿔을 형상화한 "콜노"라는 부적은 액막이로 현재도 잘 애용된다. 중세의 꿈 해몽에서는 꿈에 산호가 나타나면 병에서 회복하는 징조라고 여겨졌다.

한편, 산호의 색이 바랜다는 것은 소유자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는 징조라고 두려워했다. 1584년에 이반 뇌제를 알현한 써 제롬 호시는, 황제가 아름다운 산호를 호시의 손에 들게 하여 아름다운 색조를 확인시킨 후, 자신의 손에 든 산호가 하얗게 바래서 자신의 죽음을 예지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황제는 호시가 알현하고 얼마 안 된 1584년 3월 18일에 자신의 말대로 발작을 일으켜 죽었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이래, 실크로드를 건너온 지중해산 산호를 귀중하게 여겼다. 19세기, 도사 앞바다에서 흰 산호가 발견되자, 인도에 주둔하고 있던 이탈리아 상인이 중국 상인을 통해 매입하여 이탈리아로 보냈다. 이후 도사 앞바다에서 붉은 산호, 분홍 산호가 발견되자 이탈리아의 산호 상인이 직접 매입을 위해 도사로 왔다.

일본산 산호 중, 일본, 중국,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것은 붉은 산호이며, 그중에서도 깊이 있는 붉은색을 시장에서는 혈적 산호(미국에서는 "옥스 블러드", 유럽에서는 "토사" 등)라고 불러 최고급으로 여기고 있다. 분홍 산호는 주황색부터 분홍색까지 색조가 넓고, 붉은 산호보다 대형인 것이 많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유럽에서는 붉은 산호보다 이 종이 인기가 있다. 투명감이 있는 옅은 분홍색은 "엔젤 스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일본의 유통업계에서는 "보케"라고 불리고 있다.

울릉도한반도의 부속섬으로, 울릉도의 옛 이름 중 하나인 우산국(于山國)은 '산호섬'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53] 신라 시대에는 산호가 귀한 보석으로 여겨져 왕실 장신구 등에 사용되었다.

7. 2. 한국의 산호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등 연구기관에서는 한국 해역의 산호 군락 분포와 생태를 연구하고 있다. 기후 변화와 해양 환경 변화가 한국 산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8. 보존

산호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위협에 직면하여 개체수가 줄고 있다. 산호 채굴, 농업 및 도시 유출, 오염, 남획, 폭파 낚시, 질병, 운하 굴착 등이 산호 생태계를 위협한다. 해수 온도 및 해수면 상승, 해양 산성화에 따른 pH 변화도 중요한 위협 요인이다.[156] 1998년에는 전 세계 산호초의 16%가 수온 상승으로 인해 죽었다.[156]

전 세계 산호초의 약 10%가 이미 죽었고,[157] 약 60%는 인간 관련 활동으로 인해 위험에 처해 있다.[158] 특히 동남아시아 산호초의 80%가 멸종 위기에 놓여 있어, 산호초 건강에 대한 위협이 심각하다.[158] 2030년까지 세계 산호초의 50% 이상이 멸종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환경법을 통해 산호초를 보호하고 있다.

카리브해와 열대 태평양에서는 일반적인 해조류와 산호의 약 40-70%가 직접 접촉하면 지질 용해성 대사물의 전달을 통해 산호에 표백과 사망을 일으킨다.[159] 해초와 해조류는 적절한 영양소와 파랑비늘돔과 같은 초식동물에 의한 제한된 풀 뜯기를 고려하여 증식한다.

수온이 1–2 °C(1.8–3.6 °F) 이상 변하거나 염도가 변하면 일부 산호 종이 죽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적 압박 속에서 산호는 와편모조류:Symbiodinium영어를 방출하는데, 이로 인해 산호 조직은 흰색 골격을 드러내며, 이를 산호 백화 현상이라고 한다.

멕시코 유카탄 반도 해안을 따라 발견된 해저의 원천은 자연적으로 낮은 pH(상대적으로 높은 산도)의 물을 생성하며,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함에 따라 널리 퍼질 것으로 예상되는 것과 유사한 조건을 제공한다.[160] 조사에서 산성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살아있는 산호의 여러 종을 발견했다. 그 식민지는 작고 어수선하게 분포되어 있었고, 근처의 메소아메리칸 배리어 리프 시스템을 구성하는 암초와 같이 구조적으로 복잡한 암초를 형성하지 않았다.

8. 1. 국제적 노력

해양보호구역, 생물권보전지역, 해양공원, 국가기념물, 세계유산 지정, 어업 관리 및 서식지 보호는 인위적인 피해로부터 산호초를 보호할 수 있다.[124]

많은 정부가 현재 산호초에서 산호를 제거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연안 주민들에게 산호초 보호 및 생태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서식지 복원 및 초식동물 보호와 같은 지역적 노력은 지역적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해양 산성화, 온도 변화 및 해수면 상승과 같은 장기적인 위협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96]

다양하고 건강한 산호초 네트워크(단순한 기후 피난처가 아닌)를 보호하는 것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장할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산호가 새로운 기후에 적응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25] 해양 및 육지의 위협받는 생태계에 다양한 보존 방법을 적용하면 산호의 적응이 더욱 가능성이 높아지고 효과적이 된다.[125]

원산지에서 산호의 파괴를 없애기 위해 비열대 국가에서 산호를 배양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26][127]

8. 2. 한국의 노력

한국 정부는 산호초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 생물권보전지역, 해양공원, 국립기념물, 세계유산 지정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산호 채취를 금지하고, 연안 주민들에게 산호초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96]

환경 보호 단체와 지역 사회는 산호초 보존 캠페인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인식을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해양 생태계 보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며, 산호초 보호를 주요 과제 중 하나로 강조하고 있다.

일본 오키나와현 사례를 보면, 어업 조정 규칙을 통해 산호 채취를 금지하고 불법 유통을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150] 또한, 산호 이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무분별한 이식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방지하고,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산호 이식을 장려한다.[151] 한국도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여 산호초 보존 정책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논문 Symbiotic associations of the deepest recorded photosynthetic scleractinian coral (172 m depth) 2021-05-09
[2] 논문 Deep sea corals collected by the Lamont Geological Observatory. 1. Atlantic corals http://digitallibrar[...]
[3] 서적 The Lagoon: How Aristotle Invented Science Bloomsbury 2014
[4] 서적 The Coral Reef Era: From Discovery to Decline: A history of scientific investigation from 1600 to the Anthropocene Epoch https://books.google[...] Springer
[5] 기타 Babylonian Talmud, Rosh Hashana 23a, and commentary of Rashi (24th narrow line)
[6] 서적 Roots of Ecology: Antiquity to Hackel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서적 Corals: Secrets of Their Reef-Making Colonies Capstone Global Library Ltd 2020-03-05
[8] 웹사이트 Anthozoa 2015-04-24
[9] 논문 Solving the Coral Species Delimitation Conundrum 2022-03-01
[10] 논문 Biodiversity https://ourworldinda[...] 2021-04-15
[11] 논문 Fine-Scale Biogeographical Boundary Delineation and Sub-population Resolution in the Symbiodinium thermophilum Coral Symbiont Group From the Persian/Arabian Gulf and Gulf of Oman 2018
[12] 논문 The genetics of colony form and function in Caribbean Acropora corals 2014-12-17
[13] 웹사이트 NOAA's Coral Reef Conservation Program (CRCP) – Coral Facts https://coralreef.no[...] 2022-04-26
[14] 웹사이트 Soft Corals: They Look Like Plants But Are Actually Animals https://www.thoughtc[...] 2022-04-26
[15] 서적 Guide to the Shallow-Water (0-200m) Octocorals of the South Atlantic Bight Magnolia Press
[16] 서적 Developmental Biology Sinauer Associates
[17] 논문 Promoter Bashing, microRNAs, and Knox Genes. New Insights, Regulators, and Targets-of-Regul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Lateral Organ Polarity in Arabidopsis https://www.research[...] 2004-07
[18] 논문 Morphological and genetic analyses of xeniid soft coral diversity (Octocorallia; Alcyonacea) http://link.springer[...] 2013-06
[19] 웹사이트 Coral Reefs https://www.iucn.org[...] 2022-04-27
[20] 논문 Genome-Wide Mutation Rate Response to pH Change in the Coral Reef Pathogen ''Vibrio shilonii'' AK1 2017-09-06
[21] 서적 Invertebrate Zoology, 7th edition Cengage Learning
[22] 백과사전
[23] 논문 Gastrovascular Circulation in an Octocoral: Evidence of Significant Transport of Coral and Symbiont Cells http://www.biolbull.[...]
[24] 논문 A problematic cnidarian (Cambroctoconus; Octocorallia?) from the Cambrian (Series 2–3) of Laurentia
[25] 웹사이트 existing and potential value of coral ecosystems with respect to income and other economic values https://coralreef.no[...] 2018-02-04
[26] 서적 Corals: A quick reference guide Ricordea Publishing
[27] 논문 Micro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enters of calcification' in septa of some Recent scleractinian corals 1998
[28] 논문 XANES mapping of organic sulfate in three scleractinian coral skeletons 2003
[29] 논문 Soluble organic matrices of aragonitic skeletons of Merulinidae (Cnidaria, Anthozoa) 2008
[30] 논문 Biochemical markers of zooxanthellae symbiosis in soluble matrices of skeleton of 24 Scleractinia species 1999
[31] 서적 Coral Reefs: Cities Under The Seas The Darwin Press
[32] 논문 Comparing the Effects of Symbiotic Algae (Symbiodinium) Clades C1 and D on Early Growth Stages of Acropora tenuis 2014
[33] 논문 Establishment of Coral–Algal Symbiosis Requires Attraction and Selection 2014
[34] 웹사이트 Zooxanthellae...What's That? https://oceanservi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7-12-01
[35] 웹사이트 Field Excursion to Milne Bay Province – Papua New Guinea http://biophysics.sb[...] 2006-03-31
[36] 서적 Sea-level research: a manual for the collection and evaluation of data Geo Books 1986
[37] 웹사이트 Corals and their microbiomes evolved together | Penn State University https://www.psu.edu/[...]
[38] 논문 Repopulation of Zooxanthellae in the Caribbean Corals ''Montastraea annularis'' and ''M. faveolata'' following Experimental and Disease-Associated Bleaching http://www.biolbull.[...] 2006-03-30
[39] 논문 pH regulation in symbiotic anemones and corals: A delicate balancing act 2009
[40] 논문 Stony Coral Tissue Loss Disease in Florida Is Associated With Disruption of Host–Zooxanthellae Physiology
[41] 논문 Genomic and Proteomic Analyses of the Coral Pathogen Vibrio Coralliilyticus Reveal a Diverse Virulence Repertoire
[42] 서적 Hermaphroditism: A Primer on the Biology, Ecology, and Evolution of Dual Sexuality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03-18
[43] 논문 Reproductive and genetic evidence for a reticulate evolutionary theory of mass spawning corals
[44] 서적 Corals of the World. Vol 3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s and CRR Qld
[45] 논문 Rhythms and Clocks in Marine Organisms 2023-01-16
[46] 뉴스 The Lunar Sea https://hakaimagazin[...] 2023-03-06
[47] 논문 Moonrise timing is key for synchronized spawning in coral Dipsastraea speciosa 2021-08-24
[48] 서적 An Introduction to Marine Ecology Blackwell
[49] 논문 Density of coral larvae can influence settlement, post-settlement colony abundance and coral cover in larval restoration 2020-03-26
[50] 논문 How lunar cycles guide the spawning of corals, worms and more https://knowablemaga[...] Annual Reviews 2023-03-06
[51] 논문 Coral Gametogenesis Collapse under Artificial Light Pollution 2021-01-25
[52] 논문 Enhancing coral larval supply and seedling production using a special bundle collection system "coral larval cradle" for large-scale coral restoration 2020-09
[53] 서적 Biology and Geology of Coral Reefs Harcourt Brace Jovanovich
[54] 논문 Reproduction, dispersal and recruitment of scleractinian corals https://pascal-franc[...] 1990
[55] 논문 Control of larval metamorphosis and recruitment in sympatric agariciid corals https://dx.doi.org/1[...] 1988-05-24
[56] 논문 Metamorphosis of a Scleractinian Coral in Response to Microbial Biofilms 2004-02-01
[57] 논문 Settlement patterns of the coral Acropora millepora on sediment-laden surfaces 2017-12-31
[58] 논문 Chemical effects of macroalgae on larval settlement of the broadcast spawning coral Acropora millepora https://www.int-res.[...] 2008-06-30
[59] 서적 Hawaiian Coral Reef Ecology Mutual Publishing
[60] 서적 The Biology of Coral Reef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9-06-25
[61] 논문 Season, but not symbiont state, drives microbiome structure in the temperate coral Astrangia poculata
[62] 논문 Ratio of energy and nutrient fluxes regulates symbiosis between zooxanthellae and corals
[63] 논문 Ocean acidification causes bleaching and productivity loss in coral reef builders
[64] 논문 Marine animal microbiomes: toward understanding host–microbiome interactions in a changing ocean
[65] 논문 Insights into the coral microbiome: underpinning the health and resilience of reef ecosystems
[66] 논문 Diversity and function of prevalent symbiotic marine bacteria in the genus ''Endozoicomonas''
[67] 논문 Endozoicomonas genomes reveal functional adaptation and plasticity in bacterial strains symbiotically associated with diverse marine hosts
[68] 논문 Global warming and recurrent mass bleaching of corals
[69] 뉴스 USGS scientists publish long-read microbiome sequences from temperate coral, providing community resource for probe and primer design https://www.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9-03-06
[70] 논문 Stability of temperate coral ''Astrangia poculata'' microbiome is reflected across different sequencing methodologies
[71] 논문 Multispecies microbial mutualisms on coral reefs: the host as a habitat 2003
[72] 논문 Coral-associated bacteria demonstrate phylosymbiosis and cophylogeny 2018-11-22
[73] 논문 Beneficial microorganisms for corals (BMC): proposed mechanisms for coral health and resilience 2017
[74] 논문 Distinguishing between Microbial Habitats Unravels Ecological Complexity in Coral Microbiomes 2016
[75] 논문 Evidence for host specificity among dominant bacterial symbionts in temperate gorgonian corals https://doi.org/10.1[...] 2015-12-01
[76] 논문 Comparative Assessment of Mediterranean Gorgonian-Associated Microbial Communities Reveals Conserved Core and Locally Variant Bacteria https://doi.org/10.1[...] 2017-02-01
[77] 논문 Coral-associated bacteria demonstrate phylosymbiosis and cophylogeny 2018-11-22
[78] 논문 Microbes in the coral holobiont: partners through evolution, development, and ecological interactions 2015
[79] 논문 Microbes in the coral holobiont: partners through evolution, development, and ecological interactions 2015
[80] 논문 What is hermatypic? 1985
[81] 백과사전 Great Barrier Reef https://web.archive.[...] MSN Encarta 2006
[82] 서적 World Atlas of Coral Reef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and UNEP/WCMC 2001
[83] Flickr Smithsonian National Museum https://www.flickr.c[...]
[84] 웹사이트 Index Fossils https://web.archive.[...] About education
[85] 서적 Ecology of the Cambrian Radia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86] 논문 The earliest endosymbiotic mineralized tubeworms from the Silurian of Podolia, Ukraine https://www.research[...] 2008
[87] 논문 Diverse early endobiotic coral symbiont assemblage from the Katian (Late Ordovician) of Baltica 2012
[8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Tabulata https://web.archive.[...] UCMP Berkeley
[8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Rugosa https://web.archive.[...] UCMP Berkeley
[90] 논문 Extinction patterns of Late Permian (Lopingian) corals in China https://www.scienced[...] 2007
[91] 논문 Scleractinian corals produce calcite, and grow more slowly, in artificial Cretaceous seawater 2006-07
[92] 웹사이트 Evolutionary history http://coral.aims.go[...]
[93] 웹사이트 Anthozoa: Fossil Record http://www.ucmp.berk[...] UCMP 2000
[94] 웹사이트 Corals: Table 1 http://geology.er.us[...] USGS 2003
[95] 뉴스 Coral reefs around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09-09-02
[96] 웹사이트 Threats to Coral Reefs https://web.archive.[...] Coral Reef Alliance 2010
[97] 블로그 Losing Our Coral Reefs http://blogs.ei.colu[...] Blogs.ei.columbia.edu
[98] 웹사이트 Impa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Coral Reefs and Other Marine Calcifiers: A guide for Future Research https://web.archiv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OAA, and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6
[99] 간행물 Save Our Seas Cindy Hunter and Alan Friedlander 1997
[100] 서적 Status of Coral Reefs of the world: 2004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2004
[101] 서적 Reefs at risk revisited https://archive.org/[...] World Resources Institute 2011
[102] 웹사이트 Reefs at Risk: A Map-Based Indicator of Threats to the World's Coral Reef https://web.archive.[...] NOAA
[103] 논문 Coral crisis! Humans are killing off these bustling underwater cities. Can coral reefs be saved? (Life science: corals) http://www.thefreeli[...] 2003-12-08
[104] 논문 Chemically rich seaweeds poison corals when not controlled by herbivores 2010-05
[105] 논문 Climate change, coral bleaching and the future of the world's coral reefs 1999
[106] 웹사이트 Submarine springs offer preview of ocean acidification effects on coral reefs http://news.ucsc.edu[...]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 2011-11-28
[107] 웹사이트 Health and Disease Signatures of the Coral Microbiome • iBiology https://www.ibiology[...] 2020-05-14
[108] 논문 Climate change, coral bleaching and the future of the world's coral reefs
[109] 웹사이트 How does climate change affect coral reefs? https://oceanservice[...]
[110] 웹사이트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 New Deep-Sea Coral Discovered on NOAA-Supported Mission http://www.noaanews.[...] noaanews.noaa.gov
[111] 논문 Corals, chemistry, and climate
[112] 논문 Microatolls as sea-level indicators on a mid-ocean atoll
[113] 논문 Climate change, human impacts, and the resilience of coral reefs
[114] 논문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115] 논문 Corals' adaptive response to climate change
[116] 논문 Global assessment of coral bleaching and required rates of adaptation under climate change http://www.princeton[...]
[117] 논문 Symbiont diversity may help coral reefs survive moderate climate change https://escholarship[...]
[118] 논문 Effects of Climate and Seawater Temperature Variation on Coral Bleaching and Morality
[119] 논문 El Niño-Southern Oscillation-related salinity variations recorded in the skeletal geochemistry of a ''Porites'' coral from Espiritu Santo, Vanuatu
[120] 논문 Deconvolving the δ18O seawater component from subseasonal coral δ18O and Sr/Ca at Rarotonga in the southwestern subtropical Pacific for the period 1726 to 1997
[121] 논문 Oceanographic variability in the South Pacific Convergence Zone region over the last 210 years from multi-site coral Sr/Ca records
[122] 논문 Origin of the South Pacific Convergence Zone
[123] 논문 The mixed layer of the western equatorial Pacific Ocean
[124] 잡지 Phoenix Rising http://ngm.nationalg[...] 2011-01
[125] 웹사이트 Management for network diversity speeds evolutionary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https://www.nature.c[...] 2019-07-01
[126] 웹사이트 EcoDeco EcologicalTechnology http://www.ecodeco.n[...]
[127] 웹사이트 KoralenKAS project http://www.koraalwet[...]
[128] 논문 The Green Fins approach for monitoring and promot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scuba diving operations in South East Asia
[129] 뉴스 Coral makes a splash https://www.latimes.[...] 2009-06-21
[130] 서적 Chinese Art: A Guide to Motifs and Visual Imagery Tuttle
[131] 서적 The Coral Network: The trade of red coral to the Qing imperial court in the eighteenth century Rutledge
[132] 간행물 Juliana Anicia Codex
[133] 논문 Coral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to Integrative Medicine 2014
[134] 논문 Marine Invertebrate Natural Products for Anti-Inflammatory and Chronic Diseases. 2013
[135] 논문 Biomaterial structure in deep-sea bamboo coral (Anthozoa: Gorgonacea: Isididae): perspectives for the development of bone implants and templates for tissue engineering
[136] 논문 Effect of Praval bhasma (Coral calx), a natural source of rich calcium on bone mineralization in rats 2003-12
[137] 서적 Der Wiener Dioskurides, Codex medicus Graecus 1 der Österreichischen Nationalbibliothek Akademische Druck- und Verlagsanstalt
[138] 서적 Horn and Crescent: Cultural Change and Traditional Islam on the East African Coast, 800–19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6-06
[139] 웹사이트 Strategic Stone Study: A Building Stone Atlas of Oxfordshire https://www.bgs.ac.u[...] English Heritage 2011-03
[140] 논문 The effectiveness of coral reefs for coastal hazard risk reduction and adaptation
[141] 웹사이트 Status of Coral Reefs of the World: 2004 Volume 1 http://www.icriforum[...] Global Coral Reef Monitoring Network 2019-01-14
[142] 웹사이트 Aquarium Corals: Collection and Aquarium Husbandry of Northeast Pacific Non-Photosynthetic Cnidaria http://www.advanceda[...] 2016-06-13
[143] 웹사이트 Reefkeeping 101 – Various Nutrient Control Methods http://reefkeeping.c[...] 2016-06-13
[144] 웹사이트 Aquarium Substrate & Live Rock Clean Up Tips http://saltaquarium.[...] 2016-06-13
[145] 웹사이트 Coral Reefs http://marinebio.org[...] 2016-06-13
[146] 논문 Engineering of coral reef larval supply through transplantation of nursery-farmed gravid colonies
[147] 논문 Farming the reef: Is aquaculture a solution for reducing fishing pressure on coral reefs?
[148] 논문 Management of coral reefs: We have gone wrong when neglecting active reef restoration http://www.ocean.org[...]
[149] 논문 Poor Performance of Corals Transplanted onto Substrates of Short Durability
[150] 간행물 造礁サンゴの移植に関してのガイドライン http://www.jcrs.jp/o[...] 日本サンゴ礁学会 2004-11-13
[151] 간행물 沖縄県サンゴ移植マニュアル http://www.pref.okin[...] 沖縄県 2016-01-12
[152] 간행물 サンゴ礁生態系保全行動計画 https://www.env.go.j[...] 環境省
[153] 뉴스 宝石サンゴ取引規制機運/中国で需要旺盛/採り過ぎ懸念、産地は保護策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0-25
[154] 논문 http://www.ingentaco[...] 2010-04-11
[155] 논문
[156] 웹인용 Losing Our Coral Reefs https://blogs.ei.col[...] 2021-03-19
[157] 웹인용 Wayback Machine http://www.ucar.edu/[...] 2021-03-19
[158] 서적 Reefs at risk revisited [electronic resource] http://archive.org/d[...] Washington, D.C. : World Resources Institute 2011
[159] 논문 Chemically rich seaweeds poison corals when not controlled by herbivores 2010-05
[160] 웹인용 Submarine springs offer preview of ocean acidification effects on coral reefs https://news.ucsc.ed[...] 2021-03-19
[161] 웹인용 Health and Disease Signatures of the Coral Microbiome • iBiology https://www.ibiology[...] 2021-03-19
[162] 뉴스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 NOAA 지원 임무에서 발견된 새로운 심해 산호 http://www.noaanews.[...] 2009-05-11
[163] 논문 Corals, Chemistry, and Climate https://www.science.[...] 2002-04-12
[164] 논문 Microatolls as sea-level indicators on a mid-ocean atoll https://www.scienced[...] 2000-08-15
[165] 논문 Climate Change, Human Impacts, and the Resilience of Coral Reefs https://www.science.[...] 2003-08-15
[166] 논문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https://www.annualre[...] 2006-12-01
[167] 논문 Corals' adaptive response to climate change https://www.nature.c[...] 2004-08
[168] 논문 Global assessment of coral bleaching and required rates of adaptation under climate change https://onlinelibrar[...] 2005-12
[169] 논문 Symbiont diversity may help coral reefs survive moderate climate change http://doi.wiley.com[...] 2009-01
[170] 논문 EFFECTS OF CLIMATE AND SEAWATER TEMPERATURE VARIATION ON CORAL BLEACHING AND MORTALITY http://doi.wiley.com[...] 2007-11
[171] 논문 Management for network diversity speeds evolutionary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https://www.nature.c[...] 2019-07-01
[172] 웹인용 EcoDeco - Ecological Technology - Applications http://www.ecodeco.n[...] 2021-03-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