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서 (남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제기(帝紀)
- 3. 열전(列傳)
- 3.1. 황후(皇后)
- 3.2. 두승명(杜僧明)・주문육(周文育)・후안도(侯安都)
- 3.3. 후전(侯瑱)・구양외(歐陽頠)・오명철(吳明徹)
- 3.4. 주철호(周鐵虎)・정영세(程靈洗)
- 3.5. 황법변(黃法抃)・순우량(淳于量)・장소달(章昭達)
- 3.6. 호영(胡穎)・서도(徐度)・두릉(杜稜)・심각(沈恪)
- 3.7. 서세보(徐世譜)・노실달(魯悉達)・주부(周敷)・순랑(荀朗)・주경(周炅)
- 3.8. 형양헌왕 창(衡陽獻王 昌)・남강민왕 담랑(南康愍王 曇朗)
- 3.9. 종실(宗室)
- 3.10. 조지례(趙知禮)・채경력(蔡景歷)・유사지(劉師知)・사기(謝岐)
- 3.11. 왕충(王沖)・왕통(王通)・원경(袁敬)
- 3.12. 심중(沈衆)・원비(袁泌)・유중위(劉仲威)・육산재(陸山才)・왕질(王質)・위재(韋載)
- 3.13. 심형(沈炯)・우여(虞荔)・마추(馬樞)
- 3.14. 도중거(到仲擧)・한자고(韓子高)・화교(華皎)
- 3.15. 사철(謝哲)・소건(蕭乾)・사가(謝嘏)・장종(張種)・왕고(王固)・공환(孔奐)・소윤(蕭允)
- 3.16. 육자륭(陸子隆)・전도집(錢道戢)・낙아(駱牙)
- 3.17. 심군리(沈君理)・심매(沈邁)・심군고(沈君高)・왕창(王瑒)・왕유(王瑜)・육선(陸繕)
- 3.18. 주홍정(周弘正)・원헌(袁憲)
- 3.19. 배기(裴忌)・손창(孫瑒)
- 3.20. 서릉(徐陵)
- 3.21. 강총(江總)・요찰(姚察)
- 3.22. 세조 9왕(世祖九王)・고종 29왕(高宗二十九王)・후주 제자(後主諸子)
- 3.23. 종원요(宗元饒)・사마신(司馬申)・모희(毛喜)・채징(蔡徵)
- 3.24. 소제(蕭濟)・육경(陸瓊)・고야왕(顧野王)・부재(傅縡)
- 3.25. 소마하(蕭摩訶)・임충(任忠)・번의(樊毅)・노광달(魯廣達)
- 3.26. 효행(孝行)
- 3.27. 유림(儒林)
- 3.28. 문학(文學)
- 3.29. 웅담랑(熊曇朗)・주적(周迪)・유이(留異)・진보응(陳寶應)
- 3.30. 시흥왕 숙릉(始興王 叔陵)・신안왕 백고(新安王 伯固)
- 참조
1. 개요
진서는 중국 남조 시대에 존재했던 진나라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이다. 이 책은 고조 무제, 세조 문제, 폐제, 선제, 후주 등 진나라 황제들의 기록인 제기(帝紀)를 포함하며, 황후, 장수, 종실, 신하, 문학가 등 다양한 인물들의 열전(列傳)을 수록하고 있다. 또한, 진나라의 왕족, 효행을 실천한 인물, 유학자, 문인, 그리고 반란을 일으킨 인물들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역사책 - 진서
진서는 당 태종의 명으로 방현령 등이 편찬한 사마의부터 동진 공제까지의 역사를 다룬 정사로, 오호십육국시대의 여러 국가들의 흥망성쇠가 기록되어 당시 사회의 복잡한 국제 관계와 민족 갈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7세기 역사책 - 수서 (역사서)
수서는 당나라 초기에 위징, 장손무기 등이 편찬한 수나라의 역사를 단대기전체 형식으로 기록한 역사서로, 고구려를 포함한 동이 관련 기록이 있어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진서 (남조) | |
---|---|
일반 정보 | |
![]() | |
국호 | 진(陳) |
존속 기간 | 557년 ~ 589년 (32년) |
수도 | 건강 |
정치 체제 | 군주제 |
역사 | |
건국 | 소패선이 양나라로부터 선양받음 (557년) |
멸망 | 수나라에 병합 (589년) |
인구 | |
589년 | 2,000,000명 (추정) |
군주 | |
초대 황제 | 무제 소패선 |
마지막 황제 | 후주 진숙보 |
주요 사건 | |
경강 전투 | 573년 |
언어 | |
공용어 | 중국어 |
종교 | |
주요 종교 | 불교, 도교 |
2. 제기(帝紀)
wikitable
### | 제목 | 목록 | 시기(음력) | 비고 | |
---|---|---|---|---|---|
권1 | 제기1 | 고조(高祖) 上 | 무제 패선(武帝 覇先) | 545년 6월 ~ 557년 10월 (소량 대동(大同) 11년 ~ 소량 태평(太平) 2년) | |
권2 | 제기2 | 고조(高祖) 下 | 557년 10월 ~ 559년 6월 (영정(永定) 원년 ~ 영정(永定) 3년) | ||
권3 | 제기3 | 세조(世祖) | 문제 천(文帝 蒨) | 559년 6월 ~ 566년 4월 (영정(永定) 3년 ~ 천강(天康) 원년) | |
권4 | 제기4 | 폐제(廢帝) | 임해왕 백종(臨海王 伯宗) | 566년 4월 ~ 568년 11월 (천강(天康) 원년 ~ 광대(光大) 2년) | |
권5 | 제기5 | 선제(宣帝) | 효선제 욱(孝宣帝 頊) | 568년 11월 ~ 582년 1월 (광대(光大) 2년 ~ 태건(太建) 14년) | |
권6 | 제기6 | 후주(後主) | 후주 숙보(後主 叔寶) | 582년 1월 ~ 589년 1월 (태건(太建) 14년 ~ 정명(禎明) 3년) |
2. 1. 고조 무제(高祖 武帝)
무제 패선(武帝 覇先)은 545년 6월부터 557년 10월까지 재위하였다. 이 시기는 소량 대동(大同) 11년에서 소량 태평(太平) 2년에 해당한다. 또한 557년 10월부터 559년 6월까지는 영정(永定) 원년에서 영정(永定) 3년에 해당한다.2. 2. 세조 문제(世祖 文帝)
진 문제는 559년 6월부터 566년 4월까지 재위하였다. 이 기간은 영정(永定) 3년에서 천강(天康) 원년까지 해당한다.```wikitable
2. 3. 폐제(廢帝)
진백종(臨海王 伯宗)은 566년 4월부터 568년 11월까지 재위에 있었으며, 연호는 천강(天康) 원년에서 광대(光大) 2년까지 사용하였다.2. 4. 선제(宣帝)
진효선제(陳孝宣帝) 욱(頊)은 568년 11월부터 582년 1월까지 재위하였다. 재위 기간은 광대(光大) 2년에서 태건(太建) 14년까지이다.2. 5. 후주(後主)
진숙보(後主 叔寶)는 582년 1월부터 589년 1월까지 재위에 있었다.(태건(太建) 14년 ~ 정명(禎明) 3년)3. 열전(列傳)
권 | 부제 | 목록 | 비고 |
---|---|---|---|
권7 | 열전1 | 황후(皇后) | 고조장황후(高祖章皇后), 세조심황후(世祖沈皇后), 폐제왕황후(廢帝王皇后), 고종류황후(高宗柳皇后), 후주심황후(後主沈皇后), 후주장귀비(後主張貴妃) |
권8 | 열전2 | 두승명(杜僧明), 주문육(周文育), 후안도(侯安都) | |
권9 | 열전3 | 후전(侯瑱), 구양외(歐陽頠), 오명철(吳明徹) | |
권10 | 열전4 | 주철호(周鐵虎), 정영세(程靈洗) | |
권11 | 열전5 | 황법변(黃法抃), 순우량(淳于量), 장소달(章昭達) | |
권12 | 열전6 | 호영(胡穎), 호삭(胡鑠), 서도(徐度), 두릉(杜稜), 심각(沈恪) | |
권13 | 열전7 | 서세보(徐世譜), 서세휴(徐世休), 노실달(魯悉達), 주부(周敷), 순랑(荀朗), 순법상(荀法尙), 주경(周炅) | |
권14 | 열전8 | 형양헌왕 창(衡陽獻王 昌), 남강민왕 담랑(南康愍王 曇朗) | |
권15 | 열전9 | 종실(宗室) | 진의(陳擬), 진상(陳詳), 진혜기(陳慧紀) |
권16 | 열전10 | 조지례(趙知禮), 채경력(蔡景歷), 유사지(劉師知), 사기(謝岐) | |
권17 | 열전11 | 왕충(王沖), 왕통(王通), 원경(袁敬) | |
권18 | 열전12 | 심중(沈衆), 원비(袁泌), 유중위(劉仲威), 유광덕(劉廣德), 육산재(陸山才), 왕질(王質), 위재(韋載) | |
권19 | 열전13 | 심형(沈炯), 우여(虞荔), 마추(馬樞) | |
권20 | 열전14 | 도중거(到仲擧), 한자고(韓子高), 화교(華皎) | |
권21 | 열전15 | 사철(謝哲), 소건(蕭乾), 사가(謝嘏), 장종(張種), 장릉(張稜), 장치재(張稚才), 왕고(王固), 공환(孔奐), 소윤(蕭允) | |
권22 | 열전16 | 육자륭(陸子隆), 육지무(陸之武), 육자재(陸子才), 전도집(錢道戢), 낙아(駱牙) | |
권23 | 열전17 | 심군리(沈君理), 심매(沈邁), 심군고(沈君高), 왕창(王瑒), 왕유(王瑜), 육선(陸繕), 육견현(陸見賢) | |
권24 | 열전18 | 주홍정(周弘正), 원헌(袁憲) | |
권25 | 열전19 | 배기(裴忌), 손창(孫瑒) | |
권26 | 열전20 | 서릉(徐陵) | |
권27 | 열전21 | 강총(江總), 요찰(姚察) | |
권28 | 열전22 | 세조 9왕(世祖九王) | 시흥왕 백무(始興王 伯茂), 파양왕 백산(鄱陽王 伯山), 진안왕 백공(晉安王 伯恭), 형양왕 백신(衡陽王 伯信), 여릉왕 백인(廬陵王 伯仁), 강하왕 백의(江夏王 伯義), 무릉왕 백례(武陵王 伯禮), 영양왕 백지(永陽王 伯智), 계양왕 백모(桂陽王 伯謀) |
권28 | 열전22 | 고종 29왕(高宗二十九王) | 예장왕 숙영(豫章王 叔英), 장사왕 숙견(長沙王 叔堅), 건안왕 숙경(建安王 叔卿), 의도왕 숙명(宜都王 叔明), 하동한 숙헌(河東王 叔獻), 신채왕 숙제(新蔡王 叔齊), 진희왕 숙문(晉熙王 叔文), 회남왕 숙표(淮南王 叔彪), 시흥왕 숙중(始興王 叔重), 심양왕 숙엄(尋陽王 叔儼), 악양왕 숙신(岳陽王 叔愼), 의양왕 숙달(義陽王 叔達), 파산왕 숙웅(巴山王 叔雄), 무창왕 숙우(武昌王 叔虞), 상동왕 숙평(湘東王叔平), 임하왕 숙오(臨賀王 叔敖), 양산왕 숙선(陽山王 叔宣), 서양왕 숙목(西陽王 叔穆), 남안왕 숙검(南安王 叔儉), 남군왕 숙징(南郡王 叔澄), 원릉왕 숙흥(沅陵王叔興), 악산왕 숙소(岳山王 叔韶), 신흥왕 숙순(新興王 叔純), 파동왕 숙모(巴東王 叔謨), 임강왕 숙현(臨江王 叔顯), 신회왕 숙탄(新會王 叔坦), 신녕왕 숙륭(新寧王 叔隆), 신창왕 숙영(新昌王 叔榮), 3. 1. 황후(皇后)진서(陳書) 권7 열전1에 황후(皇后)에 대한 기록이 있다. 여기에는 고조 장황후(高祖章皇后), 세조 심황후(世祖沈皇后), 폐제 왕황후(廢帝王皇后), 고종 유황후(高宗柳皇后), 후주 심황후(後主沈皇后), 후주 장귀비(後主張貴妃)가 기록되어 있다.3. 2. 두승명(杜僧明)・주문육(周文育)・후안도(侯安都)두승명, 주문육, 후안도는 모두 진(陳)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운 장수들이다. 이들은 진패선을 도와 왕승변과 함께 후경의 난을 진압하고 건강을 수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3. 3. 후전(侯瑱)・구양외(歐陽頠)・오명철(吳明徹)후전은 남조 진나라의 장수로, 자는 군사(君事)이다. 구양외는 자가 통현(通玄)이며, 역시 진나라의 장수였다. 오명철은 자가 통소(通昭)로, 진나라의 중요한 장군 중 한 명이었다. 이들은 모두 진나라 초기에 활약한 인물들로, 국가의 안정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3. 4. 주철호(周鐵虎)・정영세(程靈洗)주철호(周鐵虎)와 정영세(程靈洗)는 남조 진나라의 장수들이다.3. 5. 황법변(黃法抃)・순우량(淳于量)・장소달(章昭達)황법변은 진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순우량은 무예가 뛰어나고 청렴결백했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장소달은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특히 왕림(王琳)과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 6. 호영(胡穎)・서도(徐度)・두릉(杜稜)・심각(沈恪)호영, 서도, 두릉, 심각은 모두 남조 진나라의 장수들이다. 호영은 오흥군 사람으로, 진나라 건국에 공을 세우고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서도는 오흥군 태수, 광주 자사 등을 지내며 치적을 쌓았다. 두릉은 임천 내사, 형주 자사 등을 역임하며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심각은 무강군 태수, 광주 자사 등을 지내며 능력을 인정받았다.3. 7. 서세보(徐世譜)・노실달(魯悉達)・주부(周敷)・순랑(荀朗)・주경(周炅)서세보(徐世譜)는 서도(徐度)의 종제(從弟)로, 무릉(武陵) 내사(內史)를 지냈다. 노실달(魯悉達)은 후안도(侯安都)와 함께 참전하여 군공(軍功)을 세웠다. 주부(周敷)는 주문육(周文育)과 함께 참전하여 군공을 세웠다. 순랑(荀朗)은 장소달(章昭達)과 함께 참전하여 군공을 세웠다. 주경(周炅)은 영원장군(寧遠將軍)을 지냈다.3. 8. 형양헌왕 창(衡陽獻王 昌)・남강민왕 담랑(南康愍王 曇朗)진 고조 무제 진패선의 넷째 아들 진창(陳昌)은 자가 흥세(興世)이며, 어머니는 소씨(昭氏)이다. 진창은 어려서부터 매우 민첩하고 총명하여,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했으며,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쓰는 것을 즐겼다.557년, 진패선이 즉위하자 진창은 형양군왕(衡陽郡王)으로 봉해졌으며, 양주자사(揚州刺史)를 역임했다. 558년, 왕림(王琳)이 군사를 일으켜 진나라를 공격하려 하자, 진패선은 진창을 시중(侍中), 안동장군(安東將軍)으로 삼고, 왕림을 방어하기 위해 상류 지역으로 파견했다. 559년, 진패선이 사망하고 문제가 즉위하자, 진창은 진나라로 돌아왔다. 그러나 진창은 왕림에게 사로잡혀 있었고, 왕림은 진창을 인질로 삼아 진나라와 화친을 맺으려 했다. 진 문제는 진창을 석방하는 대가로 왕림에게 강주(江州)를 할양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왕림은 이를 거절했다. 560년, 왕림이 패배하고 북제(北齊)로 망명하자, 진창은 북제에서 살해당했다. 진 문제는 진창을 형양헌왕(衡陽獻王)으로 추존하고, 아들 진백신(陳伯信)을 형양왕(衡陽王)으로 삼아 진창의 후사를 잇게 했다. 진 선제 진욱의 여섯째 아들 진담랑(陳曇朗)은 자가 정명(靖明)이며, 소의(昭儀) 하씨(何氏) 소생이다. 진담랑은 어려서부터 민첩하고 총명했으며, 외모가 아름다웠다. 569년, 진담랑은 남강군왕(南康郡王)으로 봉해졌으며, 진나라에서 벼슬을 했다. 582년, 진숙보가 즉위하자, 진담랑은 시중(侍中), 평남장군(平南將軍), 남강내사(南康內史)를 역임했다. 그러나 진담랑은 사치스럽고 방탕한 생활을 했으며, 백성들을 괴롭혔다. 58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키자, 진담랑은 관중(關中)으로 끌려갔다. 진담랑은 수나라에서 병으로 사망했으며, 남강민왕(南康愍王)으로 추존되었다. 3. 9. 종실(宗室)진의(陳擬), 진상(陳詳), 진혜기(陳慧紀)는 진(陳)나라 황실의 일족이다.3. 10. 조지례(趙知禮)・채경력(蔡景歷)・유사지(劉師知)・사기(謝岐)조지례(趙知禮), 채경력(蔡景歷), 유사지(劉師知), 사기(謝岐)는 모두 진나라의 신하들이다.3. 11. 왕충(王沖)・왕통(王通)・원경(袁敬)왕충(王沖)과 왕통(王通)은 형제 사이로, 왕충은 광릉(廣陵) 사람이며, 왕통은 왕충의 동생이다. 왕충은 어려서부터 침착하고 과묵했으며,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능했다. 그는 진나라에서 관직을 시작하여 상서도관랑(尙書都官郞)이 되었고,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중서시랑(中書侍郞)에 이르렀다. 왕충은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인해 관직을 받지 못하고 집에서 사망했다.원경(袁敬)은 진군(陳郡)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기억력이 뛰어났다. 그는 박학다식하여 여러 경전과 역사책에 능통했으며, 특히 《삼례》(三禮)에 밝았다. 원경은 진나라에서 국자박사(國子博士)를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는 만년에 이르러 불교와 도교에 심취하여, 도사(道士) 복장을 하고 지내는 등 기이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 3. 12. 심중(沈衆)・원비(袁泌)・유중위(劉仲威)・육산재(陸山才)・왕질(王質)・위재(韋載)심중(沈衆), 원비(袁泌), 유중위(劉仲威), 육산재(陸山才), 왕질(王質), 위재(韋載)는 모두 진나라의 신하들이다. 이들은 진서 권18에 함께 열전으로 기록되어 있다.3. 13. 심형(沈炯)・우여(虞荔)・마추(馬樞)심형(沈炯), 우여(虞荔), 마추(馬樞)는 모두 남조 진나라의 문학가이자 관리였다. 심형은 오흥군 무강현(吳興郡 武康縣, 현재의 저장성 후저우시 더칭현) 출신으로 자는 정칙(正則)이며, 양나라와 진나라에서 활동했다. 우여는 회계군 여요현(會稽郡 餘姚縣, 현재의 저장성 닝보시 위야오시) 출신으로 자는 자산(子山)이며, 양나라와 진나라에서 벼슬을 지냈다. 마추는 부풍군 무릉현(扶風郡 茂陵縣, 현재의 산시성 싱핑시) 출신으로 자는 자직(子直)이며, 진나라에서 관직을 역임했다.3. 14. 도중거(到仲擧)・한자고(韓子高)・화교(華皎)도중거는 자가 승경(承卿)이며, 팽성군 무원현(武原縣) 사람이다. 어릴 때부터 침착하고 용감했으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다. 양나라 말년에 후경이 양나라를 공격할 때, 도중거는 향리 사람들을 모아 군사를 일으켰다. 동해군 태수(太守)인 소양왕 소역이 그를 중용하여 군사 업무를 맡겼다.한자고는 회계 산음(山陰) 사람으로, 본명은 한만(韓蠻)이다. 후경의 난 때 진패선에게 귀순하여 그의 전령이 되었다. 진패선이 한자고의 이름을 고쳐 주었다. 진패선이 진나라를 건국하고 황제가 된 이후, 한자고는 우군장군(右軍將軍)으로 임명되었다. 진 문제 진천이 즉위한 후에는 한자고를 진압하고 작위를 박탈했다. 화교는 자가 조덕(祚德)이며, 남군 상용 사람이다. 양나라에서 벼슬을 하다가 진 무제 때 시중(侍中)으로 임명되었다. 문제 때에는 안서장군(安西將軍) 겸 형주자사(荊州刺史)로 임명되었다. 이후 진 선제 때 화교는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어 참수되었다. 3. 15. 사철(謝哲)・소건(蕭乾)・사가(謝嘏)・장종(張種)・왕고(王固)・공환(孔奐)・소윤(蕭允)사철(謝哲), 소건(蕭乾), 사가(謝嘏), 장종(張種), 왕고(王固), 공환(孔奐), 소윤(蕭允)은 모두 진나라의 신하들이다. 이들은 진서 권21, 열전 제15에 함께 기록되어 있다.3. 16. 육자륭(陸子隆)・전도집(錢道戢)・낙아(駱牙)육자륭(陸子隆), 전도집(錢道戢), 낙아(駱牙)는 모두 진나라의 신하들이다.3. 17. 심군리(沈君理)・심매(沈邁)・심군고(沈君高)・왕창(王瑒)・왕유(王瑜)・육선(陸繕)심군리(沈君理)는 오흥군 무강현(吳興郡 武康縣) 사람으로, 양나라 때 오군태수(吳郡太守)를 지낸 심순(沈巡)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힘써 《모시(毛詩)》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익혔다. 심군리는 성품이 강직하고 곧아 다른 사람의 잘못을 보면 참지 못하고 반드시 따졌으며, 이로 인해 미움을 받기도 했다.심매(沈邁)는 심군리의 동생이다. 그는 박학하고 기억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다. 심매는 형 심군리와 함께 이름을 날렸으며, 사람들은 그들을 '오중이심(吳中二沈)'이라 불렀다. 심군고(沈君高)는 심군리의 아들이다. 그는 아버지의 학문을 이어받아 경학(經學)에 능통했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국자박사(國子博士)에 이르렀다. 왕창(王瑒)은 자가 중보(仲寶)이며, 낭야군 임기현(琅邪郡 臨沂縣) 사람이다. 왕창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했으며, 특히 문장에 뛰어났다. 왕유(王瑜)는 왕창의 동생이다. 왕유 또한 형처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능했다. 육선(陸繕)은 자가 사언(士言)이며, 오군 오현(吳郡 吳縣) 사람이다. 육선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민첩했으며, 기억력이 매우 뛰어났다. 그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하게 살았지만, 학문에 대한 열정은 남달랐다. 3. 18. 주홍정(周弘正)・원헌(袁憲)주홍정(周弘正)과 원헌(袁憲)은 남조 진나라의 문신이다. 주홍정은 학문에 능통하고 고결한 성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원헌은 강직하고 청렴한 관리로 알려져 있다.3. 19. 배기(裴忌)・손창(孫瑒)배기(裴忌)와 손창(孫瑒)은 남조 진나라의 신하들이다. 배기는 자가 무절(無節)이며 하동군(河東郡) 문희현(聞喜縣) 사람이다. 손창(孫瑒)은 자가 덕련(德璉)이며 오군(吳郡) 오현(吳縣) 사람이다.3. 20. 서릉(徐陵)서릉은 남조 진나라의 관리이자 문학가로, 자는 효목(孝穆)이다. 그는 동해군 담현(郯縣) 출신으로, 양나라와 진나라에서 활동하며 뛰어난 문장 실력을 인정받았다. 서릉은 아버지 서소방(徐 చో방)을 따라 건강(建康)으로 이주하여 학문을 익혔으며, 유협(劉勰)의 《문심조룡(文心雕龍)》을 배우고 소통에게 재능을 인정받았다.서릉은 양나라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후경의 난 때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하여 진나라로 귀순하였다. 진나라에서는 중서시랑(中書侍郞),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국가의 중요한 문서를 작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는 특히 문장에 뛰어나, 유신과 함께 '서유체(徐庾體)'라는 문체를 만들어 널리 이름을 떨쳤다. 3. 21. 강총(江總)・요찰(姚察)강총(江總, 519년 ~ 594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진나라의 문신이자, 대신이다. 자는 총지(總持)이며, 제주 고숙(濟州 考叔, 현재의 하남성 상추시) 사람이다. 강총은 진나라의 마지막 상서령(尙書令)을 역임했다.요찰(姚察, 533년 ~ 606년)은 자가 백심(伯審)이고, 오흥(吳興) 무강(武康, 현재의 절강성 더칭현) 사람이다. 남북조 시대 진나라와 수나라의 역사학자이다. 요찰은 진나라에서 관직을 지냈으며, 수나라에서는 비서승(秘書丞)을 역임했다. 그의 아들 요사렴은 당나라에서 관직을 지냈으며,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양서》와 《진서》를 완성했다. 이 두 역사서는 남조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 3. 22. 세조 9왕(世祖九王)・고종 29왕(高宗二十九王)・후주 제자(後主諸子)진나라 문제 천가 연간(560년 ~ 566년) 동안 재위한 세조(문제)의 아홉 왕과 고종(선제)의 스물아홉 왕, 그리고 후주의 여러 아들에 대한 기록이다.문제의 아홉 왕은 시흥왕(始興王) 진백무(陳伯茂), 파양왕(鄱陽王) 진백산(陳伯山), 진안왕(晉安王) 진백공(陳伯恭), 형양왕(衡陽王) 진백신(陳伯信), 여릉왕(廬陵王) 진백인(陳伯仁), 강하왕(江夏王) 진백의(陳伯義), 무릉왕(武陵王) 진백례(陳伯禮), 영양왕(永陽王) 진백지(陳伯智), 계양왕(桂陽王) 진백모(陳伯謀)이다. 선제의 스물아홉 왕은 예장왕(豫章王) 진숙영(陳叔英), 장사왕(長沙王) 진숙견(陳叔堅), 건안왕(建安王) 진숙경(陳叔卿), 의도왕(宜都王) 진숙명(陳叔明), 하동왕(河東王) 진숙헌(陳叔獻), 신채왕(新蔡王) 진숙제(陳叔齊), 진희왕(晉熙王) 진숙문(陳叔文), 회남왕(淮南王) 진숙표(陳叔彪), 시흥왕(始興王) 진숙중(陳叔重), 심양왕(尋陽王) 진숙엄(陳叔儼), 악양왕(岳陽王) 진숙신(陳叔愼), 의양왕(義陽王) 진숙달(陳叔達), 파산왕(巴山王) 진숙웅(陳叔雄), 무창왕(武昌王) 진숙우(陳叔虞), 상동왕(湘東王) 진숙평(陳叔平), 임하왕(臨賀王) 진숙오(陳叔敖), 양산왕(陽山王) 진숙선(陳叔宣), 서양왕(西陽王) 진숙목(陳叔穆), 남안왕(南安王) 진숙검(陳叔儉), 남군왕(南郡王) 진숙징(陳叔澄), 원릉왕(沅陵王) 진숙흥(陳叔興), 악산왕(岳山王) 진숙소(陳叔韶), 신흥왕(新興王) 진숙순(陳叔純), 파동왕(巴東王) 진숙모(陳叔謨), 임강왕(臨江王) 진숙현(陳叔顯), 신회왕(新會王) 진숙탄(陳叔坦), 신녕왕(新寧王) 진숙륭(陳叔隆), 신창왕(新昌王) 진숙영(陳叔榮), 태원왕(太原王) 진숙광(陳叔匡)이다. 후주의 여러 아들은 황태자(皇太子) 진심(陳深), 오흥왕(吳興王) 진윤(陳胤), 남평왕(南平王) 진의(陳嶷), 영가왕(永嘉王) 진언(陳彦), 남해왕(南海王) 진건(陳虔), 신의왕(信義王) 진지(陳祗), 소릉왕(邵陵王) 진긍(陳兢), 회계왕(會稽王) 진장(陳莊), 동양왕(東陽王) 진전(陳恮), 오군왕(吳郡王) 진번(陳蕃), 전당왕(錢塘王) 진념(陳恬)이다. 3. 23. 종원요(宗元饒)・사마신(司馬申)・모희(毛喜)・채징(蔡徵)종원요(宗元饒)는 오흥군 사람으로, 어릴 때부터 신중하고 과묵하여 말이 적었다. 집안이 가난하고 한미하여 처음에는 고향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소영사는 그를 알아보고 존경하며 중하게 대하였다. 종원요는 양나라에서 서양현령으로 임명되었는데, 치적을 쌓아 백성들이 그를 칭송하였다.사마신(司馬申)은 하내군 사람으로, 무예가 뛰어나고 활을 잘 쏘았다. 그는 양나라 말년에 후경의 난에 가담하여, 후경이 패망한 후 왕승변에게 귀순하였다. 진나라 건국 후, 왕림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안동장군에 임명되었다. 모희(毛喜)는 형양군 사람으로,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홀어머니를 지극히 효성으로 섬겼다. 그는 왕승변을 따라 후경 토벌에 참여하였고, 진나라 건국 후에는 왕림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채징(蔡徵)은 제양군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성품이 강직하였다. 왕승변의 막부에서 일했으며, 진나라 건국 후 왕림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웠다. 3. 24. 소제(蕭濟)・육경(陸瓊)・고야왕(顧野王)・부재(傅縡)소제, 육경, 고야왕, 부재는 모두 학문에 능통한 인물들이었다. 소제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글을 잘 지었으며, 육경은 박학하고 기억력이 뛰어났다. 고야왕은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고 문장에 능했으며, 부재는 기억력이 뛰어나고 글을 잘 지었다. 이들은 모두 남조 진나라의 중요한 학자이자 문인이었다.3. 25. 소마하(蕭摩訶)・임충(任忠)・번의(樊毅)・노광달(魯廣達)소마하, 임충, 번의, 노광달은 모두 남조 진나라의 장수들이다. 이들은 진서 권31 열전 제25에 함께 기록되어 있다.3. 26. 효행(孝行)진서(陳書) 효행(孝行)은 은불해(殷不害), 사정(謝貞), 사마고(司馬暠), 장소(張昭) 등의 효행을 기록하고 있다. 사마고에 대한 내용은 진서 권32 효행전에 기록되어 있다.3. 27. 유림(儒林)진서권33에 유림전(儒林傳)이 있다. 유림전에는 심문아(沈文阿), 심수(沈洙), 척곤(戚袞), 정작(鄭灼), 전완(全緩), 장기(張譏), 고월(顧越), 심불해(沈不害), 왕원규(王元規) 등이 기록되어있다.3. 28. 문학(文學)진서(陳書) 권34는 문학(文學) 편으로, 두지위, 안황, 강덕조, 유지, 허형, 저개, 잠지경, 육염, 하지원, 서백양, 장정견, 채응, 완탁 등 남조 진나라 시대 문인들의 생애와 작품 활동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은 각기 다른 문학적 재능과 성향을 보였으며, 진나라의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3. 29. 웅담랑(熊曇朗)・주적(周迪)・유이(留異)・진보응(陳寶應)웅담랑(熊曇朗)은 남강(南康) 사람으로, 진 고조(陳高祖) 진패선(陳霸先) 때부터 그를 섬겼다. 진패선이 왕승변(王僧辯)을 토벌할 때 웅담랑은 공을 세워 초계현후(蕉溪縣侯)에 봉해졌다.주적(周迪)은 의흥(義興) 사람으로, 진패선이 두감(杜龕)을 공격할 때 웅담랑과 함께 진패선을 따랐다. 진패선은 주적을 자신의 고향인 장성현(長城縣)의 현령(縣令)으로 삼았다. 유이(留異)는 임천태수(臨川太守) 주적(周迪)의 외형(外兄)이다. 진보응(陳寶應)은 진패선(陳霸先)과 같은 군(郡) 출신이다. 진패선이 원제(元帝)를 배반하고 왕승변을 공격할 때 진보응은 웅담랑(熊曇朗)과 주적(周迪)과 함께 진패선을 따라 종군하였다. 3. 30. 시흥왕 숙릉(始興王 叔陵)・신안왕 백고(新安王 伯固)진숙릉(陳叔陵)은 자가 자숭(子嵩)이고 진 선제(陳宣帝)의 둘째 아들이다. 진백고(陳伯固)는 자가 백고(伯固)이고 진 문제(陳文帝)의 여섯째 아들이다.진숙릉은 어려서부터 교활하고 각박한 면모를 보였으며, 겉으로는 공손하고 겸손했지만 속으로는 다른 생각을 품었다. 그는 사람을 대할 때 속임수를 쓰는 경우가 많았고, 간사한 무리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했다. 반면 진백고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잘생겼으며, 행동거지가 단정하고 말이 적었다. 문제는 그를 특히 사랑하여 항상 곁에 두었다. 진숙릉은 569년(태건 원년)에 시흥군왕(始興郡王)으로 봉해졌고, 진백고는 560년(천가 원년)에 신안군왕(新安郡王)으로 봉해졌다. 참조
[1]
서적
Book of Ch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