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 (역사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서는 당나라 때 위징, 장손무기 등이 편찬한 역사서로, 수나라의 역사를 다룬다. 본기 5권, 지 30권, 열전 5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경적지'가 유명하다. '십지'는 수나라 외에도 양, 진, 북제, 북주를 다루며, 당시에는 남북조 시대를 하나의 시대로 보기보다 수의 통일을 강조하는 관점을 담고 있다. 열전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 등 주변 이민족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역사책 - 진서
진서는 당 태종의 명으로 방현령 등이 편찬한 사마의부터 동진 공제까지의 역사를 다룬 정사로, 오호십육국시대의 여러 국가들의 흥망성쇠가 기록되어 당시 사회의 복잡한 국제 관계와 민족 갈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7세기 역사책 - 양서 (역사서)
《양서》는 요찰이 시작하고 요사렴이 완성한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본기 6권과 열전 50권으로 구성되어 양나라 역사와 동아시아 국제 관계 연구에 중요한 사료이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서 (역사서) | |
---|---|
개요 | |
제목 | 수서 (隋書) |
저자 | 위징, 장손무기, 저수량 |
편찬 시기 | 당나라 |
완성 연도 | 636년 |
분류 | 정사 |
수록 범위 | 수나라 |
권수 | 85권 (지 30권 포함) |
내용 | |
주요 내용 | 수나라의 역사 |
구성 | 본기 지 열전 |
특징 | |
특징 | 위징 등이 편찬, 수나라 역사를 담고 있음 |
기타 | |
같이 보기 | 이십사사 |
2. 편찬 과정
621년 이연이 당나라를 건국한 후, 무덕(武德) 4년에 왕소(王劭)가 《수서》 18권을 완성하였다.[1] 이후 당 태종과 당 고종 시기에 걸쳐 편찬이 계속되었다.
2. 1. 당 태종 시기 편찬
629년 당 태종 정관 3년 당 태종의 명을 받아 방현령이 《수서》 감수를 시작하여, 636년 당 태종 10년에 위징과 장손무기 등이 감독하고, 실제 집필에는 안사고와 공영달 등이 참여하여 본기 5권, 열전 50권이 완성되었다.[1]열전 46권에서는 동이를 다루고 있는데,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 유구, 왜국 순으로 다루고 있다. 이 열전이 완성된 지 8년 후인 644년 11월, 당 태종 이세민은 30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공하였다.[1]
2. 2. 당 고종 시기 편찬
656년 당나라 당 고종 시기에 지(志) 30권이 추가되었는데, 우지녕 등이 편찬 작업에 참여하였다.[1] 지에는 수나라뿐만 아니라 남조의 양(梁), 진(陳)과 북조의 북제(北齊), 북주(北周) 등 다섯 개 왕조가 같이 수록되어 있다.[1]3. 특징
《수서》는 반고가 《후한서》에서 확립한 단대기전체 형식으로, 기(紀), 지(志), 전(傳)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 5권, 지 30권, 열전 5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경적지」가 유명하다. 당의 위징과 장손무기 등은 태종의 명을 받아 편찬하였으며, 안사고와 공영달 등이 참여하였다. 636년(정관 10년) 위징에 의해 본기 5권과 열전 50권이 완성되었고, 656년(현경 원년) 고종 때 장손무기에 의해 지 30권이 완성되어 편입되었다.
《수서》의 30개 지(志)는 수뿐만 아니라 양, 진, 북제, 북주도 다루고 있어, 《양서》, 《진서》와 더불어 해당 왕조에 대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경적(經籍)에 관한 지(志)는 《한서》 이후 이러한 부분을 포함하는 유일한 정사로서, 후한 (25–220)부터 수나라 시대까지의 필수적인 서지 정보를 담고 있어 중요하다.
3. 1. 사료적 가치
『수서』의 가장 큰 특징은 십지(十志) 30권이다. 본기(本紀) 및 열전(列傳) 55권이 『한서』에서 시작되는 단대사(斷代史)의 체제를 따르는 반면, 십지는 『사기』나 『남사』, 『북사』와 마찬가지로 통사(通史)가 되었다. 본기 및 열전이 완성된 후 태종이 명한 것은 남조 양, 남조 진, 북제, 북주, 수(隋)의 5개 왕조에 대한 지(志)의 편찬이었다. 이미 완성되어 있던 각 왕조의 정사에 지가 없었던 것에 따른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북위와 남조 송 이래 수의 통일까지를 남북조라는 하나의 시대로 보고 육조라고 부르는 후세의 관점과는 달리, 당시에는 남북의 대립에서 다시 셋으로 나뉘어 대립하다 수가 통일을 이루었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십지만을 독립하여 "'''오대사지'''"라고 부르며, 단대사이면서 통사이기도 한 정사가 성립되었다.「경적지」는 제32권 지27에서 제35권 지30에 해당한다. 중국의 정사에 부속된 것으로는, 『한서』 「예문지」에 이은 것이다.
「율력지」에는 남조 송·남제의 조충지(429년 - 500년)가 원주율을 3.1415927의 자리까지 계산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남제서』의 본전에도 보이지 않는 기록이다. 유럽에서 이 자리수까지 계산이 이루어진 것은 16세기였다.
3. 2. 한국사 관련 내용
636년 당 태종 때 열전이 완성되었는데, 여기에는 당나라를 둘러싼 동이, 남만, 서융, 북적 등 주변 민족들의 기록이 제46권에서 50권까지 다뤄지고 있다. 그중 가장 먼저인 열전 46권에는 동이를 다루고 있는데, 고구려(高麗라고 표기), 백제(百濟), 신라(新羅), 말갈(靺鞨), 유구(琉求), 왜국(倭國)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동이에서 고구려가 가장 먼저 언급된 것은 644년 당 태종의 고구려 침공의 중요한 역사적 참고 자료로 삼았음을 보여준다.『수서』의 「동이전」은 제81권 열전 46에 해당한다. 이 책에는 당시의 왜국(倭國)과 그 왕 다리사비고 및 한반도에 있던 고구려, 신라, 백제와 류큐에 대해 기술되어 있으며, 기술 순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 류큐, 왜국 순이다.[1]
3. 3. 세계사적 관점
志중국어 10권에서 13권까지는 율력 편이 나오는데, 이곳에는 송 (남북조시대)의 조충지 (429년 ~ 500년)가 원주율을 3.1415927까지 계산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남제서의 본전에도 서술되어 있지 않은 귀중한 기록이다. 유럽에서 이 자리수까지 계산할 수 있게 된 것은 16세기에 이르러서였다.4. 구성
《수서》는 제기(帝紀) 5권, 열전(列傳) 50권, 지(志) 30권, 총 8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고가 《후한서》에서 확립한 기전체 형식인 기(紀), 지(志), 전(傳)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621년 이연이 당나라를 건국한 후, 629년 당 태종의 명으로 위징(魏徵), 장손무기(長孫無忌) 등이 감독하고 안사고(顔師古), 공영달(孔穎達) 등이 참여하여 636년 본기 5권과 열전 50권이 완성되었다. 열전에는 동이를 다루는 내용이 있는데,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 유구, 왜국 순으로 기술되어 있다.
656년 당 고종 때 우지녕(于志寧) 등이 지(志) 30권을 추가 편찬하였다. 지에는 수나라뿐 아니라 양, 진, 북제, 북주 등 다섯 왕조의 내용도 함께 수록되었다. 30권의 지(志)는 때때로 "논문"으로 번역되기도 하며, 본래 텍스트가 완성된 지 20년 후 별도 저자들에 의해 추가되었다.
4. 1. 제기(帝紀)
번호 | 제목 | 황제 | 시기(음력) | 비고 |
---|---|---|---|---|
권1 | 제기1 | 문제 견 | 580년 2월 ~ 587년 12월 (북주 대상 2년 ~ 개황 7년) | |
권2 | 제기2 | 문제 견 | 588년 1월 ~ 604년 7월 (개황 8년 ~ 인수 4년) | |
권3 | 제기3 | 양제 광 | 604년 7월 ~ 611년 12월 (인수 4년 ~ 대업 7년) | |
권4 | 제기4 | 양제 광 | 612년 1월 ~ 618년 3월 (대업 8년 ~ 의녕 2년) | |
권5 | 제기5 | 공제 유 | 617년 11월 ~ 618년 5월 (의녕 원년 ~ 의녕 2년) |
4. 2. 지(志)
《수서》의 지(志)는 총 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고가 《후한서》에서 확립한 기전체 형식의 한 부분이다.[1] 지(志)는 때때로 "논문"으로 번역되기도 하며, 656년에 별도의 저자들이 완성하여 추가하였다.지는 수나라뿐만 아니라 양나라, 진나라, 북제, 북주 등 5개 왕조의 역사를 다루고 있어, 해당 왕조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경적(經籍)에 관한 지(志)는 《한서》 이후 유일하게 경적 부분을 포함하는 정사로서, 후한부터 수나라 시대까지의 필수적인 서지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지는 처음에 "오대사지(五代史志)"라는 별도 세트로 배포되기도 했다.
《수서》의 지(志)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 | 제목 | 번역 | 비고 |
---|---|---|---|
권6 | 지1 | 예의(禮儀) 1 | |
권7 | 지2 | 예의(禮儀) 2 | |
권8 | 지3 | 예의(禮儀) 3 | |
권9 | 지4 | 예의(禮儀) 4 | |
권10 | 지5 | 예의(禮儀) 5 | |
권11 | 지6 | 예의(禮儀) 6 | |
권12 | 지7 | 예의(禮儀) 7 | |
권13 | 지8 | 음악(音樂) 上 | |
권14 | 지9 | 음악(音樂) 中 | |
권15 | 지10 | 음악(音樂) 下 | |
권16 | 지11 | 율력(律曆) 上 | |
권17 | 지12 | 율력(律曆) 中 | |
권18 | 지13 | 율력(律曆) 下 | |
권19 | 지14 | 천문(天文) 上 | |
권20 | 지15 | 천문(天文) 中 | |
권21 | 지16 | 천문(天文) 下 | |
권22 | 지17 | 오행(五行) 上 | |
권23 | 지18 | 오행(五行) 下 | |
권24 | 지19 | 식화(食貨) | |
권25 | 지20 | 형법(刑法) | |
권26 | 지21 | 백관(百官) 上 | |
권27 | 지22 | 백관(百官) 中 | |
권28 | 지23 | 백관(百官) 下 | |
권29 | 지24 | 지리(地理) 上 | |
권30 | 지25 | 지리(地理) 中 | |
권31 | 지26 | 지리(地理) 下 | |
권32 | 지27 | 경적(經籍) 1 | |
권33 | 지28 | 경적(經籍) 2 | |
권34 | 지29 | 경적(經籍) 3 | |
권35 | 지30 | 경적(經籍) 4 |
《수서》의 지(志)는 남북조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경적지」는 중국 고대 서적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율력지」에는 조충지가 원주율을 3.1415927까지 계산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유럽보다 훨씬 앞선 것이다.
4. 3. 열전(列傳)
《수서》의 열전은 전체 85권 중 권36에서 권85까지 총 50권으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핵심적인 부분이다. 열전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첫째, 권36, 권43, 권44, 권59는 문제와 양제의 후비, 형제, 아들에 관한 것으로 황제 일가친척의 열전이다.
둘째, 권37에서 권42, 권46에서 권58, 권60에서 권70, 권85는 신하들에 관한 기록이다.
셋째, 권71에서 권80은 인물의 행적과 성취에 따라 열 부분으로 나누어 기록했다.
넷째, 권81에서 권84는 수나라 주변 이민족들을 동이, 남만, 서역, 북적으로 나누어 기록했다. 이 중 동이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이, 북적에는 돌궐과 거란 등이 수록되어 있다.[1]
특히, 고구려 관련 자료는 열전 전체에 걸쳐 풍부하게 나타난다. 우중문, 우문술 등 고구려 원정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열전과, 내호아전에서는 612년 2차 전쟁 때 대동강까지 진격했다가 패퇴하는 과정과 614년 4차 전쟁 때 비사성을 함락하고 평양성으로 진격하려다 철군하는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고려전에는 고구려의 형성과 관직, 풍속, 수 문제가 평원왕에게 서신을 보내 입조를 요구하는 과정, 고구려·말갈 연합군의 수나라 공격, 양제의 3차례에 걸친 고구려 침공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 외에 고구려사 관련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수서》 열전의 기록은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1]
《수서》 열전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부제 | 목록 |
---|---|---|
권36 | 열전1 | 문헌독고황후, 선화진부인, 용화채부인, 양제소황후 |
권37 | 열전2 | 이목, 이혼, 이순, 이숭, 이민, 양예 |
권38 | 열전3 | 유방, 정역, 류구, 황보적, 위굉, 노분 |
권39 | 열전4 | 우의, 우선도, 선민, 음수, 음세사, 골의, 두영정, 원경산, 원웅, 두로적, 두로육, 두로통, 하약의 |
권40 | 열전5 | 양사언, 양강, 양묵, 우문흔, 왕의, 원해, 왕세적, 우경칙, 원주 |
권41 | 열전6 | 고경, 소위, 소기 |
권42 | 열전7 | 이덕림 |
권43 | 열전8 | 하간왕 홍, 순국공, 의성공공 처강, 양처악, 양자숭, 관덕왕 웅, 양공인, 양달 |
권44 | 열전9 | 등목왕 찬, 회화현공 륜, 도도왕 정, 위소왕 상, 위왕 집, 채왕 지적 |
권45 | 열전10 | 방릉왕 용, 진효왕 준, 서인 수, 서인 량 |
권46 | 열전11 | 조규, 조분, 양상희, 장손평, 원휘, 위사, 양이, 소효자, 이웅, 장규 |
권47 | 열전12 | 위세강, 위광, 위예, 위충, 위수, 류기, 류술, 류단, 류숙, 류웅량, 류건지, 류앙, 류조 |
권48 | 열전13 | 양소, 양약, 양문사, 양문기 |
권49 | 열전14 | 우홍 |
권50 | 열전15 | 우문경, 이례성, 원효거, 원포, 곽영, 방황, 이안 |
권51 | 열전16 | 장손람, 장손치, 장손성 |
권52 | 열전17 | 한금호, 한승수, 한홍, 하약필 |
권53 | 열전18 | 달해장유, 하루자간, 사만세, 유방, 풍욱, 왕강, 이충, 양무통, 진영귀, 방조 |
권54 | 열전19 | 왕장술, 이연, 이루겸, 전인공, 원형, 두정, 이철, 최팽 |
권55 | 열전20 | 두언, 고만, 이주창, 주요, 독고해, 걸복혜, 장위, 화홍, 후막진영 |
권56 | 열전21 | 노개, 영호희, 설주, 우문필, 장형, 양왕 |
권57 | 열전22 | 노사도, 노창형, 이효정, 설도형, 설유 |
권58 | 열전23 | 명극양, 위담, 륙상, 후백, 두대경, 신덕원, 류변, 허선심, 이문박 |
권59 | 열전24 | 원덕태자 소, 제왕 간, 조왕 고 |
권60 | 열전25 | 최중방, 우중문, 우의, 우새, 단문진 |
권61 | 열전26 | 우문술, 운정흥, 곽연 |
권62 | 열전27 | 왕소, 원엄, 유행본, 양비, 류욱, 조척, 배숙 |
권63 | 열전28 | 번자개, 사상, 원수, 양의신, 위현, 유권 |
권64 | 열전29 | 이원통, 진무, 장정화, 장윤, 맥철장, 침광, 내호아, 어거라, 진릉, 왕변, 곡사만선 |
권65 | 열전30 | 주라후, 주법상, 이경, 모용삼장, 설세웅, 왕인공, 권무, 토만서, 동순, 조재 |
권66 | 열전31 | 이악, 포홍, 배정, 류장, 원사, 랑무, 고구, 장건위, 영비, 륙지명, 방언겸 |
권67 | 열전32 | 우세기, 배온, 배구 |
권68 | 열전33 | 우문개, 염비, 하추 |
권69 | 열전34 | 왕소, 원충 |
권70 | 열전35 | 양현감, 이자웅, 조원숙, 곡사정, 유원진, 이밀, 배인기, 배행엄 |
권71 | 열전36 | 유홍, 황보탄, 도모, 경소, 유원, 풍자명, 장수타, 양선회, 독고성, 원문도, 노초, 유자익, 요군소, 진효의, 장계순, 두송빈 |
권72 | 열전37 | 륙언사, 전덕무, 설준, 왕반, 양경, 곽준, 전익, 뉴회, 랑방귀, 이덕요, 서효숙 |
권73 | 열전38 | 양언광, 번숙략, 조궤, 방공의, 공손경무, 신공의, 류검, 곽현, 경숙, 유광, 왕가, 위덕심 |
권74 | 열전39 | 저적사문, 전식, 연영, 조중경, 최홍도, 최홍승, 원홍사, 왕문동 |
권75 | 열전40 | 원선, 신언지, 하타, 소해, 포개, 방휘원, 마광, 유착, 유현, 저휘, 고표, 노세달, 장충, 왕효적 |
권76 | 열전41 | 유진, 왕회, 최표, 제갈영, 손만수, 왕정, 우작, 신대덕, 왕주, 유자직, 반휘, 두정현, 두정장, 상득지, 윤식, 유선경, 조군언, 공덕소, 유빈 |
권77 | 열전42 | 이사겸, 최곽, 최색, 서칙, 장문서 |
권78 | 열전43 | 유계재, 유질, 노태익, 경순, 위정, 내화, 소길, 양백추, 임효공, 유우, 장주현, 허지장, 만보상, 왕영언 |
권79 | 열전44 | 려영길, 독고라, 독고타, 소궤, 소종, 소환 |
권80 | 열전45 | 란릉공주, 남양공주, 양성왕 각비, 화양왕 해비, 초국부인, 정선과모, 효녀왕순, 한기처, 륙양모, 유창녀, 종사웅모, 효부담씨, 원무광모, 배륜처, 조원개처 |
권81 | 열전46 | 고려, 백제, 신라, 말갈, 류구, 왜국 |
권82 | 열전47 | 림읍, 적토국, 진랍, 파리 |
권83 | 열전48 | 토욕혼, 당항, 고창, 강국, 안국, 석국, 여국, 언기, 구자, 소륵, 우전, 토화라, 읍달, 미국, 사국, 조국, 하국, 오나갈, 목국, 파사, 조국, 부국 |
권84 | 열전49 | 돌궐, 서돌궐, 철륵, 해, 거란, 실위 |
권85 | 열전50 | 우문화급, 우문지급, 사마덕간, 배건통, 왕충, 단달 |
5. 한국어 번역
권용호 교수가 우리말로 옮겼으며,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모두 간행했다.
제목 | 권차 | 발행일자 |
---|---|---|
수서 열전1 | 36~55권 | 2020년 4월 28일 |
수서 열전2 | 56~70권 | 2020년 4월 28일 |
수서 열전3 | 71~85권 | 2020년 4월 28일 |
수서 경적지 | 32~35권 | 2020년 8월 28일 |
수서 지리지 | 29~31권 | 2020년 8월 28일 |
수서 제기 | 1~5권 | 2021년 2월 28일 |
수서 백관지 | 26~28권 | 2021년 6월 28일 |
수서 식화지·형법지 | 24~25권 | 2021년 7월 28일 |
수서 오행지 | 22~23권 | 2021년 9월 28일 |
수서 예의지 | 6~12권 | 2021년 12월 28일 |
수서 음악지 | 13~15권 | 2022년 6월 28일 |
수서 천문지 | 19~21권 | 2022년 12월 5일 |
수서 율력지 | 16~18권 | 2023년 7월 25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