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나무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나무속(Sassafras)은 녹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속으로, 3종의 현존 종과 1종의 멸종 종으로 구성된다. 이 속은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독특한 잎 모양과 향기를 가지고 있다. 찰나무속 식물은 요리, 약용, 방향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사사프라스 오일은 향료 및 살충제 시너지 화합물 제조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사프라스 오일에 포함된 사프롤의 발암성 때문에 식품 및 의약품 사용은 제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녹나무과 -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멕시코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녹나무과 아보카도나무의 배 모양 열매로, 높은 지방 함량과 영양가로 인해 '숲의 버터'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지만, 최근 재배로 인한 환경 및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녹나무과 - 월계수
월계수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잎은 향신료로, 잎과 열매는 약용으로 사용되며,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녔고, 요리, 약용,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1825년 기재된 식물 - 석류풀과
석류풀과는 약 9개 속과 80여 종으로 구성된 속씨식물 과이며, Adenogramma, Coelanthum, Glinus, Glischrothamnus, Mollugo 등을 포함한다. - 1825년 기재된 식물 - 헤르난디아과
헤르난디아과는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나무, 관목, 덩굴 식물로 이루어진 과이며, 잎은 어긋나고 꽃은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녹나무과, 모니미아과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 비목재 임산물 - 송이
송이는 소나무 숲에서 자라는 고가의 식용 버섯으로, 독특한 향을 지니며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지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채취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 위기종으로 등재되었고, 인공 재배가 어려워 자연산만이 유통된다. - 비목재 임산물 - 후추
후추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후추나무 열매를 말린 향신료로, 수확 및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찰나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목련군 |
목 | 녹나무목 |
과 | 녹나무과 |
속 | 사사프라스속 Sassafras |
학명 | Sassafras J.Presl |
이명 | Pseudosassafras Lecomte |
종 | |
현존 종 | 사사프라스 알비둠 사사프라스 란다이엔세 사사프라스 트즈무 |
멸종 종 | †사사프라스 애슐레이 †사사프라스 콜롬비아나 †사사프라스 헤스페리아 †사사프라스 야베이 |
2. 이름
속명 "사사프라스"는 스페인어 "사사프라스(sasafráses)"를 어원으로 하며, 이는 라틴어로 "돌"을 뜻하는 "삭숨(saxumla)"과 "깨트리다"를 뜻하는 "프랑고(frangōla)"를 조합한 말인 "삭시프라구스(saxifragusla)"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찰나무속은 바위떡풀속(''Saxifraga'')이나 범의귀과(Saxifragaceae)와는 관계가 가깝지 않다.
찰나무속은 암수딴그루의 낙엽성교목이다. 잎은 일반적으로 끝이 3갈래로 갈라지지만, 같은 나무에서도 갈라지지 않는 난형 또는 2갈래인 경우도 많고, 4-5갈래인 경우도 있다. 꽃은 봄에 피는 작은 5갈래 꽃잎이다. 열매는 장과로 검푸르게 익는다.[1]
3. 특징
3. 1. 종에 따른 특징
찰나무속 나무는 키가 9m에서 35m까지 자라며 가늘고 긴 심포디움 가지가 많고 매끄럽고 주황색-갈색 또는 노란색 수피를 가지고 있다.[4] 식물의 모든 부분에서 향기가 난다. 이 종은 같은 식물에 세 가지 뚜렷한 잎 무늬, 즉 갈라지지 않은 타원형, 두 갈래 (장갑 모양) 및 세 갈래 (세 갈래) 잎을 갖는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잎은 거의 다섯 갈래로 갈라지지 않는다.[5] 세 갈래 잎은 북아메리카 종보다 ''Sassafras tzumu''와 ''S. randaiense''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지만, ''S. albidum''에서도 종종 세 갈래 잎이 나타난다. 어린 잎과 작은 가지는 매우 점액질이며 으깨면 감귤류와 같은 향기를 낸다. 작고 노란 꽃은 일반적으로 여섯 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S. albidum''과 (멸종된) ''S. hesperia''는 자웅이주 식물로, 수꽃과 암꽃이 다른 나무에서 피는 반면, ''S. tzumu''와 ''S. randaiense''는 수꽃과 암꽃이 같은 나무에서 핀다. 열매는 핵과이며 익으면 청흑색을 띤다.[1]
세계에서 가장 큰 찰나무는 오웬즈보로, 켄터키에 있으며, 높이가 약 30.48m가 넘고 둘레가 약 6.40m이다.[6][7]
찰나무속(''Sassafras'')은 현존하는 3종과 멸종된 1종, 총 4종을 포함한다. 찰나무속 식물은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각 지역에 두 종이 존재한다. 이들은 세 갈래 잎의 빈도(동아시아 종에서 더 빈번함)와 성 생식 측면(북아메리카 종은 자웅이주) 등 몇 가지 중요한 특징으로 구별된다.
타이완의 타이완사사프라스는 일부 식물학자들에 의해 별개의 속인 ''유슈니아 란다이엔시스''(''Yushunia randaiensis'') (하야타) 카미코티로 취급되지만, 최근의 유전적 증거는 ''사사프라스''가 단계통군임을 보여주므로 이 견해는 지지받지 못한다.
찰나무는 암수딴그루의 낙엽성교목이다. 잎은 일반적으로 끝이 3갈래로 갈라지지만, 같은 나무에서도 갈라지지 않는 난형 또는 2갈래인 경우도 많고, 4-5갈래인 경우도 있다. 꽃은 소형의 5갈래 꽃잎으로 봄에 핀다. 열매는 장과로 검푸르게 익는다.
현존하는 찰나무속의 종은 다음과 같다.
4. 분류
얀 프레슬은 1825년에 보헤미아에서 사사프라스속을 처음 기술했다.[8] '사사프라스'라는 이름은 1569년 식물학자 니콜라스 모나르데스가 붙였으며, 프랑스어 sassafras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라틴어 saxifragala (돌을 깨는"의 의미)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지만,[9][10] 찰나무속 식물은 범의귀과에 속하지 않는다.
초기 유럽 식민지 개척자들은 찰나무속 식물이 델라웨어와 버지니아의 아메리카 원주민에게는 'winauk'로, 티무쿠아족에게는 'pauane'로 불렸다고 보고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흰 사사프라스와 붉은 사사프라스를 구별했는데, 이는 같은 식물의 다른 부분이지만 색깔과 용도가 다른 것을 지칭하는 용어였다.[11] 찰나무속은 독특한 향 때문에 회향 나무(독일어 Fenchelholzde)로 알려졌다.
4. 1. 현존하는 종
학명 | 한국어 이름 | 기타 |
---|---|---|
S. albidum (Nutt.) Nees | 미국찰나무 | 사사프라스, 흰 사사프라스, 붉은 사사프라스, 비단 사사프라스로도 불림. 북미 동부 원산. |
S. tzumu (Hemsl.) Hemsl. | 찰나무 | 중국 사사프라스 또는 '츠무'로도 불림. 중국 중부 및 서남부 원산. |
S. randaiense (Hayata) Rehder | 대만찰나무 | 타이완 원산. 일부 학자들은 별개의 속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유전적 증거는 단계통군임을 지지함. 란다이향나무라고도 불림. |
4. 2. 멸종된 종
- †''Sassafras hesperia'' - 북아메리카 북서부에서 발견되는 시신세의 화석 종이다.[1]
5. 분포 및 서식지
많은 녹나무과 식물들이 강우량과 습도가 높은 환경에 적응한 방향성이 있는 상록수 또는 관목이지만, 찰나무속(''Sassafras'')은 낙엽수이다. 낙엽성 찰나무는 잎을 1년 중 일부 기간 동안 모두 떨구는데, 이는 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15]
찰나무는 일반적으로 탁 트인 숲, 울타리, 또는 밭에서 발견된다. 습하고 배수가 잘 되며 모래 참흙에서 잘 자라며, 다양한 토양 유형을 견디며 분포 지역의 남부 및 습한 지역에서 최대로 생장한다.[16]
''Sassafras albidum''은 북아메리카에서 남부 메인주와 남부 온타리오에서 서쪽으로는 아이오와까지, 남쪽으로는 플로리다 중부와 텍사스 동부까지 분포한다. ''S. tzumu''는 중국 안후이성, 푸젠성, 광둥성, 광시성, 구이저우성, 후베이성, 후난성, 장쑤성, 쓰촨성, 윈난성, 저장성에서 발견될 수 있다.[17] ''S. randaiense''는 타이완이 원산지이다.[18] 현존하는 종으로는 북미 동부에 1종, 동아시아에 2종이 있다.
6. 생태
찰나무속 잎, 껍질, 잔가지, 줄기, 열매는 새와 포유류가 소량 섭취한다. 대부분의 동물에게 찰나무속은 중요한 양만큼 소비되지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중요한 사슴 먹이이다. 찰나무속 잎과 잔가지는 흰꼬리사슴과 호저가 섭취한다. 마멋, 늪토끼, 아메리카흑곰 등도 찰나무속 잎을 먹는다. 토끼는 겨울에 찰나무속 껍질을 먹는다. 아메리카비버는 찰나무속 줄기를 자른다. 찰나무속 열매는 밥 화이트, 동부 제비갈매기, 대모새잡이, 피비, 야생 칠면조, 회색 고양이새, 북부 딱새, 관머리 딱따구리, 애기 딱따구리, 개똥지빠귀, 휘파람새, 북부 흉내지빠귀를 포함한 많은 종의 새들이 먹는다. 일부 소형 포유류도 찰나무속 열매를 섭취한다.[20]
7. 이용
찰나무속 식물은 뿌리, 줄기, 가지, 잎, 껍질, 꽃, 열매 등 모든 부분을 자생 지역과 유럽 등 수입된 지역에서 요리, 약용 및 방향 목적으로 사용해 왔다. 찰나무 목재는 중국, 유럽, 미국에서 선박 및 가구 제작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16세기와 17세기의 아메리카 대륙의 유럽 식민지화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찰나무 가지는 칫솔과 불쏘시개로 사용되었다.[16]
현대에는 찰나무를 재배하고 수확하여 사사프라스 오일을 추출한다. 이것은 살충제 시너지 화합물인 피페로닐 부톡사이드와 같은 다양한 상업 제품 또는 이들의 합성에 사용된다.[39] 이 식물들은 주로 아시아와 브라질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수확된다.[40]
찰나무는 나무 전체에서 감귤류 향기가 나며, 특히 뿌리에서 추출한 정유인 "사사프라스 오일"은 향료로 사용된다. 사사프라스 오일은 사프롤을 주요 성분으로 하지만, 사프롤의 독성 때문에 현재 미국에서는 식품 사용이 금지될 정도로 제한되며, 사프롤을 제거한 오일이 사용된다. 녹나무 등에서 얻어지는 대체품도 많이 사용된다.
찰나무 목재는 독특한 향기를 내며, 펜더 스트라토캐스터에 일시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에릭 존슨의 애용 악기 "버지니아"가 찰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져 시그니처 모델에 사용되었다.[43]
중국에서는 약용으로도 사용되며, 과거에는 뿌리가 루트 비어의 풍미를 내는 데 사용되었다.
7. 1. 요리
사사프라스 알비둠은 미국의 독특한 음식에서 중요한 재료이다. 전통적인 루트 비어와 사사프라스 뿌리 차의 주요 성분이며, 사사프라스의 갈아놓은 잎은 루이지애나 케이준 요리에서 독특한 첨가물로 필레 파우더에 사용되는데, 이는 검보에서 흔히 사용되는 증점제이자 향미료이다. 사사프라스를 이용한 요리법은 미국 토착 재료와 전통적인 북미 및 유럽 요리 기술을 결합하여 독특한 크리올 요리를 만들며, 일부에서는 다양한 문화의 혼합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한다.[21]사사프라스 잎과 꽃은 샐러드에도 사용되었으며, 지방을 향미하거나 육류를 절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24][25] 어린 가지는 생으로 또는 말려서 먹을 수도 있다. 또한 식물의 지하 부분을 껍질을 벗겨 말린 후 끓여 차를 만들 수도 있다.[26]
미국 케이준 요리와 크레올 요리에서는 사사프라스(S. albidum) 잎을 가루로 만든 것을 필레 파우더라고 부르며, 검보의 점도를 높이는 데 사용한다. 잎에는 사프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사사프라스 오일의 주요 성분인 사프롤의 발암성에 대한 건강 우려로 인해 1960년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사사프라스 오일이 대량 생산되는 식품 및 의약품에 사용이 금지된 이후, 사사프라스는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루트 비어에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22][23]
7. 2. 전통 의학
많은 미국 원주민 부족들은 찰나무 잎을 상처에 직접 비벼 치료하고, 여드름, 비뇨기 질환, 고열 등 체온을 높이는 질병과 같은 다양한 의학적 목적으로 찰나무의 여러 부분을 사용했다.[27] 동아시아형 찰나무인 ''S. tzumu''(추 무)와 ''S. randaiense''(추 수)는 류머티즘 및 외상 치료에 중국 의학에서 사용된다.[28] 일부 현대 연구자들은 찰나무의 기름, 뿌리, 껍질이 진통 및 살균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찰나무의 잎, 줄기, 껍질, 뿌리 등 여러 부분은 괴혈병, 피부 궤양, 신장 문제, 치통, 류머티즘, 부기, 월경 장애, 성병, 기관지염, 고혈압, 이질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살균제, 치약, 발적제, 발한제, 향수, 방향제 및 발한제로도 사용된다.[29] 20세기 이전에는 찰나무가 의학 문헌에서 큰 명성을 누렸지만, 다른 약의 맛을 개선하는 능력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30]찰나무 뿌리는 1609년 이른 시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수출되었다.[31]
찰나무 목재와 오일은 모두 치과에서 사용되었다. 초기 칫솔은 향기로운 특성 때문에 찰나무 잔가지나 나무로 만들어졌다.[16] 찰나무는 또한 초기 치과 마취제 및 소독제로 사용되었다.[32][33]
7. 3. 기타
''사사프라스 알비둠''은 독특한 잎과 향기로운 향으로 종종 관상수로 재배된다. 원산지 외에도 유럽 등지에서 가끔 재배된다.[34] 사사프라스 식물의 내구성이 뛰어나고 아름다운 목재는 북미, 아시아, 그리고 유럽에서 조선 및 가구 제작에 사용되었다.[35] 또한 미국 남동부의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나무와 잎에서 발견되는 천연 오일의 인화성 때문에 불쏘시개로 사용했다.[36]찰나무속의 마른 뿌리 껍질을 증류하여 정유를 생산하는데, 이는 사프롤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장뇌, 유제놀(5-메톡시유제놀 포함), 아사론, 다양한 세스퀴테르펜 등 상당한 양의 다양한 화학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다른 많은 나무들도 이와 유사하게 높은 비율을 함유하고 있으며, 추출된 오일은 때때로 사사프라스 오일이라고 불린다.[37] 사프롤은 한때 향수와 비누, 식품, 아로마테라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프롤은 비밀 화학을 통해 MDA 및 MDMA 약물을 불법 제조하기 위한 전구체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사프라스 오일(사프롤을 함유한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혼합물)의 판매 및 수입은 미국에서 엄격하게 제한된다.[38]
사사프라스 오일은 천연 해충 방지제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리큐어(아편 기반의 고프리 코디얼) 및 집에서 만든 술에 강하거나 불쾌한 냄새를 가리기 위해 사용되었다.[16][4] 또한 비누 및 기타 화장품에도 첨가되었다.[32] 그러나 미국에서는 FDA에 의해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지정되어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식품 및 의약품에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22]
나무 전체에서 감귤류 향기가 난다. 특히 뿌리에서 정유인 "사사프라스 오일"을 추출하여 향료로 사용한다. 사사프라스 오일은 사프롤을 주요 성분으로 하지만, 사프롤에 독성이 있어 현재 미국에서는 식품 사용이 금지될 정도로 제한되며, 사프롤을 제거한 오일이 사용된다. 또한 녹나무 등에서 얻어지는 대체품이 많이 사용된다.
그 외에 목재도 사용되지만, 독특한 향기를 낸다. 펜더 스트라토캐스터에 일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에릭 존슨의 애용 악기 "버지니아"가 사사프라스로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져 시그니처 모델에 사용되었다.[43]
중국에서는 약용으로도 사용된다. 과거에는 뿌리가 루트 비어의 풍미를 내는 데 사용되었다.
8. 독성
찰나무속 오일에는 발암 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사프롤이 함유되어 있다.[22][23]
찰나무속의 마른 뿌리 껍질을 증류하여 얻는 정유에는 사프롤 뿐만 아니라 장뇌, 유제놀(5-메톡시유제놀 포함), 아사론, 다양한 세스퀴테르펜 등 다양한 화학 물질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다른 많은 나무들도 이와 유사하게 높은 비율을 함유하고 있으며, 추출된 오일은 때때로 사사프라스 오일이라고 불린다.[37] 사프롤은 한때 향수, 비누, 식품, 아로마테라피에 널리 사용되었다. 사프롤은 비밀 화학을 통해 MDA 및 MDMA 약물을 불법 제조하기 위한 전구체이며, 이로 인해 사프롤을 함유한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사프라스 오일의 판매 및 수입은 미국에서 엄격하게 제한된다.[38]
사사프라스 오일은 또한 천연 해충 방지제로 사용되었으며, 리큐어(아편 기반의 고프리 코디얼) 및 집에서 만든 술에 강하거나 불쾌한 냄새를 가리기 위해 사용되었다.[16][4] 사사프라스 오일은 비누 및 기타 화장품에도 첨가되었다.[32] 미국에서는 FDA에 의해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식품 및 의약품에 사용이 금지되었다.[22]
참조
[1]
간행물
[2]
논문
The sassafras is an ornamental tree. "Middle Eocene Dicotyledonous Plants from Republic, Northeastern Washington"
1987
[3]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Sassafras (Lauraceae) disjunction between eastern Asia and eastern North America
[4]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Their Identification, Ornamental Characteristics, Culture, Propagation and Uses
Stipes Publishing
[5]
웹사이트
Sassafras (includes photo of five-lobed leaf)
https://nobleapps.no[...]
[6]
웹사이트
Sassafras albidum
http://www.uky.edu/A[...]
Kentucky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2009-06-15
[7]
뉴스
The biggest sassafras
http://findarticles.[...]
1994-05-01
[8]
웹사이트
2017-11-30
[9]
서적
Bibliotheca Americana: Catalogue of the John Carter Brown Library in Brown University, Providence, Rhode Island, Volume 1, Part 2
https://books.google[...]
The Library
2014-12-09
[10]
서적
Webster's Revised Unabridged Dictionary
http://machaut.uchic[...]
2014-12-09
[11]
서적
Florida Ethnobotany
https://archive.org/[...]
CRC Press
2004-11-29
[12]
서적
Sauer's Herbal Cures: America's First Book of Botanic Healing, 1762–1778
Routledge
2000-12-19
[13]
간행물
Ann. Rep. Taihoku Bot. Gard
1933
[14]
간행물
Silvics
[15]
서적
Physiology of woody plants
Elsevier
2010
[16]
서적
North American Cornucopia: Top 100 Indigenous Food Plants
CRC Press
2013-09-23
[17]
서적
World Economic Plants: A Standard Reference
CRC Press
1999-02-26
[18]
논문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Sassafras'' (Lauraceae) disjunct between eastern Asia and eastern North America
[19]
서적
Encyclopedia of Entomolog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
간행물
FEIS
[21]
서적
New Orleans Cuisine: Fourteen Signature Dishes and Their Historie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2]
논문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gone bad.
2007-04-01
[23]
웹사이트
Safrole: Human Health Effects
https://toxnet.nlm.n[...]
2017-10-29
[24]
서적
CRC Handbook of Medicinal Spices
CRC Press
2002-09-27
[25]
서적
Native Roots: How the Indians Enriched America
Ballantine Books
1992-09-15
[26]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Skyhorse Publishing
[27]
서적
The Green Pharmacy Herbal Handbook: Your Comprehensive Reference to the Best Herbs for Healing
Rodale Books
2000-12-15
[28]
문서
Wikibooks:Traditional Chinese Medicine/From Sabal Peregrina To Syzygium Samarangense
[29]
문서
Tiffany Leptuck, "Medical Attributes of 'Sassafras albidum' – Sassafras"], Kenneth M. Klemow, Ph.D., Wilkes-Barre University, 2003
[30]
서적
Our Native Trees and How to Identify Them
Charles Scribner's Sons, New York
1900
[3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Mushrooms, Fruits, and Nuts: How to Find, Identify, and Cook Them
https://www.worldcat[...]
FalconGuides
[32]
서적
Medical Toxicology of Natural Substances: Foods, Fungi, Medicinal Herbs, Plants, and Venomous Animals
Wiley
2012-03-07
[33]
서적
Dental Digest
Nabu Press
2010-06-07
[34]
웹사이트
Sassafras albidum (pdf file)
http://www.fs.fed.us[...]
2012-10-04
[35]
서적
Plants of China: A Companion to the Flora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6-30
[36]
서적
William Bartram on the Southeastern Indians (Indians of the Southeast)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2-12-01
[37]
서적
Adverse Effects of Herbal Drugs
Springer Berlin Heidelberg
[38]
법령
Code of Federal Regulations
http://www.deadivers[...]
2016-05-18
[39]
간행물
Insect Control
Wiley-VCH
2002
[40]
웹사이트
Harvesting Trees
http://www.tni.org/a[...]
2015-04-04
[41]
서적
広辞林
三省堂
[42]
웹사이트
CFR -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https://www.accessda[...]
アメリカ合衆国保健福祉省
2020-07-19
[43]
웹사이트
Eric Johnson 1954 "Virginia" Stratocaster
https://www.fender.c[...]
Fender.com
[44]
문서
O Přirozenosti rostlin, aneb rostlinar 2(2): 30, 67
1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