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예수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예수교회는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된 오순절 성령 운동의 영향을 받아 중국에서 설립된 기독교 교단이다. 1917년 베이징에서 창립되었으며, 장영생, 위바울, 장바나바 등이 초기 지도자였다. 참예수교회는 성령 체험, 안식일 준수, 침례 방식을 강조하며, 1949년 중국 공산화 이후 어려움을 겪었으나, 해외로도 확산되어 현재 국제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교리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신성, 성경의 권위, 물 세례, 성령 체험, 안식일 준수 등이 있다. 일부 기독교 교단에서는 이단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삼위일체론 교파 - 모르몬교
모르몬교는 조셉 스미스가 1820년대 미국에서 창시하여 몰몬경을 경전으로 삼고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를 설립했으며, 박해를 피해 유타주로 이주하여 정착, 가족 중심 문화와 사회 봉사 활동을 강조하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1,700만 명이 넘는 신자를 보유한 종교이다. - 1917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는 에스토니아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자치 교회로, 10세기에서 12세기 선교 활동으로 전파되었으나 소련 시대 탄압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갈등을 겪은 후 1996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자치권을 재확인받아 현재 활동 중이다. - 1917년 설립된 종교 단체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기독교계 신흥 종교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기독교계 신흥 종교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1954년 문선명이 설립한 국제적인 신흥 종교 단체로, '원리강론'을 경전으로 하며 문선명을 '참부모'로 믿고, 다양한 논란과 분파 속에서 현재는 문선진이 세계회장직을 맡고 있다.
참예수교회 | |
---|---|
기본 정보 | |
![]() | |
약칭 | TJC |
설립일 | 1917년 |
창립자 | 성령 |
설립 장소 | 베이징, 중국 |
유형 | 기독교 교회 |
본부 | Lakewood, California |
봉사 지역 | 60개 이상 국가 |
교인수 | 1,500,000–3,000,000 명 |
교인수 기준 년도 | 2013년 |
사용 언어 |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베트남어 |
주요 인물 | 바울 웨이, 링성 장, 그리고 바나바 장 (초기 사역자) |
주요 기관 | 국제 총회 |
관련 단체 | 비교파 기독교 |
웹사이트 | tjc.org/ |
2. 역사
20세기 초, 청교도 신앙의 중심지였던 미국에서 오순절 성령 운동이 시작되었다. 1900년 미국의 캔자스주, 텍사스주, 오클라호마주 등에서 순수한 신앙을 추구하는 신앙인들이 기도 모임을 통해 성령을 받고 방언을 말하며 예언하는 등의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이들은 독자적인 기독교 신앙 단체를 조직하고 전 세계에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했으며, 곧 전 세계를 오순절 운동의 열풍 속으로 이끌었다. 이 단체들은 오순절 성령 강림을 경험했던 사도 교회의 순수한 신앙으로 돌아가자는 목표 아래, 신앙인이라면 반드시 성령을 받아 방언을 말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전파했다. 그중 일부 단체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아야 하며, 물에 잠기는 침례 방식으로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미국의 오순절 운동은 기독교의 변방이라 할 수 있는 중국에까지 전파되었다. 사도신심회(Apostolic Faith Church), 신소회(Assembly of God), 오순절회(Pentecostal Church), 하나님의 교회(Church of God) 등의 단체가 중국으로 건너갔다. 1907년 오순절회가 먼저 중국에 전해졌고, 이후 사도신심회가 전해졌다. 사도신심회 소속 번트 번트센(Bernt Berntsen, 노르웨이 출신 미국 선교사) 목사는 1911년 중국 산서성에서 「통전복음진리보」(通傳福音眞理報)라는 전단지를 발행하여 기독교인이라면 반드시 성령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중국의 비(非) 오순절 계통의 교회에서는 '믿으면 구원받고, 그 후에는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면 된다'는 식의 구원관을 가지고 있었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안식일을 지키는 것이 옳다는 것을 깨달았지만, 과거 유대인들처럼 율법적인 안식일을 준수하는 데 그쳤고, 예수가 가르친 은혜의 안식일을 지키는 방법은 알지 못했다. 침례교단에서는 세례를 침례 방식으로 주는 것이 성경적이라고 깨달았지만, 초대 교회처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시행하지 않았고, 침례 자체에 죄 씻음의 효력이 있다고 믿지도 않았다.
이처럼 성령을 받은 증거, 안식일 준수, 침례 방식 등에 대한 이해는 교단별로 부분적으로 존재했지만, 모든 진리를 온전히 갖춘 교회는 없었다. 그러나 중국에 전파된 기독교 신앙 운동을 배경으로, 성령에 의해 시작될 하나님의 종교 개혁의 때가 무르익고 있었다.
참예수교회는 리틀 플록, 예수 가족, 그리스도교 성막과 같은 다른 토착 기독교 단체들과 함께 독립적으로 생겨났다.[4] 1917년에 설립된 이 교회의 초기 신자들은 허베이성과 산둥성[5]에서 중국의 사도 신앙 선교회,[6]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 세계 오순절 성회의 특정 카리스마적 관습, 특히 병 고침, 성령 세례, 발 씻김, 안식일 준수의 영향을 받았다.
초기 사역자 중 한 명인 웨이 바오뤄(위언보, 1877–1919)는 1917년에 영국 선교사 새뮤얼 에반스 미치가 이끄는 런던 선교회 베이징 지부의 전 멤버였으며, 번트 번트센의 영향으로 오순절 신자가 되었다. 그는 성령의 감동으로 번트센의 그룹을 떠났고, 1919년 결핵으로 사망했다.[8]
장링성(1863–?)과 장바나바(1882–1961)도 초기 사역자였다.[9] 장링성은 웨이 바오뤄를 설득하여 안식일을 지키도록 하였고, 장바나바는 1929년에 그룹을 떠나 홍콩에서 경쟁 단체를 설립했다.
중국 본토에서 웨이 바오뤄의 아들 웨이원샹(魏文祥, 아이작 웨이, 魏以撒, c. 1900–?)이 참예수교회의 사역자로 등장하여, 교회의 국제적 확장을 이끌고 효과적인 관료주의를 확립했다.[10]
1949년까지 신자 수는 700개 교회에서 약 명으로 증가했다.[11] 그러나 중국 내전과 정권 교체로 인해 중국 내 교회들과의 연락이 두절되었다. 1951년, 아이작 웨이는 체포되어 "실종"되었고, 그의 사망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다. 리정청(李正誠, ca. 1920–1990)이 아이작 웨이를 대신하여 참예수교회의 주요 지도자가 되었고, 정부의 요청에 따라 삼자애국운동에 참여했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 이전과 그 기간 동안 박해가 계속되었고, 리정청은 20년 이상을 감옥에서 보냈다. 중국 내 상황으로 인해 해외의 참예수교회는 자율성을 선포했으며, 본부는 처음에는 타이완에, 1985년부터는 미국에 있었다. 중국 지부는 문화 대혁명 이후와 덩샤오핑의 개혁 이후에 삼자교회의 일부로 재구성되었고, 여전히 중국에서 상당한 추종자를 두고 있다.[12]
오늘날 참예수교회 신자는 6개 대륙의 60개국 이상에 있으며, 학자들에 따르면 전체 신자 수는 최대 명에 이를 수 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1900-1949)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된 오순절 성령 운동은 중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1900년 미국 캔자스주, 텍사스주, 오클라호마주 등에서 성령 체험을 한 신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0] 1906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성령의 불" 체험이 보고되며, 오순절 운동이 확산되었다.[22] 사도신심회, 신소회(Assembly of God), 오순절회(Pentecostal Church), 하나님의 교회(Church of God) 등 여러 단체가 중국 선교에 참여했다.1907년, 사도신심회 소속 미국 선교사 번슨(Bernt Berntsen)[22]이 중국에 파견되었다. 당시 중국 교회들은 성령 체험, 안식일 준수, 침례 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장영생(張靈生), 위바울(魏保羅), 장바나바(張巴拿巴) 등 초기 지도자들이 등장했다.
인물 | 출신 | 주요 활동 |
---|---|---|
장영생(張靈生) | 산둥성 | 1900년 장로교 입교, 1910년 성령 체험, 안식일 준수 주장 |
위바울(魏保羅) | 허베이성 | 1916년 성령 체험, 1917년 침례, 참예수교회 설립 주도, 만국갱정교보(萬國更正敎報) 발행 |
장바나바(張巴拿巴) | 1919년 안수, 1920년대 중국 각지 전도, 1930년 독자 교단 설립 |
1917년, 베이징에서 참예수교회가 정식으로 설립되었다.[4] 1918년, 장영생이 위바울을 만나 참예수교회에 합류했다. 위바울은 1919년 2월 1일부터 만국갱정교보(萬國更正敎報)를 발행하여 참예수교회 진리를 전파했다.
1919년, 위바울 사망 후 장바나바가 전도 활동을 주도했다. 1926년, 난징에서 신학 교육 과정이 개설되고, 제3차 전체대표대회를 통해 주요 교리가 확립되었다. 1927년, 총부가 상하이로 이전되었고, 장바나바는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선교를 확장했다.
1930년, 장바나바가 독자적인 교단(중화 참예수교회)을 설립하여 제명되었다. 항일전쟁 기간 동안 총부는 충칭으로 이전했다. 1945년, 총회가 설립되고, 난징으로 복귀했다. 1947년, 제11차 전체대표대회 보고에 따르면, 중국 내 신도 수는 약 8만 명에 달했다.[4] 1949년 중국 공산화 이후, 교회는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2. 2. 중국 공산화 이후 (1949-현재)
중국 본토의 참예수교회 신도들 대부분은 삼자애국운동 회원이면서, 삼자애국운동 교회 건물에서 별도의 안식일 준수 분파로서 토요일에 모임을 갖는다.[13] 그러나, 참예수교회의 치유와 방언 같은 관행은 삼자애국운동에서 "눈살을 찌푸리게" 하므로,[13] 다른 교회들은 독립적인 중국 가정교회이다.[14]2. 3. 국제적 확산
1925년 이후, 참예수교회는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복음은 중국에서 타이완으로, 더 나아가 동남아시아와 일본, 한국으로 퍼져나갔다.[20] 1960년대 이후, 영국, 미국 등 전 세계로 교회가 확장되었다.[10]1967년, 중국 본토 외 지역의 교회 지도자들이 타이완에서 제1회 세계 대표자 회의를 열었고, 타이중에 신학교가 개설되면서 국제 본부가 설립되었다.[9] 이 본부는 1985년에 캘리포니아로 이전되었다.[9] 캘리포니아에 있는 참예수교회 중앙 시노드를 따른다.[15]
오늘날, 참예수교회 신자는 6개 대륙의 60개국 이상에 있다. 학자들에 따르면, 전체 신자 수는 최대 명에 이를 수 있다.
3. 주요 교리
참예수교회는 1917년 중국 베이징에서 시작된 기독교 독립교회로, 오순절교회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들은 아래와 같은 10가지 주요 교리를 믿음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 예수 그리스도: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으로, 죄인을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유일한 구원자이시다.
- 성경: 신약과 구약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된 유일한 진리이자 신앙생활의 기준이다.
- 참예수교회: 후기 비 시대에 성령을 통해 세워진, 사도 시대의 교회를 회복한 것이다.
- 물세례: 죄 사함과 거듭남을 위한 예식으로, 자연수에서 몸을 완전히 잠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성령: 방언을 동반하며, 천국을 상속받는 증거이다.
- 세족례: 주님과의 연합, 사랑, 거룩함, 겸손, 용서, 섬김을 가르치는 예식이다.
- 성찬례: 주님의 죽음을 기념하며, 무교병과 포도즙을 사용하여 주님의 살과 피에 동참하는 예식이다.
- 안식일: 하나님께서 복 주신 거룩한 날(토요일)로, 창조와 구원을 기념하며 영원한 안식을 소망한다.
- 구원: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며, 성령에 의지하여 거룩함을 추구하고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 최후의 심판: 주님의 재림 때 이루어지며, 의인은 영생을, 악인은 영벌을 받는다.
3. 1. 10대 교리
번호 | 교리 | 내용 |
---|---|---|
1 | 예수 그리스도 | 말씀이 육신이 되신 분으로, 죄인을 구원하기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사흘 만에 부활하여 승천하셨다. 인류의 유일한 구주이시며, 천지의 창조주이시고, 유일하신 참 하나님이시다.[19] |
2 | 성경 | 신약과 구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었고, 유일한 성경적 진리이며, 기독교인의 삶의 기준이다.[19] |
3 | 참예수교회 | 후기 비 시대에 성령을 통해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졌으며, 사도 시대의 참된 교회를 회복한 것이다.[19] |
4 | 물세례 | 죄 사함과 거듭남을 위한 성례이다. 강, 바다, 샘과 같은 자연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물세례와 성령을 받은 세례자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집행한다. 세례를 받는 사람은 머리를 숙이고 얼굴을 아래로 향한 채 물에 완전히 잠겨야 한다.[19] |
5 | 성령 | 성령을 받고 방언으로 말하는 것은 천국을 상속받는 증거이다.[19] |
6 | 세족례 | 주 예수와 함께하는 은혜를 누리게 한다. 또한 사랑, 거룩함, 겸손, 용서, 섬김을 끊임없이 기억하게 한다. 물세례를 받은 모든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발을 씻어야 한다. 서로의 발을 씻어주는 것은 적절한 때에 행할 수 있다.[19] |
7 | 성찬례 | 주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기념하는 성례이다. 성찬을 통해 성도들은 주의 살과 피를 나누며 그분과 교제하여 영생을 얻고 마지막 날에 부활할 수 있다. 이 성례는 가능한 한 자주 행해야 한다. 무교병과 포도즙만을 사용해야 한다.[19] |
8 | 안식일 | 일주일의 일곱째 날(토요일)이며, 하나님께서 복을 주시고 거룩하게 하신 거룩한 날이다. 이 날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원을 기념하고, 다가올 영원한 안식을 소망하며, 주님의 은혜 안에서 지켜야 한다.[19] |
9 | 구원 |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진다. 믿는 자는 성령에 의지하여 거룩함을 추구하고, 하나님을 경외하며, 인류를 사랑해야 한다.[19] |
10 | 최후의 심판 | 주님의 재림은 마지막 날에 이루어질 것이며, 그분은 세상을 심판하기 위해 하늘에서 내려오실 것이다. 의로운 자는 영생을 얻고, 악인은 영원히 정죄받을 것이다.[19] |
4. 비판
일부 기독교 교단에서는 참예수교회를 기독교 또는 개신교의 한 분파로 보기 어렵다고 간주한다.[21] 도쿄기독교대학 국제선교센터・일본선교리서치의 『JMR 조사 보고서(2017년 4월)』에서는 예수성령교단, 만국복음교단 등과 함께 참예수교회를 이러한 그룹 중 하나로 꼽았다.[21]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Infobase
[2]
서적
The Future of Pentecostalism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3]
서적
An Introduction to Pentecostalism: Global Charismatic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Chinese Christianity: An Interplay between Global and Lo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BRILL
[5]
서적
Christianity in China: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Stan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Wm. B. Eerdmans
[7]
서적
China's Christian Millions
Oxford
2006
[8]
문서
China and the True Jesus: Charisma and Organization in a Chines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True Jesus Church
ABC-Clio
[10]
문서
[11]
서적
God and Caesar in China: Policy Implications of Church-state Tensions
Rowman & Littlefield
[12]
문서
[13]
서적
Religion in China Tod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Christianity in Contemporary China Socio-cultural Perspectives
Routledge
[15]
서적
The Protestant Community on Modern Taiwan
M.E. Sharpe
[16]
서적
The Last Half Century of Chinese Overseas
Hong Kong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ree Generations, Two Languages, One Family: Language Choice and Language Shift in a Chinese Community in Britain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1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Bloomsbury Publishing USA
[19]
웹사이트
Statement of Faith
http://www.tjc.org/a[...]
True Jesus Church
2014-06-01
[20]
문서
Indigenous Protestant Churches in China, 1900-1937: A Pentecostal Case Study
[21]
문서
JMR調査レポート(2017年4月)
http://www.tci.ac.jp[...]
[22]
문서
Indigenous Protestant Churches in China, 1900-1937: A Pentecostal Case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