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체스 기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스 기물은 체스 게임에 사용되는 여섯 종류의 기물을 의미한다.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으로 구성되며, 각 기물은 고유한 움직임과 가치를 지닌다. 폰은 승진을 통해 다른 기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체스 기물은 기물의 종류, 가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전략적 역할을 수행한다. 체스 세트는 기물의 디자인과 모양이 다양하며, 변형 체스에서는 특수한 기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기물의 명칭은 언어에 따라 다르며, 기보 및 표기에도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스 도구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 체스 도구 - 체스판
    체스판은 체스 등의 보드 게임을 위해 8개의 가로줄과 8개의 세로줄로 이루어진 64개의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두 가지 색깔이 번갈아 칠해진 판이며,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고 고유한 기보법을 사용한다.
  • 체스의 기물 - 퀸 (체스)
    퀸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칸 수 제한 없이 이동하며 가장 강력한 기물로 평가받고, 룩과 비숍의 움직임을 결합한 형태로 폰 9개의 가치를 지닌다.
  • 체스의 기물 - 룩 (체스)
    룩은 체스 기물 중 하나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이동하며 캐슬링에 참여할 수 있고, 폰 5개와 유사한 가치를 가지며 중반 및 종반에 강력한 공격력을 발휘한다.
  • 체스 - 아티피셜 캐슬링
  • 체스 - 대국 시계
    대국 시계는 체스, 장기, 바둑 등 시간제한 경기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모래시계에서 디지털 시계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시간 측정 방식과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공정한 경기 진행을 위한 규칙과 게임별 사용 방식의 차이가 있다.
체스 기물
개요
체스 기물
표준 체스 기물 세트
종류보드 게임
인원2명
장비체스판, 체스 기물
체스 기물
종류

나이트
비숍

기물의 색흰색
검은색
움직임기물마다 고유한 움직임 방식 존재
역할상대방의 킹을 잡는 것 (체크메이트)
체스 기물의 명칭 (한국어)
졸(卒)
차(車)
나이트기사(騎士), 말
비숍상(象), 주교(主敎)
여왕(女王), 퀸
왕(王), 킹
체스 기물의 명칭 (일본어)
歩兵 (후효)
飛車 (히샤)
나이트桂馬 (게이마)
비숍角行 (가쿠교)
女王 (조오)
国王 (고쿠오)
기타
유니코드U+2654 부터 U+265F 까지 (체스 기호)

2. 기물의 종류 및 가치

체스에서 각 플레이어는 색상으로 구분되는 16개의 기물로 게임을 시작한다. 밝은 색 기물은 "백색", 어두운 색 기물은 "흑색"으로 불린다.[1]

"기물" 또는 "피스"(pieceeng)라는 단어는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다를 수 있다.[1] 가장 넓은 의미로는 을 포함한 6종류의 모든 기물, 즉 체스맨(chessmaneng) 전체를 가리킨다.[2][3] 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폰을 제외한 , , 비숍, 나이트만을 "피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때 이 포함되기도 한다.)[4] 이 좁은 의미의 피스는 다시 중요도에 따라 퀸과 룩을 메이저 피스(major pieceeng, 대기물), 비숍과 나이트를 마이너 피스(minor pieceeng, 소기물)로 나누기도 한다.[4] 또한, "기물을 얻다/잃다/희생하다"와 같은 표현에서는 주로 마이너 피스(비숍 또는 나이트)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5]

체스 기물은 고유한 움직임 방식과 상대적인 가치를 가지며, 기본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다.



각 기물의 구체적인 움직임과 역할, 그리고 상대적인 가치 점수는 게임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물의 가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게임의 상황이나 기물의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2. 1. 기물의 종류

각 플레이어는 16개의 기물로 게임을 시작한다. (하지만 '기물'이라는 용어는 다른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어의 기물은 색상으로 구분되는데, 밝은 색 기물은 "백색"이라 부르고 이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는 "백"이라 하며, 어두운 색 기물은 "흑색"이라 부르고 이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는 "흑"이라 한다.

체스 기물은 움직임과 가치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표준적인 체스 게임에서 각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기물의 종류와 개수는 다음과 같다.

각 플레이어의 시작 기물 구성
기물 종류개수비고
1개가장 중요한 기물
1개가장 강력한 기물
2개
비숍2개
나이트2개L자 형태로 움직이는 유일한 기물
8개앞으로만 전진하며, 특정 조건에서 다른 기물로 승진 가능



은 상대방 진영의 마지막 칸에 도달하면 승진하여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하나로 바뀔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론적으로 한 플레이어는 원래 가지고 있던 기물을 포함하여 퀸을 최대 9개, 룩, 비숍, 나이트를 각각 최대 10개까지 가질 수도 있다.

이 6가지 기본적인 기물 외에도, 일부 체스 퍼즐이나 변형 체스에서는 "나이트 라이더"나 "아마존"과 같은 특수한 기물(페어리 기물)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체스 게임에서는 먼저 두는 쪽을 "백", 나중에 두는 쪽을 "흑"이라고 부른다. 각 기물을 구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기물을 사용하며, 오늘날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스탠튼식" 세트에서는 양쪽 기물의 모양은 같고 색상만 다르다(흑색 기물이 백색 기물보다 어둡다). 스탠튼식 외에 백과 흑의 기물 모양이 완전히 다른 세트도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체스 세트 문단에서 다룬다.

쇼기와 같은 다른 보드 게임과 달리, 체스에서는 기물을 놓는 방향은 게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기보나 컴퓨터 체스 프로그램 등에서는 보통 모든 기물을 같은 방향으로 표시하며, 특히 나이트는 왼쪽을 향하도록 두는 경우가 많다.

2. 2. 기물의 가치

체스 기물에 할당된 가치는 게임에서 기물의 잠재적인 강점을 나타내기 위한 시도이다.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기물의 상대적인 가치도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열린 게임'에서는 비숍이 상대적으로 더 가치가 있다. 비숍은 길고 열린 대각선 공간을 제어하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보호된 폰의 행이 비숍의 길을 막는 '닫힌 게임'에서는 나이트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강력해진다. 비슷한 아이디어로 룩을 열린 파일에 배치하거나 나이트를 활동적이며 중요한 '중앙 칸'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표준적인 기물 가치는 폰 1점, 나이트 또는 비숍 3점, 룩 5점, 퀸 9점으로 평가된다.[8] 킹의 가치는 체크메이트되면 게임이 끝나므로 사실상 무한대로 간주된다. 이러한 가치는 기물 수가 적어지는 엔드게임에서 특히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포지션이나 게임의 단계(오프닝, 미들게임, 또는 엔드게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숍 쌍'(두 개의 비숍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태)은 평균적으로 추가로 반 폰(0.5점) 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여겨진다.[9] 특정 상황에서는 가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칸을 공격하여 '조임수 메이트'와 같은 체크메이트 공격을 성공시킬 수 있다면, 때로는 나이트가 퀸보다 더 가치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폰이 상대 진영 끝까지 도달하여 퀸 등으로 승급하는 것에 가까워질수록 그 가치는 더욱 커진다.

체스 게임을 유리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기물 가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체스에서는 각 기물의 가치 척도로서 폰을 기준으로 한 다음의 점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기물별 상대 가치 점수
style="width:5em"|비숍나이트
기물 가치∞(무한대) [11]953
(3.15–3.25)[12]
31



이 점수를 이용하여 보드 위의 양측 전력이나 기물 교환 시에 발생한 손익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보드 위의 기물 손익 요소를 머테리얼(material)이라고 부르며, 기물에서 이득을 본 상태를 머테리얼 어드밴티지(material advantage)라고 한다. 이는 기물의 수적 우위보다는 진형상의 우위를 의미하는 포지셔널 어드밴티지(positional advantage)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게임 상황은 항상 변화하므로, 현재 기물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물의 위치 관계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나이트는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활동 범위가 넓어져 기물 가치도 높아진다. 한편, 룩이나 비숍과 같이 멀리 이동할 수 있는 기물(롱 레인지 기물)은 다른 기물을 뛰어넘어 움직일 수 없으므로, 다른 기물에 둘러싸이지 않아야 활동 범위가 넓어져 기물 가치가 높아진다. 나이트와 비숍은 거의 같은 가치(3점)를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중앙에 폰이 밀집한 국면에서는 여러 방향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나이트가, 폰의 수가 적어져 열린 공간이 많은 국면에서는 멀리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숍이 각각 더 유리하다고 여겨진다.

3. 기물의 움직임

체스 규칙은 각 체스 기물이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규정한다. 게임 중에 플레이어는 자신의 기물을 번갈아 움직인다. 각 기물은 다음과 같이 고유한 방식으로 움직인다.


  • '''''':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경로를 가로막는 다른 기물이 없는 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다. 킹과 함께 캐슬링에 참여한다.
  • '''비숍''': 대각선 방향으로, 경로를 가로막는 다른 기물이 없는 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다. 게임 내내 같은 색깔의 칸에만 머무른다.
  • '''''':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경로를 가로막는 다른 기물이 없는 한 원하는 만큼 이동할 수 있다.
  • '''''': 모든 방향으로 인접한 칸으로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체크 상태가 되거나 체크 상태를 통과하는 곳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며, 특정 조건 하에 캐슬링을 할 수 있다.
  • '''나이트''': L자 형태로 두 칸 이동 후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는 유일한 기물이다.
  • '''''': 기본적으로 앞으로 한 칸씩 이동하며, 처음 위치에서는 두 칸 이동할 수도 있다. 대각선 앞의 적 기물을 잡을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 앙파상이라는 특수한 방법으로 다른 을 잡을 수 있다. 상대 진영 끝에 도달하면 , , 비숍, 나이트 중 하나로 프로모션해야 한다.[6]


앙파상의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기물은 상대방 기물이 있는 칸으로 이동하여 그 기물을 잡는다. 잡는 기물은 상대 기물을 대체하며, 잡힌 기물은 체스판에서 즉시 제거된다. 체스판의 한 칸에는 오직 하나의 기물만 놓일 수 있다. 또한, 나이트의 이동과 캐슬링을 제외하고는 다른 기물을 뛰어넘어 이동할 수 없다.[7]

3. 1. 킹 (King)

킹(King)은 가로, 세로, 대각선 어떤 방향으로든 인접한 모든 칸으로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킹이 상대방 기물의 공격 범위 안에 들어가는 상황을 체크(Check)라고 한다. 킹이 체크 상태에 놓이면, 반드시 다음 수에 체크 상태에서 벗어나야 한다. 킹을 움직이거나, 공격하는 기물을 잡거나, 다른 기물로 공격 경로를 막는 방법으로 체크에서 벗어날 수 있다. 만약 어떤 방법으로도 체크를 벗어날 수 없다면 체크메이트(Checkmate)가 되어 게임에서 패배한다.

또한, 킹은 스스로 체크 상태가 되는 위치로 움직일 수 없다. 만약 체크 상태는 아니지만, 킹이 합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칸이 없고 다른 기물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라면 스테일메이트(Stalemate)가 되어 게임은 무승부로 끝난다.

킹에게는 캐슬링이라는 특별한 이동 규칙이 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킹과 이 한 번에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캐슬링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7]

  • 킹과 캐슬링하려는 쪽의 룩이 게임 시작 이후 한 번도 움직이지 않았어야 한다.
  • 킹과 해당 룩 사이에 다른 기물이 없어야 한다.
  • 킹이 현재 체크 상태가 아니어야 한다.
  • 킹이 이동하는 경로(두 칸)와 도착하는 칸이 상대방 기물의 공격을 받고 있지 않아야 한다. (즉, 체크 상태를 통과하거나 체크 상태인 칸으로 이동할 수 없다.)


캐슬링 시 킹은 룩 방향으로 두 칸 이동하고, 룩은 킹이 넘어간 칸으로 이동한다.

3. 2. 퀸 (Queen)

퀸(Queen)은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방해하는 기물이 없는 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이는 비숍의 이동 능력을 합친 것과 같다. 원래 이 기물의 역할은 참모였으나, 체스영국으로 전파되면서 여왕으로 명칭과 상징성이 변경되었다. 퀸의 기물 가치는 일반적으로 9점으로 평가된다.

3. 3. 룩 (Rook)

룩(Rook)은 가로나 세로 방향으로, 경로상에 다른 기물이 없을 경우 원하는 만큼 칸을 이동할 수 있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는 없다. 장기의 차(車)와 움직임이 같다. 룩은 킹과 함께 캐슬링이라는 특별한 이동을 할 수 있다. 기물의 가치는 5점이다.

3. 4. 비숍 (Bishop)

비숍(Bishop)은 대각선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7] 단, 다른 기물이 경로를 가로막고 있으면 그 너머로 이동할 수 없다.[7]

비숍은 게임 시작 시 배치된 칸의 색깔과 같은 색깔의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즉, 흰색 칸에서 시작한 비숍은 게임 내내 흰색 칸으로만, 검은색 칸에서 시작한 비숍은 검은색 칸으로만 움직인다.[6] 이 특징 때문에 비숍은 체스판 전체 칸의 절반밖에 접근하지 못한다.

따라서 전략을 세울 때는 각 비숍이 이동할 수 있는 칸의 색깔 제한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두 비숍이 서로 인접해 있으면 더 넓은 범위를 통제할 수 있어 효율적인 경우가 많다. 비숍의 기물 가치는 일반적으로 3점으로 평가된다.

3. 5. 나이트 (Knight)

나이트는 L자 형태로 움직인다. 이동 방식은 가로 또는 세로로 두 칸을 이동한 후, 그 방향과 수직으로 한 칸을 더 이동하는 것이다. 이는 2x3 크기 직사각형의 한쪽 모서리에서 반대쪽 모서리로 이동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가로로 두 칸 이동 후 세로로 한 칸 이동하거나, 세로로 두 칸 이동 후 가로로 한 칸 이동하는 방식이다.[6][7]

나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기물을 뛰어넘어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체스의 기물 중 나이트만이 가진 고유한 능력이다.[7] 장기마(馬)와 움직임이 비슷하지만, 장기의 마는 이동 경로에 다른 기물이 있으면 넘어갈 수 없는 반면, 체스의 나이트는 경로상에 다른 기물이 있어도 제약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나이트는 움직일 때마다 현재 위치한 칸과 다른 색상의 칸으로 이동하게 된다.[6] 기물의 가치는 일반적으로 3점으로 평가되며, 이는 비숍과 비슷한 수준이다. 독특한 행마법으로 인해 강력한 을 견제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3. 6. 폰 (Pawn)

(Pawn)은 앞으로 한 칸씩만 이동할 수 있으며, 뒤나 옆으로는 갈 수 없다. 단, 처음 움직일 때에 한하여 앞으로 두 칸을 전진하는 것이 허용된다. 상대의 기물을 잡을 경우에는 대각선 앞쪽으로 한 칸 이동하여 잡는다. 정면에 있는 상대 기물은 뛰어넘거나 잡을 수 없다. 이 기물의 가치는 통상 1점으로 계산된다.

이 상대 진영의 가장 끝 줄(백 은 8번째 행, 흑 은 1번째 행)에 도달하면, , , 비숍, 나이트 중 원하는 기물 하나로 즉시 바꾸어야 한다. 이를 프로모션(Promotion)이라고 한다.[6]

에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이동 규칙이 있다.

  • '''앙파상'''(En Passant|앙파상프랑스어): 끼리만 적용되는 특수한 잡기 규칙이다. 자신의 이 특정 위치(백 은 5번째 행, 흑 은 4번째 행)에 있을 때, 바로 옆 칸에 있는 상대 이 처음 위치에서 두 칸을 전진하여 자신의 옆을 지나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마치 상대 이 한 칸만 전진한 것처럼 간주하고, 대각선 뒤로 이동하여 그 을 잡을 수 있다. 앙파상은 상대 이 두 칸 전진한 직후, 바로 다음 차례에만 할 수 있는 권리이다. 만약 이 기회를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에 대해서는 더 이상 앙파상으로 잡을 수 없게 된다.[7]

4. 기물 잡기

앙파상의 경우를 제외하고, 상대방 기물이 있는 칸으로 자신의 기물을 이동시켜 그 기물을 잡을 수 있다. 이외의 기물(, 비숍, , , 나이트)은 이동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상대 기물을 잡는다. 은 자신의 바로 대각선 앞 칸에 있는 상대 기물만 잡을 수 있으며, 정면에 있는 기물은 잡을 수 없다. 또한, 은 특정 조건에서 상대 을 잡는 특수한 방법인 앙파상을 할 수 있다. 잡힌 기물은 체스판에서 제거된다. 체스판의 한 칸에는 오직 하나의 기물만 놓일 수 있다.

5. 체스 세트



기물의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며, 약간 장식적인 것부터 동화, 영화, 애니메이션 작품을 테마로 한 것까지 다양하다. 장식적인 기물은 실제 게임에 사용되기보다는 인테리어 등으로 사용된다. 체스 애호가이자 다다이스트만 레이 등 예술가가 디자인한 체스 세트도 있으며, 뉴욕 현대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13]

게임에 사용되는 체스 기물은 대부분 폭보다 높이가 높은 입체물이다. 예를 들어, 체스판의 한 변이 57mm인 경우, 킹의 높이가 95mm인 경우가 있다. 다양한 디자인의 기물을 구할 수 있지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나다니엘 쿠크가 만들고, 19세기 영국의 체스 선수인 하워드 스탠턴의 이름을 딴 스탠턴(Staunton) 디자인이다. 최초의 스탠턴 스타일 세트는 1849년 자크 오브 런던이 만들었다. 나무로 만든 체스 기물은 일반적으로 황양목이나 단풍나무 등 가벼운 나무를 사용한다. 검은색 기물은 짙은 색의 자단이나 흑단, 호두 등을 사용하거나, 황양목 등으로 만들어 검정, 갈색, 빨간색으로 착색한다. 흰색과 검정 또는 빨간색 플라스틱으로 만들기도 한다. 때로는 , 상아, 대리석 등의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체스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물 밑면에 펠트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실제 게임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스탠턴 체스 세트가 표준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킹의 높이는 85mm에서 105mm 정도이지만, 미국 체스 협회는 킹의 높이로 86mm에서 114mm를 요구한다. 일반적인 플레이어는 95mm에서 102mm를 선호한다. 킹의 직경은 높이의 40%에서 50%이다. 다른 기물의 크기도 킹의 비율에 따른다. 한편, 체스판의 눈금 크기는 킹 밑면의 1.25배에서 1.3배가 필요하며, 대략 50mm에서 65mm이지만, 57mm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준은 미국 체스 협회의 『Official Rules of Chess』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국제 체스 연맹의 규칙을 기반으로 한다.

휴대용 소형 체스 세트의 기물은 장기의 기물이나 샹치와 마찬가지로 평평한 토큰 형태로, 기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심볼이 그려져 있다. 또한 체스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기물이 자석으로 되어 있는 제품도 있다.

컴퓨터에서는 체스 기물이 2차원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지만, 전통적인 기물을 본떠 3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도 있다.

6. 변형 체스

체스 변형에는 표준 체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새롭거나 오래된 기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2세기부터 시작된 현대 체스의 전신인 쿠리어 체스는 8×12 칸의 보드에서 진행되었으며, 현대 체스의 6가지 기물 외에도 쿠리어, 만(Mann, 또는 ''rath'', ''sage''), 그리고 조커라는 세 종류의 기물을 추가로 사용했다.

1616년 쿠리어 체스 변형에 고유한 체스 기물인 만(Mann)의 그림. 만은 킹처럼 움직이지만 위협해도 체크가 되지 않으며, 게임에서 손실 없이 잡힐 수 있다.


체스의 초기 형태에 사용되었던 기물의 규칙을 따르는 변형 체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비숍의 전신인 코끼리의 오래된 규칙(대각선으로 두 칸 이동하며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음)을 사용하는 알필 기물이나, 의 전신인 페르시아의 비지르(Vizir) 또는 피르즈(Firz)의 오래된 규칙(대각선으로 한 칸 이동)을 사용하는 페르즈 기물을 사용하는 변형이 있다.

현대에도 독특한 기물을 사용하는 다양한 변형 체스가 만들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베롤리나 체스는 폰이 대각선으로 전진하고 수직으로 잡는 독특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표준 체스 기물 외에 체스 퍼즐이나 변형 체스에서 특별히 사용되는 기물들을 통칭하여 페어리 기물(Fairy piece) 또는 요정 체스 기물이라고 부른다. 요정 체스 기물에는 나이트처럼 움직이지만 여러 번 반복해서 움직일 수 있는 "나이트라이더"나, 퀸과 나이트의 행마를 합친 강력한 기물인 "아마존" 등이 있다.

아래는 일부 역사적 또는 변형 체스 기물의 이동 방식을 나타낸 표이다.

{| class="wikitable"

|+ 일부 변형 체스 기물의 이동 방식

|-

! 기물 !! 설명 !! 이동 방식 (기물 위치: 중앙, 'X': 이동 가능 칸)

|-

| '''페르즈''' (F) || 퀸의 전신. || 대각선으로 한 칸 이동 가능.


XX
F
XX



|-

| '''알필''' (A) || 비숍의 전신 (코끼리).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음. || 대각선으로 두 칸 이동 가능.


XX
A
XX



|-

| '''와지르''' (W) || 페르즈와 함께 초기 퀸의 역할을 했던 기물. || 상하좌우로 한 칸 이동 가능.


X
XWX
X



|-

| '''다바바''' (D) ||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음. || 상하좌우로 두 칸 이동 가능.


X
XDX
X



|-

| '''나이트라이더''' (N) || 나이트의 행마를 직선 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 가능. 경로상 다른 기물에 막히지 않음. || 나이트와 동일한 L자 경로로 이동하되, 경로가 막히지 않는 한 해당 방향으로 계속 이동 가능.


| | | X | | |
| | | | | |
| | X | | | |
| | | | | | X
| X | | N | X | | X
| | X | | | |
| | | | | |
| | X | | | |



|}

7. 각 언어별 기물 명칭

기물의 이름이 암시하는 특징은 언어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많은 언어에서 영어로 "나이트(knight)"라고 알려진 기물은 흔히 "말"로 번역되며, 영어의 "비숍(bishop)"은 현대 비숍의 움직임 패턴을 채택했지만 새로운 이름은 채택하지 않은 언어권에서는 흔히 "코끼리"로 번역된다.[10]

세계 각지에서 동시에 즐겨온 체스의 특성상, 기물의 이름과 의미는 각 언어마다 달라서, 기보상의 표기조차 다르다. 이 때문에 다국어를 의식한 출판물이나 인터넷에서는 오해를 막기 위해 기물을 모델로 한 기호가 사용되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흑백 체스 기물이 규정되어 있다.

rowspan=2 colspan=2|기물
비숍나이트체스체크체크메이트
언어
도형♔ ♚♕ ♛♖ ♜♗ ♝♘ ♞♙ ♟+#
아이슬란드어K kóngurD drottningH hrókurB biskupR riddari(P) peðSkákSkákSkák og mát
아일랜드어RB banríonC caisealE easpagD ridire(F) fichillín/ ceithearnachFicheallSáinnMarbhsháinn
아랍어م مَلِكو وزيرر رخ/طابيةف فيلح حصانب بيدق/عسكريشطرنجكِش مَلِككِش مات
이탈리아어R reD donnaT torreA alfiereC cavallo(P) pedoneScacchiScaccoScacco matto
인도네시아어R rajaM menteriB bentengG gajahK kuda(P) pionCaturSkakSkak mati
웨일스어T teyrn/breninB brenhinesC castellE esgobM marchog(G) gwerinwrGwyddbwyllSiachSiachmat
우크라이나어 корольФ ферзьT тураC слонK кінь(П) пішакШахиШахМат
영어K kingQ queenR rookB bishopN/Kt knight(P) pawnChessCheckCheckmate
에스토니아어K kuningasL lippV vankerO odaR ratsu(E) etturMaleTuliMatt
에스페란토R reĝoD damoT turoK kurieroĈ ĉevalo(P) peonoŜakoŜakŜakmato
네덜란드어K koningD dame / koninginT torenL loperP paard(P) pionSchakenSchaakMat / Schaakmat
카탈루냐어R reiD dama/reinaT torreA alfilC cavall(P) peóEscacsEscac/ XecEscac i mat
한국어K Q R B 비숍N 나이트(P) 체스체크체크메이트
그리스어Ρ βασιλιάςΒ βασίλισσαΠ πύργοςΑ αξιωματικόςΙ ίππος(Σ) πιόνιΣκάκιΣαχMάτ
크로아티아어K kraljD dama/kraljicaT top/kulaL lovac/lauferS skakač/konj(P) pješakŠahŠahŠah mat
시칠리아어R reD rigginaT turruA alferuS scecchu(P) pidinuScacchi
스웨덴어K kungD damT tornL löpareS springare(B) bondeSchackSchackSchack matt
스페인어R reyD dama/reinaT torreA alfilC caballo(P) peónAjedrezJaqueJaque mate
슬로바키아어K kráľD dámaV vežaS strelecJ jazdec(P) pešiakŠachŠachMat/Šachmat
슬로베니아어K kraljD damaT trdnjavaL lovecS skakač(P) kmetŠahŠahMat/Šahmat
세르비아어К краљ / kraljД дама / damaТ топ / topЛ ловац / lovacС скакач / skakač(П) пешак / pešakШах / ŠahШах / ŠahМат / Mat
체코어K králD dámaV věžS střelecJ jezdec(P) pěšecŠachyŠachMat
중국어K 國皇Q 皇后R 城堡B 主教N 騎士士兵國際象棋將軍將死
텔루구어రాజు
rāju
మంత్రి
maṃtri
ఏనుగు
ēnugu
శకటు
śakaţu
గుర్రం
gurraṃ
బంటు
baṃţu
చదరంగం
cadaraṃgaṃ
దాడి
dāḍi
కట్టు
kaţţu
덴마크어K kongeD dronningT tårnL løberS springer(B) bondeSkakSkakSkakmat
독일어K KönigD DameT TurmL LäuferS Springer(B) BauerSchachSchachSchachmatt
튀르키예어Ş/K şah/kralV vezirK kaleF filA at(P) asker/piyonSatrançŞahMat
일본어KQRB 비숍N 나이트(P)체스체크체크메이트
노르웨이어K kongeD dronningT tårnL løperS springer(B) bondeSjakkSjakkSjakkmatt
헝가리어K királyV vezérB bástyaF futóH huszár(P) gyalog/ parasztSakkSakkMatt
힌디어R rajaV vajeerH hathiO oontG ghoda(P) pyadaShatranjShahMaat
핀란드어K kuningasD daami/ kuningatarT torniL lähettiR ratsu(S) sotilasShakkiShakkiMatti/ Shakkimatti
프랑스어R roiD dameT tourF fouC cavalier(P) pionÉchecsÉchecÉchec et mat
불가리아어Ц царД дамаТ топО офицерК кон(П) пешкаШахмат/ШахШах(Шах и) мат
베트남어V VuaH HậuX XeT TượngM_ TốtCờ vuaChiếuChiếu bí
히브리어מ מלךמה מלכהצ צריחר רץפ פרשרגלישחמטשחמט
벨라루스어К карольВз візырЛд ладзьдзяА афіцэрВ вершнік(Л) латнікШахматыШахМат
페르시아어ش شاهو وزیرق/ر قلعه/رخف فیلا اسبس سربازشطرنجکیشکیش‌مات
벵골어R RājāM MontriN NoukāG GôjoGh ghodā(B) BoreDābāKistiMāt
폴란드어K królH hetmanW wieżaG goniecS skoczek(P) pionszachyszachmat (szach-mat / szach i mat)
포르투갈어R reiD dama/rainhaT torreB bispoC cavalo(P) peãoXadrezXequeXeque-mate
몽골어Н ноён (lord)Б бэрс (ferz)т тэрэг (chariot)Т тэмээ (camel)М морь (rider)(Х) хүү (paige)Шатаршаг, дуг, цодмад
라틴어K rexG reginaT turrisE episcopusQ eques(P) pedesScacciScaccusMattus
라트비아어K karalisD dāmaT tornisL laidnisZ zirgs(B) bandinieksŠahsŠahsŠahs un mats
리투아니아어K karaliusV valdovėB bokštasR rikisŽ žirgas(P) pėstininkasŠachmataiŠachMatas
룩셈부르크어K kinnekD dammT tuermL leeferP päerd(B) bauerSchachSchachSchachmatt
루마니아어R regeD reginăT turnN nebunC cal(P) pionŞahŞahMat
러시아어Кр корольФ ферзьЛ ладьяС слонК конь(П) пешкаШахматыШахМат


참조

[1] Citation
[2] Citation
[3] Citation
[4] Citation
[5] Citation
[6] Citation
[7] Citation
[8] Citation
[9] Citation
[10] Citation
[11] 문서 キングは取られた(正確にはチェックメイトされた)時点で負けとなるため、点数をつけて価値評価の対象とはしない。
[12] 웹사이트 チェス世界チャンピオンだけど質問ある? ! Tech Support ! WIRED.jp https://www.youtube.[...] 2022-11-29
[13] 웹사이트 Man Ray set http://www.artne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