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보나리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보나리당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 나폴리 왕국에서 처음 등장한 비밀 결사로, 입헌군주제 또는 공화국을 목표로 절대주의에 반대하며 평민의 권리를 보호하려 했다. 이들은 숯 굽는 사람의 길드를 본뜬 조직으로, 은밀한 활동을 통해 무장 반란을 선동하기도 했다. 1820년과 1821년 이탈리아에서 봉기를 주도했으나, 오스트리아 제국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프랑스 7월 혁명에 참여했으나 실패했다. 카르보나리당은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학 작품과 영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반가톨릭주의 - 리소르지멘토
리소르지멘토는 19세기 이탈리아의 통일 과정을 의미하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민족 의식 고취와 통일 열망 증대, 나폴레옹 전쟁 시기 이탈리아 민족주의 성장, 사르데냐 왕국 중심의 통일 운동을 거쳐 이탈리아 왕국 건국으로 이어졌으나, 로마 문제와 지역 갈등, 이레덴티즘 등의 과제를 남겼다. - 반교권주의 - 상퀼로트
상퀼로트는 프랑스 혁명 당시 노동자 계급을 지칭하는 용어로, 혁명 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급진적인 사회 변혁을 추구했지만 테르미도르의 쿠데타 이후 몰락하며 평민의 열정과 이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 반교권주의 - 프랑스 혁명 기간 중 프랑스의 탈기독교화
프랑스 혁명 기간 중 프랑스의 탈기독교화는 혁명 정부가 가톨릭 교회의 권위와 영향력을 축소하고 기독교적 가치관을 부정하려 했던 정책과 사건들로, 교회 재산 몰수, 성직자 민사 기본법 시행, 공화력 도입, 탈기독교화 운동 등의 급진적인 시도를 통해 종교 활동 위축과 인명 피해를 야기하며 프랑스 사회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 비밀결사 - 흑수단
흑수단은 범세르비아주의를 내세우며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 통합을 목표로 활동한 세르비아의 비밀 결사 조직으로, 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비밀결사 - Phantom in the Twilight
Phantom in the Twilight는 런던을 배경으로 인간의 공포에서 태어난 엠브라와 그들을 지키는 수호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2018년 일본-중국 합작 애니메이션으로, 유학생 바일 톤이 '카페 포비든'에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다.
카르보나리당 | |
---|---|
개요 | |
![]() | |
명칭 | 카르보나리 |
어원 | 숯 굽는 사람 |
결성 시기 | 19세기 초 |
목표 및 활동 | |
목적 | 이탈리아 통일 |
활동 유형 | 비밀 결사, 혁명 운동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가브리엘 로세티 루이-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주세페 가리발디 실비오 펠리코 아우렐리오 사피 안토니오 파니치 주세페 마차니 치로 메노티 멜키오레 조이아 피에로 마론첼리 |
조직 기반 | |
주요 활동 지역 |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 교황령 모데나 공국 시칠리아 왕국 |
2. 역사
카르보나리당은 19세기 초 이탈리아와 프랑스 등지에서 활동한 비밀 결사 조직으로, 나폴레옹 전쟁 이후 이탈리아 통일 운동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자유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절대주의에 반대하며 입헌군주제 또는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삼았다.[18] 1820년대와 1830년대에 걸쳐 나폴리 왕국, 사르데냐 왕국, 교황령 등 이탈리아 여러 지역에서 무장 봉기를 주도했으나,[7][9] 오스트리아 제국의 군사적 개입 등으로 인해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7][13] 연이은 봉기 실패로 세력이 약화된 카르보나리당은 점차 해체되었고, 많은 당원들이 주세페 마치니가 결성한 청년 이탈리아와 같은 새로운 조직에 합류했다.[16] 비록 카르보나리당의 직접적인 혁명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이들의 활동은 빈 체제에 대한 저항 정신을 확산시키고 이후 이탈리아 통일과 유럽의 1848년 혁명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 1. 기원
Carbonari|카르보나리it는 이탈리아어로 "숯 굽는 사람"을 의미하며, 프랑스어로는 Charbonnerie|샤르보누리프랑스어라고도 부른다.카르보나리당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16][3] 1806년경 나폴리 왕국에서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다.[16] 조직의 일부 문서에서는 중세 프랑스에서 기원했으며, 16세기 프랑수아 1세의 후원을 받았다고 주장하지만,[14][1]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외부적인 근거는 없다.[14][1] 다른 한편에서는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초기에 프랑스 동부 프랑슈-콩테 지역에 존재했던 숯 굽는 사람들의 길드를 본뜬 비밀 결사가 그 기원이라는 설도 제기된다.
카르보나리의 기원에 대한 여러 이론이 있지만,[17][2] 프랑스 혁명의 자유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프리메이슨으로부터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여겨진다. 초기에는 조아생 뮈라가 통치하던 나폴리 왕국과 리소르지멘토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던 교황령에서 영향력을 확보했다.[11]
카르보나리당은 보수적인 정부로부터 탄압받던 비밀 결사였기 때문에 주로 비밀리에 활동했다.[11] "카르보나리"라는 이름처럼 당원들은 스스로를 시골의 "숯쟁이" 또는 "좋은 사촌"이라 불렀고, 외부인은 "pagani|파가니it"라고 칭했다. 그들의 모임 장소는 "baracca|바라카it"라고 불렸으며, 당원 가입을 위한 특별한 입회 의식이 존재했다.[11] 입회 의식은 그들의 이름에 걸맞게 숯 판매와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16] 당원은 견습생과 스승(장인)이라는 두 계급으로 나뉘었는데, 스승이 되려면 최소 6개월 이상 견습생으로 활동하거나 입회 시 이미 프리메이슨이어야 했다.[16][3]
카르보나리의 목표는 입헌군주제나 공화국을 수립하고, 모든 형태의 절대주의에 맞서 평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었다.[18] 이를 위해 무장 반란을 일으키는 방안도 논의되었다. 1814년에는 무력을 통해 양시칠리아 왕국에 헌법을 도입하려고 시도했으나, 국왕 페르디난도 1세의 반대에 부딪혔다. 당시 나폴리 왕국에는 귀족, 군 장교, 소규모 지주, 관리, 농민, 성직자 등 다양한 계층이 카르보나리당에 가담했으며, 특히 작은 도시의 중산층이 주를 이루었다.[19] 교황령에서도 많은 결사가 활동하자, 1814년 8월 15일 추기경 에르콜레 콘살비와 바르톨로메오 파카는 비밀 결사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하여 가담자나 협조자를 엄벌에 처하도록 했다.[16]
2. 2. 조직
카르보나리는 이탈리아 전역에 작은 은밀 세포 형태로 흩어져 활동한 비밀 결사였다.[1] 조직의 노선은 다양했지만, 대부분 지역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유주의적 통일 이탈리아 건설이라는 목표에 동의했던 것으로 보인다.[14][1] 이들은 철학과 활동 모두에서 반성직자주의적 입장을 취했다.[1] 이 때문에 가톨릭교회는 교황 헌장 Ecclesiam a Jesu Christo(1821년)와 회칙 ''Qui pluribus''(1846년) 등을 통해 카르보나리를 비판하고 적대시했다.[15][1] 가톨릭 교회의 자유주의적 또는 근대주의적 장악을 요구하는 논란의 문서 Alta Vendita는 시칠리아 카르보나리의 소행으로 여겨진다.[15]카르보나리당은 초기에 나폴리에 본부를 두었으나 이후 파리로 이전했으며, 이탈리아 전역으로 지지 기반을 넓혔다. 조직은 도제가 스승에게 종속되는 도제식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비밀 결사의 특성상, 조직 내부에서는 동료들만 알 수 있는 기호와 암호가 사용되었다. 당원들은 서로 악수할 때 비밀 신호를 주고받아 동지임을 확인했으며, 이 신호는 계급에 따라 달랐다고 전해진다. 또한, 도제는 장작 묶음을, 스승은 손도끼를 본뜬 장식을 착용하여 신분을 나타냈다.
카르보나리당 내부에서는 독특한 은어가 사용되었다. 당원들은 스스로를 사회적으로 천하게 여겨지던 숯 굽는 사람에 비유하며 다음과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
대상 | 카르보나리 은어 | 의미 |
---|---|---|
당원 간 호칭 | 부온 쿠지노 (buon cugino) | 좋은 사촌 |
사회 | 보스코 (Bosco) | 숲 |
정부, 압제자 | 루포 (lupo) | 늑대 |
비밀 집회소 | 바라카 (baracca) | 산장, 숯 굽는 집 |
지방 지부 | 벤디타 (Vendita) | 숯 판매소 |
비당원 | 파가니 (pagani) | 이교도 |
당 규약상 종교에 대한 언급은 엄격히 금지되었지만, 실제로는 수호 성인을 정해 숭배하는 등 종교적 색채를 띠기도 했다.
카르보나리당은 "자유·평등"이라는 이상을 내걸었으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과격한 수단도 불사했다. 자신들의 이념에 반대하는 자에게는 처형을 포함한 엄벌을 내렸으며, 전제 타도라는 대의를 위해서는 살인도 정당화될 수 있다고 여겼다. 이러한 급진적 사상을 바탕으로 카르보나리당은 적·청·흑의 삼색기를 내걸고 혁명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2. 3. 1820년과 1821년 봉기

카르보나리당은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리소르지멘토) 시기에 활동했던 비밀결사 조직으로, 1820년과 1821년에 걸쳐 나폴리 왕국과 사르데냐 왕국에서 혁명을 주도했다. 이 혁명들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1820년 7월, 나폴리 왕국의 군인들이 구글리에모 페페 장군의 지휘 아래 반란을 일으켜 국왕 페르디난도 1세에게 헌법 제정을 요구했다. 이 봉기는 스페인의 입헌 혁명에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어 페르디난도 1세는 헌법 제정을 약속하고 자유주의 내각을 수립했다.
이 성공은 다른 이탈리아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1821년 3월, 사르데냐 왕국(피에몬테)에서도 카르보나리 당원들이 주도한 군사 봉기가 일어났다. 이들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에게 헌법 제정을 요구했고, 국왕은 퇴위하고 동생 카를로 펠리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이후 카를로 알베르토 왕자가 섭정을 맡아 헌법을 승인했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적 움직임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개입으로 좌절되었다. 오스트리아 재상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는 신성 동맹 회원국들의 동의를 얻어 군대를 파견했다. 오스트리아군은 1821년 3월 나폴리 혁명군을 격파하고 나폴리를 점령했으며, 4월에는 피에몬테의 혁명군마저 진압했다. 혁명 지도자들은 처형되거나 망명길에 올랐고, 카르보나리당의 봉기는 실패로 끝났다.[7]
교황 비오 7세는 1821년 9월 13일 발표한 교황 칙서 Ecclesiam a Jesu Christola에서 카르보나리당을 프리메이슨과 연계된 비밀 결사로 규정하고, 당원들을 파문했다.[8]
2. 4. 1831년 봉기
1830년 프랑스 7월 혁명의 성공은 카르보나리당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당원들은 파리 봉기에 참여하여 새로운 국왕 루이 필리프 1세의 자유주의 정책을 지지했다.[22] 프랑스에서의 성공에 힘입어 이탈리아 카르보나리당은 1831년부터 1832년에 걸쳐 이탈리아 중북부, 특히 교황령과 모데나 등지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향력에 맞서 봉기를 계획했다.[9][22]치로 메노티는 이 봉기를 주도하며 모데나의 프란체스코 4세 공작에게 접근했다. 그는 공작에게 이탈리아 왕위를 제안하며 지원을 얻으려 했으나, 공작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정치가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와 결탁하여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결국 메노티는 봉기 예정일 하루 전에 체포되었고, 프란체스코 4세는 메테르니히의 제안에 따라 메노티와 그의 동지들을 처형했다.[10][23] 이는 카르보나리당의 마지막 대규모 활동이 되었다.[23]

메노티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1831년 교황령의 볼로냐를 시작으로 모데나, 파르마 등 중부 이탈리아 각지에서 봉기가 일어났다(중부 이탈리아 혁명). 그러나 오스트리아 제국 군대가 국경을 넘어 진압에 나섰고, 기대를 모았던 프랑스 루이 필리프 1세 정권의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국 봉기는 진압되었고, 이 실패로 카르보나리당은 급격히 세력이 약화되어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카르보나리당을 탈퇴한 주세페 마치니는 1831년 망명지인 마르세유에서 청년 이탈리아를 결성했으며, 카르보나리당의 남은 세력 대부분이 여기에 합류했다. 프랑스의 샤르보느리 역시 혁명 성공 후 해체되었고, 루이 필리프 1세의 왕정에 불만을 품은 급진 세력은 다른 공화주의 단체로 옮겨 활동을 이어갔다.
2. 5. 여파
교황 비오 7세는 카르보나리당의 비밀 결사 활동을 비난하고 파문을 선고했다.[16] 이로 인해 조직은 점차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새롭게 등장한 이탈리아의 다른 정치 조직들에 흡수되기 시작했다. 특히 많은 당원들이 주세페 마치니가 이끄는 청년 이탈리아(Giovane Italia)에 가담했다.[16] 이는 공개적인 전투로는 오스트리아군을 이길 수 없다는 현실적인 판단 때문이기도 했다.카르보나리 운동은 프랑스로 확산되어 '샤르보네리'(Charbonnerie)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파리를 중심으로 다수의 회원이 활동했으며, 주요 목표는 국민주권의 원칙을 담은 헌법을 제정하는 것이었다.[16] 샤르보네리는 1830년 7월 혁명에 참여했으나, 부르봉 왕조가 몰락한 이후 그 영향력은 급격히 감소했다.[16] 이후 프랑스 공화주의자들 사이에서 [https://www.monde-diplomatique.fr/1996/02/MICHALON/5228 민주 샤르보네리]가 결성되기도 했지만 1841년 이후로는 활동 기록이 없다. 스페인에서도 카르보나리당 조직이 존재했으나, 그 규모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16]
프랑스 7월 혁명의 성공은 이탈리아의 카르보나리 당원들에게 다시 한번 혁명의 희망을 불어넣었다.[13] 모데나에서의 봉기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1831년 2월에는 교황령의 여러 도시에서 봉기가 일어나 카르보나리 삼색기를 내걸었다. 의용군이 로마로 진격했지만,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의 요청으로 개입한 오스트리아군에 의해 진압되었다.[13] 이 실패 이후 이탈리아의 여러 정부는 카르보나리당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고, 조직은 사실상 와해 상태에 이르렀다. 이탈리아 남부 풀리아(Puglia)[13]와 칠렌토에서는 1816년에서 1828년 사이에 '카르보나라'(carbonara)라는 이름의 별도 그룹이 활동하기도 했다. 1828년 칠렌토에서는 1820년 나폴리 헌법 복원을 요구하는 봉기가 있었으나, 부르봉 왕가의 경찰 책임자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델 카레토의 격렬한 보복으로 심하게 진압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보스코 마을이 파괴되는 참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카르보나리(샤르보네리 포함)가 주도한 일련의 혁명 운동은 프랑스 7월 혁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좌절되었다. 나폴리와 피에몬테에서 일시적으로 수립되었던 입헌 체제도 혁명이 진압된 후 폐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르보나리 운동은 빈 체제를 동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에서는 1848년 2월 혁명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비록 직접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이탈리아 통일 운동(리소르지멘토)의 초기 단계를 이끌면서 1861년 이탈리아 왕국 건국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기여했다는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3. 주요 인물
카르보나리당의 주요 구성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었다.
- 가브리엘레 로세티
- 아망 바자르
- 실비오 펠리코 (1788–1854)와 피에로 마론첼리 (1795–1846): 두 사람은 오스트리아에 의해 수년간 투옥되었으며, 그중 많은 시간을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령이었던 모라바의 슈필베르크 요새에서 보냈다. 석방된 후 펠리코는 그의 10년간의 고난을 상세히 묘사한 책 ''Le mie prigioni'' (나의 감옥)을 썼다. 마론첼리는 감옥에서 다리 하나를 잃었고, 파리에서 펠리코의 책을 번역하고 편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33년).
- 주세페 마치니: 혁명가. 카르보나리당 탈당 후 청년 이탈리아당을 조직했다.
- 라파예트 후작: 미국 혁명과 프랑스 혁명의 영웅.
-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조카이자 훗날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가 된 인물. 그의 카르보나리당 가입 여부는 거의 확실시되나 논란이 있다.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프랑스 혁명가.
- 바이런 경
- 주세페 가리발디
- 안토니오 파니치: 후일 대영 박물관 제6대 관장이 되었다.
- 필리포 미켈레 부오나로티: 혁명가. 바뵈프 음모 등 많은 혁명 및 쿠데타 계획에 가담했다.
- 루이 필리프: 오를레앙 공으로, 훗날 프랑스 왕이 되었다.
- 조반니 베르셰: 시인, 작가, 번역가였으며 후일 사르데냐 왕국 의회 의원이 되었다.
4. 평가 및 영향
카르보나리가 일으킨 여러 혁명 운동은 7월 혁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나폴리 혁명과 피에몬테 입헌 혁명은 잠시 정권을 세우기도 했으나, 곧 진압되어 헌법이 폐기되고 입헌 국가 수립의 꿈은 좌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 운동들은 중요한 영향을 남겼다. 성공한 7월 혁명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에서 일어난 여러 혁명들은 당시 유럽 질서를 유지하던 빈 체제를 흔드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프랑스에서는 1848년 2월 혁명이 일어나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이탈리아에서는 비록 직접적인 성과가 크지 않았지만, 카르보나리당의 활동은 이탈리아 통일 운동( Risorgimento|리소르지멘토ita )의 초기 단계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움직임은 훗날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이 건국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5. 문화적 유산
스탕달의 단편 소설 ''바니나 바니니''는 카르보나리당의 영웅과 그에게 매료된 여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1961년에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소설 "링크 위의 파빌리온"에서는 카르보나리당을 음모를 꾸미는 악당으로 묘사한다.
캐서린 네빌의 소설 ''불''에서는 신비로운 체스 세트와 관련된 음모의 일부로 카르보나리당이 등장한다.
윌키 콜린스의 소설 "백의 여인"에 등장하는 페스카 교수는 '형제단'이라는 조직의 일원인데, 이 조직은 카르보나리당과 동시대에 존재하며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클라이드 하이더는 페스카 교수의 실제 모델이 가브리엘 로세티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로세티는 카르보나리당의 일원이었으며, 1840년대 런던에서 이탈리아어 교사로 활동했다.
안톤 펠릭스 쉰들러가 쓴 베토벤의 전기 "내가 알았던 베토벤"에 따르면, 쉰들러와 베토벤의 긴밀한 관계는 1815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베토벤은 쉰들러에게 카르보나리당 봉기에 반대하며 동요하는 나폴레옹 지지자들이 일으킨 비엔나 폭동에 쉰들러가 연루된 경위에 대해 물었다. 이 사건으로 쉰들러는 체포되어 1년간 대학에 다니지 못하게 되었는데, 베토벤은 그를 동정했고 이를 계기로 두 사람은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카르보나리당은 아서 코난 도일 경이 쓴 셜록 홈즈 단편 소설 "붉은 고리의 모험"(1911)에서 중요하게 언급된다.
또한 T. K. 웰시의 소설 "부활의 남자들"에서도 주인공의 아버지가 이 비밀 조직의 일원으로 간략하게 언급된다.
팀 파워스의 소설 ''그녀의 존경의 스트레스''에서는 흡혈귀의 지원을 받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서는 세력으로 등장한다.
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에 등장하는 인물 세템브리니의 할아버지는 카르보나리당원이었다고 언급된다.
패트릭 오브라이언의 오브리-매투린 시리즈 중 하나인 ''백 일''에서도 카르보나리당이 언급된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프라하의 묘지''에서는 주인공이 카르보나리당에 스파이로 잠입하는 내용이 나온다.
장 지오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지붕 위의 기병의 주인공 안젤로 파르디는 젊은 이탈리아 기병이자 카르보나로 대령이다.
카르멘 몰라의 소설 ''라 베스티아''(2021)에도 등장한다.
카르보나리당은 "비밀 결사"라는 신비로운 이미지와 조직 운영 방식의 유사성 때문에 프리메이슨 음모론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Rath
1964
[2]
서적
The Sufis
Octagon Press
[3]
간행물
Kirsch
1908
[4]
서적
Memoires sur le Royaume de Naples
[5]
서적
Massoneria, Carboneria ed altre società segrete
https://books.google[...]
Roux-Viarengo
[6]
간행물
Villari
1911
[7]
서적
The Neapolitan revolution of 1820-1821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8]
논문
"Metternich and the Papal Condemnation of the Carbonari", 1821
1968
[9]
논문
The Carbonari
1964
[10]
서적
Political Repression in 19th Century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간행물
Galt
1994
[12]
간행물
Smith
1988
[13]
간행물
Duggan
2008
[14]
간행물
Rath
1964
[15]
간행물
Rambler
1854
[16]
간행물
Kirsch
1908
[17]
서적
The Sufis
Octagon Press
[18]
간행물
Kirsch
1908
[19]
간행물
Villari
1911
[20]
서적
The Neapolitan revolution of 1820-1821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1]
논문
"Metternich and the Papal Condemnation of the Carbonari", 1821
1968
[22]
논문
The Carbonari
1964
[23]
간행물
McCullagh
1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