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 네셀로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로베르트 폰 네셀로데는 1780년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태어난 독일계 러시아 외교관이다. 그는 러시아 제국 해군과 육군에서 복무했으며, 알렉산드르 1세 치하에서 외교 업무를 시작하여 베를린과 헤이그 주재 러시아 대사관에서 근무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외교 비서로 활약하며, 라이프치히 전투와 빈 회의에 참여했다. 1816년부터 1822년까지 외무 장관을 역임하며, 이후 40년간 러시아 외교 정책을 주도하며 신성 동맹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그는 크림 전쟁 이후 파리 조약을 체결했으며, 극동 정책을 통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네셀로데는 1862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요리와 지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외무장관 -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러시아 제국의 외교관이자 그리스의 정치가로서, 그리스 독립 전쟁 후 그리스 제1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국가 재건에 헌신했지만 암살당한 후에도 그리스에서 존경받고 있다.
  • 러시아의 외교관 - 드미트리 페스코프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1967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국립대학교를 졸업하고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2012년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러시아의 외교관 -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빅토르 스테파노비치 체르노미르딘은 소련과 러시아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러시아의 초대 총리를 역임하며 가스프롬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고, 체첸 분쟁 중재와 코소보 전쟁 외교, 우크라이나 주재 러시아 대사 등의 활동을 했으며, 그의 경제 정책과 독특한 화법으로도 알려져 있다.
  • 18세기 러시아 사람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18세기 러시아 사람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카를 네셀로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카를 폰 네셀로데의 초상화, 토마스 로렌스 그림, 1818년
카를 폰 네셀로데 백작의 초상화 (토마스 로렌스 그림, 1818년)
이름카를 로베르트 네셀로데
러시아어 이름Карл Васильевич Нессельроде (카를 바실리예비치 네셀로데)
독일어 이름Graf Karl Robert von Nesselrode (그라프 카를 로베르트 폰 네셀로데)
출생일1780년 12월 14일
출생지리스본, 포르투갈 왕국
사망일1862년 3월 23일
사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배우자마리아 구리예바
자녀엘레나 폰 네셀로데
디미트리 폰 네셀로데
마리 폰 네셀로데
부모빌헬름 카를 폰 네셀로데 백작 (아버지), 루이제 곤타르트 (어머니)
직업 및 학력
직업외교관
출신 학교프로이센 왕국 베를린 김나지움
경력
직책러시아 제국 외무부 장관
임기 시작1816년 8월
임기 종료1856년 4월 15일
이전니콜라이 루미얀체프
이후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
재임 기간 중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816–1822)
직책 2러시아 제국 수상
임기 시작 21844년 3월 17일
임기 종료 21862년
황제니콜라이 1세
알렉산드르 2세

2. 초기 생애 및 교육

카를 네셀로데는 1780년 12월 14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태어났다.[3][4][14] 그의 가문인 네셀로데 가문은 라인 근처 베르기셰스 란트에서 기원한 유서 깊은 독일 우라델 가문이었다.[5] 아버지 막시밀리안 빌헬름 프란츠 폰 네셀로데는 제정 러시아의 외교관으로, 주 포르투갈 러시아 대사로 부임해 있었다.[14] 어머니 루이즈 공타르는 1700년에 프랑스에서 독일로 탈출한 도피네 출신의 위그노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5]

토머스 로렌스의 초상화, 1818년.


네셀로데는 어머니의 개신교 신앙을 존중하여 영국 대사관 예배당에서 세례를 받아 영국 성공회 신자가 되었다.[5][14] 베를린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787년 부친이 프로이센 주재 러시아 대사로 임명되어 부임하면서 독일인으로서의 혈통을 강하게 의식하게 되었다.[14]

3. 외교 경력 초기

1788년, 8세의 나이로 러시아 제국 해군에 입대했다.[6] 아버지의 영향으로 파벨 1세 황제(1796-1801 재위)의 해군 부관 직위를 얻었다.[6]

이후 러시아 제국 육군으로 전출되었고, 알렉산드르 1세 황제 치하에서 외교 업무를 시작했다.[6] 베를린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거쳐 헤이그로 전출되었다.[6]

1806년 8월, 남부 독일에서 프랑스 군대에 대한 보고 임무를 받았다.[6] 미하일 카멘스키 장군의 외교 비서를 거쳐 (독일계)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부스호베덴과 레빈 아우구스트 폰 베니히센 장군을 보좌했다.[6]

1807년 1월 아일라우 전투에 참전하여 베니히센 백작과 함께 전투를 치렀고,[14] 틸지트 조약(1807년 7월) 협상에도 참여했다.[6]

4. 나폴레옹 전쟁과 빈 회의

네셀로데는 1812년 3월 빌나에서 알렉산드르 1세의 대본영에 합류하여, 당시 외무부 장관 대신 러시아의 외교 정책을 주도했다.[6] 1808년 에르푸르트 회의 이후, 알렉산드르는 네셀로데에게 비밀 특사로 임명하여 나폴레옹의 공격적인 정책에 적대적인 탈레랑과 아르망 오귀스탱 루이 드 콜랭쿠르(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사) 사이의 비공식적인 정보 채널 역할을 하도록 했다. 1811년 러시아와의 외교 관계가 단절된 후, 네셀로데는 메테르니히와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빈을 경유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갔다. 그는 알렉산드르에게 나폴레옹과 협상을 시작하도록 설득하여 평화를 깨뜨리는 책임을 전적으로 프랑스 측에 떠넘기려 했다.[6]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 참전했고, 대프랑스 동맹군의 파리 진격에 동행하여 1814년 3월 1일 쇼몽 조약 체결에 기여했다.[14] 빈 회의에서 러시아 대표단을 이끌었지만, 실질적인 협상은 알렉산드르 1세가 직접 담당했다.[6]

5. 외무장관 및 제국 재상 재임

1816년 8월, 네셀로데는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백작과 공동으로 외무부 장관에 취임했다[14]. (카포디스트리아스는 1822년에 해임[14]). 이후 40년 동안 러시아의 외교 정책을 지도했고, 빈 체제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신성 동맹을 주도했다. 1825년 알렉산드르 1세가 사망하고 니콜라이 1세가 즉위했을 때에도 외무부 장관으로 유임되었다[14]. 니콜라이 1세의 치세에서는 휘엔키아르 이스켈레시 조약 (1833년)과 런던 해협 협약 (1841년)의 체결에 기여했다[14]. 또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정책에서는 기존의 콘스탄티노플 정복을 목표로 하는 정책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오스만 제국을 약화시켜 러시아에 종속시키는 방침으로 변경했다[14]. 1844년부터 1856년에는 제국 재상을 역임했다.

1848년에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3월 혁명이 발발하고, 헝가리에서 코슈트 라요시가 오스트리아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자, 오스트리아의 요청에 따라 러시아군을 파견하여 독립 운동을 탄압하고, 사태를 진정시켰다.

발칸 반도 및 지중해에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네셀로데의 시도는 오스만 제국 및 이를 지지하는 영국, 프랑스와의 사이에 긴장을 낳았고, 1853년 크림 전쟁이 발발했다. 영·프 양국은 러시아의 세력 확대를 우려하여,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크림 전쟁은 산업 혁명으로 근대화·산업화에 성공한 영·프 양국이 농노제를 남겨둔 전근대적인 러시아를 수송력과 해군력으로 압도하면서 열세의 형태로 막을 내렸다. 전쟁 후, 네셀로데는 러시아 전권으로 파리에 가서 파리 강화 조약을 체결했다[14].

6. 크림 전쟁과 말년



발칸 반도 및 지중해에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네셀로데의 시도는 오스만 제국 및 이를 지지하는 영국, 프랑스와의 사이에 긴장을 낳았고, 1853년 크림 전쟁이 발발했다.[14] 영·프 양국은 러시아의 세력 확대를 우려하여,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크림 전쟁은 산업 혁명으로 근대화·산업화에 성공한 영·프 양국이 농노제를 남겨둔 전근대적인 러시아를 수송력과 해군력으로 압도하면서 열세의 형태로 막을 내렸다. 전쟁 후, 네셀로데는 러시아 전권으로 파리에 가서 파리 강화 조약을 체결했다.[14]

1862년 3월 23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14] 묘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스몰렌스키 루터교 묘지이다. 사망 후 1866년에는 네셀로데의 자서전이 출판되었다.

7. 극동 정책

1843년 네셀로데는 예브피미 푸탸틴을 극동에 파견하여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모색하게 했다.[6] 크림 전쟁 중에는 아무르강 하구에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건설을 추진했다.[6] 1855년에는 푸탸틴을 통해 에도 막부러일 화친 조약을 체결하여 조선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 확대를 경계했다.[6]

청나라는 애로우 전쟁에서 패배한 후, 1858년 아이훈 조약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외만주(연해주) 일대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했다.[6] 이로써 러시아는 동해로 진출하는 부동항을 확보하고 조선과 국경을 접하게 되어, 조선의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8. 유산

네셀로데는 19세기 유럽 외교의 중요한 인물로, 빈 체제 유지와 신성 동맹 강화에 기여했다.[14] 그의 이름을 딴 요리들이 전해지는데, 그의 요리사 M. 장 무이가 고안하였다.[11] 대표적인 요리는 다음과 같다.


  • 네셀로데 푸딩(푸딩 아 라 네셀로데, Pouding à la Nesselrode): 퓌레를 넣어 만든 차가운 디저트이다.[12][13]
  • 네셀로데 파이: 밤 커스터드 크림 파이이다.


알래스카-브리티시컬럼비아 경계에 있는 마운트 네셀로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9. 가족

러시아 귀족 마리아 구리예바(1786–1849)와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었다.[9]

이름출생-사망비고
옐레나 폰 네셀로데 백작부인1815–1875미하일 크렙토비치 백작(1809–1892)과 결혼, 자녀 없음
드미트리 폰 네셀로데 백작1816–1891리디아 자크레프스카야 백작부인 (1826–1884)과 결혼, 자녀 있음
마리 폰 네셀로데 백작부인1820–1888알빈 레오 폰 제바흐 백작 (1811–1884)과 결혼, 자녀 있음


10. 서훈

훈장수여 국가날짜
성 알렉산더 네프스키 훈장러시아 제국 
성 블라디미르 훈장 1등급러시아 제국 
코끼리 훈장덴마크 
북극성 훈장 1등급스웨덴 
뷔르템베르크 왕관 훈장 1등급뷔르템베르크 왕국 
왕립 하노버 겔프 훈장 1등급하노버 왕국 
충성 훈장바덴 대공국 
백색 독수리 훈장러시아 제국 
성 이슈트반 훈장 1등급오스트리아 제국 
성령 훈장 1등급프랑스 왕국 
성 미카엘 훈장 1등급프랑스 왕국 
흑수리 훈장 1등급프로이센 왕국 
적색 독수리 훈장 1등급프로이센 왕국 
최고 성모 수태 고지 훈장 1등급이탈리아 왕국 
카를 3세 훈장 1등급스페인 
성 페르디난드 및 공로 훈장 1등급양시칠리아 왕국 
레지옹 도뇌르 그랜드 크로스프랑스 왕국 

[10]

참조

[1] 문서 Regarding personal names: ''[[Graf#Reichsgraf|Reichsgraf]]'' is a title, usually translated as '[[Imperial Count]]', not a first or middle name. The female form is ''Reichsgräfin''. Titles using the prefix ''Reichs-'' were not created after the fall of the Holy Roman Empire.
[2] 웹사이트 Baltisches Wappenbuch : Wappen sämmtlicher der Ritterschaften von Livland, Estland, Kurland und Oesel zugehöriger Adelsgeschlechter {{!}} DIGAR https://www.digar.ee[...] F & G Beijer
[3] 서적 Appletons' annual cyclopaedia and register of important events of the year: 1862 https://archive.org/[...] D. Appleton & Company
[4] 서적 The Nations of Russia and Turkey and Their Destiny https://books.google[...] Trübner 1854
[5] 서적 The Nations of Russia and Turkey and Their Destiny https://books.google[...] Trübner 1854
[6] 간행물 Nesselrode, Karl Robert, Count
[7] 간행물 Nesselrode, Mount
[8] 웹사이트 Great Game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2-03
[9] 웹사이트 Karl Robert (Karl Vasil'evich) von Nesselrode https://www.geni.com[...] 1780-12-02
[10] 문서 1824/diploamtic Code /treaty with russia in: Diplomatic Cod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mbracing a Collection of ... Door Jonathan Elliot
[11] 문서 On Chestnuts: The Trees and Their Seeds Prospect
[12] 뉴스 DE GUSTIBUS; the Culinary Mystery of Nesselrode Pie https://www.nytimes.[...] 1988-12-07
[13] 문서 The Oxford Companion to Sugar and Swee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4-01
[14] 간행물 Nesselrode, Karl Robert, Cou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