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마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마니아는 폰토스-카스피해 평원과 카자흐 스텝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흑해 연안 저지를 포함하기도 한다. 기원전 1천 년기부터 튀르크계 유목민들이 지배하며 키프차크 칸국을 세웠다. 13세기 몽골의 침략으로 멸망하고, 이후 헝가리 대평원에 정착한 쿠만족은 쿤사그 지역을 형성했다. 쿠마니아라는 명칭은 1523년까지 존속한 가톨릭 교구 구조를 통해 유지되었으며, 쿠만족은 헝가리인에 동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목제국 -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 카간국은 744년부터 840년까지 몽골 고원을 지배한 튀르크계 유목 제국으로,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었으며 당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 마니교를 국교로 삼아 번성했으나 키르기스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여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했다.
  • 유목제국 - 쿠샨 제국
    쿠샨 제국은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3세기까지 인도 북부와 중앙아시아에 걸쳐 존재했던 귀상족이 세운 제국으로, 헬레니즘 문화를 수용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주변 강대국들과 교류하다가 쇠퇴하여 멸망했다.
  • 유목연맹체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목연맹체 - 나이만
    나이만은 12세기 말~13세기 초 몽골 서부의 튀르크계 유목 부족으로, 귈추구드에서 기원하여 몽골 제국 형성에 기여했으나 칭기즈 칸에게 패망 후 잔존 세력이 카라 키타이를 정복하기도 했지만 멸망했고, 현재 카자흐스탄 동부에 카자흐 민족의 큰 부족을 이루어 거주한다.
  • 우크라이나의 중세사 - 리투아니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은 13세기 중반부터 1795년까지 동유럽에 존재했던 국가로, 발트족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흑해 연안까지 영토를 확장하며 다문화 사회를 이루었고, 폴란드 왕국과 연합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원으로 존속하며 동유럽 여러 국가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우크라이나의 중세사 -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는 9세기부터 13세기 동유럽에 존재했던 동슬라브족의 중세 국가로, 키예프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블라디미르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몽골 침략으로 멸망, 현재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통된 역사적 기반으로 여겨진다.
쿠마니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현지 이름쿠만-킵차크 연맹
다른 표기Dasht-i Qipchaq (다슈트-이 킵차크)
칸국쿠만-킵차크 연맹
존속 기간 (시작)10세기
존속 기간 (끝)1241년
이전 국가키메크-킵차크 연맹
하자르
다음 국가킵차크 칸국
수도사라이
공용어킵차크어
쿠만어
종교텡그리
기독교
이슬람교
민족쿠만인
킵차크인
지도
쿠마니아 (다슈트-이 킵차크) c. 1200
쿠마니아 (다슈트-이 킵차크) c. 1200
기타 정보
쿠만-킵차크 연맹 (영어)Cuman–Kipchak confederation
쿠만-킵차크 연맹 (러시아어)Дешт-и-Кипчак (데슈트-이-킵차크)
쿠만-킵차크 연맹 (페르시아어)دشت قپچاق (다슈트-에-킵차크)
Dasht (페르시아어)دشت (다슈트)
Qipchāq (페르시아어)قپچاق (킵차크)
쿠마니아 (라틴어)Cumania
쿠만 초원 (러시아어)Половецкая степь (폴로베츠카야 스테피)

2. 지리적 범위

킵차크 초원은 엄격하게 구분된 판도를 가지지 않지만, 대략 폰토스-카스피해 평원과 카자흐 스텝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이다.

방위지역
북동쪽카자흐스탄 동부의 카자흐 고원
남동쪽키르기스스탄톈산산맥 북쪽 기슭
동서시르다리야강 북안, 아랄해 북안, 우랄강 하류, 볼가강 하류를 거쳐 돈강 하류 부근
서남쪽캅카스 저지
북서쪽추바시 공화국, 랴잔 부근
기타흑해 연안 저지 (우크라이나 남부, 몰도바)
북쪽시베리아유럽 러시아의 삼림 지대
남쪽톈산산맥, 파미르 고원, 캅카스산맥, 마 와라 안나르, 호라즘, 호라산 등의 건조한 오아시스 농업 지대
동쪽준가르 분지, 알타이산맥을 넘어 몽골 고원의 초원 지대로 연결, 중국으로 통함
서쪽카르파티아산맥트란실바니아까지 평원이 펼쳐져 유럽의 농경 지대에 접함



예로부터 "초원의 길"이라 불리는 교역과 민족 이동의 길이 번성하였다.

3. 역사

키프차크 초원은 중앙 유라시아에서 몽골 고원과 함께 유목에 적합한 지역이었다. 기원전 1천년기에는 유목 생활 방식이 확산되면서 남러시아의 스키타이 문화와 동일한 문화가 퍼져나갔다. 처음에는 스키타이, 사카이란계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다수였지만, 이후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나타나 돌궐의 지배를 받았다.

서돌궐이 해체된 후 하자르와 불가르가 서쪽으로 이동하여 하자르 카간국을 세웠다. 9세기에는 페체네그의 "페체네그 칸국"이 흥기했다. 하자르 카간국이 멸망한 후에는 키프차크가 나타나 '''키프차크 칸국'''을 세웠다.

11세기와 12세기에 쿠만족과 (동부) 키프차크족의 유목 연맹은 현재의 카자흐스탄, 러시아 남부, 우크라이나, 남부 몰도바와 현재 루마니아 동부의 왈라키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



쿠만/키프차크 조각상, 12세기, 루한스크


쿠만 조각상. 모스크바 국립 역사 박물관.


쿠만족은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주로 정치적인 이름이었다. 페르시아 역사가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는 ''"몽골의 역사"'에서 몽케 칸 통치 시기(1236~1237년경) 쿠마니아에 대해 언급하며, 키프차크족, 아시(야시 부족과 동일 추정), "카라우라기"(블라크족)를 언급했다.[8]

쿠만-키프차크 왕국은 군사적으로 지배적이었지만, 중앙 권력에 의해 통일된 적은 없었다. 쿠만족은 주변 국가의 정치에 간섭하면서 독립적으로 행동했다.

13세기 몽골 제국이 불가르를 정복하여 키프차크 초원을 제패했다. 초원 정복은 조치의 차남 바투가 지휘했다. 이로 인해 초원은 바투를 시조로 하는 조치 울루스('''금장 칸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조치 울루스의 몽골인들은 빠르게 튀르크화되어 타타르라고 불리게 되었다.

14세기 후반, 조치 가문 제왕가와 중신들의 정권이 자립하면서 조치 울루스는 분열되기 시작했다. 15세기에는 동부의 우즈베크 집단, 카자흐 집단, 우랄강 유역의 노가이 오르다, 볼가강 중류 유역의 카잔 칸국, 하류 유역의 아스트라한 칸국, 크림 반도의 크림 칸국 등 여러 정권이 분립되었다.[15]

16세기 우즈베크가 마와라안나흐르로 남하하여 키프차크 초원의 동부는 카자흐의 땅이 되었다.[15] 서쪽에서는 카잔아스트라한모스크바 대공국에 정복되고, 코사크가 초원 지대에 들어오기 시작했다.[15] 18세기 칼미크인이 노가이 오르다를 공격하여 칼미크 칸국을 세웠지만, 러시아 제국에 의한 볼가 독일인의 이주, 카자흐 복속, 푸가초프의 난, 크림 칸국 정복으로 키프차크 초원의 유목민 시대는 막을 내렸다.[15]

3. 1. 고대

기원전 1천년기에는 유목 생활 양식이 키프차크 초원 전역에 퍼져나가면서, 남러시아의 스키타이 문화와 동일한 문화가 확산되었다.

이 지역의 유목민은 처음에는 스키타이나 사카이란계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다수였지만, 나중에 튀르크계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이들은 돌궐 (552년-582년)의 지배를 받았다.

3. 2. 중세

돌궐 (552년 - 582년)의 지배를 받았다. 서돌궐 (582년 - 741년)이 해체된 후에는 하자르와 불가르가 나타나 서쪽으로 이주하여 유목 국가 "하자르 카간국"(Khazar Qağanate영어, 7세기 - 10세기)을 건설했다. 9세기에는 페체네그의 "페체네그 칸국"(Pecheneg Khanates영어, 860년 - 1091년)이 흥기했다. 하자르 카간국이 멸망하자 이번에는 또 다른 튀르크계 유목민 키프차크가 나타나 "'''키프차크 칸국'''"(Qipchaq Khaganate영어, 900년 - 1220년)을 건설했다.

11세기와 12세기에 쿠만족과 (동부) 키프차크족의 유목 연맹은 현재의 카자흐스탄, 러시아 남부, 우크라이나, 남부 몰도바와 현재 루마니아 동부의 왈라키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는 세력이었다.[16] 이들의 유목 생활 방식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국경은 대략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쿠마니아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시대에 따라 존재했다.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출처에서 광대한 쿠만 영토의 다른 구역을 나타내기 위해 각자 고유한 비전을 사용했다. 비잔틴, 러시아, 조지아, 아르메니아, 페르시아, 이슬람 출처에서 쿠마니아는 흑해 북쪽과 동쪽의 폰토스 대초원을 의미했는데, 이는 드네프르 강, 볼가 강, 우랄 강 및 이르티쉬 강 사이의 저지대가 쿠만족의 유목 생활 방식에 유리했기 때문이다. 나중에는 서구 출처에서 짧은 기간 동안 쿠마니아는 동부 왈라키아와 우크라이나 남부(부자크 저지대와 바러간 평원을 중심으로) 지역을 지칭하기도 했는데, 이는 쿠만족과 서방 기독교의 첫 번째 접촉이 이루어진 지역, 그리고 나중에 이 지역의 쿠만족이 가톨릭을 받아들인 지역을 지칭했다.

다른 많은 유라시아 유목 연맹과 마찬가지로, "쿠만"이라는 민족명칭(쿠마니아의 거주민을 지칭)은 다양한 민족적 현실을 나타냈다. 주요 구성 요소는 터키어를 사용하는 부족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연맹에는 다른 민족 구성 요소도 포함되었다. ''쿠마니아''는 주로 정치적 이름으로, 연맹 또는 국가의 선도적이고 통합적인 부족 또는 씨족을 지칭했다. 쿠만족은 처음 문헌에 등장했을 때, 부족의 기원과 관계없이 연맹의 구성원이었다. 해당 부족이 정치적 단위의 일부가 되면 이전의 부족 이름은 사라졌다. 예를 들어 쿠만족의 침략에 대해 들을 때, 이는 쿠만 연맹의 특정 부족이 군사적 사업에 참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르시아 역사가 라시드 알딘 하마다니는 저서 ''"몽골의 역사"'에서 몽골 제국의 미래 대칸인 몽케가 통치하던 1236~1237년경 쿠마니아에 대해 언급했다. 특히 그는 키프차크족, 터키어를 사용하는 아시 (나중의 야시 부족과 동일할 가능성이 있음)와 "카라우라기"(흑인, 즉 "북쪽에서 온" 블라크족)를 언급했다.[8]

느슨하게 연결된 부족 단위로 구성된 이 광대한 쿠만-키프차크 왕국은 군사적으로 지배적인 세력으로, 강력한 중앙 권력에 의해 정치적으로 통일된 적이 없었다. 쿠마니아는 국가도 제국도 아니었지만, 주변 국가의 정치 생활에 간섭하면서 독자적으로 행동하는 독립적인 통치자, 즉 칸 아래의 다양한 집단이었다. 러시아 공국, 불가리아, 비잔틴, 발칸 반도의 왈라키아 국가, 코카서스의 아르메니아와 조지아(조지아의 키프차크족 참조) 및 호레즘은 멀리까지 이르러 맘루크로 알려진 강력한 전사 계급을 만들어 이슬람 아랍과 터키 칼리프와 술탄을 섬겼다.

발칸 반도에서 쿠만족은 당시의 모든 국가와 접촉했는데, 헝가리 왕국과 싸우고 불가리아인과 블라크인과 동맹하여 비잔틴 제국에 대항했다. 예를 들어, 이름이 쿠만족 군벌인 토코메리우스 (티호미르라고도 알려졌으며, 불가리아 귀족이었을 가능성이 있음)는 도나우 강 북쪽, 올트 강 서쪽과 동쪽에서 불가리아 국가를 통일한 최초의 인물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의 아들 바사라브 1세는 통일되고 독립적인 왈라키아의 첫 번째 통치자로 여겨진다. 이러한 해석은 11세기 루마니아 영토의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와 일치하며, 원주민들은 다양한 작은 연맹으로 연합된 마을 공동체에서 살았고, 다소 강력한 추장들이 작은 왕국을 건설하려고 노력했으며, 일부는 다양한 군사적으로 지배적인 유목 부족에게 공물을 지불했다(중세 루마니아 참조).

이 폰토스 쿠마니아(및 동쪽의 나머지 쿠마니아)는 몽골의 유럽 침략으로 13세기 중반에 종말을 맞이했다. 1223년, 칭기스 칸은 칼카 강 전투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쿠만족과 그들의 루스 동맹을 격파했고, 1241년에는 쿠만 연맹이 정치적 실체로서 존속을 멈추면서 마지막 타격을 입었으며, 남은 쿠만 부족은 흩어져 몽골 정복자들의 지배를 받거나 골든 호드로 알려지게 되었고, 서쪽으로 도망쳐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제국 및 헝가리 왕국으로 갔다.

3. 3. 킵차크 칸국 분열 이후

14세기 후반, 조치 가문 제왕가의 정권과 조치 가문 중신들의 정권이 자립하면서 조치 울루스는 분열되기 시작했다. 15세기에는 여러 정권이 분립되었는데, 동부에는 샤이반 가문우즈베크 집단과 우즈베크에서 갈라져 나온 카자흐 집단, 우랄강 유역의 노가이 오르다, 볼가강 중류 유역의 카잔 칸국, 하류 유역의 아스트라한 칸국, 크림 반도의 크림 칸국 등이 있었다.[15]

3. 4. 근대

16세기에는 우즈베크가 마와라안나흐르로 남하하여 키프차크 초원의 동부는 카자흐의 땅이 되어 카자흐 초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5] 같은 세기에 서쪽에서는 카잔아스트라한이 조치 울루스의 지배를 벗어나 자립한 모스크바 대공국에 의해 정복되고, 초원 지대에는 그 선봉으로 코사크가 들어가기 시작했다.[15] 18세기에는 칼미크인이 노가이 오르다를 공격하여 칼미크 칸국을 세웠지만, 모스크바 대공국에서 발전한 러시아 제국에 의한 볼가 독일인의 이주가 시작되고, 카자흐가 복속된 후, 푸가초프의 난을 거쳐 크림 칸국이 정복되면서 키프차크 초원의 유목민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된다.[15]

4. 쿠만 디아스포라: 쿤사그와 쿠마니아 교구

헝가리 대평원에 정착한 쿠만족 피난민들은 '쿤사그(Kunság)'라는 지역에 정착했다. 쿤사그는 헝가리어로 쿠마니아를 뜻한다. 이 지역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쿠마니아(Nagykunság)와 소쿠마니아(Kiskunság)로 나뉘었으며, 쿠만인들은 근세까지 그들의 언어와 일부 민족 관습을 유지했다.[19]

'쿠마니아'라는 명칭은 쿠만족이 사라진 후에도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1523년까지 '쿠마니아 교구'는 존속했는데, 이는 쿠만족이 더 이상 이 지역에서 뚜렷한 정치적 집단으로 존재하지 않게 된 이후였다.[9]

1227년, 쿠만 부족장 보르츠가 가톨릭으로 개종하자,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로베르트에게 쿠마니아와 인근 브로드니키족의 땅을 대표하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 새로운 교구의 주교 테오도리쿠스는 헝가리 왕국의 도미니코회를 수호하게 되었다.[9]

1228년, 헝가리 왕 벨러 4세는 "렉스 쿠마니에(Rex Cumaniae, 쿠마니아의 왕)" 칭호를 얻고,[10] 쿠만족들을 몽골 침입에 대비하여 북서부 지역에 정착시키면서 쿠마니아 교구는 에스테르곰 상위 대주교령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시비우, 부르젠란트, 브라쇼브 및 하롬셰크에서 민족에 관계없이 가톨릭 신앙을 유지했다고 한다. 이들은 비록 "이교도"인 블라흐인의 땅에 속하고 "이교"인 루마니아 정교회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가톨릭 신앙을 지켰다.[11]

당시 헝가리와 교황령의 문서들은 쿠마니아라는 명칭을 통해 세네슬라우 지역의 동쪽 경계와 브로드니키(부저우, 브란체아 남부, 갈라티 남부) 지역의 땅, 즉 오늘날의 문테니아 일대를 지칭했다. 그러나 "쿠마니아"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고 해서 쿠만인이 그 지역에서 지배적이었다거나, 그들이 거주했던 땅이 쿠마니아 교구 전체를 가리킨다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군사적 관점에서 쿠마니아 교구를 구성하는 땅은 튜튼 기사단(1222년 초) 또는 블라흐인들이 소유했다. 이후 쿠마니아라는 용어는 그 지역의 교구에 종속된 모든 가톨릭 신자들을 의미하게 되었고, 어떤 경우에는 "왈라흐"라는 용어와 대체될 수도 있었다.[12]

5. 동화

시간이 흐르면서, 쿠만족들은 점차 주류 헝가리인에 동화되었다. 헝가리 왕국 내에서 대타협 이후인 1870년대까지도 대쿠마니아와 소쿠마니아가 존속했다. 이후 헝가리가 근대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소쿠마니아는 오늘날 헝가리 남부의 바치키슈쿤주(Bács-Kiskun)로 통합되었고, 대쿠마니아는 헝가리 동부의 야스너지쿤솔노크주(Jász-Nagykun-Szolnok)로 통합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6. 참고 항목

참조

[1] 서적 The Kipchaks, An Ancient History of the Turkic People and the Great Steppe
[2] 서적 Kitab nuzhat al-mushtaq fi'khtiraq al-'afaq
[3] 서적 Cumans
[4] 간행물 Cumans and Kipchaks: Between Ethnonym and Toponym https://fphil.uniba.[...]
[5] 서적 The Romanians and the Turkic Nomads North of the Danube Delta from the Tenth to the Mid-thi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6]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300) (2 Vols) https://www.worldcat[...] BRILL 2019
[7] 서적 Eurasian Musical Journeys: Five Tales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4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Eurasian Musical Journeys: Five Tales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4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